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3:20-24
21절,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과 그의 아내를 위하여 가죽옷을 지어 입히시니라 Verse 21, And Jehovah God made for the man and for his wife coats of skin, and clothed them.
※ 21절 속뜻
주님은 태고교회와 그 초기 후손들을 영적 자연적 선으로 가르치셨습니다.
292. 이 말씀은 주께서 그들을 영적, 자연적 선으로 가르치셨다는 것입니다. ‘지어’, ‘입히시니라’는 주님이 그들을 가르치셨음을, ‘가죽옷’은 영적, 자연적 선을 표현합니다. These words signify that the Lord instructed them in spiritual and natural good; his instructing them is expressed by “making” and “clothing,” and spiritual and natural good, by the “coat of skin.”
293. 겉 글자로는 도저히 위 말씀이 이런 의미처럼 보이지는 않으실 겁니다. 하지만 분명, 여기엔 어떤 더 깊은 의미가 담겨 있는 게 틀림없습니다. 여호와 하나님이 그들을 위해 정말로 가죽옷을 지으셨다 말하는 게 아니라는 것쯤은 누구나 다 짐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It could never appear from the letter that these things are signified; and yet there is evidently here enfolded some deeper meaning, for everyone must be aware that Jehovah God did not make a coat of skin for them.
294. 속뜻에 관한 어떤 계시도, 그리고 말씀 내 유사 표현들이 나오는 여러 일련의 비교 구절들 없이도 사람들이 이 ‘가죽옷’을 보고는 ‘이것은 영적 자연적 선을 상징하고 있다.’ 할 거라는 것 또한 거의 불가능할 게 분명합니다. Neither would it be evident to anyone that a “coat of skin” signifies spiritual and natural good, except by a revelation of the internal sense, and a subsequent comparison of passages in the Word where similar expressions occur.
여기 ‘가죽’(skin)이라는 일반적인 용어가 사용되고 있지만, 새끼염소나 양, 또는 숫양의 가죽으로 이해가 되는데요, 말씀에서 이들 동물들은 선이나 체어리티(charity, 이웃 사랑) 관련 어펙션(affection, 애정)을, 그리고 희생양이 상징했던 것과 똑같이 체어리티에 관한 것을 상징합니다. The general term “skin” is here used, but that of a kid, sheep, or ram, is understood, which animals in the Word signify affections of good, charity, and that which is of charity, as was likewise signified by the sheep used in the sacrifices.
체어리티의 선, 곧 영적 자연적 선을 가진 사람들을 ‘양’이라고 하며, 그래서 주님도 ‘양의 목자’시라 하고, 체어리티의 사람들을 그분의 ‘양’이라 하지요. 다들 아시는 것처럼 말입니다. Those are called “sheep” who are endowed with the good of charity, that is, with spiritual and natural good, and hence the Lord is called the “shepherd of the sheep,” and those who are endowed with charity are called his “sheep,” as everybody knows.
295. 태고인(太古人)들을 일컬어 ‘가죽으로 지은 옷을 입은 사람들’이라고 하는 이유는 그들이 ‘벌거벗은 사람들’(naked)이었기 때문입니다. 이노센스(innocence, 순진무구)의 사람들이었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그들은 자신들에게 있던 이 이노센스를 잃어버렸고, 그러자 자신들이 악 가운데 있음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 역시 ‘벌거벗음’(nakedness)이기 때문입니다. The reason why they are said to be “clothed with a coat of skin,” is that the most ancient people were said to be “naked,” on account of their innocence; but when they lost their innocence they became conscious that they were in evil, which also is called “nakedness.”
(태고인들의 스피킹 방식에 맞춰) 모든 일이 상호 긴밀히 실제로 일어난 것처럼 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여기 그들은 ‘벗은 채로 있게 될까 봐 주님이 자기들에게 옷을 입히셨다’ 라고 합니다. 악 가운데 있는 것은 벗은 채로 있는 것입니다. That all things might appear to cohere historically (in accordance with the way of speaking of the most ancient people), they are here said to be “clothed lest they should be naked,” or in evil.
그들이 영적 자연적 선 가운데 있음이 분명한 것은 그들에 관한 언급인 위 본 장 1절로 13절까지 내용과, 그것이 여기 ‘여호와 하나님이 그들을 위하여 가죽옷을 지어 입히셨다’는 내용과 연관되는 것을 보면 분명합니다. 여기서는 그 교회의 첫 번째, 그리고 더욱 특별히는 두 번째, 세 번째 후손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인데, 이들은 그런 선을 받은 사람들이었기 때문입니다. Their being in spiritual and natural good is evident from what was remarked above concerning them, from verse 1 to 13 of this chapter, as well as from its being here related that “Jehovah God made them a coat of skin, and clothed them”; for it here treats of the first—and more especially of the second and third—posterities of the church, who were endowed with such good.
296. 염소의 새끼, 양, 염소, 해달 및 숫양이 영적 자연적 선을 상징한다는 건 말씀에서 야곱이 나오는 데와 또 궤(the ark)가 나오는 데의 속뜻을 보면 분명합니다. That the skins of kids, sheep, goats, badgers, and rams signify spiritual and natural goods, is evident from the internal sense of the word, where Jacob is treated of, and also where the ark is treated of.
야곱의 경우, ‘에서의 의복으로 옷 입혀졌고’, 그의 손과 목 매근매끈한 곳에는 ‘염소 새끼의 가죽’으로 대신했으며, 이삭이 그 향취를 맡았을 때, ‘내 아들의 향취는 밭의 향취로다’ 하였습니다. (창27:15, 16, 27) Of Jacob it is said that he was “clothed with the raiment of Esau,” and on his hands and on his neck, where he was naked, “with skins of kids of the goats,” and when Isaac smelled them, he said, “the smell of my son is as the smell of a field.” (Gen. 27:15, 16, 27)
15리브가가 집 안 자기에게 있는 그의 맏아들 에서의 좋은 의복을 가져다가 그의 작은 아들 야곱에게 입히고 16또 염소 새끼의 가죽을 그의 손과 목의 매끈매끈한 곳에 입히고 (창27:15, 16)
27그가 가까이 가서 그에게 입맞추니 아버지가 그의 옷의 향취를 맡고 그에게 축복하여 이르되 내 아들의 향취는 여호와께서 복 주신 밭의 향취로다 (창27:27)
이 가죽들이 영적 자연적 선을 상징한다는 것은 주님의 허락으로 해당 부분(AC.3540)을 다룰 때 보시게 됩니다. That these skins signify spiritual and natural goods, will of the Lord’s Divine mercy be seen in that place.
궤의 경우는, 성막의 덮개는 ‘숫양의 가죽과 해달의 가죽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출26:14; 36:19) Of the ark it is said that the covering of the tent was “of rams’ skins and badgers’ skins,” (Exod. 26:14; 36:19)
붉은 물 들인 숫양의 가죽으로 막의 덮개를 만들고 해달의 가죽으로 그 윗덮개를 만들지니라 (출26:14; 출36:19)
그리고 그들이 전진할 때에, 아론과 그의 아들들이 증거궤를 ‘해달의 가죽’으로 덮고, 같은 식으로 상과 대접들, 등잔대와 그릇들, 금제단, 그리고 성소에서 봉사하는 데에 쓰는 그릇들도 그렇게 했다고 합니다. (민4:6–14) and that when they set forward Aaron and his sons covered the ark with a covering “of badgers’ skins,” and likewise the table and its vessels, the candlestick and its vessels, the altar of gold, and the vessels of ministry and of the altar. (Num. 4:6–14)
6그 위를 해달의 가죽으로 덮고 그 위에 순청색 보자기를 덮은 후에 그 채를 꿰고 7진설병의 상에 청색 보자기를 펴고 대접들과 숟가락들과 주발들과 붓는 잔들을 그 위에 두고 또 항상 진설하는 떡을 그 위에 두고 8홍색 보자기를 그 위에 펴고 그것을 해달의 가죽 덮개로 덮은 후에 그 채를 꿰고 9청색 보자기를 취하여 등잔대와 등잔들과 불 집게들과 불똥 그릇들과 그 쓰는 바 모든 기름 그릇을 덮고 10등잔대와 그 모든 기구를 해달의 가죽 덮개 안에 넣어 메는 틀 위에 두고 11금제단 위에 청색 보자기를 펴고 해달의 가죽 덮개로 덮고 그 채를 꿰고 12성소에서 봉사하는 데에 쓰는 모든 기구를 취하여 청색 보자기에 싸서 해달의 가죽 덮개로 덮어 메는 틀 위에 두고 13제단의 재를 버리고 그 제단 위에 자색 보자기를 펴고 14봉사하는 데에 쓰는 모든 기구 곧 불 옮기는 그릇들과 고기 갈고리들과 부삽들과 대야들과 제단의 모든 기구를 두고 해달의 가죽 덮개를 그 위에 덮고 그 채를 꿸 것이며 (민4:6-14)
이 가죽들이 영적 자연적 선을 상징한다는 것 또한 주님의 허락하심으로 해당 부분에서 보시게 됩니다. 궤, 성막 혹은 장막 안에 있던 것들은 그게 무엇이었던지 간에, 네, 아론이 입은 거룩한 옷 위에 있던 것들 또한 그게 무엇이었던지 간에 사실은 천적 영적인 것을 상징하였고, 그래서 아주 사소한 것 하나도 그 나름의 고유한 표상(表象, representation)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은 없었기 때문입니다. Of the Lord’s Divine mercy it will in that place also be seen that these skins signify spiritual and natural good, for whatever was in the ark, the tabernacle, or the tent, yea, whatever was upon Aaron when clothed with the garments of holiness, signified what is celestial spiritual, so that there was not the least thing that had not its own representation.
297. 천적 선은 옷을 입지 않습니다. 가장 내적이며, 천진(天眞, innocent)하기 때문입니다. 천적 영적 선은 옷을 입는 첫 번째 선이며, 그 다음은 자연적 선입니다. 이들은 더 외적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로, 이들 선은 ‘옷’(garments)에 비유되며, 이들 선을 ‘옷’이라 합니다. 에스겔 고대교회에 대한 말씀입니다. Celestial good is not clothed, because it is inmost, and is innocent; but celestial spiritual good is that which is first clothed, and then natural good, for these are more external, and on that account are compared to and are called “garments”; as in Ezekiel, speaking of the ancient church:
수 놓은 옷을 입히고 물돼지 가죽신을 신기고 가는 베로 두르고 모시로 덧입히고 (겔16:10) I clothed thee with broidered work, and shod thee with badger, I girded thee about with fine linen, and I covered thee with silk. (Ezek. 16:10)
이사야에서 In Isaiah:
시온이여 깰지어다 깰지어다 네 힘을 낼지어다 거룩한 성 예루살렘이여 네 아름다운 옷을 입을지어다 이제부터 할례 받지 아니한 자와 부정한 자가 다시는 네게로 들어옴이 없을 것임이라 (사52:1) Put on thy beautiful garments, O Jerusalem, the city of holiness. (Isa. 52:1)
계시록에서 In Revelation:
4그러나 사데에 그 옷을 더럽히지 아니한 자 몇 명이 네게 있어 흰 옷을 입고 나와 함께 다니리니 그들은 합당한 자인 연고라 5이기는 자는 이와 같이 흰 옷을 입을 것이요 내가 그 이름을 생명책에서 결코 지우지 아니하고 그 이름을 내 아버지 앞과 그의 천사들 앞에서 시인하리라, (계3:4–5) Who have not defiled their garments, and they shall walk with me in white, for they are worthy, (Rev. 3:4–5)
4장 4절에서도 ‘흰옷을 입은’ 이십사 장로들에 대해 똑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where it is likewise said of the four and twenty elders that they were “clothed in white raiment.” (4:4)
또 보좌에 둘려 이십사 보좌들이 있고 그 보좌들 위에 이십사 장로들이 흰옷을 입고 머리에 금관을 쓰고 앉았더라 (계4:4)
그래서 천적 영적 및 자연적인 더 외적인 선들이 ‘옷’입니다. 또한 이런 이유로, 체어리티의 선들을 가진 사람들은 천국에서는 광채 나는 옷을 입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그러나 여기서는 아직 몸 안이기 때문에, ‘가죽옷’을 입은 것으로 대신하는 것입니다. Thus the more external goods, which are celestial spiritual, and natural, are “garments”; wherefore also those who are endowed with the goods of charity appear in heaven clothed in shining garments; but here, because still in the body, with a “coat of skin.”
'Arcana Coelestia > 창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3:23, AC.305, '여호와 하나님이 에덴동산에서 그를 내보내어' (0) | 2022.05.09 |
---|---|
창3:22, AC.298-304, '여호와 하나님이 이르시되 보라 이 사람이' (0) | 2022.05.07 |
창3:20, AC.287-291, '아담이 그의 아내의 이름을 하와라 불렀으니' (0) | 2022.05.05 |
창3:19, AC.275-279, '네가 흙으로 돌아갈 때까지' (0) | 2022.05.04 |
창3:18, AC.272-274, '땅이 네게 가시덤불과 엉겅퀴를 낼 것이라' (0) | 2022.05.03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