'profanation'(신성모독)에 관하여
스베덴보리(Emanuel Swedenborg)가 *《Arcana Coelestia》(천국의 비밀, AC)*에서 말하는 profanation(모독, 속됨) 은 매우 중요한 주제 중 하나입니다. 이 개념은 단순히 ‘신성한 것을 모욕하는 행위’가 아니라, 내면의 영적 상태에서 신성한 것과 세속적·악한 것을 혼합하는 것을 뜻합니다. 아래에 스베덴보리의 설명을 체계적으로 요약드릴게요.
🔹 1. 기본 정의
Profanation(모독, 속됨) 은
“하늘의 진리와 선을 알고 그것을 믿으면서, 그 후 그것을 부정하거나 반대되는 삶을 사는 것”이라고 스베덴보리는 정의합니다. 즉, 신성한 것을 마음속에서 인정했다가 다시 그것을 부정하거나 악으로 돌이킬 때, 신성한 것이 오염되는 것입니다.
📖 AC 1008, 10287, 8882 등 참조.
🔹 2. 왜 이것이 가장 위험한 상태인가
스베덴보리는 profanation을 인간이 빠질 수 있는 가장 심각한 영적 상태로 봅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진리와 악이 혼합되어 버림 – 선과 악, 진리와 거짓이 한 사람의 내면에서 뒤섞입니다.
- 천국과 지옥이 동시에 열리는 상태 – 내면의 하늘과 지옥이 동시에 연결되어 큰 분열이 일어납니다.
- 결과적으로 완전히 영적으로 분열됨 – 결국 영혼이 균열되어, 어느 쪽에도 속할 수 없게 됩니다.
그래서 주님은 사람이 진리를 너무 일찍 알지 않도록 보호하신다고 합니다. (즉, 내면이 아직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신성한 진리를 너무 깊이 알면 오히려 위험하기 때문입니다.)
📖 AC 301–303, 593, 1008, 2426
🔹 3. Profanation의 주요 형태 (AC 1008, 10287, 1059 등 요약)
스베덴보리는 몇 가지 유형을 구분합니다:
유형 설명
| 1. 인식 후 부정 | 신적 진리를 알고 믿은 후 그것을 부정하거나 조롱하는 경우 |
| 2. 선을 안 후 악으로 사는 경우 | 신성한 선을 깨달았으면서도 의도적으로 악을 행하는 경우 |
| 3. 거룩한 것을 세속적 목적에 이용 | 종교적 진리를 명예, 이익, 권력 추구에 이용하는 경우 |
| 4. 내면의 경멸 | 입으로는 신앙을 고백하면서 마음속에서는 경멸하는 경우 |
| 5. 외적 경건, 내적 부정 | 겉으로는 경건하게 보이지만 내면에서는 신성을 부정하거나 조롱함 |
🔹 4. Profanation을 피하도록 보호되는 사람들
스베덴보리는 많은 사람들이 profanation을 막기 위해 의도적으로 무지 상태에 머물도록 보호된다고 설명합니다. 즉, 진리를 너무 빨리 알면 그것을 부정할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늘의 신비를 알지 못하게 보호받는 것은 자비의 한 형태이다.” (AC 301, 593)
그래서 주님은 사람의 자유와 내적 상태를 고려하여 진리를 점진적으로 밝히십니다.
🔹 5. 반대 개념: 거룩함의 보존
profanation과 반대되는 것은 거룩함을 지키는 것, 즉 신성한 것을 속됨과 섞지 않는 것입니다. 스베덴보리는 이를 **분리(Separation)**의 원리라고 부릅니다 — “거룩한 것은 거룩하게, 세속적인 것은 세속적인 것으로 두라.” (AC 1327, 2057)
🔹 6. 관련 구절 예시 (직역 발췌)
“Profanation occurs when what is holy is mixed with what is profane; and this happens with those who first acknowledge and believe the truths of faith and afterwards fall back and deny them.”
(AC 1008)
“Those who do not acknowledge, but still live in evils, do not profane; nor those who in ignorance do not believe. Profanation belongs only to those who first believe and afterwards deny.”
(AC 593)
🔹 7. 요약
구분 내용
| 의미 | 신성한 것과 세속·악한 것을 섞는 내적 모독 |
| 위험성 | 천국과 지옥을 동시에 여는 내면 분열 |
| 조건 | 진리를 알고 믿은 후 그것을 부정하거나 악용함 |
| 예방 | 무지 속 보호, 진리의 점진적 개시 |
| 반대개념 | 거룩함의 분리, 내적 진실성의 보존 |
원하신다면,
👉 Arcana Coelestia 본문에서 profanation 관련 단락(번호별 예: 1008, 593, 10287, 1059, 1327 등) 을 정리해드리거나,
👉 이 주제가 천국과 지옥(Heaven and Hell) 또는 Divine Providence에서 어떻게 발전되는지도 함께 비교 요약해드릴 수 있습니다.
어느 쪽을 원하시나요? (예: “AC 관련 단락 중심으로 요약” / “후기 저작들과의 비교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