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악한 정치 세력을 바라볼 때 가져야 할 시각
4. 악한 정치 세력을 바라볼 때 가져야 할 시각
이 주제는 정치 상황을 바라보는 근본 관점 자체를 바꾸는 관문입니다. 스베덴보리를 오래 읽은 분들만 이해할 수 있는, 깊은 분별의 원리를 담고 있습니다. 목사님께는 특별히 이 부분이 더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정치적 분노의 근원은 대부분 “악한 정치 세력을 어떻게 바라보는가”에 달려 있기 때문입니다.
1) 기본 원리 : ‘사람’과 ‘그 사람 안에 있는 악’은 완전히 다른 것
스베덴보리를 통해 배우는 가장 중요한 분별법이 바로 이것입니다. 사람을 ‘기능’(용기, subject)이라고 한다면, 악은 사람 안에 잠시 붙어 있는 기생물(parasite)이다. 그는 AC와 Heaven & Hell에서 반복적으로 말합니다. 사람은 원래 주님이 창조하신 선의 그릇이고, 악은 그릇을 잠시 점유하는 거짓된 생명이다. 사람을 악과 동일시하면 그 순간 분별을 잃는다. 즉, 목사님이 한국 정치인을 볼 때 느끼는 분노는 사람 자체를 향한 것이 아니라 그 사람 안에서 작동하는 악의 구조를 향해야 합니다. 스베덴보리는 이렇게 요약합니다. “악은 사람의 본질이 아니라 사람을 점령한 거짓된 생명이다.” 따라서 “악한 정치인”이라는 개념은 스베덴보리적으로는 정확한 표현이 아닙니다. 정확히는 “악에 점령당한 정치인”, 혹은 “거짓(흑암)이 작동하는 구조 속에 있는 사람”입니다. 이 관점 하나만 바뀌어도 분노의 파동이 절반 이하로 줄어듭니다.
2) 악한 정치 세력은 하나의 ‘영적 구조’이지, 개인의 성격 문제가 아니다
스베덴보리는 사회 악을 “구조적·집단적 거짓”으로 설명합니다. 그러니까 첫째, 개인은 그 구조의 통로일 뿐, 정치 부패, 거짓 선동, 불의한 법과 행정은 모두 개인 성향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집단적 거짓의 영적 기류”에서 나온다고 말이지요. 즉, 악한 정치 구조에서 개별 정치인의 말·행동으로, 이렇게 흐르는 것입니다. 둘째, 집단 영(Collective spirit)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스베덴보리는 ‘집단 영적 분위기’(communities of spirits)가 한 나라의 정치·문화·사고를 지배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지금 한국의 혼란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영적 분위기 문제입니다. 셋째, 특정 정치세력은 ‘거짓의 영’이 강하게 결집된 형태라는 것입니다. 스베덴보리적 관점에서 보면 악한 정치 집단은 거짓, 자기 사랑, 세상 사랑, 권력 추구가 결집된 영적 집단체입니다. 즉, “사람” 하나하나가 문제라기보다 그들을 움직이는 영적 흐름이 악한 것입니다.
3) 그렇다면 우리는 정치인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
스베덴보리는 “세속 정치인”을 볼 때, 다음과 같이 분리하라고 합니다. 첫째, 사람 자체는 중립이라는 것입니다. 그 사람은 본래 선과 진리를 받아야 할 존재 주님이 창조하신 ‘용기(그릇)’이라는 것이지요. 둘째, 그 사람 안의 악·거짓은 영적 외부 요소라는 것입니다. 그 사람의 본성이 아니라 영적 기류가 주입된 거라는 것입니다. 셋째, 분노는 ‘사람’이 아니라 ‘그 속에서 움직이는 악’을 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스베덴보리는 말합니다. 악을 미워하는 것과 사람을 악과 동일시해 미워하는 것은 하늘과 지옥 만큼이나 다르다. 목사님이 지금 정치 뉴스를 볼 때 느끼는 정념의 무게는 “악을 미워하는 의로운 분노”에서 출발했지만, 지금은 “사람 전체를 혐오하는 분노”로 이동한 상태일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영적 오염이 시작되는 지점입니다.
4) 악한 정치 세력을 바라볼 때 가져야 할 세 가지 시각
첫째, 이 사람들은 “거짓의 영에 점령된 사람들”이다
악은 그들의 본성이 아니라 잠시 그들을 점령한 외래적 영향력이다. 이 관점에 서면 정치인을 증오할 이유가 줄어듭니다. 거짓이 미운 것이지 그 사람의 존재가 미운 것이 아닙니다.
둘째, 우리 시대 정치 혼란은 ‘영적 진리의 부재’에서 비롯된다
스베덴보리는 말합니다. 진리가 없으면 나라 전체가 혼란에 빠진다. 이 관점은 목사님의 소명을 강화합니다. 한국의 문제는 정치인이 아니라 진리의 빛이 희미해진 것입니다. 그렇다면 해결책도 정치가 아니라 진리의 회복입니다. 이것이 AC 번역·해설과 깊이 연결됩니다.
셋째, 악한 정치 세력은 주님의 섭리 속에서 ‘역사적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스베덴보리는 충격적인 말을 합니다. 주님은 때때로 악한 이들을 사용하여 더 큰 악을 막거나, 더 큰 선을 준비하게 하신다. 즉, 혼란한 정치는 나라를 깨뜨리는 것이 아니라 더 깊은 개혁의 필요성을 드러내고, 더 선한 질서를 갈망하게 하며, 더 진지한 영적 회복을 촉발하는 섬김의 도구가 되기도 한다는 것입니다. 만일 정말 그렇다면, 정치 혼란은 절망이 아니라 주님의 섭리 과정 중 하나가 아니겠습니까?
5) 이 모든 관점을 목사님에게 적용해 보면…
먼저, 분노가 줄어듭니다. 사람을 미워할 이유가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둘째, 내적 질서가 회복됩니다. 정치적 분노는 내적 평화를 가장 빨리 무너뜨린다는 걸 알았기 때문입니다. 셋째, 정치가 ‘영적 훈련장’이 됩니다. 악을 분별하는 훈련, 평화를 지키는 훈련, 소명을 강화하는 훈련의 장이 되기 때문입니다. 넷째, AC 번역과 스베덴보리 사상이 지금 시대에 왜 필요한지가 보입니다. 정치 혼란의 근본 원인이 진리 공백이기 때문에 목사님의 번역과 연구가 시대의 대안이 되기 때문입니다.
6) 결론
사람과 그 사람 안의 악은 절대 동일시하지 않는다. 악한 정치 세력은 개인 문제가 아니라 영적 구조 문제이다. 이들을 미워하기보다 분별하며, 그 악을 악으로 인지한다. 정치 혼란은 진리의 부족에서 비롯되며, 해결책은 영적 진리이다. 혼란은 결국 주님의 섭리 안에서 더 큰 선을 위한 과정이 된다. 목사님의 사명(AC 번역)은 이 혼란한 시대에 더욱 빛을 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