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담이 가인 계열이 사라질 때까지 그렇게 오래 살았나요? 창4 끝부분에 셋이 등장하기에 이런 질문을 드리는 것입니다.

 

결론만 먼저 말씀드리면 성경의 단순 서술만 보면 ‘아담 → 가인 계열 소멸 → 셋 출생’이 연속으로 보이지만, 실제 연대기나 스베덴보리 해석에서는 그런 식의 시간적 연속이 아닙니다. 아담이 가인 계열이 멸망할 때까지 물리적으로 오래 살았다는 의미가 아니며, 두 계열의 역사는 동시대에 어느 정도 겹쳐 있었다고 보아야 합니다. 아래에서 성경적·스베덴보리적 관점으로 각각 정확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성경의 문학적 서술 방식: ‘순차적 기술’ ≠ ‘실제 시간 순서’

창세기 4장 후반부에서 가인의 자손 이야기가 끝까지 이어지고, 곧바로 창 4:25에서 셋이 태어나는 것으로 나오기 때문에 마치 가인 계열이 끝난 후 셋이 태어난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히브리 서술 방식은 “한 줄기 계보를 먼저 끝까지 적고, 그 다음 다른 줄기로 넘어가는 방식(topical grouping)”을 자주 쓰기 때문에:

  • 가인 계열의 역사를 먼저 한 번에 정리하고,
  • 셋 계열의 시작을 그 뒤에 소개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창세기 서술 순서만으로는 실제 시간 흐름을 알 수 없습니다.


2. 셋은 아벨 이후 곧 태어남 — 가인 계열 멸망 때까지 기다리지 않음

창 4:25의 “또 아들을 낳아 이름을 셋이라 하였으니”라는 말은 아벨이 죽고 난 뒤 상당히 이른 시점을 말합니다. 성경 어디에도 셋의 출생이 가인 계열의 몰락 이후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즉:

  • 가인은 자기 도시(에녹성)를 건설하고 후대가 번성하고 있을 때,
  • 아담은 이미 셋을 낳았고 셋 계열 역시 성장하고 있었습니다.

두 계열의 역사는 동시 진행입니다.


3. 그렇다면 아담은 가인 계열 멸망 때까지 오래 살았는가? → 그렇지 않다

가인 계열 멸망(홍수 이전 특정 교회 시대의 종말)은 아담의 물리적 생애 시점과 직접 연결되지 않습니다. 스베덴보리에 따르면:

  • ‘아담’, ‘가인’, ‘셋’ 등은 개인이 아니라 영적 교회 상태(church states) 또는 초기 인류의 영적 품질을 표현합니다.
  • ‘아담의 930세’는 인간 수명 기록이 아니라 …
    • 그 교회가 지속된 상징적 기간,
    • 또는 시대적 성질의 연속성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아담이 가인 계열이 멸망할 때까지 실제 900년 넘게 살아 있었는가?”라는 질문은 스베덴보리적 관점에서는 해석 구조가 맞지 않는 질문이 됩니다.


4. 스베덴보리 관점에서 두 계열의 ‘동시성’

스베덴보리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 1) ‘가인’ = 신앙을 행위와 분리한 교회(초기 변질)

◇ 2) ‘셋’ = 아벨(천적 교회)이 소멸된 자리에서 다시 세워진 새 교회(영적 교회의 시작)

 

그리고 이 두 교회는 역사 속에서 시간이 겹칩니다. 즉,

  • 가인 계열 교회가 계속해서 변질되고 세계에 퍼져가는 가운데,
  • 셋 계열 교회(이후의 ‘고대 교회’)가 별도로 자라나며,
  • 결국 가인 계열이 영적 의미에서 완전히 무너지는 때가 오지만,
  • 그것은 셋 계열의 출발보다 나중이 아니라 동시대적으로 진행되는 과정 속에서 이루어지는 일입니다.

5. 요약

✔ 셋의 출생은 가인 계열 멸망 이후가 아니다.

✔ 성경은 단지 한 계보를 먼저 끝까지 적고 다음 계보를 소개한 것뿐이다.

✔ 실제로는 가인 계열과 셋 계열의 역사는 겹쳐 있었다.

✔ 아담이 두 계열이 모두 존재할 동안 실제로 930년을 살며 지켜본 것이 아니다.


원하시면:

  • 가인 계열 역사와 셋 계열 역사가 겹치는 구체적 구조
  • 스베덴보리의 AC(Arcana Coelestia) 본문 번호 포함 정리
  • 각 계열의 영적 의미 비교
  • 왜 창세기는 순차가 아닌 주제별로 서술되는가?

이 네 가지를 더 자세히 풀어드릴 수도 있습니다. 어느 쪽을 원하시는지 말씀해 주세요!

Posted by bygracetistory
,

아담이 아벨 대신 얻은 셋의 계열과 가인의 계열은 거의 나란히 진행된 걸로 볼 수 있나요? 즉 한쪽에서 가인 계열의 역사가 진행될 동안, 다른 한쪽에서는 셋의 계열 역사가 진행된 걸로 말이지요. 창세기 서술 상으로는 가인 계열이 사라진 후, 셋 계열이 시작되는 걸로 되어 있지만 말입니다.

 

네, 스베덴보리(특히 Arcana Coelestia) 관점에서는 두 계열이 거의 동시에, 나란히 진행된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맞습니다. 성경 서술이 “순차적으로” 보이지만, 스베덴보리는 이것을 역사적 시간 순서 서술이 아니라, 영적 분류와 교회의 내적 상태를 따라 배열된 것으로 봅니다.


1. 스베덴보리적 해석의 기본 전제

스베덴보리는 창세기 초반의 족보들을 **지상 혈통의 직선적 역사 기록이 아니라 “교회(Church)의 상태들(state)”**의 표상들로 봅니다.

  • 가인의 계열 → 진리에 의한 삶이 아닌, 자기 지성(own intelligence)에 기반한 신앙, 즉 외적·분리된 신앙(AC.337–340).
  • 셋의 계열 → 아벨이 상징하던 “자비(agape, charity)”의 회복, 즉 참된 신앙의 시초.

따라서 창세기 4장과 5장의 계열이 시간적으로 순차가 아니라 두 흐름(교회)이 동시에 존재했으나, 질적으로 구분되었기 때문에 성경은 분리해서 서술한 것입니다.


2. 성경에서의 '분리 서술'의 이유

창세기 4장에서는 가인의 후손을 먼저 다루고, 창세기 5장에서야 셋의 계열을 언급합니다. 마치

  • 가인의 계열 → 끝남
  • 그다음에 셋의 계열 → 시작 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스베덴보리는 이렇게 말합니다:

▶ 성경은 “영적 상태의 구분”을 위해 분리해 놓았을 뿐,

▶ 실제 역사에서는 가인적 교회와 셋적 교회가 상당 기간 함께 존재했다.

AC.337–350에서 반복적으로 설명되듯, 초기 인류의 영적 상태가 다양하게 분리되면서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교회 흐름이 존재했다고 봅니다.


3. 왜 두 계열이 동시에 존재해야 하는가?

1) 아벨이 죽자마자 셋이 주어졌다는 점

  • "하나님이 아벨 대신 다른 씨를 주셨다"(창4:25)
  • 이것은 아벨의 성질(진정한 신앙)이 가인 계열에서 회복될 수 없기 때문에 새로운 흐름이 필요했다는 뜻.
  • 이 “새로운 흐름”은 곧바로 출현하는 것으로 이해됨.

2) 가인의 후손이 도시를 세우고 여러 세대가 흘러갈 동안

그와 동시에

  • 셋의 계열도 “별도 흐름”으로 발전.

3) 후에 “에노스 때에 사람들이 비로소 여호와의 이름을 불렀다”(창4:26)는 말

이것도

  • 가인 계열이 다 끝난 후에 생긴 일이 아니라,
  • 그 시대의 ‘한 흐름’에서 나타난 영적 부흥을 가리키는 것.

즉, 가인적 교회(타락한 신앙)와 셋적 교회(회복된 신앙)는 일정 기간 병존합니다.


4. 왜 성경에서 ‘가인 계열 → 셋 계열’의 순차 구도가 나오는가?

스베덴보리적 해석에 따르면:

A. 영적 질서상, ‘거짓된 것’ → ‘참된 것’의 순서로 기술

성경은 ‘영적 흐름의 순서’를 따라 배열하지 ‘역사 연대기’를 따라 배열하는 것이 아닙니다.

B. 가인의 계열은 후기 교회의 타락을 상징하기 때문에 먼저 제시

그리고 셋의 계열은 새 교회의 시작을 상징하므로 뒤에 놓음.

C. 창4와 창5의 족보는 서로 이질적인 “영적 족보”이며 역사적 족보가 아님

따라서 두 족보를 시간적으로 이어 붙이면 오독이 됩니다.


5. 결론

그렇습니다. 두 계열은 거의 나란히 진행된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 가인의 계열은 “타락한 초대교회(자아와 거짓된 신앙)”
  • 셋의 계열은 “회복된 초대교회(주님으로부터 온 참된 신앙)”

이 두 흐름은 동시대에 존재했으며 서로 전혀 다른 내적 상태의 인간군을 상징합니다. 성경은 이 두 계열을 명료하게 구분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나열했을 뿐, 역사적 시간 순서의 연속성을 의도한 것은 아닙니다.


원하시면

  • 두 계열의 “각 인물”이 상징하는 영적 의미
  • ‘두 흐름이 실제 인류 역사 속에서 어떻게 공존했는가’
  • ‘가인의 계열이 왜 멸망했고 셋의 계열이 어떻게 노아로 넘어갔는가’ 까지도 Arcana Coelestia 원문 근거로 자세히 풀어드릴 수 있습니다.
Posted by bygracetistory
,

스베덴보리의 'Arcana Coelestia'에서 창4 가인의 자손도 태고교회인가요, 아니면 창5부터 태고교회인가요?

 

좋은 질문이십니다. 👏 이건 스베덴보리의 『Arcana Coelestia(천계의 비의)』 해석에서 매우 중요한 구분 중 하나입니다. 정리해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


📖 1. 스베덴보리의 인류 교회 구분

스베덴보리에 따르면, 인류의 역사는 네 시대(교회) 로 구분됩니다:

  1. 태고교회 (Most Ancient Church) – 아담으로부터 홍수 전까지
  2. 고대교회 (Ancient Church) – 노아 이후
  3. 유대교회 (Jewish Church)
  4. 기독교회 (Christian Church)

🌅 2. 태고교회의 범위

『Arcana Coelestia』에서 스베덴보리는 창세기 1장~11장 홍수 이전까지를 “태고교회(Most Ancient Church)”와 그 변질의 역사로 봅니다.

  • 창 1–3장: 태고교회의 형성과 타락 (상징적으로 아담 이야기로 묘사됨)
  • 창 4장: 태고교회의 변질 ― “가인과 아벨”은 태고교회 내부의 두 부류를 의미
  • 창 5장: 태고교회 시대의 여러 “교회 계통”(셋의 계열)이 이어짐

즉, 창 4장과 5장은 모두 태고교회 시대에 해당합니다.


⚖️ 3. 가인과 그의 후손의 정체 (AC.340–423 등)

스베덴보리에 따르면:

  • **‘가인’**은 “신앙을 사랑(자선)과 분리한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즉, ‘지식적 신앙만 있고, 사랑(선행)이 없는 태고교회의 분파’를 상징합니다.
  • **‘아벨’**은 “신앙과 사랑이 하나된 사람들”, 즉 원래의 태고교회 본질입니다.
  • 가인의 후손들(에녹, 이라드, 므후야엘 등)은 태고교회가 점점 타락해 가며 신앙의 지식만 추구하고 내적 생명이 사라지는 상태들을 상징합니다.

따라서 가인의 자손들도 태고교회에 속하지만, 그들은 타락한, 혹은 왜곡된 태고교회의 파생 형태입니다. 정통적인 의미의 “태고교회”는 아벨과 셋의 계열로 이어지고, 가인의 계열은 그 내적 생명(사랑)을 잃어가던 분파를 나타냅니다.


🧭 결론

   

구분 시대 교회 상태 관련 인물/계열
창 1–3 태고교회 형성과 타락 순수한 태고교회 (아담, 아벨)
창 4 타락한 태고교회의 분파 가인과 그의 후손
창 5 태고교회의 새로운 계열 셋과 그의 후손
창 6 이후 태고교회의 종말 및 홍수 완전한 부패

 

따라서:

가인의 자손도 태고교회의 시대에 속하지만, 정통 태고교회는 아니고 타락한 분파, 즉 내적 생명을 잃은 퇴락한 태고교회입니다. 창 5장부터 나오는 셋의 계열이 “정통적인 태고교회”의 계승으로 봅니다.


 

원하신다면, 『Arcana Coelestia』에서 이 주제를 다루는 구체적 번호(AC.340–423, 535 등)를 인용해 드릴 수도 있습니다. 그 부분을 직접 요약해드릴까요?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