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가랴의 예언 (2)

 

 

76이 아이여 네가 지극히 높으신 이의 선지자라 일컬음을 받고 주 앞에 앞서가서 그 길을 준비하여 77주의 백성에게 그 죄 사함으로 말미암는 구원을 알게 하리니 78이는 우리 하나님의 긍휼로 인함이라 이로써 돋는 해가 위로부터 우리에게 임하여 79어둠과 죽음의 그늘에 앉은 자에게 비치고 우리 발을 평강의 길로 인도하시리로다 하니라 80아이가 자라며 심령이 강하여지며 이스라엘에게 나타나는 날까지 빈 들에 있으니라 (눅1:76-80)

 

 

오늘 말씀드릴 내용은 누가복음 1장 76절에서 80절까지의 말씀입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 사가랴의 예언 나머지 부분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 본문에 나오는 사가랴는 글자의 뜻으로 보면 침례(세례) 요한(John, the Baptist)의 아버지이지만, 속뜻으로는 주님께서 새로운 말씀을 선포하시기 위해 선택한 사람을 나타냅니다. 말씀을 위해 주님께서 선택하시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요? 예를 들면, 요한계시록을 쓴 요한 같은 사람이고요, 그리고 말씀의 내적 의미를 밝히기 위해 택하신 주님의 종 스베덴보리 같은 사람일 것입니다.

 

※ 본래 ‘침례(浸禮) 요한’이라는 표기가 맞지만, 현 신약 성경에 ‘세례(洗禮) 요한’으로 되어 있어, 혼란을 피하기 위해 이후 ‘세례 요한’으로 하겠습니다. 헬라어 원전엔 ‘밥티조’, 곧 ‘침례’가 맞습니다.

 

말씀을 세상에 내놓기 위해 주님께서 선택하시는 사람들에 대해 계시록 1장 1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라 이는 하나님이 그에게 주사 반드시 속히 일어날 일들을 그 종들에게 보이시려고 그의 천사를 그 종 요한에게 보내어 알게 하신 것이라 (계1:1)

 

그러니까 주님으로부터 말씀의 계시를 받는 사람은 ‘요한’이라는 이름의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요한’은 속뜻으로 보면 사랑의 선 안에 있는 사람들(those who are in the good of love)을 나타냅니다.

 

※ 각 이름마다 그에 상응하는 속뜻이 있는데요, 가령, ‘베드로’(Peter)는 신앙(faith)을, ‘야고보’(James)는 체어리티(charity)를, 그리고 ‘요한’(John)은 체어리티의 선이나 사랑의 선을 상응, 표상하는 식입니다.

 

※ 아래 글은 말씀에 나오는 ‘이름’ 관련, 매우 참신한 내용이라 소개합니다. 스베덴보리 저, ‘천국과 지옥’에서 인용합니다.

 

나는 아브라함, 이삭, 야곱, 다윗, 그리고 사도들이 방법을 통하지 않고, 자비에 의해 천국에 들어갔는지 천사들에게 물어보았다. 천사들은 대답했다. 그들 중 한 사람도 그렇게 천국에 간 사람은 없고, 모두 이 세상에서의 삶에 의해서 천국에 들어갔다. 우리는 그 사람들이 어디 있는지 알고 있다. 그들이라고 다른 사람보다 더 존경받지 않는다. 그들이 말씀 안에 영광스럽게 기록되어 있는 것은, 그들이 내적 의미로 주님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아브라함, 이삭, 야곱은 주님의 신성과 신적 인성을 의미하고, 다윗은 주님의 신적 왕권을 의미한다. 사도들은 주의 신적 진리들을 의미한다. 사람이 말씀을 읽을 때, 천사들은 이 사람들 개인에 대해서는 전혀 의식하지 않는다. 그들의 이름은 천국에 들지 못하기 때문이다. 대신 그 이름을 천사들은 방금 설명한 대로의 주님으로 이해하며, 따라서 천국에 있는 말씀에는 그런 이름들이 나오지 않는다. 천국에 있는 말씀은 이 세상에 있는 성경 말씀의 내적 의미이기 때문이다. (HH.526:4, 김은경 역) //

 

새로운 말씀을 계시받는 사가랴 역시 주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의 선 안에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사가랴가 사랑의 선 안에 있는 사람이라는 것은,

 

5유대 왕 헤롯 때에 아비야 반열에 제사장 한 사람이 있었으니 이름은 사가랴요 그의 아내는 아론의 자손이니 이름은 엘리사벳이라 6이 두 사람이 하나님 앞에 의인이니 주의 모든 계명과 규례대로 흠이 없이 행하더라 7엘리사벳이 잉태를 못하므로 그들에게 자식이 없고 두 사람의 나이가 많더라 8마침 사가랴가 그 반열의 차례대로 하나님 앞에서 제사장의 직무를 행할새 (눅1:5-8)

 

위 본문에서 그를 의인 또는 제사장이라 한 것을 봐도 알 수 있는데요, 왜냐하면 말씀에서 의인이나 제사장은 사랑의 선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가랴가 오늘 예언하는 것은 주님에 의해 선택되어 말씀의 계시를 받은 사람이 이웃들을 가르친다는 뜻입니다.

 

지난 시간에 사가랴가 예언한 내용은 어떤 것이었습니까? 세상에 오실 주님에 대한 예언이었습니다. 여호와께서 직접 세상에 오신다는 것과, 그리고 그것은 아주 오래전 태고교회 때부터 주님께서 인류에게 약속하신 일이라는 것, 그리고 주님이 오시는 목적은, 인간을 악과 거짓에서 구하시고, 그러므로 그들이 성결과 의로 주님을 섬기게 하심이라는 겁니다. 그런데 오늘 계속되는 예언에서는 주님이 오시는 길을 준비할 한 선지자가 있다고 합니다. 그 선지자가 누구입니까? 사가랴가 낳은 아이 요한, 즉 새로운 말씀입니다. 본문 76절입니다.

 

76이 아이여 네가 지극히 높으신 이의 선지자라 일컬음을 받고 주 앞에 앞서 가서 그 길을 준비하여

 

이 아이는 물론 세례 요한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그런데 사가랴는 요한에 대해 ‘지극히 높으신 이의 선지자’라 했고, 그가 먼저 세상에 와서 주님의 길을 준비한다고 합니다. 말씀에서 선지자는 교리를 가르치는 사람입니다. 그런데 추상적인 의미로는 교회의 교리 자체이신 주님을 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장 높은 의미에서 선지자는 바로 주님이십니다. 그것에 대해 세례 요한은 이렇게 증거합니다. 요한복음 1장 21절로 27절까지의 말씀입니다.

 

21또 묻되 그러면 누구냐 네가 엘리야냐 이르되 나는 아니라 또 묻되 네가 그 선지자냐 대답하되 아니라 22또 말하되 누구냐 우리를 보낸 이들에게 대답하게 하라 너는 네게 대하여 무엇이라 하느냐 23이르되 나는 선지자 이사야의 말과 같이 주의 길을 곧게 하라고 광야에서 외치는 자의 소리로라 하니라 24그들은 바리새인들이 보낸 자라 25또 물어 이르되 네가 만일 그리스도도 아니요 엘리야도 아니요 그 선지자도 아닐진대 어찌하여 세례를 베푸느냐 26요한이 대답하되 나는 물로 세례를 베풀거니와 너희 가운데 너희가 알지 못하는 한 사람이 섰으니 27곧 내 뒤에 오시는 그이라 나는 그의 신발끈을 풀기도 감당하지 못하겠노라 하더라 (요1:21-27)

 

요한은 자신에 대해 자기는 그리스도도 아니고, 선지자도 아니라고 합니다. 진정한 선지자는 주님이시며, 자신은 그저 주님의 그림자에 불과하다는 겁니다. 그럼에도 오늘 본문에서는 요한을 가장 높으신 이의 선지자라고 말했습니다. 그렇게 말하는 이유는, 그가 말씀이신 주님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요한이 말씀을 표상하는 것은 그가 낙타의 털로 만든 옷을 입고, 메뚜기와 꿀을 먹었다는 성경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는데요, 말씀에서 털이나 메뚜기는 가장 낮은 차원의 진리인 글자의 뜻으로서, 말씀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털이나 피부는 사람의 가장 바깥쪽에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바깥쪽에 있는 것은 영적으로는 가장 낮은 차원의 것을 나타냅니다. 다시 말하면, 자연적이고 감각적인 것을 나타내지요. 그래서 요한은 가장 낮은 차원의 진리인 글자로 표현된 말씀을 표상합니다. 그러면 꿀은 무엇일까요? 꿀은 말씀의 진리를 배울 때 느끼는 내적 기쁨입니다. 외적인 기쁨과 내적인 기쁨이 있습니다. 외적인 기쁨은 어떤 것입니까? 진리를 이해하고, 그것을 깨달을 때 느끼는 기쁨이 외적인 기쁨입니다. 그러면 내적 기쁨은 무엇입니까? 내적인 기쁨은 진리를 삶으로 살아낼 때 느끼는 기쁨입니다. 진리를 삶으로 살아낼 때, 주님으로부터 평화가 오고, 안정감이 오고, 그리고 자유가 옵니다. 그것이 바로 내적 기쁨입니다.

 

그렇다면 말씀을 표상하는 요한이 주님의 길을 준비한다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다음은 ‘천국의 비밀’ 8028번 글입니다.

 

천사들이 오려고 할 때, 먼저 한 영을 보내 길을 준비하는 것은 천국의 질서이고, 그로 말미암은 세상의 질서이다. 그는 사람들의 두려움을 자극하고 권고하며, 그렇게 해서 그들이 천사들을 정중하게 받아들이도록 만든다. (이순철 역) From this it could be seen how the case is with the order in heaven, and from this in the world; namely that when angels are about to come, a spirit is sent before to prepare the way, and that he excites fear, and gives admonition to receive the angels courteously; (AC.8028)

 

그러니까 주님께서 직접 오시거나 아니면 천사들을 통해 오실 때, 그때 어떤 영을 보내 주님을 정중하게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은 주님의 질서라는 것입니다. 주님은 왜 그런 질서를 만드셨을까요? 주님이 진리 자체이신 분이라면 천사는 주님으로부터 진리를 받아 전하는 진리의 대언자입니다. 그래서 천사나 주님을 받아들이지 않거나 함부로 대하면, 그것은 진리에 대항하는 것이 되고, 그래서 그 사람에게는 크나큰 재앙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그것은 인간에 대한 무한한 사랑에서 나온 질서인 것입니다. 그래서 주님은 세례 요한, 즉 말씀을 세상에 먼저 보내 당신의 길을 예비하게 하신 것입니다. 만약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 사람들은 주님에 대해 아무 것도 몰랐을 것이고, 그래서 주님을 함부로 대했을 것입니다. 그래서 말라기서 4장 5, 6절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5보라 여호와의 크고 두려운 날이 이르기 전에 내가 선지자 엘리야를 너희에게 보내리니 6그가 아버지의 마음을 자녀에게로 돌이키게 하고 자녀들의 마음을 그들의 아버지에게로 돌이키게 하리라 돌이키지 아니하면 두렵건대 내가 와서 저주로 그 땅을 칠까 하노라 하시니라 (말4:5-6)

 

주님은 인간이 주님께로 마음을 돌리지 않는다고 해서 저주를 내리시는, 그런 악한 신이 아니십니다. 인간이 주님에 대해 악을 행함으로 스스로 저주를 자초하는 것일 뿐입니다. 그것이 하나님의 질서입니다. 주님은 그것을 염려하셔서 요한을 먼저 보내셨습니다. 이 말씀에서 요한을 가리켜 엘리야라 한 것은 엘리야가 살아 돌아온다는 그런 뜻이 아니고요, 요한과 엘리야는 모두 말씀으로서 주님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요한이 주님의 길을 준비하는 방법은 어떤 것입니까? 77절입니다.

 

77주의 백성에게 그 죄 사함으로 말미암는 구원을 알게 하리니

 

보통 말씀에서는 ‘백성’과 ‘나라’라는 말을 함께 사용합니다. ‘백성’은 진리를, ‘나라’는 선을 뜻하기 때문이지요. 그러므로 그것은 진리와 선의 결합을 나타냅니다. 그런데 위 구절에서는 그냥 ‘주의 백성’이라고만 말합니다. 그 이유는, ‘요한’으로 표상되는 말씀의 역할은 사람들을 거듭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주님을 믿도록, 주님을 신앙하도록 하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 저는 원본의 ‘믿음’을 가급적 ‘신앙’으로 고쳐서 쓰고 있습니다. ‘오직 믿음’ 교리에 익숙하신 분들을 위해서이기도 하고, 무엇보다 스베덴보리의 많은 저작들을 보아도 대부분 ‘faith’를 쓰기 때문입니다. 아무 생각 없이 그냥 ‘믿음’ 하면 왠지 ‘오직 믿음’이 생각나기 때문입니다. 물론, 문맥에 따라서는 ‘믿음’을 써야 할 때도 있는데, 그럴 땐 원본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요한이

 

나는 너희로 회개하게 하기 위하여 물로 세례를 베풀거니와 내 뒤에 오시는 이는 나보다 능력이 많으시니 나는 그의 신을 들기도 감당하지 못하겠노라 그는 성령과 불로 너희에게 세례를 베푸실 것이요 (마3:11)

 

라고 하기 때문입니다. 물은 신앙의 진리를 뜻합니다. 그러니까 요한의 세례는 말씀을 통해 인류에게 신앙을 심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거듭나는 삶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그 신앙 가운데로 주님이 오셔야 합니다. 다시 말하면 신앙 안으로 선을 동반한 진리가 흘러 들어와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요한은 내 뒤에 오시는 이는 성령과 불로 너희에게 세례를 베푸실 것이라고 말한 것입니다. 불은 사랑이나 선을 뜻하기 때문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오늘 본문에서는 주의 백성과 나라라 하지 않고, 그냥 ‘주의 백성’이라고만 말한 것입니다. ‘나라’까지 말씀하실 수 있는 분은 오직 주님뿐이시기 때문입니다. ‘’은 진리이지만, ‘성령과 불’은 거기에 담기는 선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들이 죄 사함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는다 하지 않고, 그들이 ‘죄 사함으로 말미암은 구원의 지식을 알게 한다’라고 했는데요, 이 ‘구원의 지식’(the knowledge of salvation)이라는 표현은 영어 성경에 나오는 표현입니다.

 

※ 위 77절 영어 번역은, to give the knowledge of salvation to His people for the forgiveness of their sins, 입니다.

 

조금 전에도 말씀드렸지만, 요한은 사람들에게 신앙을 심어주는 역할만 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신앙의 핵심인 죄 사함과 구원의 문제는 주님 당시 유대인들에게도 매우 중요한 문제였습니다. 유대인들이 정결 예식을 중요하게 여긴 것도 그래서입니다. 그뿐 아니라 유대인들은 생활 속에서도 늘 부정한 것을 물로 씻는 버릇이 있었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죄 사함을 받을 수 있다 생각한 것이지요. 그래서 주님의 제자들이 손을 씻지 않고 식사하려고 하자 바리새인들이 그렇게 노골적으로 제자들을 비난한 것입니다.

 

죄라는 게 물로 씻어지듯 순식간에 씻어진다고 믿는 것은 저 유대교회 유대인들뿐 아니라 오늘날의 교회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들은 주님에 대한 신앙 고백만으로도 죄가 씻어진다고 가르칩니다. 심지어는 임종 시, 주님에 대한 신앙을 고백하면 그는 죄 사함을 받고 구원받는다 가르치는데요, 그것은 저 유대인들의 생각과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 죄라는 것은 신앙의 고백만으로는 절대로 씻어지지 않습니다. 신앙과 그에 따른 삶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주님은 요한복음 4장 23절에서

 

아버지께 참되게 예배하는 자들은 영과 진리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곧 이때라 아버지께서는 자기에게 이렇게 예배하는 자들을 찾으시느니라 (요4:23)

 

이 말씀에서 진리는 신앙을 뜻합니다. 그리고 영은 신앙에 따른 삶을 뜻합니다. 아래는 이와 관련된, ‘천국의 비밀’ 5398번 글입니다.

 

오늘날 교회에 속한 사람들이 거듭남에 대해 거의 모르는 까닭은, 그들이 죄 사함과 의롭게 되는 것에 대해 말은 많이 하지만, 그럼에도 죄는 순간적으로 씻어진다고 믿으며, 또 어떤 사람은 물로 몸의 더러운 것이 씻어지듯 그들도 그렇게 씻어질 것이라고 믿으며, 그리고 사람은 신앙만으로, 그리고 순간의 확신으로 의롭게 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죄는 어떤 방법으로도 씻기지 않으며, 사람이 주님에 의해 선 가운데 있을 때 떨어져 나가거나 거절되어 한 옆으로 밀려나게 되고, 그렇게 해서 기승을 부리지 못할 뿐이다. 계속해서 악을 내쳐야 한다. (이순철 역) At the present day they who are of the church know so little about regeneration that it is scarcely anything. They do not even know that regeneration goes on through the whole course of life of one who is being regenerated, and that it is continued in the other life; or that the arcana of regeneration are so innumerable that scarcely a ten thousandth part of them can be known by the angels, and that those they do know are what effect their intelligence and wisdom. The reason why they who are of the church at this day know so little about regeneration is that they talk so much about remission of sins and about justification, and believe that sins are remitted in a moment, and some that they are wiped away like filth from the body by water, and that man is justified by faith alone or by the confidence of a single moment. The reason why the men of the church so believe is that they do not know what sin or evil is. If they knew this, they would know that sins can by no means be wiped away from anyone, but that when the man is kept in good by the Lord they are separated or rejected to the sides so as not to rise up, and that this cannot be effected unless evil is continually cast out, and this by means which are unlimited in number, and for the most part unutterable. (AC.5398)

 

그러므로 진정한 신앙이란 이러한 것들을 알고 시인하는 것입니다. 신앙 고백만으로 순간적으로 죄가 씻어진다고 믿는 것은 참 신앙이 아닙니다. 악의 유혹을 끊임없이 거절함으로써 중심에 있던 악들이 옆으로 밀려나 다시는 기승을 부리지 못하는 상태, 그것이 죄 사함이라는 사실을 믿는 것입니다. 그러한 신앙이 없다면 우리는 매일 죄를 지을 것입니다. 그리고 주님 앞에 나아가 ‘주님! 제가 주님을 믿습니다’라고 하면서 구원받았다고 믿을 것입니다. 그런데 진정한 신앙은 그런 것이 아닙니다.

 

78, 79절에서는 죄 사함과 구원에 대한 올바른 신앙을 가지고 사람들에게 주님께서 어떻게 역사하시는지를 말합니다.

 

78이는 우리 하나님의 긍휼로 인함이라 이로써 돋는 해가 위로부터 우리에게 임하여 79어둠과 죽음의 그늘에 앉은 자에게 비치고 우리 발을 평강의 길로 인도하시리로다 하니라

 

먼저 78절, ‘이는 우리 하나님의 긍휼로 인함이라’ 죄 사함과 구원에 대해 바로 아는 것이 주님의 무한한 사랑과 자비에서 비롯한 일이라는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주님의 사랑이 없었다면, 우리는 주님을 알 수도 없었을 것이고, 어떻게 하면 구원을 받을 수 있는지도 몰랐을 것입니다. 그런데 주님께서 말씀을 통해 구원의 길이 어떤 것인지를 알려주셨는데요, 바로 그것이 주님의 사랑이 아니고 무엇이겠습니까? 그래서 오늘 말씀에서는 그 모든 것이 ‘우리 하나님의 긍휼로 인함이라’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계속해서 ‘이로써 돋는 해가 위로부터 우리에게 임하여 어둠과 죽음의 그늘에 앉은 자에게 비치고 우리 발을 평강의 길로 인도하시리로다’라고 합니다. 말씀에서 해는 주님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그래서 ‘돋는 해가 위로부터 우리에게 임하는 것’은 주님께서 우리 믿는 사람들, 곧 주님을 신앙하는 사람들에게 임재하시는 것입니다. 주님께서 각 사람에게 오셔서 하시는 일은 어떤 일입니까? ‘어둠과 죽음의 그늘에 앉은 자를 일으키시고 그들의 발을 평강의 길로 인도하시는 것’입니다. 주님이 오시기 전에는 모두가 ‘어둠과 죽음의 그늘에 앉아 있었다’고 하십니다. 말씀에서 ‘앉아 있다’는 표현은 사람의 가장 깊은 곳에 있는 의지의 상태, 즉 그의 생명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생명이신 주님이 각 사람의 신앙 가운데로 오시기 전에는 그의 생명은 죽은 것이나 마찬가지인데요, 그것을 말씀에서는 ‘어둠과 죽음의 그늘에 앉은 자’라고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제 말씀을 통해 주님을 믿기 시작할 때, 주님께서 우리에게 오십니다. 그리고 우리의 발을 평강의 길로 인도하신다고 하세요. 여기서 발은 사람의 가장 아래쪽에 있기 때문에 자연적 삶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평화는 주님과 하나가 될 때 느끼는 내적 기쁨입니다. 따라서 우리의 발을 평강의 길로 인도하신다는 것은, 우리의 자연적 삶 가운데 주님이 계신다는 것이고요, 그로 말미암아 천국의 기쁨 안에 있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말씀을 통해 주님을 믿을 때, 그때 주님께서 우리에게 오신다고 하세요. 그리고 자연적인 삶 안에서 역사하셔서 우리를 천국의 기쁨 가운데로 인도하신다고 하십니다.

 

끝으로 80절입니다.

 

80아이가 자라며 심령이 강하여지며 이스라엘에게 나타나는 날까지 빈 들에 있으니라

 

여기서 이스라엘은 영적인 사람들, 또는 영적인 교회를 뜻합니다. 그러므로 ‘아이가 자라며 심령이 강하여지며’는 그냥 요한이 장성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말씀의 진리가 그것을 받아들인 사람들 안에서 성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말씀의 진리가 성장한다는 것은, 말씀이 각자의 내면에서 신실한 신앙이 되는 것이고요, 그리고 그 신앙이 삶 가운데 뿌리를 내리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오늘 말씀에서는 ‘아이가 자라며 심령이 강하여지는 것’으로 표현했습니다. 그렇게 될 때, 비로소 사람들의 내면에 교회가 세워집니다. 그러기 전에는 교회가 아닙니다. 그래서 오늘 말씀에서는 ‘아이가 이스라엘에게 나타나는 날까지 빈 들에 있으니라’라고 말했습니다. 우리가 말씀의 진리를 받아들인 다음, 그것을 삶으로 옮기기 전에는 아직 이스라엘, 즉 교회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아직은 교회가 아니라 빈 들, 그러니까 광야와 같다는 것이지요. 신앙의 지식은 있을지 모르지만, 진정한 진리는 아직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늘 말씀에서는 ‘아이가 이스라엘에게 나타나는 날까지 빈 들에 있으니라’고 말한 것입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지난 시간과 오늘, 두 번에 걸쳐 사가랴의 예언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한 번은 세상에 오실 주님에 대해서, 그리고 또 한 번은 세례 요한에 대한 예언이었습니다. 주님 말씀에 의하면, 요한은 마지막 선지자였고, 오리라 한 엘리야였습니다. 왜냐하면 그가 엘리야와 마찬가지로 말씀이신 주님을 표상했으며, 또한 요한 이후에는 다시는 선지자가 필요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제는 주님께서 사람들에게 직접 오셔서 구원을 섭리하시기 때문입니다.

 

오늘 말씀에서 요한이 세상에 온 목적은, 주님의 길을 예비하는 것입니다. 주님의 길을 예비한다는 것이 어떤 것입니까? 말씀으로 사람들을 가르치는 것이고요, 그렇게 해서 그들의 마음을 주님께로 돌리는 일입니다. 주님은 오래전부터 요한이 만들어 놓은 길을 통해서 세상을 구원하실 계획을 세우셨던 것입니다. 오늘 말씀을 읽다 보면 나 자신의 영적 상태에 대해 생각하게 됩니다. 즉 아직 요한의 가르침 아래 있는 상태인지, 아니면 본격적으로 주님의 인도를 받고 있는지를 생각하게 되는 것입니다. 만약 우리가 아직 요한의 가르침을 받고 있다면 아직도 신앙의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제는 거듭남의 상태로 나아가야만 합니다. 다시 말해서 진리를 아는 데만 그쳐서는 안 되며, 그것을 가지고 자기 안의 악과 거짓과 싸워 이겨야 합니다. 그렇게 할 때, 우리 안에서 요한의 때가 물러가고 주님의 때가 열립니다. 주님의 그런 은혜가 우리 성도님들과 함께하시기를 기도합니다.

 

 

15마침내 위에서부터 영을 우리에게 부어 주시리니 광야가 아름다운 밭이 되며 아름다운 밭을 숲으로 여기게 되리라 16그 때에 정의가 광야에 거하며 공의가 아름다운 밭에 거하리니 (사32:15-16)

 

아멘

 

원본

2016-07-24(D1)

청주 새 교회 이순철 목사

 

설교

2023-03-03(D6)

한결같은교회 변일국 목사

Posted by bygracetistory
,

 

사가랴의 예언 (1)

 

 

67그 부친 사가랴가 성령의 충만함을 받아 예언하여 이르되 68찬송하리로다 주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여 그 백성을 돌보사 속량하시며 69우리를 위하여 구원의 뿔을 그 종 다윗의 집에 일으키셨으니 70이것은 주께서 예로부터 거룩한 선지자의 입으로 말씀하신 바와 같이 71우리 원수에게서와 우리를 미워하는 모든 자의 손에서 구원하시는 일이라 72우리 조상을 긍휼히 여기시며 그 거룩한 언약을 기억하셨으니 73곧 우리 조상 아브라함에게 하신 맹세라 74우리가 원수의 손에서 건지심을 받고 75종신토록 주의 앞에서 성결과 의로 두려움이 없이 섬기게 하리라 하셨도다 (눅1:67-75)

 

 

사가랴는 아이가 태어난 지 팔 일째 되는 날, 아이에게 할례를 행하고, 아이의 이름을 요한이라 하였습니다. 그러자 그의 혀가 풀리면서 다시 말을 하기 시작했는데요, 여기까지가 지난 시간에 말씀드린 내용입니다. 그리고 오늘은 그 이어지는 본문 67절로 75절입니다.

 

67그 부친 사가랴가 성령의 충만함을 받아 예언하여 이르되

 

아시는 것처럼, 사가랴는 천사를 만난 다음 한동안 말을 하지 못했는데요, 천사가 전하는 말을 믿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랬다가 아이의 할례 때, 서판에 아이의 이름을 요한이라 적은 후에야 입이 열리고 혀가 풀려 다시 말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제는 주께서 천사를 통해 하신 말씀을 온전히 믿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제 이렇게 성령의 충만함을 받아 예언을 시작합니다. 그동안 사가랴에게 일어났던 일들은 영적 의미로 어떤 뜻일까요? 그것에 대해 우리는 지난 시간에 충분히 말씀을 나눴는데요, 그동안 사가랴에게 일어났던 모든 일은 그 속뜻으로는 사가랴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모든 영적 변화들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하면, 주님으로부터 새로운 진리의 말씀을 받은 사람들에게 일어나는 영적 변화들인 것인데요, 이를테면, 사가랴-엘리사벳 부부에게 아이가 생겼다는 것은 주님으로부터 새로운 말씀을 받는 것이며, 말씀을 통해 새로운 신앙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고, 그리고 해산할 기한이 차서 아들을 낳는 것은 신앙의 결실을 보는 것, 다시 말하면, 신앙으로 사는 것이며, 그렇게 해서 그의 내면에 선을 쌓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 사가랴는 성령의 충만함을 받아 예언을 시작합니다. 그런데 오늘 본문에서는 그냥 사가랴라 하지 않고, ‘그 부친 사가랴’라 하는데요, 이는 새삼스럽게 사가랴가 요한의 아버지라는 사실을 밝히려는 것은 아닙니다. 그럼 무엇일까요? 말씀에서 아버지는 여러 가지 의미로 쓰이는데, 여기서는 선을 뜻합니다. 아버지가 선을 뜻하는 까닭은, 선으로부터 진리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태양의 열기로부터 빛이 나오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니까 선이 진리보다 앞선다는 것이죠. 그래서 말씀에서는 선을 아버지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본문에서 ‘그 부친 사가랴가 성령의 충만함을 받아’라는 표현은, 사가랴로 표상되는 사람들에게 있는 선 가운데로 진리가 흘러들어와 충만한 상태가 되었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그때 사가랴는 예언을 시작합니다.

 

신앙생활은 이렇게 처음 진리를 받아들이게 되면, 그다음에는 진리를 바탕으로 선을 획득하는 과정이 따르고요, 그러고 나면, 다시 그 선을 통해 이번에는 진리를 획득하는 과정이 시작됩니다. 그것은 그동안 출애굽기 말씀을 공부하면서 배웠던 사실입니다.

 

※ 이순철 목사님은 2016년 당시 청주 새 교회 담임을 하시면서 격주로, 그러니까 누가복음과 출애굽기를 격주로 강해하셨는데요, 위 말씀은 이런 배경의 말씀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광야에서 처음에는 진리의 시험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그 시험이 끝나자 곧 선의 시험이 왔고요, 그러고 나서 다시 진리의 시험이 시작됐습니다. 이렇게 진리의 시험과 선의 시험이 반복되면서, 주님으로부터 한번은 진리를 획득하고, 한번은 선을 획득하는 과정이 계속됩니다. 그런 식으로 내면에서 끊임없이 영적 변화가 일어나는 사람들, 즉 사가랴와 같은 사람들에게 주님은 성령으로 함께 하시고요, 그에게 예언을 하도록 만드십니다. 그래서 본문에는 ‘그 부친 사가랴가 성령의 충만함을 받아 예언했다’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사가랴의 예언은 어떤 것입니까? 사가랴의 예언은 한마디로, 성령이 사가랴의 입을 통해서 세상에 오실 주님을 증언하는 것인데요, 이제 그 증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68절입니다.

 

68찬송하리로다 주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여 그 백성을 돌보사 속량하시며

 

그냥 하나님을 찬송하라 하지 않고, ‘찬송하리로다 주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여’라 합니다. 이 말씀은 세상에 오실 주님이 바로 여호와 하나님이시라는 것을 인정하고, 그분을 찬송하라는 말씀입니다. 주님은 세상에 계실 때, 당신 자신을 한 번도 여호와라고 부르신 적이 없습니다. 만약 주님께서 그렇게 부르셨다면, 주님은 아마 세상에 오신 목적을 이루시기도 전에 유대인들로부터 큰 화를 당하셨을 것입니다. 그래서 주님께서는 당신 자신을 여호와라 하시지 않고, 그러한 사실을 우회적으로만 밝히셨습니다. 예를 들면, 마가복음 12장 29절인데요,

 

29예수께서 대답하시되 첫째는 이것이니 이스라엘아 들으라 주 곧 우리 하나님은 유일한 주시라 30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하신 것이요 (막12:29-30)

 

여기서 ‘’라는 표현은 주님 자신을 말씀하신 것입니다. 구약에서는 주님에 대해 ‘’라고 한 적이 별로 없습니다. 그것은 신명기 6장 4, 5절 말씀을 통해서도 알 수 있는데요, 거기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4이스라엘아 들으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유일한 여호와이시니 5너는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 (신6:4-5)

 

앞에서 마가복음 12장 29절의 말씀은 바로 이 말씀입니다. 다만 구약의 여호와라는 표현을 주님이라고 바꾼 것뿐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세상에 오신 주님이 여호와 하나님이시라는 사실을 인정해야 합니다. 그것이 구원을 위한 가장 첫 번째 진리이기 때문에, 오늘 사가랴는 ‘찬송하리로다. 주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여 그 백성을 돌보사 속량하시도다’ 이렇게 말하는 것입니다. 69, 70절에서 사가랴는 또 이렇게 말합니다.

 

69우리를 위하여 구원의 뿔을 그 종 다윗의 집에 일으키셨으니 70이것은 주께서 예로부터 거룩한 선지자의 입으로 말씀하신 바와 같이

 

이 말씀은 모두 세상에 오시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증언하는 말씀입니다. 여기서 ‘다윗의 집’은 주님이 세우실 새 교회를 나타냅니다. 왜냐하면 다윗은 진리로 세상에 오시는 주님을 표상하기 때문인데요, ‘다윗의 집’은 주님께서 새로 세우시는 교회인 것입니다. 그리고 ‘구원의 뿔’은 진리를 통해서만 발현되는 선의 능력을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그것은 주님의 전능하심을 뜻합니다. 주님은 그 전능하심으로 우리를 구원하고자 세상에 오신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 말씀에서 ‘우리를 위하여 구원의 뿔을 그 종 다윗의 집에 일으키셨으니’ 하신 것이지요. 사가랴는 계속해서, ‘이것은 주께서 예로부터 거룩한 선지자의 입으로 말씀하신 바와 같이’라고 하는데요, 그렇습니다. 주님이 세상에 오시는 것은 구약의 모든 예언서에서 선지자들의 입을 통해 일관되게 밝히신 진리입니다. 그것은 인류가 생긴 이래로 주님께서 줄곧 계획하신 일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구체적으로 주님께서 오셔서 이루신 일은 어떤 것입니까?

 

71우리 원수에게서와 우리를 미워하는 모든 자의 손에서 구원하시는 일이라

 

주님은 유대교회가 타락해 종말로 치달을 때, 그리고 교회가 만들어내는 악과 거짓 진리가 인간의 양심을 질식시킬 때, 그 악과 거짓으로부터 인간을 구해내시기 위해 세상에 오셨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 말씀에서 ‘우리 원수에게서와 우리를 미워하는 모든 자’는 바로 우리 안에 있는 악과 거짓을 말합니다. 그것으로부터 주님께서는 우리를 구원해 내십니다. 그리고 그 모든 일들은 주님의 무한하신 사랑과 자비에서 이루어지는 일입니다. 72절은 주님의 사랑과 자비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72우리 조상을 긍휼히 여기시며 그 거룩한 언약을 기억하셨으니

 

인간을 긍휼히 여기시고, 기억하시는 모든 일은 오직 주님의 자비에서 비롯되는 일이라는 것을 아시기 바랍니다. 주님은 한순간도 인간을 미워하신 적이 없으십니다. 인간은 죄를 짓거나 할 때, 주님께서 벌을 내리시지나 않을까 두려워할 때가 많은데요, 그런데 주님은 한 번도 우리를 포기하지 않으시고요, 인간들처럼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성을 내시거나 미워하시지 않습니다. 주님은 언제나 우리를 사랑하시고, 언제나 가엾게 여기십니다. 주님의 마음을 모르는 인간의 무지함이 가엾고요, 악과 거짓을 상대로 늘 넘어지고, 좌절하는 모습을 측은히, 불쌍히 여기십니다. 그래서 주님은 언제나 우리를 긍휼히 여기시며 기억하신다 하는 것입니다. ‘천국의 비밀’ 9849번 글에서는 주님이 기억하신다는 말의 의미를 이렇게 설명합니다.

 

주님이 기억하신다는 것은 가엽게 여기시는 것이며, 그러므로 당신의 자비로 보호하시고 구해내시는 것을 뜻한다. (이순철 역) remembering,” when said of the Lord, denotes to have compassion, and thus from mercy to preserve or deliver

 

주님은 긍휼과 자비로 그렇게 거룩한 언약을 기억하겠다 하십니다. 그러면 거룩한 언약은 어떤 것입니까? 주님과 인간이 하나가 되는 것이고요, 그렇게 해서 인간을 모두 빠짐없이 구원하시는 것입니다.

 

73곧 우리 조상 아브라함에게 하신 맹세라

 

여기서 ‘우리 조상’은 인류 최초의 교회인 태고교회를 말합니다. 그 교회 이름을 아브라함이라고 했기 때문입니다. 아브라함은 말씀에서 주님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여기서 아브라함은 천적인 것, 다시 말하면, 주님에 대한 사랑을 나타냅니다. 그래서 ‘우리 조상 아브라함’은 태고교회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태고교회 사람들은 오직 주님만 사랑했던 사람들이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님께서 세상에 오시는 일은 오직 주님만을 사랑했던 태고교회 이래로 줄곧 주님께서 맹세하신 일입니다. 인간이 하는 맹세는 거짓이지만, 주님께서 하시는 맹세는 한 치의 거짓도 없는 진리입니다. 맹세라는 것은 오직 주님만이 하실 수 있으며, 그래서 오직 주님만이 진리를 맹세하실 수 있습니다. 주님은 마태복음 5장 17, 18절에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17내가 율법이나 선지자를 폐하러 온 줄로 생각하지 말라 폐하러 온 것이 아니요 완전하게 하려 함이라 18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천지가 없어지기 전에는 율법의 일점일획도 결코 없어지지 아니하고 다 이루리라 (마5:17-18)

 

여기서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주님께서 세상에 오시기 전의 주님에 관한 모든 예언은 가능성으로서의 진리라는 것입니다. 잠재적으로 가능성을 열어둔 것일 뿐, 아직 실현되지 않은 진리인 것입니다. 그러나 주님께서 세상에 오심으로 해서 그 모든 가능성이 실현되었습니다. 그래서 주님께서는 ‘내가 율법이나 선지자를 폐하러 온 줄로 생각하지 말라 폐하러 온 것이 아니요 완전하게 하려 함이라’라고 말씀하십니다. 진리는 이렇게 자연적인 이 세상에서 실현되어야 합니다. 다시 말하면, 진리는 우리 삶 가운데서, 삶의 구체적 행위 가운데서 실현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가능성으로만 남아 있을 뿐, 우리의 생명이 되지 못합니다. 주님은 세상에 오심으로써 그것을 몸소 보여주셨습니다. 주님은 ‘율법이나 선지자를 폐하러 온 줄로 생각하지 말라’ 하셨는데요, 여기서 율법은 모세가 기록한 말씀이고요, 선지자는 구약의 모든 예언서를 나타냅니다. 그러니까 율법이나 선지자는 바로 주님의 말씀 전체입니다. 주님은 그 말씀의 진리를 실현키 위해 세상에 오셨습니다.

 

74우리가 원수의 손에서 건지심을 받고 75종신토록 주의 앞에서 성결과 의로 두려움이 없이 섬기게 하리라 하셨도다

 

원수의 손’이란 조금 전에도 말씀드린 것처럼, 악과 거짓의 위세를 뜻합니다. ‘원수의 손’이라고 할 때, 손은 능력을 뜻합니다. 악과 거짓에게도 능력이 있습니다. 그 능력이 얼마나 대단한지는 영적 싸움을 해 본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압니다. 그것은 인간의 힘으로는 도저히 극복할 수 없는 능력입니다. 그러니까 인간의 힘만으로 대처하고자 할 때에는 누구도 이길 수 없는 무시무시한 능력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주님의 능력 앞에서는 마치 바람 앞에 티끌처럼, 먼지처럼, 그리고 빛 앞에 짙은 어둠이 순식간에 사라지는 것처럼, 그렇게 아무 힘도 쓸 수 없는 것이 악과 거짓입니다. 출애굽기에 보면, 악과 거짓이 신앙인들에게 얼마나 위력적이며, 두려운 것인가를 보여주는 대목이 있습니다. 우리가 앞에서 이미 배운 것이죠. 이스라엘 백성들이 홍해 바닷가에 진을 치고 있을 때, 앞에는 홍해가 버티고 있고, 뒤로는 애굽의 기병과 전차가 쏜살같이 쫓아오고 있었습니다. 그런 식으로, 우리 신앙인들은 영적 시험 가운데서 오도 가도 못하는 위기의 상황을 경험할 때가 있습니다. 그때 우리를 압도하는 악과 거짓의 위력 앞에서 우리는 늘 두려움을 느낍니다. 그런데 ‘천국의 비밀’ 2826번 글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두려워하는 것은 주님을 신뢰하지 않거나 사랑하지 않는 것이다. (이순철 역) to “fear” is to distrust, or not to have faith and love.

 

저는 가끔 ‘이 말에 동의할 수 없습니다’라고 속으로 외칠 때가 있습니다. ‘저는 누구보다도 주님을 믿고 사랑합니다. 다만 저 자신을 믿지 못할 뿐입니다’라고 말하고 싶은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 내면 깊은 곳을 들여다보면, 아직 주님보다는 나를 더 신뢰하고, 주님보다는 세상의 감각적인 것들을 더 사랑하는 모습이 분명히 보입니다. 그때 우리는 다시 ‘나보고 어떻게 하라는 말씀입니까?’라며 절망합니다. 그러나 오늘 주님께서는 ‘네가 종신토록 내 앞에서 성결과 의로 두려움이 없이 섬기게 하리라’ 하십니다. 이 말씀을 읽는 순간 너무나도 든든하고 마음에 힘이 되었습니다. ‘성결과 의로 섬긴다’는 것은 ‘신앙과 삶으로 주님을 섬기게 하시겠다’는 뜻입니다. 말씀에서 ‘성결하다’는 것은 진리, 또는 신앙에 대해 하는 말이고요, ‘의롭다’는 말은 사랑, 또는 선에 대해 말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성결과 의로 섬기는 것, 두려움 없이 섬기는 일은 인간의 힘으로는 될 수 없고, 오직 주님께서만 하실 수 있습니다. 주님께서 그 일을 하시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될까요? 자기 마음속 애정을 늘 살피면서 자아가 하려는 일을 끊임없이 포기해야 합니다. 그리고 오직 주님의 말씀만 믿고 따라가야 합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지난 몇 주 동안, 사가랴가 겪은 일들은 어쩌면 주님으로부터 새로운 진리의 말씀을 받아들인 사람들이면 누구나 다 겪는 일일 것입니다. 그러므로 새로운 진리를 믿고, 그것에 따라 사는 사람들은 사가랴와 같이 성령이 함께 하시고, 예언을 할 수 있습니다. 예언이란 앞에서도 말씀드린 것처럼, 주님이 주신 진리를 그대로 이웃에게 전하는 일입니다. 멀리 앞을 내다보는 능력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요, 주님께서 주신 진리를 그대로 전하는 것이 예언입니다. 그런데 진리를 전하는 것이 꼭 말로 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웃을 위해 하는 모든 일 가운데 성령이 저절로 역사하시도록 하면 됩니다. 아마 그것이 사가랴가 성령이 충만한 가운데 예언하는 모습이라고 생각합니다. 성령은 주님에게서 나오는 진리의 영이며, 그러므로 능력이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이 말씀을 읽으면서 진리를 전하려고 하다 실패했던 지난날 여러 경험이 떠올랐습니다. 그리고 진리가 스스로 말하도록 하지 않고, 내가 말을 했던 것은 아니었나?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오늘 말씀에서 사가랴의 입을 통해 성령이 가르치신 것은 어떤 것입니까? 그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는, 세상에 오신 주님은 곧 여호와 하나님이시라는 것입니다. 주님과 여호와 하나님을 아들과 아버지의 관계로 이해하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만약 그렇게 믿는다면, 우리는 두 하나님을 섬기는 일이 됩니다. 그래서 결코 그런 일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 말씀에서 아들은 진리로 세상에 오신 주님이시며, 아버지는 주님 안에 신적 선으로 존재하시는 여호와 하나님이십니다. 우리는 그것을 분명히 알아야 합니다. 두 번째 예언은, 주님이 세상에 오신 것은 아주 오래전, 아담으로 상징되는 태고교회 때부터 주님께서 약속하신 일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본문에서는 ‘구원의 뿔을 다윗의 집에 일으키신 것은 주께서 예로부터 말씀하신 것이며, 우리 조상 아브라함에게 하신 맹세’라고 하십니다. 주님은 그 맹세를 지키시기 위해 세상에 오셨습니다. 사가랴의 세 번째 예언은, 주님께서 세상에 오신 목적입니다. 그것에 대해 오늘 본문에서는 ‘원수의 손에서 건지시고, 종신토록 주 앞에서 성결과 의로 두려움 없이 섬기게 하려함이라’라고 말합니다. 저는 이 ‘종신토록’이란 말과, ‘두려움 없이’라는 말을 참 좋아합니다. 주님을 섬기는 일이 한결같지 않고, 또 늘 두려움이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두려움이란, 주님을 두려워하는 것이 아니고요, 나의 자아가 어디로 움직일지 몰라 두려워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주님께서 우리에게 오신다고 합니다. 각 사람에게 오셔서 타고난 자아를 천국의 자아로 바꾸어 주신다고 약속하십니다. 그렇게 될 때, 우리는 어떤 상황에서도 두려움 없이 주님을 섬길 수 있습니다. 어떻게 말입니까? 의와 성결로 주님을 섬길 수 있습니다. 사가랴를 통한 성령의 은혜가 우리 성도님께도 꼭 함께하시기를 기도합니다.

 

 

야곱아 너를 창조하신 여호와께서 지금 말씀하시느니라 이스라엘아 너를 지으신 이가 말씀하시느니라 너는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를 구속하였고 내가 너를 지명하여 불렀나니 너는 내 것이라 (사43:1)

 

아멘

 

 

원본

2016-07-10(D1)

청주 새 교회 이순철 목사

 

설교

2023-03-02(D5)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Posted by bygracetistory
,

 

서판을 달라 하여 그 이름을 요한이라 쓰매

 

 

57엘리사벳이 해산할 기한이 차서 아들을 낳으니 58이웃과 친족이 주께서 그를 크게 긍휼히 여기심을 듣고 함께 즐거워하더라 59팔 일이 되매 아이를 할례 하러 와서 그 아버지의 이름을 따라 사가랴라 하고자 하더니 60그 어머니가 대답하여 이르되 아니라 요한이라 할 것이라 하매 61그들이 이르되 네 친족 중에 이 이름으로 이름한 이가 없다 하고 62그의 아버지께 몸짓하여 무엇으로 이름을 지으려 하는가 물으니 63그가 서판을 달라 하여 그 이름을 요한이라 쓰매 다 놀랍게 여기더라 64이에 그 입이 곧 열리고 혀가 풀리며 말을 하여 하나님을 찬송하니 65그 근처에 사는 자가 다 두려워하고 이 모든 말이 온 유대 산골에 두루 퍼지매 66듣는 사람이 다 이 말을 마음에 두며 이르되 이 아이가 장차 어찌 될까 하니 이는 주의 손이 그와 함께 하심이러라 (눅1:57-66)

 

창세기 30장 1절을 보면, 야곱의 아내 라헬이 아들을 낳지 못해 남편에게,

 

라헬이 자기가 야곱에게서 아들을 낳지 못함을 보고 그의 언니를 시기하여 야곱에게 이르되 내게 자식을 낳게 하라 그렇지 아니하면 내가 죽겠노라 (창30:1)

 

하는 대목이 있습니다. 아시는 것처럼 야곱은 형 에서에게 팥죽 한 그릇을 주고, 장자의 축복을 빼앗았습니다. 그러자 에서는 너무 분해 야곱을 해치려고 했고, 야곱은 외삼촌 라반에게로 피신, 도망을 가야 했습니다. 그리고 거기서 외삼촌의 딸들인 레아와 라헬을 차례로 아내로 맞이하였습니다. 야곱은 레아보다는 동생 라헬을 더 사랑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헬은 아이를 낳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라헬은 ‘내게 자식을 낳게 하라 그렇지 아니하면 내가 죽겠노라’ 하는 것입니다. 라헬의 고민이 얼마나 깊은지를 알 수 있습니다. 말씀에서 라헬은 ‘내적 진리에 대한 사랑’(the affection of interior truth)(AC.3782, 창29:6)을 뜻한다고 새 교회 가르침에는 나와 있습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말씀의 내적 의미를 배우기를 좋아하고, 또 실천하려고 애쓴다면 우리 안에는 라헬이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라헬이 아이가 없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요? 아이가 없다는 것은 진리의 결실이 없다는 뜻입니다. 다시 말하면, ‘말씀의 내적 진리를 알기는 아는데, 아직 그 진리에 따라 제대로 살지는 못한다’는 뜻입니다. 진리에 대한 애정이 큰 사람일수록 그것을 제대로 살아내지 못할 때 상심이 큽니다. 그것은 새 교회 성도님들이라면 다 경험해 보신 일일 것이고, 지금도 그런 고민을 안고 계실 것입니다. 그것이 아이를 낳지 못하는 것입니다.

 

오늘 말씀에 나오는 엘리사벳 역시 라헬이 그랬던 것처럼 오랫동안 아이가 없었습니다. 전에도 말씀드린 것처럼, 엘리사벳의 속뜻은 ‘주님을 많이 사랑하지만, 그러나 타락한 교회에 몸담고 있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그녀에게는 참된 진리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교회가 진리를 올바로 가르치지를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다 보니 진리에 따라 사는 것이 불가능하겠지요. 진리를 모르니까요. 따라서 믿음, 곧 신앙의 열매를 맺는 것 또한 어렵습니다. 그것을 말씀에서는 엘리사벳이 오랫동안 아이를 낳지 못하는 것으로 표현했습니다. 그러므로 엘리사벳 역시 여러 가지로 고민이 많았을 것입니다. 그런 사정을 모두 아시는 주님께서 이제 잘못된 교회 안에 있는 엘리사벳과 같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말씀을 주시기로 하셨습니다. 그러니까 엘리사벳이 낳는 아이는 바로 ‘새 교회를 위한 말씀’이라는 뜻입니다.

 

57엘리사벳이 해산할 기한이 차서 아들을 낳으니

 

이 말씀의 의미는 앞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타락한 교회 안에 있지만, 그럼에도 진리와 선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주님께서 새 교회의 말씀을 주시는 것이며, 그들이 그 말씀에 따라서 살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해산할 기한이 차서’는 무슨 뜻일까요? 말씀을 받아들였다고 해서 그것이 바로 그 사람의 신앙으로 되는 것은 아닙니다. 누가 나에게 새 교회 말씀을 전한다고 해서 덥석 받아들이지는 않지 않습니까? 여러 가지로 생각하고 이해할 것이 있고, 그러므로 신앙으로 받아들이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그리고 그 말씀을 믿는다고 해도 그것을 삶으로 살아내기까지 또 얼마나 많은 시간이 걸립니까? 그것이 바로 ‘해산할 기한’입니다. 그러므로 아들을 낳는 것은 비로소 그 말씀이 우리 안에서 살아있는 말씀이 되는 것입니다.

 

58이웃과 친족이 주께서 그를 크게 긍휼히 여기심을 듣고 함께 즐거워하더라

 

여기서 ‘이웃과 친족’은, ‘엘리사벳과 비슷한 종류의 선과 진리 안에 있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이것이 그 속뜻입니다. 선이 비슷하다는 것은 애정이 비슷하다는 것입니다. 사람마다 좋아하는 일이 저마다 있듯, 교회를 섬긴다고 해도 저마다 자기가 좋아하는 일이 따로 있는데요, 그 좋아하는 비슷한 점이 바로 선이 비슷한 것입니다. 그러면 진리가 비슷하다는 것은 무엇이겠습니까? 진리가 비슷하다는 것은, 예를 들어, 어떤 두 사람이 있는데, 교회를 섬김에 있어 하는 일이 같습니다. 그런데 같은 일을 하더라도 사람에 따라 일하는 방법이나 순서 같은 것이 다 다릅니다. 그런데 개중에 그 방법이나 질서가 같은 사람들이 있어요. 그러니까 서로 잘 맞는 것이죠. 그런 것이 진리가 비슷한 것입니다. 그러면 ‘주께서 그를 크게 긍휼히 여기심을 듣고’는 무슨 뜻일까요? 주께서 그를 크게 긍휼히 여기셨다는 것은, ‘주께서 엘리사벳에게 새로운 말씀을 주신 것’을 의미하고요, 그걸 들었다는 것은 ‘그들, 즉 엘리사벳과 비슷한 종류의 선과 진리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 역시 그 말씀을 받아들였다’는 뜻입니다. ‘듣고’는 순종한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즉 그들도 새로운 말씀을 진리로 받아들여 거기에 순종하는 삶을 살았다는 말입니다. 따라서 ‘이웃과 친족이 주께서 그를 크게 긍휼히 여기심을 듣고 함께 즐거워하더라’라는 이 말씀은 속뜻으로는 엘리사벳으로 표상된 사람들에게 주어진 새로운 말씀이 비슷한 선 안에 있는 사람들을 통해 점점 퍼져나간다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진리는 그런 식으로 신념과 애정이 비슷한 사람들을 통해 끊임없이 퍼져나갑니다. 마치 하나의 물결이 또 다른 물결을 만들어내고, 그것이 또 새로운 물결을 만들어내는 것처럼, 하나님의 말씀은 그렇게 끊임없이 퍼져나갑니다. 그것이 ‘함께 즐거워하더라’의 의미입니다.

 

59팔 일이 되매 아이를 할례하러 와서 그 아버지의 이름을 따라 사가랴라 하고자 하더니

 

팔 일’은 영적으로 하나의 상태가 끝나고, 다시 새로운 상태가 시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왜냐하면 일주일은 하나의 상태가 처음부터 끝까지 완성되는 것을 의미하고, 팔 일째는 그 일주일이 끝난 다음 첫날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팔 일째가 되기 전 일주일이란 기간은 사람들이 새로운 말씀을 온전히 받아들이기까지의 기간이고요, 그리고 팔 일째 되는 날은 그들의 영적 상태가 한 단계 올라서는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새로운 진리를 온전히 받아들이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왜 그럴까요? 그동안 그가 가지고 있던 잘못된 진리들을 모두 버려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야 새로운 진리를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우리 자신을 보더라도 이 진리를 받아들이기 전에 진리라고 믿었던 것들이 많았는데요, 그러니 그걸 버리는 것이 어디 쉬운 일이었겠습니까?

 

저 역시 결코 간단한 문제가 아니었는데요, 그러니까 장로교 통합 측에서 소위 모태신앙으로 출발, 고등학교 때 침례교회를 다니게 된 저는, 그러고는 결국 침례교 신학을 하고, 침례교회 목사가 된 저는 오십 대 후반까지 쌓아온 모든 신앙의 관계를 접어야 하는, 그리고 등돌림과 외면을 당해야 하는 아픔을 겪어야 했습니다. 심지어 형제들을 비롯한 혈육들로부터도 말이지요! 저 역시도 처음에 큰 걸림돌이었던 이슈들이 있었는데요, 그중 몇 가지만 말씀드리자면,

 

첫째, 성경 66권이 다 말씀’(The Word)이 아니고, 그 안에 속뜻이 들어있는 성경이라야 말씀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천사들은 내적 존재여서 그 안에 속뜻, 곧 아르카나(arcana, 라틴, 秘義)가 들어있는 성경만 읽을 수 있고, 그렇지 않은 성경은 읽을 수 없다는 사실과, 그래서 구약에서는 , , , , , , , 삼상, 삼하, 왕상, 왕하, , , , , , , , , , , , , , , , , , 29권만, 신약에서는 , , , , 등 총 5권만 말씀이라는 사실에 어안이 벙벙했지요. 왜냐 하면, 현 기독교의 근본 교리들은 열에 아홉, 모두 사도들, 특히 바울 사도의 서신서에서 추출한 것이니 말입니다. 그런데 이 말대로라면, 우리는 그동안 그 안에 주님의 아르카나가 없는, 인간의 창작물을 가지고 구원 교리의 터를 파고, 기둥을 세워 집을 지은 것인데... 이렇게 허망하고 당혹스러운 일이 또 있을까요?

 

둘째, 천국에 대해 스베덴보리가 전하는 실상이 충격적이었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신앙 생활하는 첫째 목표는 천국 가는 건데요, 그런데 사실, 우리는 천국이 어떤 곳인지 너무나 막연하고 무지한 상태이지요. 이런 사실은 스베덴보리(1688-1772, 스웨덴)를 불러 27년간 영계 체험을 하게 하신 주님의 기록, 곧 스베덴보리 저, ‘천국과 지옥을 통해 알게 되었는데, 매우 낯선 내용들이었지만, (이상하게도 저는 마치 스펀지가 물 빨아들이듯 쑤욱 쑥 받아들였습니다,) 그 내용이 매우 충격적이었는지, 제가 전하는 여러 사실에 사람들이 저를 이상하게 보기 시작하였습니다.

 

셋째, ‘겉 사람’, ‘속 사람의 문제였습니다. 그동안 구원은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와 주님으로 영접함으로써 받는 건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고, 우리 속 사람의 상태가 천국을 수용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라는 것입니다. 천국은 속 사람의 나라, 속 사람의 상태로 가는 나라이기 때문이라는 것이지요. 그리고 살면서 이 속 사람을 천국에 합당하게 준비시키시는 분이 바로 주님이시라는 사실! 충격적이지 않나요?

 

극히 일부에 불과한, 이런 많은, 그리고 마치 새 술은 새 부대에가 떠오르는 듯한, 이 사고의 대전환 앞에 저는 정말 여러 해 많은 안팎의 고민과 고통을 겪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주님은 그런 저를 제가 소화할 수 있는 페이스에 발맞춰 제 곁에서 저와 동행하시고, 끝까지, 그리고 지금도 저를 붙들어 주십니다. 지금은 그런 고민이나 고통은 없고, 밝고 환한 빛 가운데 걸어감을 생생히 느낍니다. 여전히 궁금한 것들은 몇 있지만 말입니다... ㅎㅎㅎ //

 

그 진리를 얻기까지 들어간 시간과 노력들이 아깝기도 하고, 또 그중에는 최선의 진리는 아니라도 여전히 진리처럼 생각되는 것이 많기 때문입니다. 그런 상태에서 새로운 진리를 받아들이면 진리와 진리 아닌 것이 서로 섞이게 되는데요, 그런데 주님께서는 최선의 것이 나타나면 차선의 것은 모두 버리라고 하십니다. 주님은 그것을 마태복음 9장 17절에서

 

새 포도주를 낡은 가죽 부대에 넣지 아니하나니 그렇게 하면 부대가 터져 포도주도 쏟아지고 부대도 버리게 됨이라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넣어야 둘이 다 보전되느니라 (마9:17)

 

라고 말씀하십니다. 또 창세기 17장에서는

 

너희의 대대로 모든 남자는 집에서 난 자나 또는 너희 자손이 아니라 이방 사람에게서 돈으로 산 자를 막론하고 난 지 팔 일 만에 할례를 받을 것이라 (창17:12)

 

고 말씀하십니다. 주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시는 이유는, 우리가 이전에 가지고 있던 사상 가운데는 진리 아닌 것이 많기 때문입니다. 비(非) 진리, 또는 인간의 자아에서 나온 것들이 섞여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주님은 그것을 씻어내라고 하세요. 그것이 모든 남자로 할례받게 하는 것이고, 낡은 가죽 부대를 버리는 일입니다. 그래야 영적으로 새로운 상태가 시작됩니다.

 

본문에서 ‘팔 일이 되매 아이를 할례하러 와서’는 바로 그런 뜻입니다. 우리가 가진 진리 안에 인간적인 것, 진리 아닌 것들이 섞여 있다면, 우리는 영적으로 한 단계 올라설 수 없습니다. 팔 일째로 나아갈 수 없다는 것이죠. 그러면 아이의 이름을 지을 때, ‘그 아버지의 이름을 따라’ 짓는 것은 무슨 뜻일까요? 말씀에서 아버지는 대개는 주님, 또는 주님으로부터 오는 선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여기서는 그 반대의 의미입니다. 무슨 의미일까요? 인간의 자아에서 나오는 악을 의미합니다. 말씀에서 아버지가 그런 뜻으로 사용된 예는 요한복음 8장 44절에도 있습니다. 주님께서 유대인들에게

 

너희는 너희 아비 마귀에게서 났으니 너희 아비의 욕심대로 너희도 행하고자 하느니라 그는 처음부터 살인한 자요 진리가 그 속에 없으므로 진리에 서지 못하고 거짓을 말할 때마다 제 것으로 말하나니 이는 그가 거짓말쟁이요 거짓의 아비가 되었음이라 (요8:44)

 

라고 말씀하십니다. 따라서 아이의 이름을 아버지의 이름을 따라 짓는 것은 ‘그가 가지고 있는 진리 안에 자아에 속한 악이 있다’는 뜻입니다. 그것이 아버지의 이름을 따라 아이의 이름을 정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 상태는 아직 할례가 이루어진 상태가 아닙니다. 사실 진리를 처음 받아들일 때는 누구나 그의 자아를 통해 받아들입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사람은 자기 자신을 위해 진리를 추구하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구원을 위해 진리를 찾고 배웁니다. 그때의 진리가 아버지의 이름으로 불리는 아이입니다. 왜냐하면, 그 진리 안에는 자기 자신에 대한 사랑만 있고, 이웃에 대한 사랑은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순수하게 이웃을 위해 진리를 사용하기까지는 상당히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심지어는 이웃을 위해 하는 일 가운데도 자기 사랑이 들어 있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그래서 순수하게 이웃을 위해 진리를 사용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겁니다. 그래서 오늘 본문에서 주님은 할례가 필요하다고 하십니다. 할례를 통해 자아에 속한 것을 제거하라고 하십니다. 사람들이 아버지의 이름을 따라 아이의 이름을 사가랴로 지으려고 하자 아이의 어머니 엘리사벳이 이렇게 말합니다. 60절로 63절,

 

60그 어머니가 대답하여 이르되 아니라 요한이라 할 것이라 하매 61그들이 이르되 네 친족 중에 이 이름으로 이름한 이가 없다 하고 62그의 아버지께 몸짓하여 무엇으로 이름을 지으려 하는가 물으니 63그가 서판을 달라 하여 그 이름을 요한이라 쓰매 다 놀랍게 여기더라

 

그러자 사람들이 이번에는 사가랴에게 몸짓하여 ‘무엇으로 이름을 지으려 하는가’ 묻습니다. 그러자 사가랴가 서판을 달라 하더니 거기에다 요한이라 썼습니다. 서판에다 아이의 이름을 쓴 이유는, 사가랴가 말을 하지 못했기 때문인데, 사가랴는 아이를 낳을 것이라는 천사의 말을 믿지 못했기 때문에, 천사와 만난 이후로 지금까지 줄곧 말을 하지 못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말씀에서, 엘리사벳과 사가랴는 새로운 말씀을 통해 내면에 교회를 이룬 사람을 의미합니다. 그러니까 속뜻으로는 두 사람이 아니라 한 사람입니다. 즉 엘리사벳은 교회를 이루는 진리를, 남편 사가랴는 교회를 이루는 선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60절에서는 엘리사벳이 ‘대답하여’라 했고, 63절, 사가랴에 대해서는 ‘서판을 달라 하여 쓰매’라고 합니다. 그렇게 말하는 이유가 뭘까요? 말씀에서 ‘대답한다’는 것은 무엇이 옳은지, 그른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니까 그것은 진리가 하는 일입니다. 그러므로 엘리사벳이 대답했다고 할 때는, 아버지의 이름으로 아이의 이름을 짓는, 그런 관례에 포함된, 자기 안에도 있는 이기적인 사랑을 보는 것이고요. 그러므로 그것이 잘못되었다 하는 것입니다. 즉 원래는 자기도 아이의 이름을 아버지의 이름으로 했으면 하는 바램이 있었던 것이며, 그러나 그것은 지금 이 상황에서는 주님의 뜻이 아닌 자신의 뜻, 곧 주님 사랑이 아닌 자기 사랑인 것이지요. 주님의 뜻은 아이의 이름을 주님 사랑에서 나오는 이웃 사랑으로 짓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잘못이라고 판단되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주님이 원하시는 것을 하는 것, 즉 이기적인 사랑은 몰아내고, 이웃에 대한 순수한 사랑으로 채워야 합니다. 그래서 엘리사벳은 아이의 이름을 요한으로 짓겠다고 ‘대답’했습니다. 요한이란 이름은 이웃 사랑의 선(those who are in the good of love)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사가랴가 ‘서판을 달라 하여 그 이름을 요한이라 쓰매’는 무슨 뜻입니까? ‘자기의 생명 안에 그의 삶을 그대로 기록한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서판’은 각 사람의 내면에 있는 영적 생명을 의미합니다. 말씀에서는 그것을 자주 생명책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그러니까 ‘서판’, 또는 ‘생명책’은 개인의 영적 생명입니다. 그 생명 안에는 그 사람의 삶의 내용이 그대로 기록됩니다. 그러니까 사람이 어떻게 사느냐에 따라 그의 영적 생명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 아래는 스베덴보리 저, ‘천국과 지옥’ 48장, ‘두고 가는 것은 육체밖에 없다’ (461-469) 중 463번 글에 나오는, ‘생명책’ 관련 내용입니다. 참고하세요.

 

사후 사람의 행위가 드러날 때, 조사하는 일을 맡은 천사는 사람의 얼굴을 살핀다. 이어 양손의 손가락에서 시작해 전신을 살펴본다. 내가 이것을 이상하게 여겼더니, 그 이유를 알려주었다. 사고와 의지에 속한 모든 것은 뇌에 새겨져 있다. 뇌에 그 출발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전신에도 새겨지는데, 이는 사고와 의지의 모든 것은 출발점에서 시작해 몸의 모든 부분으로 퍼져나가고, 가장 말초적인 것에 종착하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의지와 그에 따른 생각에서 나와 기억에 새겨진 모든 것은 단지 뇌에만 새겨지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 전체에 새겨지는 것이며, 몸의 각 부분의 질서에 따라 거기 배열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확실한 것은 사람 전체가 그 자신의 의지와 사고와 똑같다는 사실이다. 심지어 악인은 그의 악이고, 선인은 그의 선인 것이다. 말씀에 나오는 사람의 생명책이 의미하는 것도 바로 이것이다. 즉 사람이 행하고 생각한 모든 것은 그 사람 전체에 새겨져 있어 그 기억에서 불러일으키면 책 읽듯이 읽을 수 있고, 천국의 빛으로 그 영을 비추면 그 모든 것이 영상으로 나타난다. (HH.463, 김은경 역)

 

따라서 사가랴가 ‘서판을 달라 하여 그 이름을 요한이라 쓰매’는 그가 실천하는 진리의 성격이 그대로 그의 생명에 기록되는 것입니다. 이해가 되십니까? 다시 말하면, 사가랴는 지금 새로운 진리를 잘 실천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그는 서판에다 아이의 이름을 요한이라고 썼습니다. 그가 실천하는 진리의 바탕에 이웃 사랑의 선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자신의 생명책에 진리를 기록하는 일은 선이 하는 일입니다. 그래서 위 본문에서는 사가랴가 ‘서판을 달라 하여 그 이름을 요한이라 썼다’고 합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요한이란 이름은 ‘이웃 사랑의 선’을 뜻합니다. 그래서 엘리사벳과 사가랴는 아이의 이름을, 한 사람은 요한이라고 ‘대답’했고요, 또 한 사람은 ‘자기의 서판’에다 요한이라고 썼습니다. 엘리사벳과 사가랴의 이러한 행동을 통해 그들이 새로운 말씀을 받아들인 후에, 그 신앙을 순수하게 지키려 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자 사가랴의 입이 열리고 혀가 풀리면서 말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을 찬송하기 시작했습니다.

 

64이에 그 입이 곧 열리고 혀가 풀리며 말을 하여 하나님을 찬송하니

 

혀가 풀리며’는 사람의 이성이 주님을 향해 열리는 것입니다. 그래야 주님으로부터 빛이 흘러 들어오지 않겠습니까? 왜냐하면 혀는 우리의 이성, 또는 이해력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주님에 의해 이성이 밝아질 때, 우리는 진심으로 신앙을 고백할 수 있고, 주님을 찬송할 수 있는데요, 그것이 ‘혀가 풀리고 말을 하는 것’입니다. 지난 시간에 말씀드렸나요? 주님을 찬송한다는 것은 신앙으로, 또는 진리로 주님을 예배하는 것이라고요. 그러니까 사가랴가 주님을 찬송하는 것은 주님이 주신 새로운 말씀을 자기의 신앙으로 온전히 삼았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위 본문에서는 사가랴가 혀가 풀리고 주님을 찬송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전에는 어땠습니까? 천사로부터 아들을 낳을 것이라는 말씀을 들었을 때, 그 말을 믿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주님의 말씀을 온전히 믿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사가랴가 말을 하는 것은 신실한 신앙의 고백입니다.

 

65그 근처에 사는 자가 다 두려워하고 이 모든 말이 온 유대 산골에 두루 퍼지매

 

사가랴의 신앙 고백이 온 유대 산골에 두루 퍼졌다고 합니다. 여기서 유대는 본래 가장 순수한 교회를 뜻합니다. 새 교회 용어로 유다는 천적(天的)인 교회를 나타내고요, 이스라엘은 영적인 교회를 나타냅니다. 그래서 유다는 가장 순수한 교회를 뜻하지만, 여기서는 반대의 의미입니다. 그러니까 기존의 잘못된 교회, 무너져가는 교회를 뜻하지요. 그리고 유대 산골이라고 할 때 산골은 그 잘못된 교회 안에 남아 있는 선한 사람들, 즉 이웃을 사랑하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왜냐하면, 여기서 산은 지난번에도 말씀드린 것처럼 큰 산이 아니라 나지막한 산, 영어로는 ‘’(hill)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이웃에 대한 사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모든 말이 온 유대 산골에 퍼졌다는 말씀은, 주님이 주신 새로운 말씀이 기존 교회 안의 선한 사람들에게 퍼져나가는 것을 말합니다.

 

오늘 본문의 마지막 구절은 이렇습니다.

 

66듣는 사람이 다 이 말을 마음에 두며 이르되 이 아이가 장차 어찌 될까 하니 이는 주의 손이 그와 함께 하심이러라

 

듣는 사람들이 이 말을 모두 마음에 두었다고 합니다. 여기서 듣는다는 것이 무슨 뜻입니까? 말씀에 순종하는 것입니다. 또 마음에 둔다는 것은 각자의 의지에 새기는 것입니다. 마음은 의지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듣는 사람이 다 이 말을 마음에 두며’라는 말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새로운 진리를 받아들인 사람들이 그 말씀에 따라 순종하며 사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들이 이렇게 말씀에 순종할 수 있는 것은, 그들이 본래 선하기 때문만은 아닙니다. 그들이 받아들인 말씀 가운데 주님의 능력이 살아계시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늘 말씀에서는 ‘주의 손이 그와 함께 하심이러라’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주의 손’은 주님의 능력을 의미하고, 아이는 바로 그들이 받아들인 말씀이기 때문입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사람들이 처음 진리를 받아들일 때에는 누구나 자아를 통해 진리를 받아들입니다. 그래서 자기의 구원을 생각하고요, 또 자기의 지성으로 진리를 이해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런 모든 것이 사실은 주님의 섭리를 통해 이루어지는 일들입니다. 주님께서는 그런 과정을 통해서 우리 신앙을 불완전하고 나약한 신앙에서 시작, 점차 견실하고 확고한 신앙으로 성장시켜 주십니다. 그리고 신앙이 깊어질 때, 주님께서는 ‘진리를 너희 것으로 삼지 말고, 내게로 돌리라’ 하세요. 오늘 말씀에서 ‘팔 일째 아이가 받는 할례’의 의미 가운데는 주님의 그러한 뜻과 바람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항상 자기의 진리 안에 있는 애정이 무엇인지를 살펴야 합니다. 그래서 자아의 사랑은 버리고, 대신 이웃에 대한 사랑을 채워 넣어야 합니다. 그렇게 될 때 우리에게 있는 진리는 나를 구원하는 진리일 뿐 아니라 이웃을 구원하는 진리가 될 수 있습니다. 그것을 오늘 말씀에서는 사가랴-엘리사벳 부부의 아이가 할례를 받는 것으로 표현했고요, 팔 일째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아이의 이름을 아버지 이름을 따르지 않고, 요한이라 짓는 것 역시 그런 뜻입니다. 오늘 말씀을 통해 성도님들께서 자신의 진리가 어떤 모습인지를 꼭 살펴보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마음의 할례를 통해 팔 일째, 즉 새로운 상태로 나아가시기를 바랍니다. 주님의 그런 은혜가 우리 성도님들과 함께하시기를 기도합니다.

 

 

이기는 자는 이와 같이 흰옷을 입을 것이요 내가 그 이름을 생명책에서 결코 지우지 아니하고 그 이름을 내 아버지 앞과 그의 천사들 앞에서 시인하리라 (계3:5)

 

아멘

 

원본

2016-06-26(D1)

청주 새 교회 이순철 목사

 

설교

2023-03-01(D4)

한결같은교회 변일국 목사

Posted by bygracetistory
,

 

마리아의 찬송

 

 

46마리아가 이르되 내 영혼이 주를 찬양하며 47내 마음이 하나님 내 구주를 기뻐하였음은 48그의 여종의 비천함을 돌보셨음이라 보라 이제 후로는 만세에 나를 복이 있다 일컬으리로다 49능하신 이가 큰일을 내게 행하셨으니 그 이름이 거룩하시며 50긍휼하심이 두려워하는 자에게 대대로 이르는도다 51그의 팔로 힘을 보이사 마음의 생각이 교만한 자들을 흩으셨고 52권세 있는 자를 그 위에서 내리치셨으며 비천한 자를 높이셨고 53주리는 자를 좋은 것으로 배불리셨으며 부자는 빈손으로 보내셨도다 54그 종 이스라엘을 도우사 긍휼히 여기시고 기억하시되 55우리 조상에게 말씀하신 것과 같이 아브라함과 그 자손에게 영원히 하시리로다 하니라 56마리아가 석 달쯤 함께 있다가 집으로 돌아가니라 (눅1:46-56)

 

 

마태복음 10장 28절에서는 ‘몸은 죽여도 영혼은 능히 죽이지 못하는 자들을 두려워하지 말고 오직 몸과 영혼을 능히 지옥에 멸하실 수 있는 이를 두려워하라’라고 말한다. 여기서 두려워하는 것은 영적으로 죽는 것을 두려워하는 것이고, 그러므로 걱정과 공포 같은 자연적인 두려움이다. 그러나 영적인 두려움은 모든 영적 사랑 안에 내재되어 있고, 또한 사랑의 질과 양에 따라 달라지는 거룩한 두려움이다. 영적인 사람은 이러한 두려움 가운데 있다. 그리고 그는 주님은 어떤 사람에게도 악을 행하시지 않으며, 그의 육신과 영혼을 파괴하여 지옥에 던지시지도 않으며, 모든 사람에게 선을 행하시고, 그들의 육신과 영혼을 천국에 있는 당신께로 들어 올리시길 원하신다는 것을 안다. 그렇기 때문에 영적인 사람의 두려움은 그가 삶의 악과 교리의 거짓으로 인해 자기 안의 신적 사랑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그것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하는 거룩한 두려움이다. (계시록 해설 696.23, 이순철 역) Jesus said, Fear not them who are able to kill the body but are not able to kill the soul; rather fear Him who is able to destroy both body and soul in Gehenna (Matt. 10:28). Here, however, “to fear” signifies to have a fear of dying spiritually, thence a natural fear, which is fearfulness and dread; but spiritual fear is a holy fear that abides within every spiritual love variously according to the quality and quantity of the love. In such a fear is the spiritual man, and he knows that the Lord does not do evil to anyone, much less does He destroy anyone as to body and soul in Gehenna, but that He does good to all and desires to raise up everyone as to body and soul into heaven to Himself. This is why the fear of the spiritual man is a holy fear lest by the evil of life and the falsity of doctrine man should turn away, and thus do harm to that Divine love in himself. (AE.696.23)

 

 

오늘은 계속해서 누가복음 1장 말씀을 전해 드리겠습니다. 지난 시간에는 마리아가 엘리사벳을 만나면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성경에 기록하기는, 마리아가 엘리사벳을 처음 만났을 때, 엘리사벳의 복중에서 아이가 뛰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엘리사벳은 성령이 충만한 가운데 마리아에게 ‘여자 중에 네가 복이 있으며 네 태중의 아이도 복이 있도다’라고 말했습니다. 전에 말씀드린 것처럼, 마리아와 엘리사벳의 만남은 단순히 천사가 예언한 일들을 마리아가 확인하는 그 정도 차원의 일이 아닙니다. 이것은 주님의 새 교회에 새로운 말씀이 전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왜냐하면, 마리아는 주님이 이방인들을 통해 세우시는 새 교회를 표상하구요, 엘리사벳이 잉태한 아이는 새 교회에 필요한 말씀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 마리아가 부르는 찬송은 주님의 새 교회에 속한 사람들이 주님께 드리는 찬송입니다.

 

주님의 은혜로 새로운 말씀을 알게 되고, 말씀을 통해 교리에 대한 이해가 점점 깊어졌을 때, 우리 성도님들은 어떤 마음이었습니까? 아마 대부분은 구원에 대한 확신이 생겼을 것이며, 또 살아계신 주님의 섭리를 느끼셨을 것입니다. 저 또한 처음 새 교회 말씀을 대했을 때, 이것이야말로 주님의 말씀이다, 이런 교회야말로 진짜 교회다라고 생각했습니다. 마리아도 아마 그런 마음이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본문 46, 47절에서 마리아는 이렇게 주님을 찬양합니다.

 

46마리아가 이르되 내 영혼이 주를 찬양하며 47내 마음이 하나님 내 구주를 기뻐하였음은

 

마리아는 그냥 주님을 찬양한다고 하지 않고, 영혼과 마음으로 찬양한다고 합니다. 한글 성경에는 ‘영혼’, ‘마음’으로 번역되어 있지만, 본래 표현은 ‘’, ‘’입니다. 마리아는 왜 혼과 영으로 찬송한다고 했을까요? 새 교회 가르침에서는 혼과 영에 대해 명확하게 구별해 설명하지는 않습니다. 그냥 ‘혼과 영은 사람의 영적 생명이다’라고만 말합니다. 사람 안에는 하나님의 생명을 받는 두 개의 그릇이 있습니다. 하나는 ‘의지’(will, 마음먹는 능력)라는 그릇이구요, 하나는 ‘이성’(understanding, 이해하는 능력)이라는 그릇입니다. 새 교회 교인들은 다 아시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이성은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진리를 담는 그릇이고, 의지는 선을 담는 그릇입니다. 그러니까 사람의 생명은 자존심이나 자기 자신에 대한 사랑이 아니라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선과 진리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혼과 영입니다. 그런데 ‘천국의 비밀’(Arcana Coelestia, 창세기, 출애굽기 속뜻 주석) 6054번 글에는 또 이런 말도 있습니다.

 

혼에 대해 깊이 생각하다 보면 혼이 무엇인지조차 알지 못하게 된다. 그러니 혼을 사람의 영이라고 부르는 것이 좋다. (이순철 역) But lest in consequence of the conjectures and hypotheses about it, the word “soul” should give rise to the idea of the unknown, it is better to say man’s “spirit,” or if you prefer it, the “interior man,” (AC.6054.2)

 

이 말은 사람의 혼과 영을 인간의 머리로 이해한다는 것은 지극히 어려운 일이니, 혼과 영을 구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오늘 마리아는 혼과 영으로 주님을 찬송한다고 했습니다. 그렇게 말하는 이유는, 이때 혼은 믿음 또는 진리의 생명을 의미하구요, 영은 사랑 또는 선의 생명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마리아는 혼으로는 주님을 찬송한다고 했고, 영으로는 주님을 기뻐한다고 말했습니다. 말씀에서 찬송하는 것과 기뻐하는 것은 다 주님을 예배하는 것이지만, 그러나 찬송한다고 할 때는 믿음으로 주님을 예배하는 것이구요, 기뻐한다는 것은 선한 삶으로 주님을 예배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영으로는 주님을 기뻐한다고 하고, 혼으로는 주님을 찬송한다고 한 것입니다. 그러니까 마리아가 한 말은 ‘내가 믿음과 선한 삶으로 주님을 예배합니다!’ 이런 말입니다.

 

이와 비슷한 말씀이 요한복음 4장 23절에도 있습니다. 그 말씀은 이렇습니다.

 

아버지께 참되게 예배하는 자들은 영과 진리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곧 이때라 아버지께서는 자기에게 이렇게 예배하는 자들을 찾으시느니라 (요4:23)

 

여기서 영과 진리로 예배한다는 것은, 다르게 표현하면 혼과 영으로 예배하는 것이구요, 더 쉽게 표현하면, 진리와 선한 삶으로 예배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주님이 찾으시는 사람은 바로 마리아와 같은 사람임을 알 수 있습니다. 마리아가 새 교회를 표상하는 것은 이런 까닭입니다. 사실 마리아와 같이 주님을 예배할 수 있는 사람은 비록 새 교회라 하더라도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주님을 찬양하는 것은 주님을 믿는 것입니다. 자기 좋을 때만 주님을 믿는 것이 아니라 앞이 안 보이는 캄캄한 어둠 속에서도 주님을 믿는 것입니다. 그리고 주님을 기뻐하는 것은 자기 뜻대로 살지 않고, 주님의 뜻대로 사는 것입니다. 자아의 애정으로가 아니라, 주님이 주시는 애정으로 사는 것입니다. 그렇게 볼 때, 주님을 찬양하는 사람은 더러 있어도 주님을 기뻐하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왜 그럴까요? 우리가 주님을 기뻐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직 겸손하지 못해서입니다. 조금 전 본문에서도 말씀드린 것처럼, 주님은 비천한 자를 도우시는 분이지, 결코 교만한 자를 돕는 분이 아닙니다. 그러니까 겸손하지 못하면, 주님의 도우심을 받을 수 없다는 말입니다. 주님이 도와주시지 않아서가 아니라 우리가 주님의 손을 뿌리치기 때문인데, 그러므로 그런 상태, 그런 상황에서는 어떻게 해도 주님을 기뻐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48절에서 마리아는 그가 주님을 찬양하고 기뻐할 수 있는 이유를 이렇게 말합니다.

 

48그의 여종의 비천함을 돌보셨음이라 보라 이제 후로는 만세에 나를 복이 있다 일컬으리로다

 

마리아는 스스로 자기는 비천한 자라고 생각했습니다. 그것이 그가 여자로서 가장 큰 축복을 받은 이유입니다. 누구나 겉으로는 겸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내면이 겸손한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그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그 사람의 행동을 보면 압니다. 만약 우리가 습관적으로 다른 사람을 험담하는 사람들이라면, 또 일상생활에서 나만 생각하고, 다른 사람의 입장을 존중하지는 않는 사람들이라면, 그리고 또 어떤 사람이 조금만 서운하게 해도 발끈, 반드시 보복하려는 사람들이라면, 계속해서 주님의 도를 알면서도 행하지 않는 사람들이라면, 그리고 주님으로부터 오는 빛으로 말씀을 이해하지 않고, 자기의 지성으로 이해하려는 사람들이라면, 우리는 겸손하지 않은 것입니다. 그러므로 자칭 겸손하다 하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으며, 주님이 보시기에 겸손해야 합니다. 그래야만 그때 우리가 가지고 있는 진리의 지식 속으로 주님의 능력이 흘러 들어옵니다. 그렇게 해서 우리는 진심으로 주님을 찬송할 뿐만 아니라, 기뻐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 전에는 아무리 주님을 기뻐하려고 해도, 아무리 주야로 말씀을 기억하고, 삶에 적용하려고 해도 잘 안 됩니다. 그래서 마리아는 49절에

 

49능하신 이가 큰일을 내게 행하셨으니 그 이름이 거룩하시며

 

한 것입니다. 겸손한 자에게 주님의 능력이 함께 하심을 위와 같이 표현한 것입니다. 우리 모두에게 주님의 능력이 함께하셔서 큰일을 행하시는데요, 다만 우리가 겸손할 때만 그렇습니다.

 

마리아의 찬송은 계속됩니다.

 

50긍휼하심이 두려워하는 자에게 대대로 이르는도다

 

마리아는 이번에는 주님을 두려워하는 자에게 긍휼하심이 이른다고 말합니다. 주님을 두려워한다는 것이 어떤 것입니까? 여호와께서 시내산에 강림하실 때, 이스라엘 백성이 죽을 것 같이 두려워했던 것처럼 그렇게 두려워하는 것입니까? 그게 아닙니다. 그것은 세상 사람들이 느끼는 두려움입니다. 그것은 주님의 말씀을 따르지 않으면, 재앙이나 화를 당할까 봐 주님을 두려워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자연적인 두려움입니다. 말씀에서 말하는 두려움은 내 삶의 행위가 주님의 사랑을 배반하지는 않을까, 주님의 사랑을 욕되게 하지는 않을까 항상 스스로를 근신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주님을 진정으로 두려워하는 것입니다. 그런 두려움은 영적 두려움이며, 거룩한 두려움입니다. 그러므로 겸손한 자에게 주님의 능하심이 큰일을 행하시는 것처럼, 주님을 두려워하는 자에게 그분의 긍휼과 능력이 미친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51절에서 마리아가

 

51그의 팔로 힘을 보이사 마음의 생각이 교만한 자들을 흩으셨고

 

라고 한 것이 그 말입니다. 그것은 앞에서 주님의 능하심이 큰일을 내게 이루셨다는 고백과 같은 말입니다. 왜냐하면, ‘그의 팔’은 곧 주님의 능력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우리 스스로의 힘으로는 지옥에서 오는 악과 거짓을 이길 수 없습니다. 자신의 힘을 의지하는 사람은 백번이면 백번 다 집니다. 그런데 주님의 능력이 우리와 함께 할 때는 항상 이깁니다. 그래서 사람은 겸손해야 하고, 주님을 두려워해야 합니다. 그때 주님의 능력이 우리에게 흘러 들어와서 우리 앞에 있는 영적 장애물들을 하나씩 걷어냅니다.

 

※ 그러니까 우리 속 사람의 상태가 주님의 능력이 흘러들어올 수 있는 상태, 들어와 머무를 수 있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는 말씀입니다. 이는 ‘’하고도 연결되는데요, ‘주님, 제게도 복을 주세요’라며, 안수를 통해 복 받기를 구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주님은 복을 주시는 분이시며, 주님께 복을 구하는 것이 나쁘거나 부끄러운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가장 안전하며, 확실하고 영원하지요. 문제는, 주님의 복은 위 주님의 능력처럼 우리 속 사람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즉 주님이 복을 허락하셔도 정작 우리 속 사람의 상태가 그 복을 받을 수 없는 상태라면, 그러니까 그 복이 우리 안에 머무를 수 없는 그런 상태라면, 그 복은 우리를 떠난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내 삶이 주님의 복하고는 거리가 멀다는 생각이 들면, 그 원인을 밖이 아닌, 내 안에서 찾으시기를 바랍니다. 정작 내 방 커텐을 꼭꼭 쳐서 빛이 조금도 못 들어오게 해놓고는 계속해서 ‘내 방이 어두워, 내 방이 어두워’ 하고 있는 것과 같기 때문입니다.

 

계속해서 51절로 53절입니다.

 

51그의 팔로 힘을 보이사 마음의 생각이 교만한 자들을 흩으셨고 52권세 있는 자를 그 위에서 내리치셨으며 비천한 자를 높이셨고 53주리는 자를 좋은 것으로 배불리셨으며 부자는 빈손으로 보내셨도다

 

위 본문에서는 구원을 가로막는 영적 장애물들을 ‘교만한 자’, ‘권세 있는 자’, ‘부자’라고 했습니다. 그러니까 교만한 자, 권세 있는 자, 부자는 우리 밖에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 내면에도 그런 것들이 다 있습니다. 그렇다면, ‘교만한 자’, ‘권세 있는 자’는 어떤 사람입니까? 모든 선하고 진실한 것을 오직 주님께만 돌리지 않고, 자기 자신에게 돌리는 사람입니다. 말하자면, 아주 작은 선한 일을 하면서도 내 힘으로 했다고 생각하는, 즉 나는 선하다고 생각하는 마음입니다. 그런데 사실 우리 속에는 선하고 진실한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주님께서 선을 주시지 않으면 우리는 아주 작은 선도 행할 수 없습니다.

 

※ 아래는 스베덴보리 저, ‘천국과 지옥’ 2장, ‘주의 신성이 천국을 이룬다’, 10번 글입니다. 참고하세요.

 

세상에 살 때 자기가 행한 선과 믿어온 진리가 모두 자기 자신에게서 나온 것이라고, 또는 자기 것이 되었다고 확신한 영들이 있다. 선행을 자기 공로로 여기고, 스스로 의롭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모두 그런 신념이 있다. 그런 영들은 천국에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천사들은 그들을 어리석은 도둑이라 여겨 피한다. 어리석다는 이유는, 그 영들의 관심사가 신성이 아니라 자기 자신뿐이기 때문이다. 도둑이라는 이유는, 그들이 주님의 것을 가로채려 하기 때문이다. 이런 태도는 천사들 안에 있는 주의 신성이 천국을 이룬다는 천국의 신념에 반대되는 것이다. (HH.10, 김은경 역) Such spirits as have confirmed themselves during their life in the world in the belief that the good they do and the truth they believe is from themselves, or is appropriated to them as their own (which is the belief of all who place merit in good actions and claim righteousness to themselves) are not received into heaven. Angels avoid them. They look upon them as stupid and as thieves; as stupid because they continually have themselves in view and not the Divine; and as thieves because they steal from the Lord what is his. These are averse to the belief of heaven, that it is the Divine of the Lord in the angels that makes heaven. (HH.10)

 

그러면 ‘부자’는 또 누굽니까? 부자는 진리에 대해 많이 알고는 있는데 행동으로 옮기지는 않는 사람입니다. 그것이 우리 안에 있는 부자입니다. 마치 주님 당시에 바리새인들과 같은 그런 사람이 우리 안에도 있는 것이죠. 그러므로 주님께서 오셔서 그런 것들을 다 몰아내셔야만 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모두 없어진 다음, 그 빈자리를 구원에 필요한 덕목들로 채워 주셔야 합니다. 위 본문에서는 구원에 필요한 덕목들을 ‘비천한 자’, ‘주리는 자’라고 했습니다. 그러면 ‘비천한 자’는 어떤 사람입니까? 비천한 자는 내 안에는 악하고 거짓된 것밖에 없고, 오직 주님만이 선하시다는 것을 인정하는 사람입니다. 그러므로 주님에 의해 우리 안에 이 ‘비천한 자’가 높아져야 합니다. 그래야 진심으로 주님을 의지하는 마음이 생기지요. 그러지 않고서는 항상 내가 잘난 줄 알고, 그래서 자신의 지혜에만 의지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짐작하시는 대로, 이런 상태로는, 즉 우리 속 사람의 상태가 이래서는 시험이 끝나지 않습니다. 이런 상태는 지옥을 닮아서 지옥의 기운들을 끌어당기기 때문이지요.

 

또 ‘주리는 자’는 어떤 사람입니까? 말씀 배우기를 항상 갈망하고, 말씀을 통해 주님과 교통하고자 하는 사람입니다. 주님은 그런 사람을 배불리 먹이십니다. 우리가 말씀을 통해 주님과 교통하려고 할 때, 주님으로부터 온갖 선하고 진실한 것들이 우리 안으로 흘러 들어옵니다. 그것이 바로 주님이 ‘주리는 자를 좋은 것으로 배불리’시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안의 주린 자가 말씀을 소유할 때, 우리 안의 주린 자가 주님으로부터 지식을 배울 때, 그 지식은 살아있는 지식이 되며, 삶을 바꾸는 지식이 됩니다. 반면에 부자의 지식은 살아있는 지식이 아니라 죽은 지식입니다. 그것은 쓰지 않는 잡다한 물건들을 창고에 쌓아놓는 것과 같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주린 자가 되어야 합니다. 주님은 그런 방법으로 당신의 자녀들을 구원으로 이끄십니다.

 

그래서 54, 55절에서 마리아는

 

54그 종 이스라엘을 도우사 긍휼히 여기시고 기억하시되 55우리 조상에게 말씀하신 것과 같이 아브라함과 그 자손에게 영원히 하시리로다 하니라

 

라고 말했습니다. 여기서 이스라엘과 아브라함의 자손은 주님의 교회에 속한 사람들입니다. 다시 말하면, 주님에 대한 믿음과 사랑 안에 있는 사람들입니다. 주님은 오늘 그들을 기억하시겠다고 말씀하십니다. 주님이 기억하신다는 말은 말 그대로 기억만 하신다, 안 잊겠다는 뜻이 아닙니다. 주님이 당신의 백성들을 보호하시고, 구원하시겠다는 뜻입니다. 그것은 인류 최초의 교회인 태고교회 이래로 주님께서 일관되게 약속하셨던 일입니다. 주님은 마리아로 상징되는 새 교회를 통해 그 약속을 이루시겠다고 하십니다. 왜냐하면 말씀에서 조상은 인류 최초의 교회인 태고교회와 고대교회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우리 조상에게 말씀하셨다’는 말은 그 일이 태고교회 이래로 주님께서 계속 약속하신 일이라는 뜻입니다.

 

56마리아가 석 달쯤 함께 있다가 집으로 돌아가니라

 

석 달’에서 이 ‘’(3, 셋)이라는 수는 처음부터 끝까지를 의미합니다. 그러니까 완전한 상태라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마리아가 엘리사벳 집에서 석 달 동안 머물렀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요? 그것은 마리아로 표상되는 새 교회에 새로운 말씀이 완전하게 전해지는 것이구요, 그 말씀을 통해 새 교회의 교리를 완전히 이해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그러니까 주님의 섭리에 의해 새 교회의 사람들에게 말씀이 전해지는 것이구요, 그 말씀을 통해 교리를 완전하게 이해하는 기간과 과정이 바로 ‘석 달’입니다. 그리고 ‘마리아가 집으로 돌아갔다’는 말은 이제 새로운 말씀을 배우는 단계가 끝나고, 삶으로 옮기는 단계로 나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새 교회 사람들은 말씀을 배우기만 하는 사람들이 아니고, 배운 말씀을 각자의 삶 속에서 실천해 열매를 맺는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마리아가 석 달쯤 함께 있다가 집으로 돌아가니라’의 속뜻입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오늘 마리아가 주님께 드리는 찬송은 모든 새 교회인들이 마음으로 주님께 드리는 찬송입니다. 입술만으로 믿음을 고백하는 것이 아니라, 믿음과 삶으로 주님을 예배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마리아는 주님을 찬송한다고 했고, 또한 주님을 기뻐한다고 말했습니다. 저는 이 말씀을 읽으면서 많은 반성을 했습니다. 저 자신을 돌아봐도 주님보다 더 사랑하고 기뻐하는 것이 너무나 많습니다. 주님을 기뻐한다면 절대 뒤 돌아보지 말아야 하는데 뒤를 돌아본 적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마리아의 찬송을 들으면서 참으로 마음이 아픕니다. 어떻게 하면 주님을 진심으로 사랑하고 기뻐할 수 있을까요? 오늘 말씀에서 주님께서는 겸손하라고 하십니다. 그리고 주님을 두려워하는 자가 되라고 하십니다. 이제까지 네가 겸손하지 못했고, 나를 두려워하지도 않았다고 말씀하십니다. 사실 우리가 주님을 두려워하기를 원하지 않았던 것은 아닙니다. 또 겸손하기를 원하지 않았던 것도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뜻대로 잘 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오늘 우리는 주님 앞에 다시 무릎을 꿇습니다. 이제 능력의 주님께서 오셔서 우리 안에 교만한 자와 권세 있는 자를 몰아내시고, 비천한 자를 높이소서, 주린 자를 먹이소서 이렇게 간절하게 주님께 기도합니다. 주님께서 우리가 흘렸던 눈물을 기억하시고, 이제 그 눈물을 닦아 주시기를 간절히 기도합니다.

 

 

26또 새 영을 너희 속에 두고 새 마음을 너희에게 주되 너희 육신에서 굳은 마음을 제거하고 부드러운 마음을 줄 것이며 27또 내 영을 너희 속에 두어 너희로 내 율례를 행하게 하리니 너희가 내 규례를 지켜 행할지라 (겔36:26-27)

 

아멘

 

원본

2016-06-05(D1)

청주 새 교회 이순철 목사

 

설교

2023-02-28(D3)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Posted by bygracetistory
,

 

마리아와 엘리사벳의 만남

 

 

39이 때에 마리아가 일어나 빨리 산골로 가서 유대 한 동네에 이르러 40사가랴의 집에 들어가 엘리사벳에게 문안하니 41엘리사벳이 마리아가 문안함을 들으매 아이가 복중에서 뛰노는지라 엘리사벳이 성령의 충만함을 받아 42큰 소리로 불러 이르되 여자 중에 네가 복이 있으며 네 태중의 아이도 복이 있도다 43내 주의 어머니가 내게 나아오니 이 어찌 된 일인가 44보라 네 문안하는 소리가 내 귀에 들릴 때에 아이가 내 복중에서 기쁨으로 뛰놀았도다 45주께서 하신 말씀이 반드시 이루어지리라고 믿은 그 여자에게 복이 있도다 (눅1:39-45)

 

 

오늘은 마리아와 엘리사벳의 만남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천사는 마리아에게

 

보라 네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라 (31절)

 

하였고, 또

 

보라 네 친족 엘리사벳도 늙어서 아들을 배었느니라 (36절)

 

하였습니다. 마리아는 처녀입니다. 그리고 엘리사벳은 반대로 아기를 가지기에는 너무 늙은 나이였습니다. 그런데도 천사는 그들이 아기를 낳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마리아는 천사가 하는 말을 이해할 수 없었던 것 같지만, 그러나

 

대저 하나님의 모든 말씀은 능하지 못하심이 없느니라 (37절)

 

는 천사의 말을 듣고는

 

주의 여종이오니 말씀대로 이루어지이다 (37절)

 

답했습니다. 그리고 천사가 떠나가자 엘리사벳을 만나러 갑니다. 아마 엘리사벳에게 실제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가서 확인해 보고자 하는 마음이었을 것입니다. 여기까지가 오늘 말씀의 배경입니다.

 

본문으로 들어가기 전에 우리는 마리아와 엘리사벳으로 표상(表象)되는 사람들이 어떤 사람들인가, 그리고 그들에게 일어나는 일들이 어떤 의미인가를 다시 한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미 그것에 대해서는 지난 시간에 말씀드렸지만, 그러나 오늘 본문 말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다시 한번 상기해 볼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마리아와 엘리사벳은 속뜻으로는 어떤 사람들을 나타낼까요? 엘리사벳과 마리아는 모두 천적인 선 안에 있는 사람들입니다. 이 천적(天的, celestial)이다, 영적이다, 그리고 자연적이다 라는 말, 표현, 용어들은 새 교회에서는 정말 많이 사용하는 표현들인데요, 다른 곳에서는 듣기 어려울 뿐 아니라 굉장히 생소하기까지 한 용어들입니다. 이 용어들은 사랑의 단계, 정도(degree)를 나타내는 표현들인데요, 그러니까 천적이라는 표현은 주님, 즉 선(善, good)을 사랑하는 단계이구요, 영적이라는 표현은 이웃, 즉 진리를 사랑하는 단계를 말합니다.

 

※ 이 ‘이웃, 즉 진리를 사랑한다’는 게 좀 낯설 수 있어 보충 설명드립니다. 스베덴보리 저, ‘천국과 지옥’ 15번 글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천국에서는 주님을 사랑한다는 것은 주님 개인을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주님께로부터 오는 선을 사랑하는 것이다. 선을 사랑한다는 것은 선을 의도하고 사랑으로 선을 행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웃을 사랑한다는 것도 이웃을 개인적으로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말씀에서 나오는 진리를 사랑하는 것이다. 진리를 사랑한다는 것은 진리를 추구하고 실천하는 것이다. (김은경 역) In heaven loving the Lord does not mean loving him in respect to his person, but it means loving the good that is from him; and to love good is to will and do good from love; and to love the neighbor does not mean loving a companion in respect to his person, but loving the truth that is from the Word; and to love truth is to will and do it.

 

또 자연적이라는 말은 세상 법도나 학문 같은 것, 그 밖의 물질적인 것을 사랑하는 단계를 말합니다. 따라서 천적 선 안에 있다는 것은 주님을 사랑하고, 그 사랑으로부터 선을 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선을 행하되 주님을 사랑해서 하는 것이지요. 주님을 사랑해서 선한 삶을 사는 것입니다.

 

엘리사벳과 마리아는 이렇게 천적 선 안에 있는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래서 말씀에서는 그들을 친척(天的, celestial, heavenly)이라고 부릅니다. 아마 그들은 실제로도 친척이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말씀에서 그들을 특별히 친척이라고 하는 것은 그들이 실제로 친척이라는 사실을 강조하려는 게 아니라, 그들에게 있는 선의 특성이 서로 비슷한 것이 마치 친척 간 같다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그들에게도 서로 다른 점이 있었습니다. 어떤 점이 다를까요? 엘리사벳은, 속뜻으로는 이미 말씀드린 것처럼, 기존 교회 안에서 신앙생활을 하는 사람이구요, 마리아 역시 속뜻으로는 이방인이라는 점입니다. 그것에 대해서는 지난 시간에 말씀드렸기 때문에 오늘은 말씀드리지 않겠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우리가 짚고 넘어갈 것은, 마리아로 표현되는 이방인은 단순히 교회 밖 사람들을 가리키는 게 아니구요, 기존 교회, 기성교회에서 가르치는 거짓 교리와 타협하지 않는 모든 사람들을 말합니다. 그들이 마리아와 같은 이방인들입니다. 예를 들면, 오직 믿음, 그러니까 믿음만으로 구원받는다거나, 말로는 삼위일체를 주장하면서 실제로는 아버지 따로, 아들 따로, 성령 따로 세 분 하나님을 믿는 그런 믿음하고는 타협하지 않는, 그런 믿음, 그런 신앙과 교리를 가까이하지 않는 사람들이 바로 ‘이방인’의 속뜻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주님께서 왜 이방인들을 사랑하셨는지, 그리고 왜 새 교회를 이방인들과 함께 세우시는지 알 수 있습니다.

 

※ 이에 관한 더욱 깊은 내용은 앞서 말씀드린 ‘천국과 지옥’을 정독(精讀)하시기 바랍니다. 이 책은 그러니까 새 교회 교리에 관한 일종의 입문서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모든 출발은 천국에 관한 사실들이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마리아와 엘리사벳이 아이를 잉태했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요? 엘리사벳이 아이를 가진 것은 잘못된 신앙 안에 있으면서도 주님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그러니까 기존의 낡은 교회 안에서 신앙생활을 하면서도 주님을 사랑하는 선한 사람들에게 주님께서 새로운 말씀을 주시는 것입니다. 기존의 말씀을 가지고는 왜 안 될까요? 기존의 말씀은 교회의 지도자들이 왜곡, 뭔가를 보태서 섞었기 때문입니다. 마치 유대교회 당시에 바리새인이나 서기관들이 말씀을 자기 마음대로 해석, 소위 장로의 전통이라는 계율을 만들어낸 것처럼 말입니다. 그들은 그것을 말씀보다 더 귀하게 여겼습니다.

 

※ 일단 이 모든 오류의 출발은 현 기독교회가 그 주된 교리를 주님의 말씀이 아닌, 사도들의 편지에서 뽑아냈기 때문입니다. 교리, 즉 신앙은 오직 주님의 말씀으로부터만 나와야 합니다. 현 66권 성경 중 주님의 말씀과 말씀 아닌 것에 관한 글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성경 66권 중 말씀(The Word)은...’ (https://bygrace.kr/1027)

 

그러면 오늘날에는 어떻습니까? 주님께서는 선하게 살아라. 믿음의 열매를 맺으라고 기회 있을 때마다 말씀하셨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교회에서는 오직 믿음으로만 구원을 받고, 행위로는 구원을 받지 못한다 가르칩니다. 이것이 말씀을 왜곡하는 것입니다.

 

※ 천국은 시공간의 나라가 아닌 상태와 그 변화의 나라이며, 겉 사람이 아닌, 속 사람으로 가는 나라입니다. 그러니까 속 사람의 상태가 천국을 수용할 수 있어야 들어갈 수 있는 나라라는 말입니다. ‘오직 믿음’의 교리에 아무리 투철해도 정작 그 속 사람의 상태가 천국을 받을 수 없으면 들어갈 수 없는, 즉 구원을 받을 수 없습니다. 설령, 잠깐 허락을 받아 들어간들 금방 못 견디고 스스로 뛰쳐나오는 나라가 천국입니다. 그 속 사람의 상태가 천국을 받을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개신교의 이 ‘오직 믿음’의 교리를 거짓이요, 오류라 하는 것입니다. 스베덴보리가 남긴 일기를 보면, 스베덴보리가 영계에 들어가 주님의 허락으로 많은 역사적 인물들도 만났는데, 그중에 마틴 루터도 있었답니다. 그가 루터와 이 ‘오직 믿음’ 교리에 대하여 대화하던 중 그의 대답, ‘그것은 주님으로 말미암은 게 아니라 순전히 내가 고안한 것인데, 당시 카톨릭과 교리적 어떤 선명성을 위해서 부득이하게 그런 교리를 만들 수밖에 없었소...’라고 대답하더랍니다. 참고하세요.

 

그래서 주님은 엘리사벳과 사가랴 같은 사람, 즉 기존 교회 안에 있으면서도 여전히 주님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말씀을 주셨습니다. 새로운 말씀이란 유대교회 말기에는 신약, 즉 주님 친히 말씀하신 마태, 마가, 누가, 요한복음의 말씀이구요, 오늘날 교회 상황에서는 주님의 종 스베덴보리를 통해 밝히신 말씀의 내적 의미입니다. 이러한 것들이 주님께서 엘리사벳과 사가랴 부부에게 주시는 아기입니다. 주님께서는 이와 같이 세상의 종말, 즉 교회의 마지막 때에 인류에게 새로운 말씀을 주십니다. 그것은 낡은 교회를 폐하시고, 그 대신 세워질 새 교회를 위한 말씀입니다. 왜냐하면 주님의 말씀이 없다면 교회가 존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 말씀이 엘리사벳이 잉태한 아이입니다.

 

그러면 마리아가 잉태한 아이는 누구일까요? 마리아의 아이는 새로운 말씀을 통해 주님을 받아들인 사람들에게 내적 진리로 오시는 주님이십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주님께서는 말씀이 없는 곳에는 오실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주님께서는 침례(세례) 요한으로 표상되는 말씀을 통해 당신의 교회를 세우시고, 그곳의 주인으로 오시는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마리아는 주님께서 지상에 세우시는 새 교회 가운데 첫 번째 교회입니다. 그러므로 천사가 마리아에게 엘리사벳의 수태를 알린 것(受胎告知, Annunciation)은 우연한 일이 아닙니다.

 

그러면 천사는 왜 마리아에게 엘리사벳의 수태를 알렸을까요? 마리아로 상징되는 새 교회의 사람들을 새로운 말씀이 있는 곳으로 인도하시는 것입니다. 우리가 새로운 말씀, 새로운 진리를 처음 접했을 때를 생각해 보시죠. 어떤 분은 책을 통해서, 어떤 분은 인터넷을 검색하다가 새 진리에 대해 알게 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는 그런 일들이 우연히 그렇게 되었다고 생각하지만, 그러나 그것은 우연한 일이 아닙니다. 마리아에게 천사가 나타나 엘리사벳의 수태를 알린 것처럼, 그렇게 보이지 않는 주님의 역사가 있었던 것입니다. 그런 주님의 인도를 통해 마리아는 이제 서둘러 엘리사벳의 집으로 출발합니다. 마리아의 그런 모습을 본문 39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39이 때에 마리아가 일어나 빨리 산골로 가서 유대 한 동네에 이르러

 

마리아가 일어나 빨리 움직였다고 합니다. 마리아의 그런 모습은 선한 이방인이 참된 진리를 갈망하는 모습입니다. 그리고 먼저 산골로 갔습니다. 산골은 영어로는 hill country입니다. 그것을 그대로 옮기면, 작은 산이 있는 시골 마을이라는 뜻입니다. 그러면 작은 산은 무슨 뜻일까요? 큰 산이 주님에 대한 사랑을 의미한다면, 작은 산은 이웃에 대한 사랑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시골 마을은 교회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마리아가 산골로 가는 것은 그 속뜻으로는, 기존 교회 안에 이웃 사랑이 있는 사람들에게로 가는 것입니다. 왜 마리아는 그들에게 갔을까요?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주님께서 그들에게 새로운 말씀을 주셨기 때문입니다. 엘리사벳과 사가랴가 그런 사람들입니다.

 

우리들의 경우를 보더라도, 사실 교회 밖에 있는 사람들은 새로운 말씀을 받아들이기가 어렵습니다. 주님이 누구신지, 또 천국이 어떤 곳인지 알려 줘도 잘 이해하지를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새로운 말씀은 교회에서 신앙생활을 하면서도 만족하지 못하는 분들이나, 교회에 다녔다가 그곳에서 가르치는 진리에 회의를 느껴 교회에서 멀어진 분들에게 주어집니다. 주님께서 엘리사벳과 사가랴에게 말씀을 주시고, 이제 마리아가 그들에게 달려가는 것이 그런 것입니다. 마리아가 마침내 유대의 어느 동네에 당도했다고 합니다. 유대는 천적인 것을 뜻하고, 동네는 교리를 뜻합니다. 그래서 유대의 동네란 천적인 교리를 말합니다. 천적 교리는 그 교리의 바탕에 주님에 대한 사랑이 있는 교리입니다. 그러니까 마리아는 엘리사벳과 사가랴를 통해 새로운 말씀을 알게 되고, 다시 그것을 통해 가장 깊고 순수한 교리를 만난 것입니다. 그것이 마리아가 유대의 동네에 당도한 것입니다. 마리아는 사가랴의 집에 들어가면서 엘리사벳에게 인사를 건넸습니다.

 

40사가랴의 집에 들어가 엘리사벳에게 문안하니

 

인사를 하는 것은 우리 신앙인들의 의무입니다. 주님께서도 제자들에게 이웃의 집을 방문할 때는 인사하라, 평화를 빌라 가르치시지 않았습니까? 그래서 그것은 우리들의 의무입니다. 그런데 가끔 우리는 오랜만에 만나는 이웃들에게 인사를 하지 않고 지나칠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상대가 인사를 받지 않으면 어쩌나 하고 걱정할 때도 있지요. 그런데 그럴 필요 없습니다. 주님께서는

 

12또 그 집에 들어가면서 평안하기를 빌라 13그 집이 이에 합당하면 너희 빈 평안이 거기 임할 것이요 만일 합당하지 아니하면 그 평안이 너희에게 돌아올 것이니라 (마10:12-13)

 

라고 말씀하시기 때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마리아가 엘리사벳에게 한 인사는 마리아에게 있는 주님의 평화가 엘리사벳과 그 아기에게 전해지는 것이구요, 그래서 주님 안에서 그들이 모두 하나가 되는 일입니다. 그래서 엘리사벳이 마리아의 인사를 받았을 때 복중(腹中)에서 아이가 뛰었습니다.

 

41엘리사벳이 마리아가 문안함을 들으매 아이가 복중에서 뛰노는지라 엘리사벳이 성령의 충만함을 받아

 

복중의 아이는 누구입니까? 주님이 주시는 새로운 말씀입니다. 그러니까 아이가 주님의 말씀을 듣고 뛰었다는 것은, 말씀이신 주님이 당신의 교회인 마리아와 하나 되고자 하시는 열정을 나타냅니다. 앞에서도 말씀드린 것처럼, 마리아는 주님이 세우실 새 교회입니다. 그러므로 엘리사벳과 마리아의 만남은 주님께서 당신의 새 교회에 새로운 말씀을 주신다는 그런 의미입니다. 그 새로운 말씀을 통해 주님은 내적 진리로 당신의 교회에 오시려는 것입니다. 그때나 지금이나 기존의 교회에는 주님이 계실 곳이 없는데요, 그래서 주님께서는 처음 오실 때 마구간으로 오시지 않았습니까? 그렇게 주님은 새로운 말씀으로 다시 오시고자 하시는 것입니다.

 

42절에서는 엘리사벳이 성령이 충만한 상태에서 마리아에게 말합니다.

 

42큰 소리로 불러 이르되 여자 중에 네가 복이 있으며 네 태중의 아이도 복이 있도다

 

엘리사벳이 성령이 충만한 상태로 말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이것은 엘리사벳이 축복한 것이 아니고, 주님께서 마리아를 축복하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엘리사벳이 큰 소리로 말했다고 했는데, 그것 역시 주님의 거룩한 열성을 나타냅니다. 그런 점에서 엘리사벳이 큰 소리로 말했다는 것과 앞에서 아기가 복중에서 뛰어놀았다는 것은 서로 연관이 있는 말씀입니다. 왜냐하면 둘 다 주님의 거룩한 열성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앞에서 아기가 복중에 뛰는 것은 말씀이신 주님이 당신의 교회와 하나 되고자 하시는 열성이구요, 엘리사벳이 큰 소리로 마리아를 축복한 것은 주님의 열성이 당신의 교회를 축복하는 것입니다.

 

성령이 엘리사벳을 통해서 마리아에게 ‘여자 중에 네가 복이 있도다’라고 축복했습니다. 이 말씀은 단순한 축복의 말이 아닙니다. 이 말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창세기 3장 16절에, 여호와 하나님이 하와에게 하신 말씀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 말씀은 이렇습니다.

 

또 여자에게 이르시되 내가 네게 임신하는 고통을 크게 더하리니 네가 수고하고 자식을 낳을 것이며 너는 남편을 원하고 남편은 너를 다스릴 것이니라 하시고 (창3:16)

 

많은 분들이 이 말씀을 여호와 하나님이 하와를 저주하는 말씀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하와가 여호와 하나님의 말씀을 거역해서 선악과를 먹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주님은 인간을 저주하시지 않습니다. 그러면 이 말씀은 어떤 말씀일까요? 인간들이 감당해야 할 숙명에 대해 주님께서 하신 말씀입니다. 여기서 여자란 인간의 자아 위에 세워진 교회를 나타냅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주님께서 인류에게 주시는 교회는 인간의 자아 위에 세워질 수밖에 없지 않습니까? 그러면 임신하는 고통과 자식을 낳는 수고는 무슨 뜻일까요? 교회가 진정한 진리를 얻기까지 견디고 이겨야 할 내적 싸움과 온갖 걱정을 나타냅니다. 그것이 아기를 낳는 수고와 임신의 고통입니다.

 

우리는 그동안 출애굽기 말씀을 통해 진정한 진리가 어떤 것인지를 배웠습니다.

 

※ 이 누가복음 속뜻 강해가 진행될 동안 사실은 출애굽기 속뜻 강해 역시 병행하셨습니다.

 

거기서는 진정한 진리를 ‘만나’로 표현합니다. 만나는 책에서 배우거나 설교를 통해 듣는 그런 진리가 아닙니다. 그러면 무엇일까요? 말씀을 통해 내적 진리로 오시는 주님이 바로 진정한 진리입니다. 그래서 그 진리 안에는 선한 것이 들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진정한 진리는 그냥 머리로 이해하는 진리가 아닙니다. 그것을 얻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타고난 자아를 부단히 깎아 내고, 깎아 내고, 잘라내고, 잘라내는 그런 고통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주님의 교회가 온전히 서기 위해서는 부단한 내적 싸움과 인고(忍苦)의 과정이 필요하다 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여호와 하나님이 하와에게 징계처럼 내리신 이 말씀은 교회의 험난한 역사를 예고하는 말씀입니다.

 

※ 주님에 대한 호칭 변화에 주목해 보세요. 창세기 1장은 ‘하나님’만 나오지만, 창세기 2장부터는 ‘여호와 하나님’이 나옵니다. 그러다 다시 ‘여호와’만 나오고, 또 ‘하나님’만 나옵니다. 다음은 주님의 여러 호칭에 관해 짧게 요약해 본 글입니다.

 

주님의 신성(The Divine)은 선과 진리로 되어 있으며, 그래서 주님의 호칭들은 이와 관련이 있습니다. 즉 주님의 신성 호칭 중 선에 대한 호칭은 ‘여호와’, 진리에 대한 호칭은 ‘하나님’이시며, 주님의 신적 인성(The Divine Human) 호칭 중 선에 대한 호칭은 ‘예수’, 진리에 대한 호칭은 ‘그리스도’이십니다.

 

이에 대한 더욱 깊은 내용은 아래 제 블로그 글을 참고하세요.

 

AC.14 설명, 주님의 ‘호칭’ 관련’ (https://bygrace.kr/2637)

 

그런데 오늘 성령은 마리아에게 ‘여자 중에 네가 복이 있도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말씀은 이제까지 교회가 겪었던 모든 싸움과 수고의 결실을 이제 맺게 하겠다는 말씀입니다. 여호와 하나님이 하와에게 하신 말씀이 교회의 넘어짐과 일어섬의 반복을 예고하는 그런 말씀이라면, 이제 마리아에게 하신 말씀은 교회의 그 모든 흥망성쇠의 결실을 너를 통해 맺게 하겠다는 말씀입니다. 그래서 그것은 말할 수 없는 축복의 말씀입니다. 얼마나 감동적인 말씀입니까? 왜냐하면 마리아로 상징되는 교회는 주님께서 인류에게 주시는 마지막 교회이구요, 다시는 무너지지 않을 교회이기 때문입니다. 주님은 그 교회에 내적 진리로 오실 것을 예언하고 계십니다. 그래서 성령은 마리아에게 ‘여자 중에 네가 복이 있도다’라고 말하고, 바로 이어서 ‘네 태중의 아이가 복이 있도다’라고 말했습니다. 마리아는 조금 전에 말씀하신 것처럼 주님께서 세우시는 새 교회입니다. 그리고 태중의 아이는 그 교회에 내적 진리로 오시는 주님이십니다. 그래서 그들에게 복이 있다고 하신 것입니다.

 

43절에서 엘리사벳이 마리아에게 또 말했습니다.

 

43내 주의 어머니가 내게 나아오니 이 어찌 된 일인가

 

여기서 말하는 어머니 역시 교회를 의미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엘리사벳이 ‘내 주의 어머니가 내게 나아오니 이 어찌 된 일인가’라고 하는 것은, 참된 말씀을 아는 엘리사벳 같은 사람들이 이제 낡고 병든 교회를 떠나는 것이구요. 그러므로 내적 진리가 있는 새 교회로 나아가는 것입니다. 그것이 엘리사벳의 입장에서 본 마리아와의 만남입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오늘은 마리아와 엘리사벳의 만남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두 사람의 만남의 의미를 우리들의 얕은 믿음으로 어떻게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겠습니까? 더구나 새 교회 가르침에서는 그 의미에 대해서 소상하게 밝히지 않습니다. 다만 분명한 것은, 글자로 된 말씀이 없는 교회는 교회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주님은 그곳에 오실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마리아가 엘리사벳을 만난 것은 마리아의 입장에서는 엘리사벳이 잉태한 아기, 즉 새로운 말씀이 마리아에게 전해지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주님을 사랑하는 이방인들에게 말씀이 전해진다는 그런 뜻입니다. 주님은 그런 식으로 당신의 새 교회를 세우십니다. 우리 주변에는 주님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그럼에도 선한 삶을 사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주님은 물론 그들에게도 진리를 주십니다. 어떤 식으로 주실까요?. 다양한 종교의 교리나 세상의 상식들을 통해 주십니다. 그러나 그런 진리들은 진정한 진리들은 아닙니다. 그래서 그것만 가지고는 온전한 교회가 될 수 없습니다. 물론 그러한 진리를 가지고도 선하게 살면 자기 자신은 구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사람을 구원하지는 못합니다. 다시 말하면 그들에게 교회로서의 사명을 기대할 수 없다는 말씀입니다. 그런데 주님께서는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교회가 되기를 원하십니다.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각자의 삶을 통해 이웃들에게 주님의 진리를 전하기 원하십니다. 그리고 그런 방식으로 인류를 모두 구원하기를 원하십니다. 주님의 그런 뜻을 무겁게 받아들여야 할 것입니다.

 

마리아는 선을 그 자체로 사랑하는 순수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내적 의미로 보면 이방인이었습니다. 물론 말씀의 글자의 뜻으로 보면 유대인입니다. 그러나 내적 의미로 보면 이방인이라는 겁니다. 그래서 그는 하나님의 말씀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이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님은 그를 엘리사벳에게로 인도하시고, 그를 통해 참된 진리의 말씀을 받도록 섭리하셨습니다. 그것이 마리아의 입장에서 본 엘리사벳과의 만남입니다.

 

반면에 엘리사벳과 사가랴 부부는 참된 말씀을 주님으로부터 받았지만, 여전히 기존의 교회에 머물러 있는 사람입니다. 기존 교회에 머무는 것은 기존의 교회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새로운 진리 전체를 받아들이지 못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그러니까 주님이 주신 진리 중에서 자기가 원하는 것만을 받아들이는 것이죠. 그러므로 그것은 참된 진리와 그동안 자기가 갖고 있던 진리를 함께 섞는 일입니다. 그렇게 되면 그 진리들이 어떻게 될까요? 진리 아닌 것이 되고 맙니다. 그런 것이, 말하자면 기존의 교회에 아직 머물러 있는 상태입니다. 그렇게 볼 때, 엘리사벳의 입장에서 마리아를 만나는 것은, 낡은 교회를 떠나 순수한 교회로 나아가는 것이며, 또한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으라는 주님의 권고를 따르는 일입니다. 그래서 엘리사벳은 마리아를 보고 주님의 어머니가 나에게 나아왔다고 말했습니다. 그것은 주님의 새 교회가 나에게 왔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엘리사벳은 또 이렇게 말했습니다.

 

45절 말씀입니다.

 

45주께서 하신 말씀이 반드시 이루어지리라고 믿은 그 여자에게 복이 있도다

 

이것은 주님이 세우신 새 교회를 진심으로 축복하는 말입니다. 이 교회를 통해 주께서 이루시고자 하는 일을 믿는 자에게 복이 있도다라고 말했기 때문입니다. 새 진리를 받았으면서도 진리에 따라 결단을 내리지 못하는 분들이 주변에는 많습니다. 아직 놓지 못하는 것이 있다면 새 진리를 위해 모두 내려놓아야 합니다. 그리고 진리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오로지 나아가야 합니다. 그래야 우리들 한 사람 한 사람이 주님의 새 교회가 될 수 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새 교회는 에덴동산 이래 인류가 감당했던 모든 짐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교회입니다. 주님께서 내적 진리로 함께 하시는 교회입니다. 이 교회로 인도된 모든 성도님들께 주님의 영광이 함께하시기를 기도합니다.

 

 

말일에 여호와의 전의 산이 모든 산꼭대기에 굳게 설 것이요 모든 작은 산 위에 뛰어나리니 만방이 그리로 모여들 것이라 (사2:2)

 

아멘

 

원본

2016-05-22(D1)

청주 새 교회 이순철 목사

 

설교

2023-02-27(D2)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