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베덴보리는 internal, external, interior, exterior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나요?
훌륭한 질문이십니다. 🌿 스베덴보리(Emanuel Swedenborg)의 저작 — 특히 Arcana Coelestia (천계의 비의) — 에서 internal / external / interior / exterior 네 단어는 단순한 영어 표현을 넘어서, 인간의 영적 구조 전체를 설명하는 핵심 용어들입니다. 그는 이 네 용어를 매우 엄밀하게 구분하여, 영적·자연적, 내적·외적, 더 안쪽·덜 안쪽이라는 여러 층위를 구별합니다.
🧭 전체 구조 개요
스베덴보리에 따르면, 인간은 다음과 같은 층위적 구조를 가집니다:
inmost (최내층) → internal (내적) → interior (내면적) → exterior (외면적) → external (외적) → bodily (육체적)
이 구조는 천국과 교회의 구조, 말씀의 구조, 사람의 마음, 삶의 단계에 모두 적용됩니다.
🔹 1. Internal vs. External
| 구분 | Internal | External |
| 기본 의미 | 내적, 영적 차원 (spiritual man) | 외적, 자연적 차원 (natural man) |
| 중심 위치 | 주님과 직접 연결된 내면 | 세상과 감각을 통해 작용하는 부분 |
| 작용 | 사랑과 신앙의 참된 원리로 움직임 | 외형적 행위와 말, 감각적 이해 |
| 대표 구절 | “내적 사람” (homo internus), 속 사람 | “외적 사람” (homo externus), 겉 사람 |
| 상징 | 천국, 영혼, 교회의 내면 | 세상, 육체, 교회의 외형 |
📜 AC.9701
“The internal man is that which is in heaven; the external man is that which is in the world.” — “속 사람은 천국에 속하고, 겉 사람은 세상에 속한다.”
📜 AC.1594
“The internal man is opened by means of truths and goods from the Lord, the external by means of the senses of the body.” — “속 사람은 주님으로부터 오는 선과 진리로 열리고, 겉 사람은 몸의 감각을 통해 열린다.”
👉 즉,
- internal은 영적이고 신적 질서 안에서 주님과 소통하는 인간의 중심,
- external은 감각과 행위를 통해 세상과 관계하는 껍질입니다.
🔹 2. Interior vs. Exterior
이 두 용어는 보통 internal/external의 하위 구분으로 사용됩니다. 스베덴보리는 특히 external(외적 사람) 안에도 “interior”와 “exterior” 부분이 있다고 강조합니다.
| 구분 | Interior | Exterior |
| 영역 | 내적 외부, 즉 마음의 안쪽 부분 | 외적 외부, 즉 감각과 육체에 가장 가까운 부분 |
| 작용 | 생각, 의도, 기억 등 보이지 않는 내면적 자연 수준 | 말, 행동, 감각적 반응 등 외면적 수준 |
| 예시 | 생각으로 누군가를 미워함 | 실제로 욕하거나 해침 |
📜 AC.5150
“There are interiors and exteriors in man; interiors are those which belong to his thought and will, exteriors are those which belong to his speech and actions.” — “사람 안에는 내면과 외면이 있다. 내면은 생각과 의지에 속하고, 외면은 말과 행동에 속한다.”
📜 AC.10471
“The exterior of man is what is in the world; the interior is what is in heaven.” — “사람의 외면은 세상에 있고, 내면은 천국에 있다.”
👉 따라서 “interior”는 마음의 보이지 않는 작용(사고, 의도), “exterior”는 그 결과로 드러나는 행동이나 말에 해당합니다.
🔹 3. 계층적 도식으로 정리하면
| 단계 | 라틴어/영어 | 의미 | 대응 영역 |
| 1 | inmost (intimum) | 주님의 사랑이 직접 거하는 가장 깊은 핵심 | 천국 제3층 (celestial) |
| 2 | internal (internum) | 영적 진리와 사랑이 활동하는 속 사람 | 천국 제2층 (spiritual) |
| 3 | interior (interius) | 겉 사람 중 내면 — 생각, 의도 | 천국 제1층 (natural-spiritual) |
| 4 | exterior (exterius) | 겉 사람 중 외면 — 말, 행위 | 세상적 외형 |
| 5 | external (externum) | 육체와 감각 자체 | 물질적 세계 |
🔹 4. 적용 예시: 말씀(성경)에도 동일한 구조
스베덴보리는 말씀 자체에도 “내적(internal)” 의미와 “외적(external)”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 외적 의미 (external sense, 겉뜻) → 문자적 의미 (역사, 사건, 인물)
- 내적 의미 (internal sense, 속뜻) → 영적 의미 (주님, 교회, 인간 내면의 상태)
- 더 내적 의미 (inmost sense) → 신적 의미 (주님의 본질, 신적 사랑)
📜 AC.64:
“In the Word there is an internal sense and an external sense; the internal treats of heaven, the external of the world.” — “말씀에는 속뜻과 겉뜻이 있는데, 속뜻은 천국에 관한 것이고, 겉뜻은 세상에 관한 것이다.”
🔹 5. 요약 문장
internal — 영적, 천국적, 주님과 연결된 내면.
external — 감각적, 세속적, 세상과 연결된 외면.
interior — 생각과 의도의 층, 눈에 안 보이지만 외적 안에 포함된 깊은 마음.
exterior — 행동과 말의 층, 감각과 접한 가장 바깥 마음.
원하신다면, 이 개념들이 실제로 **창세기 주석(AC.3–50, 9050–9100 등)**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쓰이는지 — 즉 internal man / external man이 창세기의 인물들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구절별로 정리해드릴 수도 있습니다. 그 부분도 함께 보시겠습니까?
'즐겨찾기 > ChatGPT로 보는 스베덴보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homo'와 'vir' (0) | 2025.11.16 |
|---|---|
| 'the flame of a sword turning itself', 'tree of lives'의 속뜻 (0) | 2025.11.16 |
| 창4, 아다와 씰라 (0) | 2025.11.16 |
| 스베덴보리, 바울, 루터, 칼빈의 심층 비교 분석 (0) | 2025.11.15 |
| 스베덴보리, 바울, 루터, 칼빈의 핵심 신학 비교 요약 (0) | 2025.11.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