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밤에 평안하셨나요? 반갑습니다. AC.312 글 가운데, 'In like manner, had the words “the flame of a sword turning itself” been applied to the people of the present day, they would have been “the sword of a flame turning itself.” Nor would it have been said the “tree of lives,” but the “tree of life”;' 라는 표현이 있는데, 혹시 이 문장들을 좀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아침부터 쉽지 않은 질문을 드려 죄송합니다.

 

좋은 아침입니다. 이렇게 인사해 주시니 저도 반갑고 감사합니다. 😊 그리고 전혀 죄송하실 필요 없습니다. 지금 말씀하신 구절 — Arcana Coelestia 312 중,

“In like manner, had the words ‘the flame of a sword turning itself’ been applied to the people of the present day, they would have been ‘the sword of a flame turning itself.’ Nor would it have been said the ‘tree of lives,’ but the ‘tree of life.’”

 

이 부분은 짧지만, 스베덴보리의 언어 상징학(특히 ‘고대 언어의 본래 의미’)을 이해하는 데 아주 중요한 대목입니다. 하나씩 풀어볼게요.


1. 문맥 요약

AC.312은 창세기 3:24에 대한 해석 중 일부입니다. 거기서 말하는 “생명나무의 길을 지키는 그룹들과 두루 도는 불칼(the flame of a sword turning itself)”의 상징을 설명하면서, 스베덴보리는 ‘고대 교회 사람들’의 언어 감각과 상징 감각이 오늘날 사람들과 달랐다고 말합니다. 즉, 당시에는 단어 하나하나에 **영적 의미(perception)**가 직접적으로 느껴졌지만, 지금은 그 감각이 사라졌다는 거죠.


2. “the flame of a sword turning itself” vs. “the sword of a flame turning itself”

스베덴보리는 이렇게 말합니다:

“만약 이 말들이 오늘날 사람들에게 쓰였다면, ‘the flame of a sword turning itself’이 아니라 ‘the sword of a flame turning itself’이라고 했을 것이다.”

 

이게 무슨 뜻이냐 하면, 고대인들은 ‘불꽃의 칼(flame of a sword)’이라 하지 않고 ‘칼의 불꽃(sword of a flame)’이라 표현했을 것이라는 말이 아닙니다. 그보다는 이렇게 구분하신 거예요:

  • “불꽃의 칼(flame of a sword)” — 고대 언어의 형태
    → 불(사랑, celestial good)이 주체적 요소, 즉 더 안쪽이고 본질적인 것. 칼(sword)은 그것을 둘러싸는 진리의 방어나 분별 작용. 그러니까 불(사랑)의 속성으로서 진리(칼)가 스스로 움직이는 모습입니다.
  • “칼의 불꽃(sword of a flame)” — 오늘날 사람들의 언어 감각
    → ‘진리’(이성적 판단)가 중심이 되어, 사랑(불)을 부차적으로 붙이는 식의 사고. 즉, 진리를 사랑보다 앞세우는, 뒤바뀐 순서입니다.

스베덴보리가 말하려는 요지는 바로 이것입니다.

 

👉 고대인의 사고와 표현에서는 “사랑(love)”이 중심이었지만,
👉 현대인의 사고에서는 “진리(understanding)”가 중심이 되었다.

 

이 때문에 단어의 순서까지 달라졌다는 거예요.


3. “the tree of lives” vs. “the tree of life”

같은 원리로, 스베덴보리는 덧붙입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오늘날 사람들에게는 ‘tree of lives’(생명들)라 하지 않고 ‘tree of life’(생명)라고 했을 것이다.”

 

여기서도 ‘life(s)’의 복수형이 중요한데요.

  • “tree of lives” — 고대 언어 표현
    → “여러 종류의 생명들”, 즉 사랑, 신앙, 이해, 의지 등 다양한 생명의 흐름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하나의 생명나무가 모든 생명의 근원임을 복수형으로 표현)
  • “tree of life” — 오늘날의 언어 표현
    → 단일화된 추상 개념. 생명의 다양성을 포괄하지 못함. ‘life’가 더 관념적이고 철학적인 의미로 변했죠.

스베덴보리는 이 변화 또한 인간의 내적 상태가 달라졌음을 상징한다고 봅니다. 옛사람들은 생명을 ‘다양한 유기적 흐름’으로 느꼈지만, 지금 사람들은 생명을 하나의 추상적 개념으로 이해한다는 것이죠.


🔹정리하면

표현 고대 교회의 언어 감각 현대인의 언어 감각 상징적 차이
flame of a sword 사랑이 중심, 진리가 그 사랑에서 나옴 진리가 중심, 사랑은 부속 내적 질서의 전도
tree of lives 다양한 생명(사랑·신앙·의지 등)의 통합 단일한 ‘생명’의 추상화 생명의 다양성 상실

🔹결론

이 구절은 단순히 단어 순서 문제를 말하는 게 아니라, 인류의 내면적 질서가 어떻게 바뀌었는가 — 즉, ‘사랑이 중심이던 시대에서, 진리나 지식이 중심이 된 시대’로 이동했음을 언어 변화로 드러낸 상징적 진술입니다.


원하신다면, 이 부분에서 스베덴보리가 말하는 “flame = celestial love”와 “sword = truth of faith”의 관계를 조금 더 본문 근처(AC.306–313 전체 흐름) 속에서 보여드릴 수도 있습니다. 그 부분을 함께 읽으면 이 문장의 철학적 무게가 훨씬 또렷해집니다. 그렇게 이어서 보시겠습니까?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