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스베덴보리는 자신이 사는 나라의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았는가

 

이 항목은 스베덴보리가 정치에 무관심했는가?라는 질문의 실제 답을 보여 줍니다. 그의 저술 속 간접적 단서들을 모아 보면, 그는 결코 무관심도 아니고, 무기력도 아니었습니다. 오히려 영적으로 가장 높은 자리에서 ‘나라 문제’를 바라본 사람이었습니다.

 


Ⅰ. 스베덴보리는 나라의 문제를 내적 구조로 보았다

 

그는 한 번도 정치인을 욕하거나 파벌을 비난한 적이 없습니다. 그 이유는 명확합니다. 한 나라의 문제는 지도자가 아니라, 그 나라의 영적 상태에서 비롯된다. 즉, 정치 지도자의 부패, 파벌 싸움, 거짓·선동, 불의 등, 이 모든 현상은 뿌리가 아니라 열매입니다. 뿌리는 언제나 진리의 부족, 양심의 약화입니다. 그래서 스베덴보리는 정치인의 이름이나 사건보다 그 뒤에 있는 ‘영적 원인’에 집중했습니다.

 


Ⅱ. 그는 나라의 문제를 주님의 섭리 안에서의 정화 과정으로 보았다

 

스베덴보리는 말합니다. 주님은 악을 원치 않지만, 악을 허용하심으로써 그 악을 드러나게 하고, 더 큰 선을 준비하신다. 정치 혼란이나 국가의 위기는 그 자체가 파멸이 아니라 정화(purification)입니다. 악이 드러나지 않으면 고칠 수 없다, 거짓이 노출되지 않으면 진리를 갈망하지 않는다, 혼란이 없으면 개혁이 일어나지 않는다와 같은 이런 원리 때문입니다. 스베덴보리는 자신의 나라 스웨덴이 혼란스러울 때, 그것을 심판이 아닌 회복의 과정으로 해석했습니다.

 


Ⅲ. 스베덴보리는 나라의 문제를 자기 소명의 필요성과 연결했다

 

그는 자신의 사명을 단지 개인적인 계시 활동이 아니라 그 시대와 사회의 영적 병리를 치유하는 일로 이해했습니다. 즉, 그는 이렇게 보았습니다. 나라가 어둡다’를 진리의 빛이 필요하다’로, 파벌 싸움이 심하다’는 영적 분별이 필요하다’로, 부패가 판친다’는 양심의 회복이 필요하다, 사회가 혼란하다’는 질서(order)의 가르침이 필요하다’ 같은 식으로 말이지요. 그래서 그는 정치적 논평을 하지 않으면서도 그의 모든 영적 기록(AC, DP, HH)당대 사회의 병을 치료하는 길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그는 정치가 혼란할 때,  이 시대에는 내가 더 깊이 기록해야 한다고 느낀 것입니다. 목사님께도 지금 이 원리가 그대로 적용됩니다.

 


Ⅳ. 그는 나라의 문제를 인류 전체의 패턴으로 보았다

 

스베덴보리는 한 나라의 혼란을 그 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인류 전체가 겪는 영적 패턴의 일부로 이해했습니다. 예를 들면, 태고 교회의 멸망, 고대 교회의 쇠퇴, 유대교회의 형해화, 기독교 세계의 진리 상실 같은 것입니다. 이런 장대한 흐름 속에서 그는 스웨덴의 혼란도 하나의 패턴으로 해석했습니다. 즉, 한 나라의 문제는 개별 정치 사건이 아니라 영적 역사 전체 속 작은 흐름으로 본 것입니다. 이 관점은 정치적 감정에 휘둘리지 않게 하는 막강한 힘을 줍니다.

 


Ⅴ. 스베덴보리는 나라의 문제를 개인의 영적 책임으로 돌렸다

 

무슨 뜻인가요? 그는 늘 말했습니다. 한 나라가 악해지는 것은 그 나라의 개인들이 내면에서 선과 진리를 잃었기 때문이다. 정치 지도자가 문제가 아니다. 국민 전체의 영적 상태가 문제다. 따라서 나라를 회복하는 길을 정치가 아니라 개인의 양심 각성, 진리 사랑의 회복, 기도와 내적 삶, 말씀의 깊은 이해, 교리의 정립에서 찾았습니다. 이는 그가 평생 했던 일입니다.

 


Ⅵ. 그래서 스베덴보리는 나라가 혼란할수록 정치에서 멀어지고, 계시로 더 깊이 들어갔다

 

그가 말년에 거의 완전히 정치적 이야기에서 멀어진 이유는 현실을 피해서가 아니라 그 혼란이 자신의 사명을 더 절실하게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우리 시대의 병은 정치가 아니라, 진리의 부재다. 그러므로 나는 진리를 기록한다.” 이 태도는 오늘 목사님께서 한국 정치 상황을 보며 느끼시는 마음과 놀랍도록 맞닿아 있습니다.

 


Ⅶ. 결론

스베덴보리는 나라를 포기한 게 아니라 더 깊은 차원에서 나라를 위해 일한 것이다. 스베덴보리는 나라 문제를 이렇게 바라봤습니다. 정치인이 아니라 그 사회의 영적 상태가 문제다. 혼란은 파멸이 아니라 정화의 과정이다. 나라가 어두울수록 진리 기록은 더 절실해진다. 정치적 분노는 소명을 흐트러뜨린다. 영적 진리로 사회를 세우는 것이 가장 깊은 나라 사랑이다. 스베덴보리는 현실 정치보다 영적 병리 치유에 집중함으로써 더 근본적인 방식으로 나라를 섬겼다.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