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마지막 주 현재 어느 정도 정돈된 양식에 따라 기존 원고들의 틀을 소급 정비하였습니다. 그 결과 기존 녹음은 정비 전 원고 녹음이며, 현 저 하단 첨부파일과 같은 내용입니다. 아래는 새 원고로, 주석 원본 100%이며, 그래서 기존 주석 원본 첨부하던 거는 더 이상 하지 않습니다. 참고하세요.

 

 

둘째 날, 궁창(1:6-8, AC.24-26)

 

 

6하나님이 이르시되 물 가운데에 궁창이 있어 물과 물로 나뉘라 하시고 7하나님이 궁창을 만드사 궁창 아래의 물과 궁창 위의 물로 나뉘게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8하나님이 궁창을 하늘이라 부르시니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둘째 날이니라 (1:6-8) 6And God said, Let there be an expanse in the midst of the waters, and let it distinguish between the waters in the waters. 7And God made the expanse, and made a distinction between the waters which were under the expanse, and the waters which were above the expanse; and it was so. 8And God called the expanse heaven. And the evening and the morning were the second day. (Gen. 1:6-8)

 

 

지난주부터 시작한 창세기 속뜻 강해, 오늘은 1장, 그 두 번째 시간, 곧 둘째 날에 관한 내용(6-8)입니다. 1장 전체에 대한 개요는 지난주 원고를 참고하시고요, 오늘은 바로 본문 들어갑니다.

 

6, 7

6하나님이 이르시되 물 가운데에 궁창이 있어 물과 물로 나뉘라 하시고 7하나님이 궁창을 만드사 궁창 아래의 물과 궁창 위의 물로 나뉘게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24

하나님의 영, 즉 주님의 자비로 진리와 선에 관한 지식이 낮 안에 생긴 다음, 처음으로 빛이 비취는데요, 이 빛은 곧 주님이시지요, 주님은 선 그 자체, 진리 그 자체이신 분으로, 주님으로 말미암지 않고는 그 어떤 선과 진리도 없는 그런 분이십니다, 그 후, 주님은 속 사람과 겉 사람 간 일종의 어떤 구분, 구별을 두시는데, 이는 결과적으로는 속 사람에게 있는 지식(the knowledges [cognitiones])과 겉 사람에게 있는 기억-지식2(the memory-knowledges [scientifica])간 구별이 됩니다. ‘궁창’(expanse)은 속 사람을 말하며, ‘궁창 위의 물’(the waters above the expanse)은 속 사람에게 있는 지식을, 그리고 ‘궁창 아래의 물’(the waters beneath the expanse)은 겉 사람에게 있는 기억-지식을 각각 말합니다.

 

2. 지식은 우리가 “나는 단지 그렇게 생각만 하는 게 아냐. 나는 실제로 그걸 알고 있어”라고 말할 때처럼 우리가 정말로 알고 있는 것입니다. 기억-지식은 우리가 머릿속으로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신학을 비롯, 기타 온갖 종류의 아주 박식한 지식을 말합니다. 이런 말들에 대한 스베덴보리 자신의 정확한 정의는 아르카나 코엘레스티아(Arcana Coelestia) 27, 896, 1486, 2718, 5212번 글 및 리바이저의 서문을 보시기 바랍니다.

 

[2] 사람은, 거듭남이 진행되기 전에는 무슨 속 사람이라는 게 존재하는지조차, 하물며 속 사람이라는 것의 본성 및 퀄러티에 대해서는 더더욱 모릅니다. 그는 속 사람, 겉 사람이라는 것은 서로 구별할 수 있는 게 아닐지도 몰라 하기도 합니다. 그 자신, 육체적이고 세속적인 것들 속으로 가라앉으면서, 그는 속 사람에게 속한 것들까지도 그동안 가라앉게 했기 때문이며, 심지어 누가 보더라도 분명한 것들까지도 무슨 혼란스럽고 흐릿한 덩어리로 만들어버렸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먼저 이르시기를, ‘물 가운데에 궁창이 있으라’(Let there be an expanse in the midst of the waters) 하시고, 이어 ‘물과 물로 나뉘라’(Let it distinguish between the waters in the waters) 하신 것입니다. 뒤에 나오는 구절들에서처럼, ‘궁창 아래의 물과 궁창 위의 물로 나뉘게 하라’(Let it distinguish between the waters which are under the expanse and the waters which are above the expanse) 먼저 말씀하신 게 아니고 말입니다.

 

7하나님이 궁창을 만드사 궁창 아래의 물과 궁창 위의 물로 나뉘게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8하나님이 궁창을 하늘이라 부르시니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둘째 날이니라 (1:7, 8)

 

[3] 이런 이유로, 거듭나는 중인 사람이 그다음 관찰하게 되는 것은속 사람이라는 게 있다는 사실, 즉 속 사람 안에 있는 것들은 선과 진리라는 것, 오직 주님께만 속한 선과 진리라는 것이 이 속 사람이라는 것 안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지금 겉 사람은 거듭나고 있을 때선을 행해도 자기가 하는 줄로, 진리를 말해도 자기가 하는 줄로 아는 그런 본성 가운데 여전히 있지만, 사실은 주님에게 속한 이 선과 진리에 의해 인도 받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이런 이유로 궁창 아래의 물이라는 일종의 구별이 먼저 언급되고, 나중에 궁창 위의 물이 언급되는 것입니다. 이는 또한 천국에 관한 일종의 아르카눔(arcanum, 秘義, 감추어진 비밀, 신비, 복수는 아르카나 arcana)인데요, 인간은 자신의 본성(own, proprium)에 속한 것들에 의해, 그리고 감각에 속한 거짓과, 뿐만 아니라 온갖 탐욕에 의해 살아가지만, 그러나 놀랍게도 이 모든 것이 처음부터 끝까지 주님으로 말미암아 오히려 진리와 선 쪽으로 인도되며 구부려진다는 사실, 그래서 거듭남과 관련된 모든 움직임과 순간들이, 일반적으로든 아니든, 저녁에서 아침으로 나아가는데, 그런 식으로 겉 사람에서 속 사람으로, 즉 ‘땅’(earth)에서 ‘하늘’(heaven)로 진행한다는 사실입니다. 이런 이유로, 지금 궁창, 즉 속 사람을 ‘하늘’이라 하는 것이지요.

 

25

‘땅을 펼치며 하늘을 펴는’(spread out the earth and stretch out the heavens)이라는 표현은 사람의 거듭남을 다룰 때, 선지서에서 흔히 사용하는 일종의 관용적 표현입니다.

 

이사야입니다.

 

네 구속자요 모태에서 너를 지은 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나는 만물을 지은 여호와라 홀로 하늘을 폈으며 나와 함께 한 자 없이 땅을 펼쳤고 (44:24)

 

그리고 다시, 주의 오심(the advent of the Lord)을 드러내어 말하는 데를 보면,

 

상한 갈대를 꺾지 아니하며 꺼져가는 등불을 끄지 아니하고 진실로 정의를 시행할 것이며 (42:3)

 

즉, 주님은 사람들의 거짓을 멈추시지도, 탐욕을 끄지도 않으시고 대신, 그것들을 진리와 선 쪽으로 구부리십니다. 그래서 이어지는 말씀이

 

하늘을 창조하여 펴시고 땅과 그 소산을 내시며 땅 위의 백성에게 호흡을 주시며 땅에 행하는 자에게 영을 주시는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되 (42:5)

 

내용이 같은 구절들은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 위 이사야 423절 말씀, ‘상한 갈대를 꺾지 아니하며 꺼져가는 등불을 끄지 아니하고’의 속뜻이 ‘주님은 사람들의 거짓을 바로잡으시지도, 탐욕을 끄지도 않으신다(he does not break fallacies, nor quench cupidities)라는 사실이 참 놀랍습니다. 우리 같으면 거짓을 보면 얼른 바로잡아야 할 것 같고, 탐욕을 보면 얼른 꺼야 할 것 같은데 말입니다.

 

 

8

하나님이 궁창을 하늘이라 부르시니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둘째 날이니라

 

26

‘저녁’(evening), ‘아침’(morning) 및 ‘날’(day)의 의미는 위 5절에 있습니다.

 

 

주석은 여기까지이며, 위 26번 글의 천사들의 상태 관련,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아래 ‘천국과 지옥(Heaven and Hell, 김은경 역) 17장, ‘천사들의 상태변화(Changes of State of the Angels in Heaven, 154-161)를 읽어보세요.

 

 

HH.154, 17장, '천국 천사들의 상태 변화'(HH.154-161)

17천국 천사들의 상태 변화Changes of State of the Angels in Heaven 154천사들의 상태 변화라는 것은 그들의 사랑과 신앙, 거기서 나온 지혜와 지성의 변화를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들 삶의 상태가 변화

heavenanditswondersandhell.tistory.com

 

오늘은 특별히 ‘궁창(穹蒼, the expanse), 곧 ‘속 사람(the internal man)에 대해 살피고자 합니다. ‘궁창’의 속뜻이 ‘속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속 사람’에 관한 걸 주일설교 원고 몇 장으로 다 살피는 건 불가능합니다. 주님도 따로 한 날을 할애하셨던 만큼 엄청난, 그리고 아주 근본적인 주제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속 사람을 사전적으로 살피는 건 앞으로 두고두고 틈날 때마다 계속하기로 하고요, 오늘은 그 전체적인 개요와 배경 위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하나의 질문입니다. 주님은 왜 사람 안에 이 ‘궁창’이라는 것, 곧 ‘속 사람’이라는 것을 만드셨을까? 주님은 왜 사람을 ‘’과 ‘’으로, 즉 ‘속 사람’, ‘겉 사람’이라는 이런 이중구조로 디자인하셨을까? 하는 것입니다.

 

주님은 영, 즉 물질이 아니시며, 그래서 주님의 나라는 영의 나라, 곧 속 사람의 나라이기 때문입니다. 물질, 곧 사람의 몸은 영을 담는 그릇이며, 사람의 영이 몸이라는 옷을 입고 자연계에서 생활할 수 있게 하는 도구, 수단입니다. 그래서 자연계, 곧 이 세상에서 주어진 시간이 다 되면, 그동안 입고 있던 이 몸이라는 옷을 벗고, 오직 영만의 나라, 영으로만 사는 나라로 돌아가는데, 이것을 세상에서는 죽음이라 하며, 사망, 임종, 별세, 사별 등 다양하게 부르기도 합니다. 문제는 저세상은 천국만 있는 게 아니라는 것입니다. 지옥도 있어요. 살아생전 어떤 삶을 살았느냐에 따라 사후 영원한 운명이 결정되는데, 그때 보는 것이 바로 사람의 영, 곧 속 사람입니다. 이 속 사람의 상태가 세상 떠날 때까지 잘 준비되어 천국을 받을 수 있는 상태이면 천국으로, 그렇지 못하면, 즉 지옥에 합당한 상태이면 지옥으로 갑니다. 사랑 그 자체이신 주님은 모든 사람이 사후 천국에 들어오기를 원하십니다. 그래서 사람의 전 생애에 걸쳐 그와 동행하시며, 그의 속 사람이 천국 갈 상태가 되도록 그의 평생 끝까지 도우십니다. 그래서 사실 모든 사람이 웬만하면 다 쉽게 천국 갈 수 있습니다. 오히려 지옥 가기가 무척 어려울 정도입니다. 시험 볼 때 일부러 빵점 맞기가 정말 어려운 것처럼 말입니다. 이처럼 사람의 사후 영원한 운명이 바로 이 속 사람의 상태로 결정되기 때문에, 그래서 주님 창조의 여러 단계, 곧 사람의 거듭남 전 과정에서 이 속 사람 문제는 굉장히 중요합니다.

 

영계와 자연계는 모두 자기들을 지으신 창조주의 고유 본성을 따르게 됩니다. 마치 어떤 작품이 그 작가를 반영하듯 말입니다. 창조주이신 주님의 고유 본성을 신성(神性, the Divine)이라 합니다. 주님의 신성은 사랑의 선과 신앙의 진리로 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천국도 천적 나라와 영적 나라로 나뉘는데요, 다음은 관련 글입니다.

 

주님으로부터 나오는 신성을 더 내적으로(內的, more interiorly) 받는 천사들이 있고, 덜 내적으로 받는 천사들이 있다. 더 내적으로 받는 천사들은 천적 천사들(天的, celestial angels)이라 하고, 덜 내적으로 받는 천사들을 영적 천사들이라 한다. 이에 따라 천국이 두 나라로 구분되는 것이다. 하나는 천적 나라(the celestial kingdom) , 다른 하나는 영적 나라라 한다.28

 

28. 천국은 전체적으로 두 나라, 곧 천적 나라와 영적 나라로 나누어진다 (AC.3887, 4138). 천적 나라 천사들은 주님의 신성을 마음으로 원하는 파트(voluntary part) , 곧 의지(will) 안으로 받는다. 그래서 영적 천사들, 곧 주님의 신성을 지적 파트(intellectual part), 즉 이해(understanding) 안으로 받는 천사들보다 훨씬 더 내적이다 (AC.5113, 6367, 8521, 9936, 9995, 10124).

 

(HH.21, 4, ‘천국은 두 나라로 구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람의 이중구조가 시작되는데, 먼저는 영과 육으로, 다음 영, 곧 속 사람은 의지와 이해로 되어 있습니다. 다음은 사람의 이 구조와 관련, 사람과 천국, 사람과 지옥이 어떻게 연결되는가 하는 글들입니다.

 

각 사람에게는 선한 영들과 악한 영들이 와있다. 선한 영들을 통해서는 사람은 천국과 결합되고, 악한 영들을 통해서는 지옥과 결합된다. 이 영들은 천국과 지옥 사이에 놓여있는 중간 영계에 있다. 이곳에 대해서는 앞으로 특별히 다룰 것이다. 이 영들이 사람에게 오면 사람의 기억 전체 안으로 들어가고, 그렇게 해서 생각 전체에 들어간다. 이때 악한 영은 사람의 악한 기억과 생각 속으로, 선한 영은 선한 기억과 생각 속으로 들어간다. 이 영들은 자기들이 사람과 같이 있다는 것을 전혀 의식하지 못한다. 그들이 사람과 같이 있을 때, 그 사람의 모든 기억과 생각이 자기 것인 줄 안다. 또 그들에게는 그 사람이 보이지 않는다. 우리 태양계 내의 것은 아무 것도 그들 시각에 들지 않기 때문이다.204 주께서는 영들이 자기가 사람과 같이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도록 각별히 배려하신다. 만일 그들이 알아차리면 사람에게 말을 걸 것이고, 그렇게 되면 악한 영의 경우, 사람을 파괴하려 들기 때문이다. 악한 영들은 지옥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그들이 가장 바라는 것은 바로 사람의 영혼을, 즉 그의 신앙과 사랑을 파괴하고, 사람의 몸까지도 파괴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영들이 사람과 대화를 하지 않으면 그런 일이 없다. 이 경우, 그들은 자기의 말과 생각이 사람에게서 온 것임을 의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들이 서로 나누는 말도 사람에게서 온 것인데도 그들은 자기가 하는 생각과 말이 자기 것인 줄 믿는다. 그리고 누구나 자기 것은 소중히 여기고 사랑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영들은 사람을 소중히 여기고 사랑하도록 그들이 모르는 제재를 받는다. 나는 여러 해 동안 계속되는 경험의 결과로 사람과 영들과의 이러한 결합에 대해 너무도 잘 알게 되었다. 내가 이보다 더 잘 아는 것이 없을 정도이다.

 

204. 각 사람에게 와있는 천사들과 영들이 있다. 그들로 인해 사람은 영계와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이다 (AC.697, 2796, 2886, 2887, 4047, 4048, 5846–5866, 5976–5993). 자기에게 와있는 영들이 없으면 사람은 살 수 없다 (AC.5993). 사람은 영들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영들 또한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 (AC.5862). 영들은 자기들이 말하고 있는 사람을 제외하고는 그 어떤 사람에게 속한, 우리 태양계 내 그 어떤 것도 볼 수 없다 (AC.1880).

 

(HH.292, 33, ‘천국과 인류는 결합되어 있다’)

 

지옥과 교통하는 영들 역시 사람에게 와있는 이유는, 사람이 모든 악을 지니고 태어나기 때문이며, 따라서 사람의 생명이 전적으로 악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자신과 동질의 영이 함께 있지 않으면, 사람은 살 수도 없고, 사실상 그의 악에서 떠날 수도, 개선될 수도 없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은 악한 영들에 의해서 자아의 생명 안에 머물고, 동시에 선한 영들에 의해서 거기서 물러나는 것이다. 그리고 양쪽에 의해 균형이 유지되고, 균형이 유지되기 때문에 자유가 있다. 따라서 악에서 떠날 수 있고, 선 쪽으로 돌아설 수 있는 것이며, 그렇게 해서 선이 사람 안에 심길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사람에게 자유가 없으면 전혀 불가능하다. 그리고 사람은 지옥 측 영들이 한쪽에서 작용하고, 천국 측 영들이 다른 한쪽에서 작용하는 그 중간에 있을 때만 자유로울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람의 생명이 그 타고난 것에 들어 있고, 따라서 자기 본성에 들어 있는 한, 만일 악 안에 있는 것이 허락되지 않으면, 그에게 생명이 있을 수 없다. 또 사람에게 자유가 없으면 생명이 있을 수 없다. 그리고 사람은 강제로 선해질 수 없다. 강제로 하는 것은 오래 남지 않는다. 사람이 자유 안에서 받아들이는 선은 그의 의지 안에 심어져 그 자신의 것처럼 된다.205 이런 이유로 사람은 지옥과 교통하고, 또 천국과 교통하는 것이다.

 

205. 모든 자유는 사랑과 애정에 관련되는데, 이는 사람은 자기가 사랑하는 것을 자유롭게 행하기 때문이다 (AC.2870, 3158, 8987, 8990, 9585, 9591). 자유라는 것은 사람의 사랑에 속하듯 사람의 생명에도 속한다 (AC.2873). 자유로 말미암은 게 아니면 그 어떤 것도 사람의 고유 본성으로 보이지 않는다 (AC.2880). 사람은 그가 개혁될 수 있기 위해 반드시 자유로워야 한다 (AC.1937, 1947, 2876, 2881, 3145, 3146, 3158, 4031, 8700). 안 그러면 선과 진리에 대한 사랑이 사람 안에 심길 수 없고, 겉으로 보기에 그의 고유 본성처럼 보일 수 없다 (AC.2877, 2879, 2880, 2883, 8700). 강요로 말미암는 그 어떤 것도 사람하고 결합되지 않는다 (AC.2875, 8700). 만일 사람이 강요에 의해 개혁될 수 있다면 모든 사람이 개혁될 것이다 (AC.2881). 개혁에 있어 강요는 해로운 것이다 (AC.4031). 강요의 상태들 (AC.8392).  

 

(HH.293, 33, ‘천국과 인류는 결합되어 있다’)

 

좀 깊어 보이는 이런 글들을 이렇게 앞당겨 소개하는 이유는, 이런 사실들을 미리 알고 있으면, 우리 속 사람을 잘 관리하는 일에 백 번 유익하기 때문인데, 우선 저부터도, 혹시 어떤 안 좋은 기억이나 생각이 떠오를 때, 그 생각에서 이제는 자연스럽게 한발 물러납니다. 그 생각은 내가 하는 것이 아니라 내게 와있는 악한 영들이 하는 것인 줄을 이제는 알기 때문이지요. 이런 것이 삶의 전반에 적용, 충분히 숙달되면서 예전의 그 흐릿한 삶에서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입니다. 그래서 궁창, 곧 속 사람을 들여다보는 오늘, 처음부터 이런 깊은 글들을 인용, 소개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스베덴보리를 통해 이런 걸 오픈하신 주님의 뜻이기도 하고 말입니다.

 

다음은 우리에게 익숙한, 누가복음 15장, 소위 ‘돌아온 탕자’의 비유입니다.

 

11또 이르시되 어떤 사람에게 두 아들이 있는데 12그 둘째가 아버지에게 말하되 아버지여 재산 중에서 내게 돌아올 분깃을 내게 주소서 하는지라 아버지가 그 살림을 각각 나눠 주었더니 13그 후 며칠이 안 되어 둘째 아들이 재물을 다 모아 가지고 먼 나라에 가 거기서 허랑방탕하여 그 재산을 낭비하더니 14다 없앤 후 그 나라에 크게 흉년이 들어 그가 비로소 궁핍한지라 15가서 그 나라 백성 중 한 사람에게 붙여 사니 그가 그를 들로 보내어 돼지를 치게 하였는데 16그가 돼지 먹는 쥐엄 열매로 배를 채우고자 하되 주는 자가 없는지라 17이에 스스로 돌이켜 이르되 내 아버지에게는 양식이 풍족한 품꾼이 얼마나 많은가 나는 여기서 주려 죽는구나 18내가 일어나 아버지께 가서 이르기를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사오니 19지금부터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나를 품꾼의 하나로 보소서 하리라 하고 20이에 일어나서 아버지께로 돌아가니라 아직도 거리가 먼데 아버지가 그를 보고 측은히 여겨 달려가 목을 안고 입을 맞추니 21아들이 이르되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사오니 지금부터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하나 22아버지는 종들에게 이르되 제일 좋은 옷을 내어다가 입히고 손에 가락지를 끼우고 발에 신을 신기라 23그리고 살진 송아지를 끌어다가 잡으라 우리가 먹고 즐기자 24이 내 아들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으며 내가 잃었다가 다시 얻었노라 하니 그들이 즐거워하더라 (15:11-24)

 

이 비유에서 흥미로운 점은 그가 의뢰하던 겉의 것들, 곧 처음엔 재산, 나중엔 일자리를 통한 벌이, 곧 요즘으로 말하면 일용직, 막노동마저 어려워 굶어 죽게 되자 비로소 그의 입에서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사오니 지금부터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라는, 곧 속에 속한 것들이 나오더라는 것입니다. 이런 것이 지난 주 말씀드린 리메인스입니다. 겉의 것들이 죽은 상태가 되어야 비로소 깨어나는, 주님이 이때 쓰시려고 우리 안에 유아 시절부터 차곡차곡 소중히 쟁여오신다는 리메인스 말입니다. 온통 겉 사람의 삶에만 정신 못 차리며 살아온 우리는 이 리메인스로 말미암아 비로소 속 사람의 존재를 지각, 각성하여 새 삶, 곧 거듭남의 삶, 그 여정을 시작하는 것입니다.

 

그래도 역시 속 사람 관련 이야기의 하이라이트는 사후 전개되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입니다. 사후세계, 곧 영계는 겉 사람인 이 육을 벗고, 오직 속 사람으로만 가는 나라이기 때문입니다.

 

먼저 사람의 사후 첫 번째 상태입니다.

 

사람이 죽은 뒤 천국이나 지옥으로 가기 전에 거치는 세 상태가 있다. 첫째 상태는 사람의 외면의 상태(the state of his exteriors)이고, 둘째 상태는 그의 내면의 상태(the state of his interiors)이고, 셋째 상태는 준비하는 상태(state of preparation)이다. 이런 상태들을 사람은 중간 영계(the world of spirits, 영들의 세계)에서 거친다. 그러나 이런 상태들을 거치지 않고, 죽은 후 곧바로 천국에 올라가거나 지옥에 떨어지는 사람들도 있다. 곧바로 천국에 올라가는 사람들은 세상에 살 때 거듭남이 완료되어 천국에 갈 준비가 된 사람들이다. 자연적인 불순한 것을 몸과 함께 벗어버리기만 하면 되도록 거듭남이 완료되고 준비된 사람들은 즉시 천사들이 천국으로 데려간다. 죽은 뒤 곧 그렇게 올라가는 사람들을 나는 보았다. 반면, 내면은 사악하면서 겉으로는 선을 가장한 사람들, 그렇게 선을 속임의 수단으로 사용하여 그들의 악함을 속임수로 가득 채운 사람들은 곧바로 지옥에 떨어진다. 나는 그런 사람들이 죽은 뒤 즉시 지옥에 떨어지는 것을 보았는데 그중 가장 기만적인 자 중 하나는 머리를 아래로 하고 발을 위로 한 채였고, 다른 자들은 또 다른 식으로 떨어졌다. 죽은 다음 곧바로 동굴로 던져져 중간 영계에 있는 사람들로부터 격리되는 영들이 있다. 이들은 차례로 동굴에서 끌려 나왔다가 다시 들어간다. 이들은 겉으로는 사회적 규범을 지켰지만, 이웃에 대한 행위의 의도가 악한 사람들이다. 그러나 이 모두는 중간 영계에 머물면서 신적 질서에 따라 천국이나 지옥으로 가게 되는 준비 과정을 거치는 사람들에 비하면 아주 적은 수다.

 

(HH.491, 51, ‘사람의 사후 첫 번째 상태’)

 

그리고 다음은 잠깐, 윗글에 나온 ‘중간 영계’에 관한 글입니다. 이 중간 영계에 관한 이해가 같이 좀 필요한 이유는 이 사후 상태들에 대한 것들이 모두 이 중간 영계에서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중간 영계는 천국도 아니고 지옥도 아닌, 그 사이의 지역, 즉 상태다. 사람이 죽으면 가장 먼저 도착하는 곳이 이곳이다. 여기서 필요한 만큼 머물고 난 후, 그 사람이 이 세상에서 어떻게 살았는가에 따라서 천국으로 올라가거나 지옥에 던져진다.

 

(HH.421, 44, ‘영들의 세계란 무엇인가’)

 

중간 영계는 천국과 지옥의 중간 지역이며, 또한 사람의 사후의 중간 상태다. 나는 천국이 그 위에 있고, 지옥은 그 아래 있는 것을 보고 그곳이 중간 지역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곳에 있는 영들은 아직 천국에도 지옥에도 가지 않은 상태임을 보고 그것이 중간 상태임을 알게 되었다. 사람 안에 있는 천국은 바로 그 사람 안의 선과 진리가 하나 된 상태다. 또 사람 안의 지옥은 그 사람 안의 악과 거짓이 하나 된 상태다. 영인 안에서 선이 진리와 하나 되면 그는 천국에 이른다. 이미 말했듯이 그 하나 됨이 사람 안의 천국이기 때문이다. 반대로 사람 안에서 악이 거짓과 하나 되면 그는 지옥에 이른다. 그 하나 됨이 사람 안의 지옥이기 때문이다. 이 하나 됨의 과정은 중간 영계에서 일어난다. 사람은 그때 중간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선과 진리의 하나 됨을 사고력과 의지의 하나 됨이라 해도 같은 말이다.

 

(HH.422, 44, ‘영들의 세계란 무엇인가’)

 

아, 그리고 이 중간 영계 얘기만 나오면 늘 바로잡느라 말씀드리는 연옥 얘기인데요, 아래 링크를 참고하셔서 혼동하지 않으시기 바랍니다.

 

 

‘영들의 세계(The world of spirits)는 연옥(煉獄, Purgatory)이 아닙니다. 연옥은 허구이며, 소설입니다.

스베덴보리(Emanuel Swedenborg, 1688-1772, 스웨덴)는 계시록에 관한 두 개의 저작을 남겼습니다. 하나는 ‘계시록 해설’(Apocalypse Explained)이고, 다른 하나는 ‘계시록 속뜻’(Apocalypse Revealed, 1766)입니다

bygrace.kr

 

다음은 사람의 사후 두 번째 상태입니다.

 

사람의 사후 둘째 상태를 자기 내면의 상태(the state of his interiors)라고 부른다. 그때 사람은 자기 마음의 내면(the interiors of his mind), 즉 그의 의지와 사고 안으로 들어가게 되기 때문이다. 그가 첫째 상태에 있을 때 그 안에 있었던 외면들(exteriors)은 이때 휴면 상태에 들어간다. 사람의 말과 행동과 생활을 생각해 보면, 모든 사람에게 외면과 내면, 즉 생각과 의도의 겉과 속(exterior and interior)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사회생활에서 사람이 남들에 대해 알려진 것이나 들리는 말에 의해 그들을 판단하면서도 자기 생각을 그들에게 대놓고 말하지 않으며, 그들이 악하더라도 그들을 대할 때는 예의 바르게 행동한다는 사실로 이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자기 생각과 의도와 전연 다르게 말하고 행동하는 가식적인 사람이나 아첨하는 사람들, 그리고 위선자들에게서 볼 수 있다. 이들은 하나님, 천국, 영혼 구원, 교회의 진리, 나라의 유익과 이웃에 대해서 믿음과 사랑에서 우러난 듯이 말하지만, 진심으로는 그렇게 믿지 않으며 자기 자신만 사랑하는 것이다.

 

[2] 이 모든 사실로 분명해지는 것은 사람에게는 겉과 속이 있다는 것, 속 생각으로는 다른 감정을 품고 있으면서 겉 생각에서 나온 말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 그리고 사람은 내면이 외면으로 흘러들어 드러나지 않도록 주의하기 때문에 속 생각과 겉 생각이 분리되어 있다는 점이다. 사람은 속 생각과 겉 생각이 상응으로 하나가 되도록 창조되었다. 그리고 선한 사람들 안에서는 실제로 그 두 생각은 하나가 된다. 그들은 생각도 말도 선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악한 사람들의 속 생각과 겉 생각은 하나가 되지 못한다. 그들이 악한 생각을 하면서 선한 말을 하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들에게는 질서가 거꾸로 뒤집혀 있다. 그들에게는 선이 바깥으로 밀려나 있고, 악이 안에 들어 있다. 따라서 그들의 악이 선을 지배하여 종으로 부리는데 이는 그들의 사랑과 동일한 악이 목적하는 바를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선을 이용하기 위해서다. 그들이 추구하고 행하는 선 안에 악한 목적이 들어 있으므로, 그들의 내면을 잘 모르는 사람들 눈에 아무리 겉으로 선하게 보여도, 그들의 선은 분명 선이 아니며 악에 오염되어 있다.

 

[3] 선한 사람들은 이와 다르다. 그들에게는 질서가 바로 되어 있다. 속 생각에서 나온 선이 겉 생각으로 흘러들고, 거기서 말과 행동 속으로 흘러든다. 사람은 원래 이 질서에 맞게 창조되었다. 천국의 빛 안에 있으면 사람의 내면은 그 질서대로 되어 있다. 천국의 빛은 주님으로부터 나오는 신적 진리이고, 따라서 천국 안의 주님이시므로 (126–140), 천국의 빛 안에 있는 사람은 주님의 인도를 받는 것이다. 이상의 내용을 밝힌 것은 모든 사람에게 속 생각과 겉 생각이 있고, 그 둘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다. 여기서 생각이라는 말에는 의지도 포함된다. 생각은 의지에서 나오는 것이고, 의지 없는 생각이라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로써 사람의 외면의 상태와 내면의 상태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분명해졌을 것이다.

 

(HH.499, 52, ‘사람의 사후 두 번째 상태’)

 

끝으로, 사람의 사후 세 번째 상태가 있지만, 이는 오직 천국 갈 사람에게만 해당되며, 관련 장 링크로 대신합니다.

 

위 각 상태에 대한 글들은 모두 해당 장 첫 번째 글들입니다. 그 후속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각각의 장 링크를 따라가 계속 리딩하시기 바랍니다. 부디 꼭 읽으시기 바랍니다. 여러 번이요!

 

순서대로

 

 

HH.491, 51장, '사람의 사후 첫째 상태'(HH.491-498)

51사후 사람의 첫 번째 상태The First State of Man after Death 491사람이 죽은 뒤 천국이나 지옥으로 가기 전에 거치는 세 상태가 있다. 첫째 상태는 사람의 외면의 상태이고, 둘째 상태는 그의 내면의 상

heavenanditswondersandhell.tistory.com

 

HH.421, 44장, '중간 영계란 무엇인가?'(HH.421-431)

44영들의 세계란 무엇인가What the World of Spirits Is 421중간 영계는 천국도 아니고 지옥도 아닌 그 사이의 지역, 즉 상태다. 사람이 죽으면 가장 먼저 도착하는 곳이 이곳이다. 여기서 필요한 만큼 머

heavenanditswondersandhell.tistory.com

 

HH.499, 52장, '사람의 사후 둘째 상태'(HH.499-511)

52사후 사람의 두 번째 상태The Second State of Man after Death  499사람의 사후 둘째 상태를 자기 내면의 상태라고 부른다. 그때 사람은 자기 마음의 내면, 즉 그의 의지와 사고 안으로 들어가게 되기 때

heavenanditswondersandhell.tistory.com

 

HH.512, 53장, '사람의 사후 셋째 상태'(HH.512-520)

53사후 사람의 세 번째 상태, 천국에 들어가는 사람들을 위한 오리엔테이션 상태Third State of Man after Death, Which Is a State of Instruction for Those Who Enter Heaven  512죽은 후의 사람, 즉 영의 셋째 상태는 교

heavenanditswondersandhell.tistory.com

 

오늘은 창조 그 두 번째 날, 곧 거듭남 그 두 번째 상태를 살폈습니다. 특히 ‘궁창’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궁창의 속뜻은 ‘속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주님의 사람 창조 이야기의 목적은 결국 천국을 사람으로 가득 채우기 위해서이며, 그래서 이 ‘궁창’, 곧 ‘속 사람’이 중요합니다. 사람의 거듭남은 결국 이 속 사람의 상태를 준비하는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부디 이 속 사람이 주님의 이 대하드라마를 관통하는 단 하나의 키워드임을 기억, 자나 깨나 자신의 속 사람 상태에 공을 들이시는 삶과 일상 살아가시기를 간절히 축원합니다. 아멘!

 

설교

2025-07-27(D1)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2025-07-27(D1)-주일예배(2608, 창1,6-8, AC.24-26), ‘둘째 날, 궁창’의 속뜻.pdf
0.47MB

 

아래 링크는 오늘 설교의 유튜브 오디오입니다.

 

 

주일예배(2025/8/3, 창1:9-13), ‘셋째 날, 풀, 채소, 나무’의 속뜻

‘셋째 날, 풀, 채소, 나무’의 속뜻 (창1:9-13) 9하나님이 이르시되 천하의 물이 한곳으로 모이고 뭍이 드러나라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10하나님이 뭍을 땅이라 부르시고 모인 물을 바다라 부르시

bygrace.kr

 

주일예배(2025/7/20, 창1:1-5), ‘첫째 날, 리메인스’의 속뜻

‘첫째 날, 리메인스’의 속뜻 (창1:1-5) 1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2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 3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bygrace.kr

 

Posted by bygracetistory
,

9월 마지막 주 현재 어느 정도 정돈된 양식에 따라 기존 원고들의 틀을 소급 정비하였습니다. 그 결과 기존 녹음은 정비 전 원고 녹음이며, 현 저 하단 첨부파일과 같은 내용입니다. 아래는 새 원고로, 주석 원본 100%이며, 그래서 기존 주석 원본 첨부하던 거는 더 이상 하지 않습니다. 참고하세요.

 

 

첫째 날, 리메인스(remains)(1:1-5, AC.16-23)

 

 

1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2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 3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 4빛이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이 빛과 어둠을 나누사 5하나님이 빛을 낮이라 부르시고 어둠을 밤이라 부르시니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 날이니라 (1:1-5) 1In the beginning God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 2And the earth was a void and emptiness, and thick darkness was upon the faces of the deep. And the spirit of God moved upon the faces of the waters. 3And God said, Let there be light, and there was light. 4And God saw the light, that it was good; and God distinguished between the light and the darkness. 5And God called the light day, and the darkness he called night. And the evening and the morning were the first day. (Gen. 1:1-5)

 

 

오늘부터 창세기, 출애굽기 속뜻 강해를 시작합니다. 창세기 50장, 출애굽기 40장, 총 90장을 달에 한 장씩 하면 살짝 여유롭게 8년 걸립니다. 가끔 절기 설교도 해야 하니 말입니다. ‘아르카나 코엘레스티아(Arcana Coelestia, 1749-1756, 라틴, 창, 출 속뜻 주석) 마지막 글 번호가 10,837이니 매주 평균 30여 개의 글을 읽어야 합니다. 마칠 때쯤이면 제 나이 7학년 초중반이 될 테니 아예 할 때 번역도 병행해야 하고 말입니다. 이런 걸 스베덴보리는 8년에 걸쳐 기록했군요. 신기하네요. 기록도 8년, 번역 및 설교도 8년... 컴퓨터도 없던 시절, 오직 종이와 펜으로만 모든 걸 해야만 했던 시절, 주님의 입에서 나오는 풀이를 딕테이션하느라 보냈을 스베덴보리의 8년의 일상이 어땠을지가 눈에 선합니다. 그의 나이 61세에 시작한 일입니다. 더더욱 그는 거의 매일 주님의 부르심으로 영계 체험을 병행하는 가운데 절대적으로 시간도 많이 부족했을 텐데... 하루하루 정말 치열한 삶을 살았음을 안 보고도 알겠습니다. 주님이 250년 전 스베덴보리와 함께하신 것처럼, 오늘 제게도 그리하시기를 간절히 소원합니다.

 

바로 첫째 날 본문으로 들어가지만, 아무래도 당분간은 전반적인 배경 이야기를 중간중간 좀 하게 될 것 같습니다. 스베덴보리도 마치 하얀 백지 위에 점과 선 그려나가듯 처음엔 매우 조금씩, 가급적 자세한 설명, 깊은 배경 이야기는 자제하면서 살살 풀어나가고 있습니다. 저도 그래야 할 것 같습니다. 시작합니다.

 


창세기 속뜻 강해, 오늘은 1장 첫 번째 시간으로, 1절로 5절, ‘첫째 날, 리메인스’의 속뜻 시간입니다. 먼저 그 개요 및 배경 설명입니다. (AC.6-15)

 

6

6일이라는 기간은, 사람의 거듭남 전 과정 가운데 연이어 일어나는 수많은 상태를 말하는데, 보통은 다음과 같습니다.

7

첫 번째 상태는, 유아기 상태와 거듭남이 시작되기 직전 상태 둘 다를 포함하는 선행 상태입니다. 이것을 ‘혼돈’(void), ‘공허’(emptiness), ‘흑암’(thick darkness)이라고 하며, 그 첫 번째 움직임이, 곧 주님의 자비(the Lord’s mercy)인데요,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the spirit of God moving upon the faces of the waters)입니다.

 

8

두 번째 상태는, 주님에게 속한 것들과 사람에게나 어울리는 것들 사이 구별이 생기는 때입니다. 주님에게 속한 것들을 ‘리메인스’(remains, 남은 자)라 하는데, 여기서는 특별히 신앙 관련 지식들, 그러니까 유아기 때부터 배워 온, 그리고 그렇게 차곡차곡 쌓인, 그러나 사람이 이 상태에 이를 때까지는 드러나지 않는, 그런 신앙 지식들을 말합니다. 오늘날엔 이 상태는 쉽게 보기 어려운데요, 몸과 세상에 속한 것들, 그러니까 인간한테나 어울리는 이런 일시적인 것들에 푹 빠져 정신 못 차리고 살다가 인생의 큰 시험이나 불행, 혹은 큰 슬픔을 만나면 그제서야 그런 삶이 마치 죽어버리기라도 한 듯 멈추고, 정신이 번쩍 들기 때문입니다. 이때 겉 사람(the external man)에게 속한 것들이 속 사람(the internal man)에게 속한 것들로부터 분리됩니다. 즉 일시적인 것, 썩어 없어질 물질적인 것들의 정체를 깨닫게 되는 때이지요. 이 속 사람 안에 앞서 말한 리메인스가 있는데, 이것은 주님이 이때, 그러니까 이 두 번째 상태 때 쓰시려고 그의 속 사람 안에 차곡차곡 보관하신 것들입니다.

9

세 번째 상태는, 회개(repentance) 상태입니다. 이 상태에서 사람은 속 사람으로 말미암아 경건하고 독실하게 말하며, 체어리티(charity, 이웃 사랑) 같은 선을 행합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 거기에는 생명이 없는데, 그 이유는 그가 이 모든 걸 자기가 하는 걸로 여기기 때문입니다. 즉 그 공을 자신에게 돌리기 때문이지요. 이런 선을 ‘풀’(tender grass), ‘씨 맺는 채소’(herb yielding seed), 그리고 나중에는 ‘열매 맺는 나무’(tree bearing fruit)라고 합니다.

 

10

네 번째 상태는, 사람이 사랑스럽고 애정 어린 사람이 되고, 신앙으로 빛나는 사람이 되었을 때입니다. 그는 이전에 실제로 경건한 담론도 하고, 선도 행했습니다. 그러나 그건 그가 수고한, 즉 자초한 시험과 엄격함의 결과이지, 신앙과 체어리티로 한 게 아닙니다. 하지만 이제는 사랑의 애정으로, 그리고 빛을 받은 신앙으로 하게 되었고, 그런 까닭에, 이제 신앙과 체어리티는 그의 속 사람 안에서 활활 불타오르는데, 이를 두 ‘광명체’(two luminaries)라고 합니다.

11

다섯 번째 상태는, 사람이 신앙의 담론을 하며, 그럼으로써 자신이 진리와 선 안에 있음을 확증하는 때입니다. 그때 사람한테서 나오는 것들이 살아 움직이는데, 이를 일컬어 ‘바다의 물고기’(fish of the sea), ‘하늘의 새’(birds of the heavens)라고 합니다.

 

12

여섯 번째 상태는, 사람이 신앙으로, 그리고 그로 말미암아 사랑으로 참된 것을 말하고, 선한 일을 행하는 때입니다. 그때 사람한테서 나오는 것들을 일컬어 ‘생물’(living soul)과 ‘가축’(beast)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때 사람은 신앙과 사랑 둘 다를 가지고 바로 행동을 시작하기 때문에, 영적 인간(spiritual man)이 되며, 이런 그를 일컬어 ‘형상’(image)이라고 합니다. 그의 영적 삶(생활, 생명)은 신앙에 속한 지식과 체어리티에 속한 행위로 말미암아 기쁜 삶이 되며, 또 유지됩니다. 이런 지식과 행위를 일컬어 그의 ‘먹을거리’(food)라고 합니다. 반면, 그의 자연적 삶은 몸과 몸의 감각에 속한 것들로 말미암아 기쁜 삶이 되고 유지되는데, 바로 이 지점이 영적 전투가 벌어지는 곳입니다. 그의 안에서 사랑이 주(, the dominion)가 되며, 그가 천적 인간(天的, celestial man)이 될 때까지 말이지요.

13

거듭나는 중인 사람들이 모두 이 상태에 도달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늘날 사람들의 대부분은 첫 번째 상태까지만입니다. 그중 일부만 두 번째, 그 밖의 사람들이 세 번째, 네 번째와 다섯 번째, 그리고 아주 적은(few) 수가 여섯 번째에 이르고, 일곱 번째 상태에 도달하는 사람은 거의(scarcely) 없습니다.

 

14

이어지는 글 가운데서 ‘주님’(the Lord)이라는 이름은 세상의 구주이신 예수 그리스도, 오직 그분만 의미합니다. 그분은 앞뒤 무슨 다른 이름을 덧붙이는 거 없이 오직 ‘주님’으로만 일컬음 받으십니다. 온 천국에 걸쳐 그분은 주님으로 인식되시며, 사랑과 공경을 받으십니다. 모든 천국과 지상에서 오직 그분만이 모든 권세를 가진 분이시기 때문이지요. 그분은 제자들에게 친히 자신을 그렇게 부르라 명하셨습니다.  

 

너희가 나를 주라 하니 너희 말이 옳도다 내가 그러하다 (13:13)

 

그래서 그분의 부활 후, 제자들은 그분을 오직 ‘주님’으로만 불렀습니다.

 

15

천국 전체가 오직 주님 외에 무슨 다른 아버지라는 건 없음을 알고 있습니다. 그분과 아버지는 하나이시기 때문인데요, 이는 아래와 같이 그분 자신 친히 말씀하신 사실입니다.

 

6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 8빌립이 이르되 주여 아버지를 우리에게 보여 주옵소서 그리하면 족하겠나이다 9예수께서 이르시되 빌립아 내가 이렇게 오래 너희와 함께 있으되 네가 나를 알지 못하느냐 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거늘 어찌하여 아버지를 보이라 하느냐 10내가 아버지 안에 거하고 아버지는 내 안에 계신 것을 네가 믿지 아니하느냐 내가 너희에게 이르는 말은 스스로 하는 것이 아니라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셔서 그의 일을 하시는 것이라 11내가 아버지 안에 거하고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심을 믿으라 그렇지 못하겠거든 행하는 그 일로 말미암아 나를 믿으라 (14:6, 8-11)

 

 

아래부터 오늘 본문입니다.

 

1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16

태고(太古, The most ancient time)를 ‘태초’(太初, the beginning)라고 합니다. 선지서 여러 곳에서는 이때를 ‘옛날’(days of old, [antiquitatis])이라 하기도 하고, ‘영원’(days of eternity)이라 하기도 합니다. ‘태초’는 또한 거듭나는 중인 사람의 첫 번째 시기, 기간을 말하기도 하는데요, 이때 사람은 새롭게 태어나고, 생명을 받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거듭남 자체를 사람의 ‘새 창조’(new creation of man)라고도 하지요. 선지서들 가운데 거의 모든 곳에서 ‘창조하다’(create), ‘짓다’(form), ‘만들다’(make)라는 표현들은 그 상징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지만, 다 거듭남을 의미합니다.

 

이사야를 보면

 

내 이름으로 불리는 모든 자 곧 내가 내 영광을 위하여 창조한 자를 오게 하라 그를 내가 지었고 그를 내가 만들었느니라 (43:7)

 

그리고 그래서 같은 선지서에서 주님은 ‘구속자’(redeemer), ‘태에서부터 지으신 이’(former from the womb), ‘만드신 이’(maker) 및 ‘창조자’(creator)라 일컬음을 받으십니다.

 

나는 여호와 너희의 거룩한 이요 이스라엘의 창조자요 너희의 왕이니라 (43:15)

 

시편에서는

 

이 일이 장래 세대를 위하여 기록되리니 창조함을 받을 백성이 여호와를 찬양하리로다 (102:18)

 

주의 영을 보내어 그들을 창조하사 지면을 새롭게 하시나이다 (104:30)

 

‘천’(, heaven)은 속 사람을, ‘지’(, earth)는 아직 거듭나기 전인 겉 사람을 의미한다는 것은 이어지는 내용들을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2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

 

17

거듭남이 시작되기 전 상태에 있는 사람을 가리켜 ‘혼돈하고 공허한 땅’(earth void and empty), 또 거기에 선과 진리가 전혀 파종되지 않은 ‘지면’(ground)이라고도 합니다. 여기서 ‘혼돈’(void)은 선이 하나도 없는 상태를, ‘공허’(empty)는 진리가 하나도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그 결과, ‘흑암’(thick darkness) 상태, 즉 어리석은 상태가 되며, 주님 신앙(faith in the Lord)에 속한 모든 것에, 그래서 결과적으로는 영적 천적 생명(삶)(spiritual and heavenly life)에 관한 모든 것에 대해 무지한 상태가 됩니다.

 

그런 사람에 관해 주님은 예레미야에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십니다.

 

22내 백성은 나를 알지 못하는 어리석은 자요 지각이 없는 미련한 자식이라 악을 행하기에는 지각이 있으나 선을 행하기에는 무지하도다 23보라 내가 땅을 본즉 혼돈하고 공허하며 하늘에는 빛이 없으며 (4:22, 23)

 

18

‘깊음 위’(faces of the deep)는 거듭나지 않은 상태에 있는 사람의 탐욕(the cupidities of the unregenerate man)과 거기서 나오는 거짓인데, 그는 전적으로 이런 것들의 사람이며 이런 것들 안에 완전히 잠긴 사람입니다. 이 상태는 빛이라는 게 전혀 없는 상태로, 그는 무슨 ‘깊음’(deep)과도 같은, 뭔가 희미하고 혼란스러운 그런 상태입니다. 이런 사람들을 가리켜 말씀 여러 곳에서는 표현하기를 ‘깊음’(deeps), ‘바다 깊은 곳’(depths of the sea)이라 하는데, 이는 ‘말리신’(dried up) 상태, ‘황폐해진’(wasted) 상태를 말합니다. 사람이 거듭나기 전 상태이지요.

 

이사야입니다.

 

9여호와의 팔이여 깨소서 깨소서 능력을 베푸소서 옛날 옛 시대에 깨신 것 같이 하소서 라합을 저미시고 용을 찌르신 이가 어찌 주가 아니시며 10바다를, 넓고 깊은 물을 말리시고 바다 깊은 곳에 길을 내어 구속받은 자들을 건너게 하신 이가 어찌 주가 아니시니이까 11여호와께 구속받은 자들이 돌아와 노래하며 시온으로 돌아오니 영원한 기쁨이 그들의 머리 위에 있고 슬픔과 탄식이 달아나리이다 (51:9-11)

 

이런 사람은 또한 하늘에서 보면, 생기라고는 전혀 없는, 무슨 까만 덩어리로 보이는데요,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표현에는 인간의 황폐함(the vastation of man)이라는, 선지서에 자주 언급되는 표현이 있는데, 이는 거듭남의 선행 상태입니다. 사람은 참된 것을 알 수 있기 전에, 그리고 선한 것으로 영향받기 전에, 먼저 이런 것의 유입을 방해하고 저항하는 것들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이지요. 이런 이유로, 새 사람이 잉태될 수 있기 전에, 반드시 옛 사람이 먼저 죽을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 위 ‘인간의 황폐함(the vastation of man)이라는 표현에 사용된 영어 ‘vastation’은 사어(死語)에 가까운 말인지 사전에도 잘 안 나옵니다. NCE(New Century Edition)역에서는 이를 ‘overall spiritual devastation’으로 번역했습니다.

 

19

‘하나님의 영’(spirit of God)은 주님의 자비(the Lord’s mercy)를 의미하는데, 이를 가리켜 ‘운행하시니라’(move)라든지, 혹은 마치 암탉이 자기 알을 품듯 ‘품으시다’(brood)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는 주님이 사람 안에 숨겨 보석처럼 소중하게 보관해 오신 것들을 가리키는데요, 말씀 전반에 걸쳐 이것을 ‘리메인스’(remains), 혹은 ‘남은 자’(a remnant)라 합니다. 이는 참과 선에 관한 지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리메인스라는 것은 겉의 일들이 황폐해질 때까지는 결코 빛, 즉 낮 가운데 드러나지 않는 것입니다. 이들 지식을 여기서는 ‘수면 위’(the faces of the waters)라 하고 있습니다.

 

3

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

 

20

거듭남이 시작된 사람의 첫 번째 상태는 그가 선과 참이 뭔가 더 높은 것이라는 걸 알기 시작하는 때입니다. 거의 외적이기만 한 사람들, 그러니까 겉이기만 한 겉의 사람들은 선과 진리라는 게 무엇인지조차 모르는데요, 그들은 자기 사랑(the love of self)과 세상 사랑(the love of the world)에 속한 모든 것이 선이며, 그런 사랑들한테 호의적인 게 진리라는 이상한, 뒤집힌 환상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선은 악이며, 그런 진리는 거짓임을 그들은 깨닫지를 못하기 때문인데요, 그러나 사람이 새롭게 잉태되면서, 그는 다음과 같은 사실들, 곧 자기의 선은 선이 아니며, 또한 그가 빛 가운데 더욱 들어갈수록, 이 빛은 주님이신데요, 주님은 선과 진리 그 자체이신 분이라는, 이런 사실들을 그는 처음으로 알기 시작한다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주님이 계시다(the Lord exists)는 사실을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한다고 주님은 요한복음에서 친히 가르치셨습니다.

 

너희가 만일 내가 그인 줄 믿지 아니하면 너희 죄 가운데서 죽으리라 (8:24)

 

또 주님은 선 그 자체, 즉 생명이시며, 진리 그 자체, 즉 빛이시라는 사실과, 그 결과, 주님으로 말미암지 않은 그 어떤 것도 선도, 진리도 아니라는 사실을 다음과 같이 선언하십니다.

 

1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니라, 3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지은 바 되었으니 지은 것이 하나도 그가 없이는 된 것이 없느니라 4그 안에 생명이 있었으니 이 생명은 사람들의 빛이라, 9참 빛 곧 세상에 와서 각 사람에게 비추는 빛이 있었나니 (1:1, 3-4, 9)

 

4, 5

4빛이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이 빛과 어둠을 나누사 5하나님이 빛을 낮이라 부르시고 어둠을 밤이라 부르시니라

 

21

빛을 ‘선’(good)이라고 합니다. 빛은 주님으로 말미암으며, 주님은 선 그 자체인 분이시기 때문입니다. ‘어둠’(darkness)은 모든 것, 곧 사람이 새롭게 잉태되어 태어나기 전, 그동안 빛처럼 보여 그런 줄 알았던 모든 걸 말하는데요, 사람이 새롭게 태어나기 전에는 악은 선처럼 보이고, 거짓은 진리처럼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렇다 하더라도 실상은 이들 악과 거짓은 어둠, 곧 사람한테나 어울리는, 그래서 여전히 사람 안에 있는 걸로만 구성되는 어둠입니다. 주님에게 속하는 건 그게 뭐든지 다 ‘낮’(day)과 비교됩니다. 빛에 속하기 때문이지요. 반면, 사람의 본성(own, proprium, 자아, 고유 속성)은 뭐든지 다 ‘밤’(night)과 비교됩니다. 어둠에 속하기 때문인데요, 이런 비교는 말씀에서 자주 나옵니다.

 

※ 다음은 ‘본성(own, proprium)에 대한 원전(原典, 라틴) 설명입니다.

 

라틴어 proprium은 원전에서 사용된 용어로, 여기와 다른 여러 곳에서 own이라는 표현으로 번역되어 온 말입니다. propius의 사전적 의미는 형용사로서는 ‘one’s own,’ ‘proper,’ ‘belonging to one’s self alone,’ ‘special,’ ‘particular,’ ‘peculiar’입니다. 이 proprium은 중성인데 명사로 사용되면, ‘possession,’ ‘property’를 의미하며, 또 ‘a peculiarity,’ ‘characteristic mark,’ ‘distinguishing sign,’ ‘characteristic’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영어 형용사 ‘own’은 웹스터에 ‘belonging to,’ ‘belonging exclusively or especially to,’ ‘peculiar’를 의미하는 걸로 봐서, 우리가 지금 쓰고 있는 이 ‘own’이라는 말은 proprius와 매우 정확히 일치하며, 라틴 proprium에 맞는 어떤 명사를 만들면, 아주 가까운 번역 효과를 얻지 싶습니다.

 

5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 날이니라

 

22

‘저녁’(evening)이 의미하는 바와 ‘아침’(morning)이 의미하는 바를 이제 알 수 있는데요, ‘저녁’은 모든 선행 상태(every preceding state)를 의미합니다. 그것은 일종의 그늘 상태, 즉 거짓의 상태, 불신앙의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아침’은 모든 이후 상태(every subsequent state)입니다. 빛이나 진리, 그리고 신앙 지식에 속하는 상태이지요. ‘저녁’은 일반적으로 인간의 본성(own)에 속한 모든 걸 의미하는 반면, ‘아침’은 아래 다윗을 통해 하신 말씀처럼, 무엇이든지 다 주님에게 속한 것을 의미합니다.

 

2여호와의 영이 나를 통하여 말씀하심이여 그의 말씀이 내 혀에 있도다 3이스라엘의 하나님이 말씀하시며 이스라엘의 반석이 내게 이르시기를 사람을 공의로 다스리는 자, 하나님을 경외함으로 다스리는 자여 4그는 돋는 해의 아침 빛 같고 구름 없는 아침 같고 비 내린 후의 광선으로 땅에서 움이 돋는 새 풀 같으니라 하시도다 (삼하23:2-4)

 

‘저녁’은 불신앙의 때요, ‘아침’은 신앙의 때이기 때문에, 주님이 세상에 오심은 ‘아침’, 주님의 떠나심, 그때는 불신앙의 때이므로, ‘저녁’이라 합니다. 다니엘입니다.

 

14그가 내게 이르되 이천삼백 주야까지니 그때에 성소가 정결하게 되리라 하였느니라, 26이미 말한 바 주야에 대한 환상은 확실하니 너는 그 환상을 간직하라 이는 여러 날 후의 일임이라 하더라 (8:14, 26)

 

같은 식으로, 말씀에서 ‘아침’은 모든 주님의 오심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되곤 하는데, 결과적으로는 새 창조에 관한 표현입니다.

 

23

말씀에서 ‘날’(day)을 가지고 때(time)를 가리키곤 하는 것만큼 더 흔한 것은 없는데요,

 

이사야입니다.

 

6너희는 애곡할지어다 여호와의 날이 가까웠으니 전능자에게서 멸망이 임할 것임이로다, 9보라 여호와의 날 곧 잔혹히 분냄과 맹렬히 노하는 날이 이르러 땅을 황폐하게 하며 그중에서 죄인들을 멸하리니, 13그러므로 나 만군의 여호와가 분하여 맹렬히 노하는 날에 하늘을 진동시키며 땅을 흔들어 그 자리에서 떠나게 하리니, 22그의 궁성에는 승냥이가 부르짖을 것이요 화려하던 궁전에는 들개가 울 것이라 그의 때가 가까우며 그의 날이 오래지 아니하리라 (13:6, 9, 13, 22)

 

7이것이 옛날에 건설된 너희 희락의 성 곧 그 백성이 자기 발로 먼 지방까지 가서 머물던 성읍이냐, 15그날부터 두로가 한 왕의 연한 같이 칠십 년 동안 잊어버린 바 되었다가 칠십 년이 찬 후에 두로는 기생의 노래 같이 될 것이라 (23:7, 15)

 

‘날’을 가지고 때를 가리키곤 하기 때문에 이는 또 그때 상태를 가리키는 데에도 사용되곤 합니다. 예레미야입니다.

 

너희는 그를 칠 준비를 하라 일어나라 우리가 정오에 올라가자 아하 아깝다 날이 기울어 저녁 그늘이 길었구나 (6:4)

 

20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너희가 능히 낮에 대한 나의 언약과 밤에 대한 나의 언약을 깨뜨려 주야로 그때를 잃게 할 수 있을진대, 25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내가 주야와 맺은 언약이 없다든지 천지의 법칙을 내가 정하지 아니하였다면 (33:20, 25)

 

여호와여 우리를 주께로 돌이키소서 그리하시면 우리가 주께로 돌아가겠사오니 우리의 날들을 다시 새롭게 하사 옛적 같게 하옵소서 (5:21)

 

 

주석은 여기까지입니다. 저는 오늘 특별히 이 ‘리메인스(remains)라는 것에 주목했으면 합니다. 이 모든 이야기의 시작인 주님의 자비가 바로 이 ‘리메인스’ 안에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원본에 영어 ‘remains’를 그냥 일반명사화해서 그대로 명명하는 게 좀 특이했는데요, 다음은 이와 관련, 전에 제가 정리한 글들이 있어 그대로 인용합니다. 원고가 길어져 아래 링크로 대신합니다.

 

 

AC.8 설명, '리메인스'(remains, 남은 자)에 관하여

AC.8 설명, '리메인스'(remains, 남은 자)에 관하여 (2024/6/1) 그러니까 유형(有形), 즉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질 수 있는 것만이 진짜라 믿고, 그런 삶을 추구하던 사람이 어떤 일을 계기로 ‘아, 무

bygrace.kr

 

두 번째 글입니다.

 

 

‘십일조’의 속뜻

‘십일조’의 속뜻 ...오늘은 특별히 우리의 헌금생활 중 십일조에 대하여, 그 아르카나(arcana, 秘義, 속뜻)에 대하여 같이 나누고자 합니다. 구약성경에서 십일조에 관한 거의 첫 본문이라 할 수

bygrace.kr

 

참고로, 오늘 본문 중 리메인스가 나오는 부분은 2절,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입니다.  

 

창세기 1장을 이렇게 푸는 설교는 아마 처음이시지들 싶습니다. 우리는 창세기 1장을 주로 천지창조의 관점으로만 보고 싶어 하지만, 주님은 말씀을 그런 무슨 역사 다큐로 기록하는 거는 관심 없으시고, 대신 사람의 거듭남의 여러 단계를 당시 고대인들의 언어 습관을 따라 재미있게 표상, 상징하기를 원하셔서 오직 상응으로만 기록하셨습니다. 즉 우리가 아는 천지창조의 육일을 사람의 거듭남의 여섯 단계로 그리신 것이지요. 우리의 관심과 주님의 관심이 참 다릅니다.

 

말씀은 오직 주님으로 말미암았으며, 그래서 거기엔 주님의 주된 관심, 즉 주님과 천국, 교회, 그리고 종교적 신앙에 관한 것들이 들어있습니다. 말씀은 그 일점일획조차도 모두 그 안에 이런 내적 의미들이 들어있는데 이것을 아르카나(arcana, 라틴, secret, 秘義)라 합니다. 아르카나는 오직 주님으로만 말미암기 때문에 신성(Divine)하며, 생명이 있고, 그래서 아르카나가 들어있는 성경만 말씀입니다. 성경 66권 중, 구약은 창, 출, 레, 민, 신, 수, 삿, 삼상, 삼하, 왕상, 왕하, 시, 사, 렘, 애, 겔, 단, 호, 욜, 암, 옵, 욘, 미, 나, 합, 습, 학, 슥, 말 (29), 신약은 마, 막, 눅, 요, 계 (5) (AC.10325), 이렇게 34권만 말씀입니다.

 

사람이 영과 육으로 되어 있는 줄은 알지만, 실제로 자기 영을 보신 분은 없으신 것처럼, 말씀 또한 그렇습니다. 주님은 사람을 지으신 것처럼 말씀 또한 그렇게 영과 육으로, 곧 속뜻과 겉뜻으로 기록하셨습니다. 우리가 자기의 영을 처음 보면 무척 낯설 것 같은데, 그런 것처럼 말씀 또한 그 속뜻이 이렇게 낯선 건 어쩌면 당연하지 싶습니다. 주님의 은혜와 본인의 간절함, 그리고 사모함으로 이 간격이 빠르게 좁혀질 줄 믿습니다.

 

참고로, 우리가 말씀을 속뜻으로 읽고자 하는 이유는, 첫째는, 우리가 곧 가게 될 본향 언어로 읽고 싶어서입니다. 천사들처럼 말입니다. 둘째는, 오리지날 주님의 마음을 알고, 남은 삶을 그렇게 살고 싶어서입니다. 말씀을 겉뜻으로 읽어온 지난날은 끝없이 원어가 어떠니, 누가 이걸 어떻게 풀었니 하는 연속이었습니다. 말씀은 세상 지식으로 푸는 게 아닙니다.

 

창세기를 시작하게 하신 주님을 찬양합니다. 아멘

 

설교

2025-07-20(D1)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2025-07-20(D1)-주일예배(2607, 창1,1-5, AC.16-23), ‘첫째 날, 리메인스’의 속뜻.pdf
0.56MB

 


아래 링크는 오늘 설교의 유튜브 오디오입니다.

 

 

주일예배(2025/7/27, 창1:6-8), ‘둘째 날, 궁창’의 속뜻

‘둘째 날, 궁창’의 속뜻 (창1:6-8) 6하나님이 이르시되 물 가운데에 궁창이 있어 물과 물로 나뉘라 하시고 7하나님이 궁창을 만드사 궁창 아래의 물과 궁창 위의 물로 나뉘게 하시니 그대로 되니

bygrace.kr

 

AC.1, 서문, 'Arcana Coelestia, 창, 출 속뜻 주석을 시작하며'(AC.1-5)

1구약 말씀을 단순히 그 겉 글자로만(the mere letter of the Word of the Old Testament), 즉 기록된 글자로만 읽어서는 아무도 다음과 같은 사실들, 곧 말씀의 이면(裏面, this part of the Word)에는 천국의 깊은 비

arcanacoelestia.tistory.com

Posted by bygracetistory
,

 

 

AC.29, 창1:11-13, '하나님이 이르시되 땅은 풀과 씨 맺는 채소와'

※ AC.29, 창1:11-13, '하나님이 이르시되 땅은 풀과 씨 맺는 채소와' 11-13절, 11하나님이 이르시되 땅은 풀과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라 하시니 그대로 되어 And God

bygrace.kr

 

Posted by bygracetistory
,

 

 

AC.24, 창1:6-7, '하나님이 이르시되 물 가운데에 궁창이 있어'(AC.24-25)

※ AC.24, 창1:6-7, '하나님이 이르시되 물 가운데에 궁창이 있어'(AC.24-25) 6-7절, 6하나님이 이르시되 물 가운데에 궁창이 있어 물과 물로 나뉘라 하시고 And God said, Let there be an expanse in the midst of the wa

bygrace.kr

 

AC.25, 창1:6-7, '하나님이 이르시되 물 가운데에 궁창이 있어'(AC.24-25)

※ AC.25, 창1:6-7, '하나님이 이르시되 물 가운데에 궁창이 있어'(AC.24-25) 6-7절, 6하나님이 이르시되 물 가운데에 궁창이 있어 물과 물로 나뉘라 하시고 And God said, Let there be an expanse in the midst of the wa

bygrace.kr

 

Posted by bygracetistory
,

말씀(the Word)에는 일반적으로 네 가지 스타일이 있습니다. 첫 번째 스타일은 태고교회(太古, the most ancient church) 스타일입니다.

 

66

말씀(the Word)에는 일반적으로 네 가지 스타일이 있습니다. 첫 번째 스타일은 태고교회(太古, the most ancient church) 스타일입니다. 그들의 표현 방식은 다음과 같았는데요, 그들은 어떤 지상에 속한, 세속적인 것들을 언급할 때, 그것들이 표상하는 영적, 천적인 것들을 생각하면서 하는 그런 것이었지요. 그들은 이만하면 그 영적, 천적인 의미를 충분히 띠겠다 싶은 것들(representatives)을 가지고 언급했을 뿐 아니라, 또한 거기에 생명력을 불어넣기 위해 스토리 텔링 같은 일종의 그럴듯한 역사 시리즈로도 만들었는데요, 이런 식의 표현 방식으로 그들은 정말 최고 수준의 즐거움을 누렸습니다. 사무엘의 어머니 한나의 예언이 바로 이런 스타일입니다. There are in the Word, in general, four different styles. The first is that of the most ancient church. Their mode of expression was such that when they mentioned terrestrial and worldly things they thought of the spiritual and celestial things which these represented. They therefore not only expressed themselves by representatives, but also formed these into a kind of historical series, in order to give them more life; and this was to them delightful in the very highest degree. This is the style of which Hannah prophesied, saying:

 

심히 교만한 말을 다시 하지 말 것이며 오만한 말을 너희의 입에서 내지 말지어다 (삼상2:3) Speak what is high! high! Let what is ancient come out of your mouth. (1 Sam. 2:3)

 

※ 위 우리말 개역개정 번역은 사실 많이 빗나간 번역입니다. 병행 본문(영어)을 보니 너무나 다르지요? 태고교회, 고대교회 같은 이런 배경, 즉 아르카나를 전혀 모르고 번역을 한 것입니다...

 

이런 표상(表象, representatives)을 시편에서는, ‘예로부터 감추어졌던 것(Dark sayings of old)이라고 했습니다. Such representatives are called in David, “Dark sayings of old” (Ps. 78:2–4).

 

2내가 입을 열어 비유로 말하며 예로부터 감추어졌던 것을 드러내려 하니 3이는 우리가 들어서 아는 바요 우리의 조상들이 우리에게 전한 바라 4우리가 이를 그들의 자손에게 숨기지 아니하고 여호와의 영예와 그의 능력과 그가 행하신 기이한 사적을 후대에 전하리로다 (시78:2-4)

 

창조, 에덴동산 등 아브람의 때까지 내려오는 이들 자세한 내용들을 모세는 태고교회의 후손들로부터 얻었습니다. These particulars concerning the creation, the garden of Eden, etc., down to the time of Abram, Moses had from the descendants of the most ancient church.  

 

[2] 두 번째 스타일은 역사적 기술이며, 아브람의 때부터 이어진 모세의 책들에서, 그리고 여호수아, 사사 시대, 사무엘, 열왕기의 책들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들 책에서는 역사적 사실들이 글자의 뜻 그대로입니다. 즉 실제 역사 그대로 기록된 것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이든, 특별하게든 속뜻으로는 아주 다른 것들이 그 안에 들어 있는데요, 그것은 주님의 신성하신 자비(the Lord’s Divine mercy)로 말미암음이며, 이어지는 페이지들에서 순서대로 보시게 됩니다. 세 번째 스타일은 예언적 스타일인데, 이것은 태고교회 시절 아주 높은 존경을 받았던 스타일에서 나온 것입니다. 이 스타일은 그러나 계속 연결되어 태고 스타일 같은 역사적 형태로 남지를 못하고 그만 끊어져, 이제는 속뜻, 곧 그 안에 가장 깊은 아르카나(arcana, 秘義)가 있어 아름답게 연결된 순서로 이어지며, 겉 사람과 속 사람, 교회의 여러 다양한 상태들, 천국 그 자체, 그리고 주님을 향한 가장 내적 의미와도 관련되는, 이런 속뜻을 제외하고는 이제는 거의 이해할 수조차 없게 되었습니다. 네 번째 스타일은 다윗의 시편 스타일입니다. 이 스타일은 예언적 스타일과 상용어 스타일 간 중간 스타일입니다. 주님은 이 스타일에서 속뜻으로는 왕으로서의 다윗의 인격을 통해 다루어지십니다. The second style is historical, which is found in the books of Moses from the time of Abram onward, and in those of Joshua, Judges, Samuel, and Kings. In these books the historical facts are just as they appear in the sense of the letter; and yet they all contain, in both general and particular, quite other things in the internal sense, of which, by the Lord’s Divine mercy, in their order in the following pages. The third style is the prophetical one, which was born of that which was so highly venerated in the most ancient church. This style, however, is not in connected and historical form like the most ancient style, but is broken, and is scarcely ever intelligible except in the internal sense, wherein are deepest arcana, which follow in beautiful connected order, and relate to the external and the internal man; to the many states of the church; to heaven itself; and in the inmost sense to the Lord. The fourth style is that of the psalms of David, which is intermediate between the prophetical style and that of common speech. The Lord is there treated of in the internal sense, under the person of David as a king.

 

※ 이렇게 해서 창세기 1장을 마칩니다. 앞으로도 이렇게 진행됩니다. 즉 본문 주석 앞뒤로 어떤 아르카나가 곁들여져 말씀을 읽는 우리의 이해를 깊게, 아주 넓고 깊게 열어 줄 것입니다.

 
Posted by bygracetistory
,

제가 말씀(the Word)을 읽고 있을 때, 어떤 사람들이 천국 뜰 첫 번째 입구로 옮겨져 거기서 저와 대화를 나누었는데요,

 

65

제가 말씀(the Word)을 읽고 있을 때, 어떤 사람들이 천국 뜰 첫 번째 입구로 옮겨져 거기서 저와 대화를 나누었는데요, 그들은 말하길, 자기들은 그 안에 있는 무슨 단어나 글자는 전혀 이해할 수 없지만, 대신 그 가장 가까운 속뜻이 뭔지는 이해할 수 있다고 하면서, 그것은 너무도 아름답고, 그런 일련의 순서로 자기들을 깊이 감동, 감명케 한다고, 그것은 영광이라고 가슴 벅차게 말하는 것이었습니다. Certain ones were taken up to the first entrance court of heaven, when I was reading the Word, and from there conversed with me. They said they could not there understand one whit of any word or letter therein, but only what was signified in the nearest interior sense, which they declared to be so beautiful, in such order of sequence, and so affecting them, that they called it glory.  

Posted by bygracetistory
,

이것이 말씀의 속뜻, 즉 겉 글자의 뜻으로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 말씀의 생명 그 자체(its veriest life)입니다. 그런데 이 아르카나(arcana, 秘義, 말씀에 담긴, 주님이 숨겨놓으신 의미)는 너무나 엄청나 이 정도의 볼륨들 가지고는 그 속에 담긴 것을 도저히 다 담아낼 수 없을 정도입니다.

 

64

이것이 말씀의 속뜻, 즉 겉 글자의 뜻으로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 말씀의 생명 그 자체(its veriest life)입니다. 그런데 이 아르카나(arcana, 秘義, 말씀에 담긴, 주님이 숨겨놓으신 의미)는 너무나 엄청나 이 정도의 볼륨들 가지고는 그 속에 담긴 것을 도저히 다 담아낼 수 없을 정도입니다. 여기서는 아주 조금만 제시하는데요, 그러나 이것만 가지고도 여기서 다루고 있는 게 거듭남이며, 거듭남이란 겉 사람에서 속 사람으로 진행되는 것이라는 사실을 확실히 아실 수 있을 겁니다. 천사들이 말씀을 지각한다는 것은 바로 이런 것인데요, 그들은 글자 안에 무엇이 들어있는지, 심지어 어떤 단어 하면 탁 떠오르는 의미조차 전혀 모릅니다. 나라, 도시, 강과 인물 등, 말씀 내 역사, 예언 쪽에 매우 자주 등장하는 이런 것들 역시 더더욱 모릅니다. 그들은 오직 그 단어들과 이름들의 의미에 대해서만 알고 있을 뿐입니다. 그래서 낙원의 아담 하면 그들은 태고교회를 지각합니다. 물론, 그 교회 자체가 아니라 그 교회가 가졌던 주님 신앙(the faith in the Lord)을 지각하는 것이지요. 노아 하면 그들은 태고교회의 후손들과 함께 살아남아 아브람의 때까지 계속되었던 교회를 지각합니다. 아브라함 하면 천사들은 결코 아브라함 개인이 아닌, 그가 표상한 어떤 구원 신앙(a saving faith)을 지각하는 등 말이지요. 천사들은 이렇게 단어들과 이름들하고는 완전 별개인 영적, 천적인 것들을 지각합니다. This then is the internal sense of the Word, its veriest life, which does not at all appear from the sense of the letter. But so many are its arcana that volumes would not suffice for the unfolding of them. A very few only are here set forth, and those such as may confirm the fact that regeneration is here treated of, and that this proceeds from the external man to the internal. It is thus that the angels perceive the Word. They know nothing at all of what is in the letter, not even the proximate meaning of a single word; still less do they know the names of the countries, cities, rivers, and persons, that occur so frequently in the historical and prophetical parts of the Word. They have an idea only of the things signified by the words and the names. Thus by Adam in paradise they perceive the most ancient church, yet not that church, but the faith in the Lord of that church. By Noah they perceive the church that remained with the descendants of the most ancient church, and that continued to the time of Abram. By Abraham they by no means perceive that individual, but a saving faith, which he represented; and so on. Thus they perceive spiritual and celestial things entirely apart from the words and names.

Posted by bygracetistory
,

그를 위해 악과 거짓을 대항하여 끊임없이 싸우시는 한편, 주님은 이 전투를 통해 그를 진리와 선 안에서 확실하게 하십니다.

 

31절, 하나님이 지으신 그 모든 것을 보시니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여섯째 날이니라 And God saw everything that he had made, and behold it was very good. And the evening and the morning were the sixth day.

 

63

그를 위해 악과 거짓을 대항하여 끊임없이 싸우시는 한편, 주님은 이 전투를 통해 그를 진리와 선 안에서 확실하게 하십니다. Meanwhile the Lord continually fights for him against evils and falsities, and by combats confirms him in truth and good.

 

※ 다음은 이 ‘주님이 나를 위해 대신 악과 거짓에 대항하여 싸우심’에 대한 보충 설명입니다.

 

스베덴보리의 책, ‘천국과 지옥’ 577번 글(김은경 역)입니다.

 

천사에게 지혜와 지성이 있는 것처럼 지옥 영들에게는 그만큼의 악의와 교활함이 있다. 사람의 영은 몸을 벗어나면 그 자신의 선 아니면 악 안에 있기 때문이다. 천사적 영이 그의 선 안에 있다면, 지옥적 영은 그의 악 안에 있다. 앞에서 자주 설명했듯이 모든 영이 그 자신의 선 아니면 악인 것은 영이 그 자신의 사랑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천사적 영은 그의 선에서, 지옥적 영은 그의 악에서 생각하고 의도하고 말하고 행동한다. 악 자체로 생각하고 의도하고 말하고 행동한다는 것은 그 악에 포함된 모든 것으로 생각하고 의도하고 말하고 행동하는 것이다. In the same degree in which angels have wisdom and intelligence infernal spirits have malice and cunning; for the case is the same, since the spirit of man when released from the body is in his good or in his evil—if an angelic spirit in his good, and if an infernal spirit in his evil. Every spirit is his own good or his own evil because he is his own love, as has been often said and shown above. Therefore as an angelic spirit thinks, wills, speaks, and acts, from his good, an infernal spirit does this from his evil; and to think, will, speak, and act from evil itself, is to think, will, speak, and act from all things included in the evil.

 

[2] 사람이 몸을 입고 살 동안은 그렇지 않다. 그때는 모든 사람이 받는 법의 제재와 이득, 명성, 평판을 얻을 희망 또는 그것을 잃는 데 대한 두려움의 제재로 그 영의 악이 억눌려 있었고, 따라서 그 악의 참모습이 밖으로 터져 나올 수 없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때는 사람의 영에 있는 악은 그가 세상을 목적으로 내세우고 꾸미는 외적인 정직함, 올바름, 선과 진리에 대한 애정 등으로 포장되고 가려져 있다. 이런 가면 뒤에서 그 악은 너무도 단단히 밀폐되고 숨겨져 있어 그 자신도 자기 영이 그렇게 엄청난 악의와 교활함을 숨기고 있는지 알지 못한다. 즉 사후에 영이 되면 드러날 자기의 본성이 악마라는 것을 그때는 알지 못하는 것이다. So long as man lived in the body it was different, since the evil of the spirit was then under the restraints that every man feels from the law, from hope of gain, from honor, from reputation, and from the fear of losing these; and therefore the evil of his spirit could not then burst forth and show what it was in itself. Moreover, the evil of the spirit of man then lay wrapped up and veiled in outward probity, honesty, justice, and affection for truth and good, which such a man professes and counterfeits for the sake of the world; and under these semblances the evil has lain so concealed and obscured that he himself scarcely knew that his spirit contained so much malice and craftiness, that is, that in himself he was such a devil as he becomes after death, when his spirit comes into itself and into its own nature.

 

[3] 사후에는 그런 악의가 스스로 드러나는데 그것은 도저히 믿을 수 없을 만큼 악하다. 악은 하나에서 수천 가지 종류가 파생하는데 그 중에는 어떤 언어로도 표현할 수 없는 것들도 있다. 나는 내게 허락된 수많은 경험으로 그 악들이 어떤 것인지 알게 되고 관찰할 수 있었다. 주께서 내게 영으로는 영계에 있으면서 동시에 몸으로는 자연계에 있게 하셨기 때문이다. 그들의 악은 너무도 엄청나서 그 천분의 일을 기록하는 것도 어렵다는 것을 나는 증언한다. 그 악이 너무도 커서, 만일 사람이 주님의 보호를 받지 못하면 결코 지옥에서 구원될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각 사람에게는 천국에서 온 천사들과 지옥에서 온 영들이 함께 있기 때문이다.(292, 293) 그러나 사람이 신성을 인정하고 신앙과 이웃 사랑의 삶을 살지 않으면 주께서는 그를 보호하실 수 없다. 그렇게 살지 않는 사람은 주님께 등을 돌리고 지옥 영들에게 돌아서며, 그렇게 되면 그의 영은 자기와 동질의 악의를 흡수하기 때문이다. Such malice then manifests itself as exceeds all belief. There are thousands of evils that then burst forth from evil itself, among which are such as cannot be described in the words of any language. What they are has been granted me to know and also to perceive by much experience, since it has been granted me by the Lord to be in the spiritual world in respect to my spirit and at the same time in the natural world in respect to my body. This I can testify, that their malice is so great that it is hardly possible to describe even a thousandth part of it; and so great that if man were not protected by the Lord he could never be rescued from hell; for with every man there are spirits from hell as well as angels from heaven (see above, n. 292, 293); and yet the Lord cannot protect man unless he acknowledges the Divine and lives a life of faith and charity; for otherwise man turns himself away from the Lord and turns himself to infernal spirits, and thus his spirit becomes imbued with a malice like theirs.

 

[4]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님은 끊임없이 사람을 그가 달라붙는 악에서, 그리고 지옥의 영들과 교류함으로써 스스로 끌어들인다고 할 수 있는 악에서 떼어내신다. 사람이 신성을 부인하면 양심의 내적 제재를 받지 못하는데, 사람이 양심의 내적 제재로 악에서 떨어지지 않으면 외적 제재로 떼어내신다. 외적 제재는 앞에서 말한 대로 법에 대한 두려움과 이득, 명성, 평판의 상실에 대한 두려움이다. 사실 사람은 자신이 사랑하는 것의 즐거움을 통해서, 그 즐거움을 잃거나 빼앗기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통해서 악에서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그렇게 해서는 영적 선으로 인도되지 못한다. 그런 사람이 영적 선을 대하면 그 즉시 남을 꾀고 속이려고 선함과 정직함과 올바름을 가장함으로써 그 선을 술책과 교활함으로 바꿔버리기 때문이다. 그런 교활함은 그의 영에 들어있는 악과 결탁하여 그 특성을 주입함으로써 악에 형태를 부여한다. Nevertheless, man is continually withdrawn by the Lord from the evils that he attaches and as it were attracts to himself by his affiliation with infernal spirits. If he is not withdrawn by the internal bonds of conscience, which he fails to receive if he denies a Divine, he is nevertheless withdrawn by external bonds, which are, as said above, fears in respect to the law and its penalties, and fears of the loss of gain and the deprivation of honor and reputation. In fact, such a man may be withdrawn from evils by means of the delights of his love and through fear of the loss or deprivation of those delights; but he cannot be led thereby into spiritual goods. For as soon as such a man is led into these he begins to give his thought to pretenses and devices by simulating or counterfeiting what is good, honest, and just, for the purpose of persuading and thus deceiving. Such cunning adjoins itself to the evil of his spirit and gives form to it, causing his evil to be of the same nature as itself.

 

전투의 때는 주님이 일하시는 때입니다. 그래서 선지서에서는 거듭난 사람을 가리켜 하나님의 손가락으로 빚으신 작품(the work of the fingers of God)이라고 합니다. The time of combat is the time of the Lord’s working; and therefore in the prophets the regenerate man is called the work of the fingers of God.

 

1여호와 우리 주여 주의 이름이 온 땅에 어찌 그리 아름다운지요 주의 영광이 하늘을 덮었나이다 2주의 대적으로 말미암아 어린아이들과 젖먹이들의 입으로 권능을 세우심이여 이는 원수들과 보복자들을 잠잠하게 하려 하심이니이다 3주의 손가락으로 만드신 주의 하늘과 주께서 베풀어 두신 달과 별들을 내가 보오니 4사람이 무엇이기에 주께서 그를 생각하시며 인자가 무엇이기에 주께서 그를 돌보시나이까 5그를 하나님보다 조금 못하게 하시고 영화와 존귀로 관을 씌우셨나이다 6주의 손으로 만드신 것을 다스리게 하시고 만물을 그의 발 아래 두셨으니 7곧 모든 소와 양과 들짐승이며 8공중의 새와 바다의 물고기와 바닷길에 다니는 것이니이다 9여호와 우리 주여 주의 이름이 온 땅에 어찌 그리 아름다운지요 (시8)

 

사랑이 그의 모든 행위의 원리가 될 때까지, 이때 전투가 그치는데요, 주님은 쉬지 않으십니다. 이 일이 아주 순조롭게 되어 드디어 신앙과 사랑 간 결합이 일어날 때가 바로 ‘심히 좋았더라(very good) 하시는 때입니다. 이때 주님은 그를 주님의 모양대로(as his likeness) 행하게 하시기 때문입니다. Nor does he rest until love acts as principal; then the combat ceases. When the work has so far advanced that faith is conjoined with love, it is called “very good”; because the Lord then actuates him, as his likeness.

 

※ 거듭 ‘형상(image)은 그릇, ‘모양(likeness)은 내용입니다. 영적인 사람은 그릇, 천적인 사람은 내용입니다. 그릇보다 그 안에 담긴 내용이 중요하듯 주님의 목표, 즉 거듭남의 최종목표는 천적인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이 천적인 사람의 상태가 바로 안식의 상태요, 안식일입니다.

 

※ 천적인 사람은 가슴 신앙이며, 매사 생각하고, 의도하고, 말하고, 행하는 모든 것의 동기가 주님 사랑인 상태입니다. 즉 주님을 사랑하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하고, 주님을 사랑하기 때문에 그렇게 의도하며, 주님을 사랑하기 때문에 그렇게 말하고, 주님을 사랑하기 때문에 그렇게 행하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사람이 성 프란체스코입니다.

 

※ 프란체스코 앞에 ‘(聖)자를 붙여 부르는 것은 단순히 관례를 따른 것일 뿐입니다. 참으로 ‘’(聖), 즉 ‘거룩하신 분(The Holy)은 오직 주님 한 분뿐이시며, 그래서 이 칭호는 오직 주님에게만 사용해야 하는 칭호입니다.

 

※ 은성출판사(http://eunsungpub.co.kr/)의 엄두섭 저, ‘성 프란치스코’를 꼭 읽어 보시기 바라며, 읽으신 분들도 거듭거듭 계속 읽으시기 바랍니다. 주님은 이 책을 읽는 우리를 깊은 신앙, 무거운 영성으로 인도하실 것입니다.

 

이 여섯째 날 끝에 악한 영들은 떠나고, 선한 영들이 대신 자리를 잡습니다. 그리고 이 사람은 천국, 혹은 천적인 낙원(the celestial paradise)으로 인도됩니다. 이곳에 관하여는 다음 장에서 다룹니다. At the end of the sixth day the evil spirits depart, and good spirits take their place, and the man is introduced into heaven, or into the celestial paradise; concerning which in the following chapter.

 

※ 우리는 악을 직접 상대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그 본성 상 악하기 때문입니다. 오직 주님만이 악을 상대하실 수 있습니다.

 

※ 그래서 우리 안에 와 있는 지옥의 영들을 상대하시는 분은 주님이십니다. 우리 안에서 일어나는 영적 전투는 주님과 악한 영들 간 싸움입니다.

 

※ 우리가 거듭남의 최종단계에서 이제는 의지로도 주님을 사랑하여 매사에 주님 편에 서면 악한 영들은 더 이상 우리를 어떻게 할 수가 없어 그만 우리를 포기하고 떠납니다.

 

※ 우리 안에 더 이상 싸울 상대가 없게 되어 드디어 싸움이 끝나고 쉼이 찾아오는데, 이 쉼은 주님의 쉼입니다. 우리 안에서 주님이 싸워오셨기 때문입니다. 안식일은 주님이 쉬시는 걸 표상한 것이며, 그래서 주님은 안식일을 가리켜 ‘내 안식일’이라 하신 것입니다.

 

내 안식일을 지키고 내 성소를 귀히 여기라 나는 여호와이니라 (레19:30)

Posted by bygracetistory
,

사람의 거듭남과 관련하여 그 시기와 상태를 일반적, 그리고 구체적으로 여섯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를 그의 창조의 날들(the days of his creation)이라 합니다.

 

31절, 하나님이 지으신 그 모든 것을 보시니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여섯째 날이니라 And God saw everything that he had made, and behold it was very good. And the evening and the morning were the sixth day.

 

62

사람의 거듭남과 관련하여 그 시기와 상태를 일반적, 그리고 구체적으로 여섯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를 그의 창조의 날들(the days of his creation)이라 합니다. 전혀 사람이 아닌 상태에서 서서히 그는 먼저 뭔가가 되고, 그렇게 조금씩 아주 조금씩 여섯째 날을 향해 가기 때문입니다. 이 여섯째 날에 그는 하나님의 형상(an image of God)이 됩니다. The times and states of man’s regeneration in general and in particular are divided into six, and are called the days of his creation; for, by degrees, from being not a man at all, he becomes at first something of one, and so by little and little attains to the sixth day, in which he becomes an image of God.

 

※ 앞에서도 말씀드렸지만, 형상(image)은 그릇, 모양(likeness)은 내용입니다. 즉 영적인 사람은 형상, 곧 주님을 담는 그릇이 되는 것이며, 천적인 사람은 그 영적인 사람 안에 담기는 주님이십니다.

Posted by bygracetistory
,

신앙의 지식(the knowledges of faith)과 관련된 모든 것을 영적(靈的, spiritual)이라 하고, 주님 사랑, 이웃 사랑(love to the Lord and our neighbor)에 속한 모든 것을 천적(天的, celestial)이라 합니다.

 

31절, 하나님이 지으신 그 모든 것을 보시니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여섯째 날이니라 And God saw everything that he had made, and behold it was very good. And the evening and the morning were the sixth day.

 

61

신앙의 지식(the knowledges of faith)과 관련된 모든 것을 영적(靈的, spiritual)이라 하고, 주님 사랑, 이웃 사랑(love to the Lord and our neighbor)에 속한 모든 것을 천적(天的, celestial)이라 합니다. 전자는 사람의 이해에, 후자는 사람의 의지에 속합니다. All things relating to the knowledges of faith are called spiritual, and all that are of love to the Lord and our neighbor are called celestial; the former belong to man’s understanding, and the latter to his will.

 

※ 조금 단순하게 말씀드리면, 머리 신앙은 영적이요, 가슴 신앙은 천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열의 문제라기보다는 태생적 특성에 가깝지만, 하여튼 주님은 천적 천사들은 가까이, 영적 천사들은 천적 천사들 다음으로 가까이하십니다. 그러므로 본인의 특성이 그렇다면 할 수 없지만, 가급적 너무 교리, 교리 하지 마시라 권하고 싶습니다.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