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그제, 아내와 함께 박세아(이양선) 목사님의 행복공동체선교회, 그리고 손창호(김미영) 목사님의 반석위에세운교회를 차례로 방문했습니다. 처음엔 박세아 목사님 교회 와이파이 속도가 너무 안 나온다 하셔서 잠깐 방문, 봐드리려 했던 것이 근처 사시는 손 목사님도 오셔서 어느덧 세 교회 조촐한 만남의 장이 되었습니다.


박세아 목사님 얼굴을 1분이라도 빨리 보려는 마음에 아무 생각없이 오전예배 후 바로 달려간 것이 그만 점심시간대를 염두에 두지 않아 아내에게 한 소리 들었으나 감사하게도 두 분 목사님, 사모님, 기쁘게 맞아주셔서 은혜로왔고, 더욱 감사했습니다. ^^


도착하자마자 살핀 유무선 공유기, 아이피타임 N704, 넓은 공간에 칸막이도 있고... 싱글 밴드로 여러 사람이 쓰기 어떨까 싶어하며, 먼저 손보기 전 속도 체크하니 제가 쓰는 갤3나 손 목사님의 폰으로도 조금 늦게 뜬다 싶었습니다. 그런데 박 목사님 폰으로 하니 정말 느렸습니다. 음... 공유기보다 폰 문제일까요?


일단 공유기 안으로 들어가 무선마법사를 실행, 다른 건 그대로 두고 채널 검색을 하였습니다. 최적추천 채널을 몇 번 거듭 검색, 확인 후 적용, 마치고 나왔습니다. 이후 제 폰으로 확인하니 좀 빨라졌습니다. 손 목사님도 괜찮았는데 박 목사님 폰은 정말 느렸습니다. 아무래도 폰에 문제가 있으신듯... 아, 크게 도움 되지 못해 많은 아쉬움이...


다른 거 도울 게 없으신지 여쭈니 노트북 무선연결 좀 봐달라셔서 노트북을 살펴 얼른 복구, 연결시켜 드렸습니다. 알약 없으신 듯 하여 알약도 설치해 드리고... 노트북 관련 조금 손 보시면 크게 속도향상을 보실 수 있는 방법을 말씀드리면서 식사하러 출발!


식사는 지난 9월 지방회 때 간 쭈꾸미, 그때 저는 몸살이 심해 모임 후 바로 귀가하였던 터라 쭈꾸미로 갔습니다. 쭈꾸미 정식으로 아주 맛있는 식사를 했습니다. 김미영 사모님도 불렀으나 연락이 안 되어 함께 할 수 없었습니다. 나중에 알게 되었는데 수업 중이셨다는군요. 손창호 목사님이 한 턱 내셔서 '아, 이래서 왕 형님이 계셔야 하는구나' 하였습니다. 손 목사님, 감사해요. ^^


다시 돌아와 노트북 업그레이드 이야기 계속, 삼성센스 R530, 노트북을 열어보니 HDD는 320기가, 램은 2기가 하나, 빈 슬롯 하나, DVD드라이브 내장, 제안은 SSD 달고, DVD 자리에 HDD를, 램 빈 슬롯에 2기가 하나 추가, 이렇게 하면 10만원 정도 나올 듯... 10만원 들여 새 노트북 속도를 누리니 괜찮을 것 같았습니다. 진행, 오케이! ^^


이어 손 목사님, 우리 온 김에 자기 교회도 좀 가서 프로젝터와 태블릿 연결 관련 봐달라 하셔서 그러기로 하고 우리 차로 이동, 노은도서관 지나 바로 아파트 앞 상가 3층 반석위에세운교회가 나왔습니다. 계단이 있어 박 목사님은 함께 하시기 어려웠습니다. 교회가 참 단정하고, 아름다왔습니다. 모든 게 부럽...^^


본당 강대상 뒤에 공유기 하나 있어 먼저 유선으로 연결, 무선 역시 최적 채널 잡아드리고, 노트북에 알약 설치하여 드리고... ^^ 천정 프로젝터를 살폈습니다. 엡손 EB-S12 였는데 드물게 오직 USB 인터페이스만 있고, LAN도, HDMI도 없었습니다. USB 무선랜카드 생각을 하였으나 LAN 자체 지원이 안 되는 것 같아 포기...


결국, 기존 RGB 케이블을 살펴, 갤럭시 폰, 태블릿들과 RGB를 연결할 수 있는 어댑터를 찾아보기로 하였습니다. 이어 손 목사님 노트북 역시 SSD 업그레이드를 제안, 생각해 보기로 하셨습니다. 음향 관련 여쭈어 보시는데, 제가 음향까지 하면 공평하지 않은 것 같아 음향은 모릅니다 말씀드리니 웃으시네요. ^^


손 목사님은 참 겸손하세요.  늘 자기를 낮추시고, 늘 자기를 부족하다 하시고... 목사님과 함께 하면 마음이 맑아지고, 참 좋습니다. 주께서 참 기뻐하시는, 귀한 종이시구나 느껴졌습니다. 지방회 때 잠깐 뵙는 데서 나아가 이렇게 따로 목사님들, 사모님들을 뵈며, 차 한 잔 하며, 도울 수 있는 부분 도와드릴 수 있으니 참 감사합니다.


주님, 행복공동체선교회와 반석위에세운교회를 복 주시고, 두 분 목사님 가정에 형통과 복을 주시옵소서. ^^

Posted by bygracetistory
,

요 며칠, 덕분에 그동안 미뤘던 'Windows Updates 설치본 통합의 세계'를 여행 잘 한 느낌이다.


여행의 결론은,

1. 특별히 Windows 설치를 자주 하지 않는 이상 Updates 통합하느라 생고생하는 것은 좀...

2. 그냥 기본 설치본으로 설치 후 자동 업데이트로 마무리함이 깔끔하다는 것


Windows 자동 업데이트의 알고리즘이 의외로 복잡, 수많은 변수들을 살펴 결정하기 때문에 그걸 비전문가요, 비MS 개발자인 우리가 아무리 애를 쓴들 완벽한 통합본 만드는 것은 불가능...


그래도 나름 최종 통합본이라 할 만한 install.wim을 만들었기에 여기 그 과정을 약술한다.


1. 나는 주로 7 x64 Ultimate K 버전으로 작업하기 때문에 이것만 만들었다. 

2. 사용한 install.wim은 SP1이 적용된 2011년 2월 스누피 버전이다.

3. W7U64K(Windows 7 Ultimate 64 Korean)가 설치된 내 넷북 E125 기준, 업데이트 목록 조사

4. 명령어는 wimc QFE get HotFixID, InstalledOn > HotFixList-7-x64.txt

5. 위 txt를 엑셀로 열어 InstalledOn 오름차순으로 정렬

6. WHDownloader로 받은 7 x64 폴더에서 위 5번 KB******* msu들을 일일이 검색

7. DISM GUI 이용, 일일이 통합

8. 여러 개 한꺼번에 했더니 오류가 났을 때 분석이 불가능, 일일이... 완전 노가다!

9. DISM 적용 시 필요한, mount, update 폴더 등 생성, 폴더명은 임의 가능


이 고생을 했어도 고작 Hot Fix 업데이트만 적용한 것, 이 외 여러 다양한 업데이트는 아이고...

이 작업으로 만든 나만의 7 업데이트 통합본이 과연 시간절약을 얼마나 시켜줄까?

매 설치 시, Windows Updates 때문에 여러 시간 보내는 게 너무 답답해 시작한 작업인데...


어쨌든 덕분에 이쪽 세계를 좀 들여다 볼 수 있었다.

Posted by bygracetistory
,

선교사님이 맡기신 또 하나의 노트북 작업을 요 며칠 진행 중이다.

이번 기회에 아예 Updates 통합본을 만들어야지 작심,

심호흡 하고 손 댔다가...

Updates 파일들 다운로드하는 문제가 의외로 쉽지 않아 씨름,

오늘 아침, 그 종결자(?)가 될만한 녀석을 찾았다.

 

바로 WHDownloader 라는 유틸이다.  WHDownloader_1.8.zip

 

처음부터 알았더라면... ^^

Posted by bygracetistory
,

Windows Updates 파일들은 확장자가 보통 msu입니다.

이런 식이지요.

Windows6.1-KB3046482-x64.msu

 

처음에 Windows Updates 기록보기를 통해 일일이 역추적, 개별 다운로드를 했으나...

바로 결정내리기를, 이건 사람이 할 짓이 아니다!

뭔가 좀 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이 있을 텐데... 하며, 구글링

그러다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매달, 보안 릴리스라 하여 iso로 발표한다는 사실을 알고는...

다운로드 센터에 들어가 역으로 '2015 iso'로 검색

아래와 같이 제법 괜찮은 방법을 찾았습니다.

 

Windows Updates MSU 다운로드

1. https://www.microsoft.com/ko-kr/default.aspx 에서 ‘iso’로 검색

2. 해당 iso, , Windows-KB913086-201504.iso를 다운로드 후

3. 알집 가상 드라이브에 마운트

4. Windows 7에 해당하는 ‘*Windows6.1*x86(혹은x64)*’로 검색

5. 전체 선택 후, 해당 폴더(x86 혹은 x64)로 복사

 

위 방법으로 Windows 7 x64 msu들을 다 모았더니 총 317개가 나오네요.

기간은, 201504 - 201105 입니다.

 

이 317개를 평소 제가 쓰는 Windows 7 설치용 USB의 install.wim에 지금 작업 중입니다.

Posted by bygracetistory
,

오랜만에 글을 게시하네요...^^


최근에 어느 선교사님의 구형 노트북 둘을, 하나는 VHD 적용만, 다른 하나는 SSD, 멀티부스트까지 적용, 변신시켜 드린 적이 있습니다. SSD 적용의 경우, 기대했던 대로 무척 빨랐지만, Windows 7 SP1이어서 그런지 Windows Updates 적용 때문에 무척 애를 먹었습니다. Updates 수가 무려 200개가 넘었는데 대략 5시간 정도 걸렸던 것 같습니다. 휴...


앞으로도 이런 요청이 꾸준할 텐데 그때마다 이래야 하나... 하는 마음에 평소 Windows Updates 들을 수동 다운로드, 미리 이 모든 Updates들을 적용한 Windows 7을 만들어두면 좋겠다는 생각에 어제부터 작업을 시작했는데... 아, 보통 일이 아니군요. 그냥... 이 모든 Updates를 적용한 Windows 버전을 토렌트에서 구해 그걸로 USB 부팅 버전을 만들어쓰는 게 나을까요? ^^


참으로,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라는 말이 맞는 것 같습니다. SSD도, VHD도, 그리고 이제 내 입맛에 맞는 Windows 이미지(.wim파일)까지 만들 생각을 하니 말입니다. DISM이라는 툴을, 그동안 WinSxS폴더 사이즈 줄이는 데나 쓸 줄 알았지, 이렇게 Windows 이미지 만드는 데까지 쓰게 될 줄은 몰랐습니다. 아마 다른 젊은이들도 저처럼 이렇게 그 내공과 안목이 넓혀진 것이겠지요? ^^


Windows Updates 들을 하나 하나 다운로드 하는 거, 참 지루한 일이지만 나름 재미있네요. 나중에 DISM 이용, Windows 7 이미지 통합에 성공하게 되면 그 과정을 게시하지요.


그럼...


Posted by bygracetistory
,

저희 한결같은교회 예배의 설교 및 특송은 다음과 같이 접하실 수 있습니다.

 

※ 아래 설명은 스마트기기(안드로이드폰) 기준이며, 홈피 서비스는 곧 준비하겠습니다.

 

1. 앱 스토어로 이동(Android 계열: Play 스토어, iOS 계열: App Store)

2. 검색 창에 synology 입력

3. synology 나오면 선택

4. 목록 중에서 DS audio 선택

5. 설치 클릭

6. 열기 클릭

7. DS audio 로그인 화면이 나오면 아래와 같이 입력 후 로그인 클릭

bygrace
cbc

(패스워드)는 공란

※ cbc는 공용아이디입니다. consistent baptist church의 약자

8. 기본적으로 라이브러리 메뉴가 뜹니다. 여기서 최근 추가됨, 폴더 등으로 자유롭게 들으시면 됩니다. 루트 폴더는 music, 그 밑에 몇 개의 폴더가 있는데 그 중 예배 폴더에 설교 및 특송 등이 들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결같은교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종인가, 주인인가?  (0) 2015.10.30
Posted by bygracetistory
,

이런 순서로 진행 중입니다.

 

1. 설치환경 준비

2. DSM

3. Audio Station

4. Photo Station

5. Video Station

6. Cloud Station

7. File Station

8. 기타 Station들

9. 제어판

10. 원격제어

 

오늘은 4강, Photo Station입니다.

 

4강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Photo Station 설치

2. DS photo+ 앱 설치

3. Photo Station에 사진 올리기

4. Photo Station에 동영상 올리기

 

자, 그럼 순서대로,

 

1. Photo Station 설치

 

Audio Station 못지 않게 이 Photo Station 또한, 교회에서 그 쓰임새가 매우 크고 다양합니다. 특히, 교회 예배, 각종 행사 및 주일학교 모습 등, 소위 '비주얼' 자료공유에 힘쓰시는 교회일수록 더욱 그렇습니다. 이 Photo Station은 Photo뿐 아니라 Video Streaming까지도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그 활용도가 높습니다. 블로그도 있는데, Photo Station이 제공하는 블로그는 쓰시라 권하기가 좀...^^

 

앞으로 앞 강의에서 다루었다 하더라도 독자의 편의를 위해 무한반복을 하겠습니다. 이미 익숙하신 분들에게는 다소 지루하실지라도 이제 새로 배우시는 분들을 위해 양해하여 주실 줄 믿습니다. ^^

 

설치는 Audio Station 때 처럼 다음과 같이 합니다.

 

① DSM을 admin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② 바탕화면 상단 타이틀바 왼쪽 바탕화면 표시 바로 옆에 있는 메인 메뉴를 클릭

③ 밑으로 펼쳐지면 여러 섬네일 중 두 번째 줄 첫 번째 섬네일 패키지 센터 클릭

멀티미디어 그룹에서 Photo Station 클릭, 설치

 

참고로, 이 Photo Station은 앞서 5개 Station들(Audio, Download, Surveillance, Video, File)처럼 사용자 지정 별칭리디렉션 기능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하나의 Station을 설치, 외부에서 NAS 즉, DSM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앞서 2강에서 다룬, 포트포워딩을 해주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Synology에서 각 Station에 배정한 포트 번호를 알아야 합니다.

 

아래 링크는 DSM 4.2 현재, Synology SupportKnowledge Base, What network ports are used by Synology services? 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 페이지입니다.

 

http://www.synology.com/support/faq_show.php?q_id=299&lang=enu

 

위 표에 보면, Photo Station, DS photo+ 둘 다 HTTP의 경우, TCP 포트 번호 80을 사용합니다.

 

다음과 같이 합니다.

 

① 공유기 관리자 화면에서 고급 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으로 갑니다.

② 오른쪽 포트포워드 설정에서,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하지요.

 

규칙 이름 : DS photo+

내부 IP주소 : 192.168.0.100

프로토콜 : TCP

외부 포트 : 80

내부 포트 : 80

 

③ 위와 같이 하고, 추가 클릭,

④ 그러면, 하단에 한 줄 생깁니다.

⑤ 왼쪽 번호 옆 체크 박스 체크 후, 위 동작 버튼 클릭, 동작시켜 줍니다.

 

제대로 들어가지는지 확인은 DS photo+ 앱 설치 후, 앱에서 하겠습니다.

 

Photo Station의 경우, 브라우저에서는 80 포트가 겹쳐 DSM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이 우선순위를 피하면서 바로 Photo Station으로 들어가려면, http://onelove.synology.me/photo 하시면, DSM이 아닌, Photo Station 화면이 뜹니다. 여기서 로그인하시면 됩니다.

 

포트 번호 80이 겹친다고 공유기 포트포워딩을 생략하시면 앱에서 안 들어가집니다.

꼭 한 줄 넣으셔야 합니다.

 

Photo Station 설치는 이 정도 하겠습니다.

 

2. DS photo+ 앱 설치

 

앱 설치 및 확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갤3 기준입니다만, 다른 기종들도 거의 같습니다.

 

① 앱 Play 스토어를 실행합니다.

② 맨 위 돋보기를 탭, 영문에서 synology 입력, 밑에 리스트에서 synology 선택

③ DS 앱들이 주욱 뜨는데 여기서 DS photo+ 선택, 설치합니다.

④ DS photo+ 앱 열기

⑤ Wi-Fi를 끕니다.

⑥ DS photo+ 로그인 창에서 한사랑교회는 다음과 같이 했습니다.

 

주소 또는 QuickConnect ID : onelove.synology.me

계정 : admin

패스워드 : *******

 

나머지는 안 건드립니다.

 

앨범 - 한사랑교...30505

⑧ 사진 하나 탭한 후, 홈버튼 왼쪽 메뉴 버튼 탭, 슬라이드쇼로 보시면 더욱 편합니다.

⑨ 이상 없으면 홈 버튼 왼쪽 탭, 로그아웃

 

위 ⑤항은, 공유기 권역이 아닌, 일반 공중망에서도 잘 들어와지는지 보기 위해서입니다.

 

한사랑교회 NAS 이동이 완료, 이젠 잘 들어가지는군요! ^^

 

위 ⑥항에서, QuickConnect ID는... 아래와 같이 생성합니다.

 

① 관리자 계정으로 DSM 로그인

제어판 - 네트워크 서비스 - QuickConnect 클릭

제어판 - QuickConnect 창에서 위 QuickConnect 박스에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 빈 박스 체크, 여기서는 DS photo+ 체크

④ 아래 QuickConnect 정보 박스에서 QuickConnect ID : 숫자(아홉자리) 확인

⑤ (위 숫자 외우기가 불편하면) 사용자 지정 버튼 클릭, 임의의 아이디 입력, 사용하셔도 됩니다. 아이디는 숫자로 시작하실 수 없습니다.

 

앱 DS photo+ 실행 후, 아홉자리 숫자 혹은, 아이디를 입력해 보세요. 신기하게도 로그인이 될 겁니다. 이 방법이 훨씬 더 편하실 겁니다. ^^

 

QuickConnect를 지원하는 클라이언트들은 DS file, Cloud Station, DS photo+, DS audio 입니다.

 

지금은 첫 테스트라 admin으로 로그인했지만, 나중에 계정들 생성하면 각각 접근 권한 등을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DS photo+ 앱 설치 및 확인은 여기까지입니다.

'NAS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413 설치후기 - ③ Audio Station  (0) 2013.08.16
DS413 설치후기 - ② DSM  (0) 2013.08.13
DS413 설치후기 - ① 설치환경 준비  (0) 2013.08.12
Posted by bygracetistory
,

PC이든, 스마트폰이든, 하나의 기기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하려면 반드시 필요한 게 있는데

바로 '주소'입니다.

 

너무 당연한 걸 정색을 하고 말하는 것 같네요...^^

 

이 '주소'는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아이피(IP) 주소, 다른 하나는 맥(MAC) 주소입니다.

 

IP 주소는 TCP/IP 설정 때 자동 또는 수동으로 지정하는 것이고,

MAC 주소는 기기 내부 네크워크 관련 부품에 공장에서부터 박혀져 나오는 겁니다.

 

그 형태는 각각

 

IP 주소 : 192.168.0.200

MAC 주소 : 60-D8-19-C2-72-4B

 

이렇게 생겼습니다.

 

보안을 위해

IP 주소는 라우팅 불가능 주소를, MAC 주소는 안 쓰는 주소를 적어놓았으니 참고하세요. ^^

 

이 둘은 아무 사이도 아닙니다.

그럼, 왜 MAC 주소를?

 

기기 A에서 보낸 메시지가 기기 B에 도착하는 과정이

우리가 볼 땐 IP 주소로만 찾아가는 거 같지만

사실은 IP 주소를 가지고 그에 해당하는 MAC 주소를 찾아가는 과정이랍니다.

 

그래서 그런지 네트워크 전반에 은근히

이 MAC 주소에 대한 이해가 좀 필요하여 잠깐 다루었습니다.

 

내가 사용 중인 기기의 MAC 주소를 알려면

PC에서는 명령 프롬프트 실행 후, getmac 하면 되고,

스마트 기기는 보통 환경 - 디바이스 정보 - 상태에서 알 수 있습니다.

 

'IT 상식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램들이 대화를 해요?  (0) 2013.08.12
포트(Port) 번호  (0) 2013.08.09
Posted by bygracetistory
,

이런 순서로 진행 중입니다.

 

1. 설치환경 준비

2. DSM

3. Audio Station

4. Photo Station

5. Video Station

6. Cloud Station

7. File Station

8. 기타 Station들

9. 제어판

10. 원격제어

 

오늘은 3강, Audio Station입니다.

 

3강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Audio Station 설치

2. File Station 사용하기

3. DS audio 앱 설치

 

자, 그럼 순서대로,

 

1. Audio Station 설치

 

교회에서 NAS로 할 수 있는 가장 첫 번째 활용은, 아마도 '설교 듣기'이지 싶습니다.

그래서 제일 먼저, Audio Station으로 시작합니다.

 

다음과 같이 합니다.

 

① DSM을 admin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② 바탕화면 상단 타이틀바 왼쪽 바탕화면 표시 바로 옆에 있는 메인 메뉴를 클릭

③ 밑으로 펼쳐지면 여러 섬네일 중 두 번째 줄 첫 번째 섬네일 패키지 센터 클릭

멀티미디어 그룹에서 Audio Station 클릭, 설치

 

위 ②번 메인 메뉴는 따로 풍선도움말이 안 떠 어떤 걸 말하는 건지 처음엔 잘 모를 수 있습니다. 1개의 파란 다이아몬드와, 3개의 하얀 사각형으로 된 아이콘을 말합니다.

 

각 Station의 다양하고 자세한 응용은, 나중에 제 역량이 닿는 대로 응용편에서 다루겠습니다. 여기서는 일단 '설치를 이렇게 했습니다' 선에서 넘어가겠습니다.

 

저는 특히 이 Audio Station의 경우, DSM 안 거치고, 바로 갈 일이 별로 없어 이 경우는 잘 안 쓰지만, 혹시 필요하신 분들 있을까 하여 잠깐 다룹니다.

 

이 Audio Station 핸들링을 할 때, 꼭 DSM을 거쳐서 할 필요는 없습니다.

처음부터 브라우저에 해당 주소로 바로 Audio Station 관리화면을 띄울 수 있습니다.

 

다름과 같이 하시면 됩니다.

 

제어판 - 응용 프로그램 설정 - 응용 프로그램 포털로 갑니다.

응용 프로그램 목록에서 Audio Station 선택 후, 켜지는 편집 버튼 클릭

포트/별칭 규칙 편집 창을 다음처럼 합니다.

 

사용자 지정 별칭 활성화 : 체크

별칭 : audio (DSM 제안 그대로, 다른 걸로 해도 됩니다.)

리디렉션 원본 : 체크

 

확인 클릭

편집 버튼 옆 저장 버튼 반드시 눌러주셔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다음부터 브라우저 주소창에 직접, 예를 들면, http://2237.synology.me/audio 이렇게 입력 후, 엔터 하면 바로 Audio Station 관리 화면으로 DSM 안 거치고, 직접 들어가시게 됩니다. 이 경우, 화면 보시면 아시겠지만, 로그인 창 하단에 음표 표시 아이콘이 붙어 Audio Station 임을 알 수 있도록 하는군요. ^^

 

위에서 리디렉션 원본에 체크 안 하면 주소에서 포트번호를 넣어주셔야 합니다.

저는 그 마저 귀찮아 리디렉션 합니다.

 

이렇게 할 수 있는 Staiton들은 아직은 총 5개로, Audio Station, Download Station, Surveillance Station, Video Station, File Station 입니다.

 

이 바로가기가 요긴한 한 가지 예가, File Station인데요, 예를 들어, 다른 사람이 저에게 대용량 파일을 보내셔야 할 때, 한 가지 방법이, 별도 계정을 만들어 드린 후, 그 분으로 하여금 이 File Station으로 직접 들어와 업로드하시게 하는 겁니다. 그러면, 그 분이 DSM을 안 거쳐도 되니 좀 깔끔하지요. ^^

 

좀 쉬고, 이어 하겠습니다.

 

저 역시, 요즘 교회 개척을 준비 중이어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오늘은 아내와 함께 교회에서 쓸 십자가, 헌금통 등 여러 가지를 좀 살펴보고 왔습니다.

오래 기다리신 분들께는 많이 죄송합니다.

제가 블로그를 처음 운영, 이렇게 글을 올리다 보니 이게 쉬운 일이 아니구나 싶습니다.

제가 그동안 빚진, 많은 NAS 선배님들의 이런 수고가 일찌기 있었기 때문에 오늘 내가 이렇게 글을 올릴 수 있는 거구나 싶어 그 분들께 새삼 감사를 전합니다.

 

다시 이어 진행합니다.

 

하나의 Station을 설치, 외부에서 NAS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앞서 2강에서 다룬, 포트포워딩을 해주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Synology에서 Audio Station에 배정한 포트 번호를 알아야 합니다.

 

아래 링크는 DSM 4.2 현재, Synology SupportKnowledge Base, What network ports are used by Synology services? 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 페이지입니다.

 

http://www.synology.com/support/faq_show.php?q_id=299&lang=enu

 

위 표에 보면, Audio Station, DS audio 둘 다 HTTP의 경우, 포트 번호 5000을 사용합니다.

 

2강으로 잠시 돌아가셔서, 포트 번호 5000으로 포트포워딩을 하고 오시기 바랍니다. ^^

 

Audio Station 설치는 이 정도 하겠습니다.

 

2. File Staiton 사용하기

 

Audio Station 설치 중 웬 뜬금없이 File Station 사용? 하실 분들이 계실 것 같습니다. NAS에 음악 파일 하나 테스트 용으로 업로드하려고 그러는 건데, 물론 NAS에 파일 업로드 방법이 꼭 File Station 사용만 있는 건 아닙니다. 자세한 건, 7강 File Station에서 다루겠습니다.

 

File Station은 다른 Station처럼 패키지로 설치하는 게 아니고, DSM 설치 시, 함께 설치되는 겁니다. DSM 바탕화면에 보면, Windows File Explorer 같이 생긴 아이콘이 하나 있는데 그 이름이 File Station으로 되어 있습니다.

 

테스트 용 음악 파일 하나 NAS에 업로드하는 건 다음과 같이 합니다.

 

File Station을 더블 클릭, 실행합니다.

보안 경고 창이 뜨면 차단 안함 클릭

③ 테스트 용 음악 파일 하나, NAS music 폴더에 업로드 해주세요.

 

위 ②번에서 차단 클릭하시면, File Station 창에서 로컬이 안 보입니다.

로컬, 즉, 지금 내가 작업 중인 PC 드라이브들이 안 보이면... 조금 짜증나지요. ^^

 

위 ③번의 공용폴더 명 music은 Audio Station이 설치되면서 DSM이 알아서 생성한 건데, 나중에 공용폴더 편집 버튼으로 바꾸실 수 있지만... 저는 그냥 씁니다.

 

이 File Station 역시, 위 1단계에서 언급한, 사용자 지정 별칭 활성화리디렉션 가능합니다.

즉, http://2237.synology.me/file 이렇게 하시면, DSM 안 거치고 바로 갑니다.

 

File Station 사용하기는 일단 여기까지입니다.

 

3. DS audio 앱 설치

 

교인들로 하여금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목사님 설교를 어디서나 쉽게 들으실 수 있게 하는 것

 

사실은 이게 최종 목표입니다. 경험에 의하면, 대부분의 교인들은 PC나 노트북 등으로 설교 듣는 것을 무척 어려워 하신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PC를 대체할, 정말 손쉬운 방법이 필요했는데, 마침 이 똘똘이 NAS가 나타난 겁니다. 그래서 서둘러, 한사랑교회 목사님께도 그 손쉬운 구현을 바로 좀 확인시켜 드리고 싶었습니다.

 

앱 설치 및 사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갤3 기준입니다만, 거의 같습니다.

 

① 앱 Play 스토어를 실행합니다.

② 맨 위 돋보기를 탭, 영문에서 sy 입력, 밑에 리스트에서 synology 선택

③ DS 앱들이 주욱 뜨는데 여기서 DS audio 선택, 설치합니다.

④ DS audio 앱 열기

⑤ Wi-Fi를 끕니다.

⑥ DS audio 로그인 창에서 한사랑교회는 다음과 같이 했습니다.

 

주소 또는 QuickConnect ID : onelove.synology.me

계정 : admin

패스워드 : *******

 

나머지는 안 건드립니다.

 

폴더 - music 으로 가서 테스트 용 파일을 실행합니다.

⑧ 이상 없으면 홈 버튼 왼쪽 탭, 로그아웃

 

위 ⑤항은, 공유기 권역이 아닌, 일반 공중망에서도 잘 들어와지는지 보기 위해서입니다.

 

위 ⑥항에서, QuickConnect ID는 아직 안 만들었는데, 포트 전달 규칙 설정 등의 번거로움 없이 아홉 자리 숫자로 된 ID만 입력하면 해당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알아서 NAS에 연결하게 해주는, 일반 교인들 입장에서는 매우 획기적인 아이디어입니다. 제 경험으로는, 됐다 안 됐다 해서 잘 안 쓰지만...^^

 

QuickConnect를 지원하는 클라이언트들은 DS file, Cloud Station, DS photo+, DS audio 입니다.

 

지금은 첫 테스트라 admin으로 로그인했지만, 나중에 계정들 생성하면 각각 접근 권한 등을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한사랑교회 목사님은, 조금 전까지만 해도 까만 기계 덩어리에 지나지 않았던 DS413이 이제 자기 스마트폰으로 오디오가 되니까 감격스러워 하셨습니다. 이제 교인들도 출퇴근 시, 스마트폰을 카오디오에 연결하면 운전 중 지난 주 설교를 마치 라디오 듣듯 들으실 수 있게 된 겁니다. 할렐루야!

 

이렇게 해서 music 폴더 밑으로 다음과 같이 서브 폴더들을 만들어 관리하면 됩니다.

 

주일예배

수요예배

새벽예배

부흥회

특새

세미나

기도회

음악회

주일학교

...

 

이상입니다.

 

3강은 여기까지 입니다.

 

 

'NAS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413 설치후기 - ④ Photo Station  (0) 2013.08.19
DS413 설치후기 - ② DSM  (0) 2013.08.13
DS413 설치후기 - ① 설치환경 준비  (0) 2013.08.12
Posted by bygracetistory
,

이런 순서로 진행 중입니다.

 

1. 설치환경 준비

2. DSM

3. Audio Station

4. Photo Station

5. Video Station

6. Cloud Station

7. File Station

8. 기타 Station들

9. 제어판

10. 원격제어

 

오늘은 2강, DSM입니다.

 

2강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DSM 설치

2. NAS 구성

3. DDNS 구성

 

자, 그럼 순서대로

 

1. DSM 설치

 

DSM은 DiskStation Manager의 약자입니다.

DSM은 Synology NAS 운영체제의 그래픽 인터페이스입니다.

PC 운영체제로 Windows 7 혹은 Windows 8이 있듯이 말이죠.

 

아, 참고로, Synology NAS 운영체제는 리눅스입니다.

이 리눅스로 이렇게 Windows스럽게 UI(User Interface)를 참 잘 만들었죠?

 

1강에서 다운로드한 DSM 파일을 NAS를 제어 중인 PC에 설치합니다.

지금 설치 중인 DS413 모델에 대한 파일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 DSM_DS413_3211.pat

 

설치가 끝나면 바로 DSM 로그인 화면이 떴는지 지금 잘 기억이 나지 않는데...

만일 안 뜬다면, DSM 설치에 이어 1강에서 DSM과 함께 받아 놓은 Synology Assistant 를 마저 설치합니다.

파일명은 SynologyAssistantSetup-4.2-3508.exe입니다.

 

설치가 끝나면 바탕화면에 생성된 아이콘으로 실행합니다.

잠시 동일 네트워크 안에 존재하는 시널로지 NAS를 찾습니다.

지금은 네트워크라야 공유기에 연결된 기기가 전부이므로, 검색되는 NAS는 하나 뿐일 겁니다.

검색 결과, 한 줄 뜰 텐데, 이 줄을 더블 클릭하면 해당 DSM이 실행됩니다.

 

밥 먹고 계속하겠습니다.

 

오래 기다리셨죠?

밥 먹고, 아내가 김치 담근다고, 같이 장 보고, 쪽파 다듬으라 하여 다듬느라 늦었습니다.

 

DSM 로그인 화면이 뜨면 아이디 admin 입력 후 엔터합니다.

첫 설정 시, 관리자 아이디 admin에는 패스워드가 없습니다.

관리 및 보안을 위해 아래 순서 2에서 생성하겠습니다.

 

DSM 설치는 일단 여기까지입니다.

 

2. NAS 구성

 

우선, NAS 이름을 주지요.

제어판 - 시스템 - 네트워크 - 일반으로 갑니다.

 

서버 이름 : oneloveNAS (교회 이름이 '한사랑')

기본 게이트웨이 : 192.168.0.1 (공유기라는 게이트를 통해 인터넷으로 나가니까)

DNS 서버 수동 구성 : 체크

기본 DNS 서버 : 168.126.63.1

대체 DNS 서버 : 168.126.63.2

 

일반 옆,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탭을 엽니다.

LAN 포트에서 수동 구성 이용 선택,

 

IP 주소 : 192.168.0.100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 (그대로 놔두세요)

 

NAS에 Private IP 하나를 고정하는 건데요, 1강에서 공유기에서 이미 했기 때문에 안 해도 되지만, 나중에 공유기를 떼어 집이나 다른 장소로 이동할 수도 있기 때문에 그냥 한번 더 했습니다.

 

Jumbo Frame : Jumbo Frame 활성화. MTU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 7000

 

한사랑교회 NAS는 Jumbo Frame을 이렇게 했습니다.

 

이 Jumbo Frame은 기가비트 네크워크 환경에서만 활성화되는 기능으로, 제대로 기능하려면, NAS, 곧, Disk Station에 엑세스하는 모든 기기가 이 기능을 지원하고, 또 동일 MTU 값을 가져야 합니다.

 

랜카드 등록정보에서 고급을 보면 기가비트 환경일 경우, Jumbo 프레임이라고 있는데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제 노트북의 경우, 9KB까지 있어 방금 저희 홈 NAS의 MTU를 9000으로 맞추고 네트워크를 다시 시작했습니다.

 

참고로, DSM 특정 화면에서 각 용어가 생소하시면 그때 그 화면 창 오른쪽 상단 물음표 동그란 아이콘 클릭하세요.

그러면, 그 창, 그 화면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NAS 사용하시면 점점 대용량 파일 전송이 많아져 결국 기가비트 환경이 절실하실 텐데 그때를 위해서 실은 지금 이 Jumbo Frame을 건드리고 있는 것입니다.

 

다 건드렸으면 밑에 적용 버튼 클릭

 

다음은 관리자 계정 admin의 암호를 정하지요.

 

제어판 - 파일 공유 및 권한 - 사용자로 가서 admin 계정 클릭 후, 상단 편집 버튼을 클릭합니다.

admin 창이 열리며, 바로 정보 탭이 열리고, 거기에 패스워드 넣는 데들이 보입니다.

패스워드패스워드 확인 두 곳에 같은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참고로, 아이디 admin을 보면 수정할 수 없게 디제이블 되어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이어, 같은 창에서 사용자 그룹으로 가 혹시 admin 계정이 administrators 그룹이 아니면, 그러니까 오른쪽 끝 체크 박스가 비어 있으면 체크해 줍니다.

 

이어, 역시 같은 창 권한 설정으로 가서 아직은 뭐 없겠지만 거기 있는 모든 거, 읽기/쓰기 권한 줍니다.

admin 이니까요. ^^

아, 만일 나중에라도  리스트에 여러 개 죽 달렸다고 그거 일일이 체크하지 마시고, 이럴 땐, 타이틀 바에 있는 읽기/쓰기 왼쪽 빈 박스를 클릭하면 밑에 있는 것들 전부 한방에 먹는다는 거, 참고하세요.

 

admin 기본 설정 건드리는 건 이쯤 하고...

나중에 사용자 한 명 한 명 등록해야 할 일 생기는데 그때 지금처럼 하시면 됩니다.

 

NAS 구성은 일단은 이쯤 합니다.

 

3. DDNS 구성

 

DDNS는 Dynamic DNS를 말합니다.

그럼, DNS는 뭘까요?

자세한 건, 따로 IT 상식의 기초에 올리겠습니다만,

간단히 말씀드리면,

 

어떤 웹 사이트, 예를 들면, Synology 웹 사이트의 주소를 숫자 형태인 IP, 즉, 120.89.71.137 같은 형태 보다는, www.synology.com 같은 형태로 하는게 사람들이 기억하기 훨씬 쉽다는 점에 착안, 이 주소정보를 수집, 서비스하는 겁니다.

 

그럼, DDNS는 뭘까요?

앞에 'Dynamic'이라는 말이 붙은 것에서 알 수 있듯, DNS 주소정보가 움직인다는 겁니다.

보통은 안 움직여야, 즉, 변동이 없어야 하는데, 이건 변동이 있다는 겁니다.

 

한번 부여하면 안 변하는 IP 주소를 고정IP, 혹은, Static IP 라 하는데 이건 비쌉니다.

반면, 우리가 KT나 SKT, LG U+ 등에 인터넷 가입을 하면 회선과 함께 부여되는 IP가 있는데, 이 IP는 유동적이다, 즉, 변한다 하여 유동IP, 혹은 Dynamic IP라 합니다.

이건 별도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

 

문제는, 우리가 공유기를 껐다 켜거나 하면 이 IP가 바뀐다는 겁니다.

우리 집 NAS를 누가 찾아와야 하는데 주소가 그때그때 바뀌면...

그렇죠! 안 되지요. 주소라는 건 고정적이어야 합니다.

그러나 고정IP는 비쌉니다.

바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기술이 바로 DDNS입니다.

즉, IP가 바뀌어도 변함없이 찾아오게 한다는 것입니다.

NAS 설치 후, 외부에서 쉽게 찾아올 수 있도록 뭔가를 설정해야 하는데 이게 바로 지금 하려는, DDNS 설정입니다.

 

자, 그럼, 시작합니다.

 

제어판 - 네트워크 서비스 - DDNS로 갑니다.

제어판 - DDNS 창에서 추가 버튼 클릭

그러면, DDNS 창이 뜨면서 몇 가지 정보를 요구합니다.

 

한사랑교회는 아래와 같이 입력했습니다.

 

DDNS 지원 활성화에 체크

서비스 제공업체 : Synology (원하시는 아무 회사나 선택)

호스트 이름 : onelove.synology.me (맨 앞 이름만 정하세요.)

사용자 이름 : abc@d.e (관리자 실제 메일 넣으세요.)

패스워드     : ******

외부주소     : (공유기 주소가 이미 선택되어 있습니다.)

Heartbeat    : 사용

 

이렇게 입력 후, 지금 등록 클릭,

잠시 후, 맨 밑에 상태 :정상으로 나오면 된 겁니다.

쉽지요?

Heartbeat는, 무슨 이유에선지 DDNS 연결이 끊어지면 Synology MyDS Center에서 알람을 보내는, 그런 기능입니다.

다 되었으면 하단 확인 클릭합니다.

 

이제 브라우저에서 http://onelove.synology.me:5000 이렇게 입력 후 엔터해 보세요.

그럼, 잠시 후, 브라우저에 짠! 하고 DSM 화면이 떠 주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러나 애석하게도 아직 끝난 게 아닙니다.

외부에서 접근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렇게 쉽게 대문이 열리면 안 되거든요.

요즘 워낙 악의적인 접근들이 많아서...

그래서 한 가지 더 해줘야 하는데, 그게 바로 포트포워딩이라는 겁니다.

좀 지치셨을 듯도 하지만 이제 정말 끝이니까 조금만 더 가죠.

 

포트포워딩 시작합니다.

 

포트(port)에 대한 기본 이해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포트번호'가 뭔가요? → http://bygrace.kr/10

 

그냥 가정집 상황으로 설명하지요.

외부에서 우리 집 내부 네트워크으로 들어오려면 반드시 대문 역할을 하는 놈을 거쳐야 합니다.

그 놈이 바로 공유기입니다.

공유기는 대기하고 있다가 어떤 외부의 침입을 감지하면 다음과 같이 합니다.

 

"너, 누구야?"

"저는 누구누군데 NAS와 대화하고 싶어요."

"NAS 안에도 여러 어플들이 있어. 정확히 말해. 그 중 누구랑 대화하겠다는 거야?"

"DSM이요."

"DSM에 해당하는 번호 말해. 이거 틀리면 너, 간첩이야!!!"

"5000이요."

"기다려. 음, 맞군! 그러면, 너는 몇 번으로 가."

 

위 대화에서 외부인이 말한 5000이 DSM 포트번호입니다.

공유기는 중간에서 보초를 서며, 한편으로 교통정리를 하는 거죠.

 

공유기 포트포워딩은 다음과 같이 합니다.

 

① 공유기 관리자 화면에서 고급 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으로 갑니다.

② 오른쪽 포트포워드 설정에서,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하지요.

 

규칙 이름 : DSM

내부 IP주소 : 192.168.0.100

프로토콜 : TCP

외부 포트 : 5000

내부 포트 : 5000

 

③ 위와 같이 하고, 추가 클릭,

④ 그러면, 하단에 한 줄 생깁니다.

⑤ 왼쪽 번호 옆 체크 박스 체크 후, 위 동작 버튼 클릭, 동작시켜 줍니다.

 

이제 다 됐습니다.

이제 브라우저 열고, http://onelove.synology.me:5000 해보세요.

 

실제로 이 글을 쓰는 현 시점에서, 위 주소는 아직 연결이 안 됩니다.

NAS 이동 중이거든요... ^^

실제로 작동 중인 NAS를 보고 싶으시면...

아래, 저희 홈 NAS로 들어와 보시죠. ^^

 

http://2237.synology.me/

 

2강, 마칩니다.

 

길었네요...

 

'NAS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413 설치후기 - ④ Photo Station  (0) 2013.08.19
DS413 설치후기 - ③ Audio Station  (0) 2013.08.16
DS413 설치후기 - ① 설치환경 준비  (0) 2013.08.12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