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순서로 진행 중입니다.
1. 설치환경 준비
2. DSM
3. Audio Station
4. Photo Station
5. Video Station
6. Cloud Station
7. File Station
8. 기타 Station들
9. 제어판
10. 원격제어
오늘은 2강, DSM입니다.
2강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DSM 설치
2. NAS 구성
3. DDNS 구성
자, 그럼 순서대로
1. DSM 설치
DSM은 DiskStation Manager의 약자입니다.
DSM은 Synology NAS 운영체제의 그래픽 인터페이스입니다.
PC 운영체제로 Windows 7 혹은 Windows 8이 있듯이 말이죠.
아, 참고로, Synology NAS 운영체제는 리눅스입니다.
이 리눅스로 이렇게 Windows스럽게 UI(User Interface)를 참 잘 만들었죠?
1강에서 다운로드한 DSM 파일을 NAS를 제어 중인 PC에 설치합니다.
지금 설치 중인 DS413 모델에 대한 파일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 DSM_DS413_3211.pat
설치가 끝나면 바로 DSM 로그인 화면이 떴는지 지금 잘 기억이 나지 않는데...
만일 안 뜬다면, DSM 설치에 이어 1강에서 DSM과 함께 받아 놓은 Synology Assistant 를 마저 설치합니다.
파일명은 SynologyAssistantSetup-4.2-3508.exe입니다.
설치가 끝나면 바탕화면에 생성된 아이콘으로 실행합니다.
잠시 동일 네트워크 안에 존재하는 시널로지 NAS를 찾습니다.
지금은 네트워크라야 공유기에 연결된 기기가 전부이므로, 검색되는 NAS는 하나 뿐일 겁니다.
검색 결과, 한 줄 뜰 텐데, 이 줄을 더블 클릭하면 해당 DSM이 실행됩니다.
밥 먹고 계속하겠습니다.
오래 기다리셨죠?
밥 먹고, 아내가 김치 담근다고, 같이 장 보고, 쪽파 다듬으라 하여 다듬느라 늦었습니다.
DSM 로그인 화면이 뜨면 아이디 admin 입력 후 엔터합니다.
첫 설정 시, 관리자 아이디 admin에는 패스워드가 없습니다.
관리 및 보안을 위해 아래 순서 2에서 생성하겠습니다.
DSM 설치는 일단 여기까지입니다.
2. NAS 구성
우선, NAS 이름을 주지요.
제어판 - 시스템 - 네트워크 - 일반으로 갑니다.
서버 이름 : oneloveNAS (교회 이름이 '한사랑')
기본 게이트웨이 : 192.168.0.1 (공유기라는 게이트를 통해 인터넷으로 나가니까)
DNS 서버 수동 구성 : 체크
기본 DNS 서버 : 168.126.63.1
대체 DNS 서버 : 168.126.63.2
일반 옆,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탭을 엽니다.
LAN 포트에서 수동 구성 이용 선택,
IP 주소 : 192.168.0.100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 (그대로 놔두세요)
NAS에 Private IP 하나를 고정하는 건데요, 1강에서 공유기에서 이미 했기 때문에 안 해도 되지만, 나중에 공유기를 떼어 집이나 다른 장소로 이동할 수도 있기 때문에 그냥 한번 더 했습니다.
Jumbo Frame : Jumbo Frame 활성화. MTU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 7000
한사랑교회 NAS는 Jumbo Frame을 이렇게 했습니다.
이 Jumbo Frame은 기가비트 네크워크 환경에서만 활성화되는 기능으로, 제대로 기능하려면, NAS, 곧, Disk Station에 엑세스하는 모든 기기가 이 기능을 지원하고, 또 동일 MTU 값을 가져야 합니다.
랜카드 등록정보에서 고급을 보면 기가비트 환경일 경우, Jumbo 프레임이라고 있는데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제 노트북의 경우, 9KB까지 있어 방금 저희 홈 NAS의 MTU를 9000으로 맞추고 네트워크를 다시 시작했습니다.
참고로, DSM 특정 화면에서 각 용어가 생소하시면 그때 그 화면 창 오른쪽 상단 물음표 동그란 아이콘 클릭하세요.
그러면, 그 창, 그 화면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NAS 사용하시면 점점 대용량 파일 전송이 많아져 결국 기가비트 환경이 절실하실 텐데 그때를 위해서 실은 지금 이 Jumbo Frame을 건드리고 있는 것입니다.
다 건드렸으면 밑에 적용 버튼 클릭
다음은 관리자 계정 admin의 암호를 정하지요.
제어판 - 파일 공유 및 권한 - 사용자로 가서 admin 계정 클릭 후, 상단 편집 버튼을 클릭합니다.
admin 창이 열리며, 바로 정보 탭이 열리고, 거기에 패스워드 넣는 데들이 보입니다.
패스워드 및 패스워드 확인 두 곳에 같은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참고로, 아이디 admin을 보면 수정할 수 없게 디제이블 되어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이어, 같은 창에서 사용자 그룹으로 가 혹시 admin 계정이 administrators 그룹이 아니면, 그러니까 오른쪽 끝 체크 박스가 비어 있으면 체크해 줍니다.
이어, 역시 같은 창 권한 설정으로 가서 아직은 뭐 없겠지만 거기 있는 모든 거, 읽기/쓰기 권한 줍니다.
admin 이니까요. ^^
아, 만일 나중에라도 리스트에 여러 개 죽 달렸다고 그거 일일이 체크하지 마시고, 이럴 땐, 타이틀 바에 있는 읽기/쓰기 왼쪽 빈 박스를 클릭하면 밑에 있는 것들 전부 한방에 먹는다는 거, 참고하세요.
admin 기본 설정 건드리는 건 이쯤 하고...
나중에 사용자 한 명 한 명 등록해야 할 일 생기는데 그때 지금처럼 하시면 됩니다.
NAS 구성은 일단은 이쯤 합니다.
3. DDNS 구성
DDNS는 Dynamic DNS를 말합니다.
그럼, DNS는 뭘까요?
자세한 건, 따로 IT 상식의 기초에 올리겠습니다만,
간단히 말씀드리면,
어떤 웹 사이트, 예를 들면, Synology 웹 사이트의 주소를 숫자 형태인 IP, 즉, 120.89.71.137 같은 형태 보다는, www.synology.com 같은 형태로 하는게 사람들이 기억하기 훨씬 쉽다는 점에 착안, 이 주소정보를 수집, 서비스하는 겁니다.
그럼, DDNS는 뭘까요?
앞에 'Dynamic'이라는 말이 붙은 것에서 알 수 있듯, DNS 주소정보가 움직인다는 겁니다.
보통은 안 움직여야, 즉, 변동이 없어야 하는데, 이건 변동이 있다는 겁니다.
한번 부여하면 안 변하는 IP 주소를 고정IP, 혹은, Static IP 라 하는데 이건 비쌉니다.
반면, 우리가 KT나 SKT, LG U+ 등에 인터넷 가입을 하면 회선과 함께 부여되는 IP가 있는데, 이 IP는 유동적이다, 즉, 변한다 하여 유동IP, 혹은 Dynamic IP라 합니다.
이건 별도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
문제는, 우리가 공유기를 껐다 켜거나 하면 이 IP가 바뀐다는 겁니다.
우리 집 NAS를 누가 찾아와야 하는데 주소가 그때그때 바뀌면...
그렇죠! 안 되지요. 주소라는 건 고정적이어야 합니다.
그러나 고정IP는 비쌉니다.
바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기술이 바로 DDNS입니다.
즉, IP가 바뀌어도 변함없이 찾아오게 한다는 것입니다.
NAS 설치 후, 외부에서 쉽게 찾아올 수 있도록 뭔가를 설정해야 하는데 이게 바로 지금 하려는, DDNS 설정입니다.
자, 그럼, 시작합니다.
제어판 - 네트워크 서비스 - DDNS로 갑니다.
제어판 - DDNS 창에서 추가 버튼 클릭
그러면, DDNS 창이 뜨면서 몇 가지 정보를 요구합니다.
한사랑교회는 아래와 같이 입력했습니다.
DDNS 지원 활성화에 체크
서비스 제공업체 : Synology (원하시는 아무 회사나 선택)
호스트 이름 : onelove.synology.me (맨 앞 이름만 정하세요.)
사용자 이름 : abc@d.e (관리자 실제 메일 넣으세요.)
패스워드 : ******
외부주소 : (공유기 주소가 이미 선택되어 있습니다.)
Heartbeat : 사용
이렇게 입력 후, 지금 등록 클릭,
잠시 후, 맨 밑에 상태 : 가 정상으로 나오면 된 겁니다.
쉽지요?
위 Heartbeat는, 무슨 이유에선지 DDNS 연결이 끊어지면 Synology MyDS Center에서 알람을 보내는, 그런 기능입니다.
다 되었으면 하단 확인 클릭합니다.
이제 브라우저에서 http://onelove.synology.me:5000 이렇게 입력 후 엔터해 보세요.
그럼, 잠시 후, 브라우저에 짠! 하고 DSM 화면이 떠 주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러나 애석하게도 아직 끝난 게 아닙니다.
외부에서 접근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렇게 쉽게 대문이 열리면 안 되거든요.
요즘 워낙 악의적인 접근들이 많아서...
그래서 한 가지 더 해줘야 하는데, 그게 바로 포트포워딩이라는 겁니다.
좀 지치셨을 듯도 하지만 이제 정말 끝이니까 조금만 더 가죠.
포트포워딩 시작합니다.
포트(port)에 대한 기본 이해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포트번호'가 뭔가요? → http://bygrace.kr/10
그냥 가정집 상황으로 설명하지요.
외부에서 우리 집 내부 네트워크으로 들어오려면 반드시 대문 역할을 하는 놈을 거쳐야 합니다.
그 놈이 바로 공유기입니다.
공유기는 대기하고 있다가 어떤 외부의 침입을 감지하면 다음과 같이 합니다.
"너, 누구야?"
"저는 누구누군데 NAS와 대화하고 싶어요."
"NAS 안에도 여러 어플들이 있어. 정확히 말해. 그 중 누구랑 대화하겠다는 거야?"
"DSM이요."
"DSM에 해당하는 번호 말해. 이거 틀리면 너, 간첩이야!!!"
"5000이요."
"기다려. 음, 맞군! 그러면, 너는 몇 번으로 가."
위 대화에서 외부인이 말한 5000이 DSM 포트번호입니다.
공유기는 중간에서 보초를 서며, 한편으로 교통정리를 하는 거죠.
공유기 포트포워딩은 다음과 같이 합니다.
① 공유기 관리자 화면에서 고급 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으로 갑니다.
② 오른쪽 포트포워드 설정에서,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하지요.
규칙 이름 : DSM
내부 IP주소 : 192.168.0.100
프로토콜 : TCP
외부 포트 : 5000
내부 포트 : 5000
③ 위와 같이 하고, 추가 클릭,
④ 그러면, 하단에 한 줄 생깁니다.
⑤ 왼쪽 번호 옆 체크 박스 체크 후, 위 동작 버튼 클릭, 동작시켜 줍니다.
이제 다 됐습니다.
이제 브라우저 열고, http://onelove.synology.me:5000 해보세요.
실제로 이 글을 쓰는 현 시점에서, 위 주소는 아직 연결이 안 됩니다.
NAS 이동 중이거든요... ^^
실제로 작동 중인 NAS를 보고 싶으시면...
아래, 저희 홈 NAS로 들어와 보시죠. ^^
2강, 마칩니다.
길었네요...
'NAS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413 설치후기 - ④ Photo Station (0) | 2013.08.19 |
---|---|
DS413 설치후기 - ③ Audio Station (0) | 2013.08.16 |
DS413 설치후기 - ① 설치환경 준비 (0) | 2013.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