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계에서 가족끼리 ‘자주 만나는 경우’와 ‘드물게 만나는 경우’
영계에서는 누구와 자주 교류하고, 누구와는 특별한 때에만 만나고, 누구와는 거의 만나지 않게 되는가? 이것은 모두 내적 상태(state)에 의해 결정된다고 스베덴보리는 아주 일관되게 기록합니다. 지상처럼 거리, 약속, 시간이 결정 요인이 아닙니다. 천국이나 중간영계에서는 “영혼의 향방(향기)”이 곧 만남의 조건입니다. 스베덴보리는 이것을 이렇게 말합니다. “만남은 두 마음의 애정이 서로를 향해 열릴 때 이루어진다.” 이 원리로 인해 가족 간에도 자주 보는 경우와 드물게 보는 경우가 생깁니다.
1. 자주 만나는 가족 - ‘애정의 기운이 서로를 자연히 가까이하게 하는 경우’
스베덴보리는 천국의 여러 공동체에서 부모와 자녀, 형제자매, 친척들이 자주 교류하는 장면을 봤습니다. 이들이 자주 만나는 이유는 단순합니다.
① 지상에서 사랑을 나누었던 관계
지상에서 서로를 진지하게 사랑하고, 아끼고, 도와주고, 영적 성장을 북돋아주는 관계였다면, 영계에서도 그 “향방”이 일치합니다. 영계에서 사랑은 방향을 만들어 내는 힘입니다. 서로 비슷한 방향으로 흐르는 영혼들은 자연스럽게 서로를 “불러냅니다.”
② 영적 친화성이 비슷한 경우
예를 들어, 부모와 자녀 모두 신앙적으로 비슷한 깊이를 가진 경우, 형제자매가 모두 선한 본성을 유지한 경우, 남매가 서로의 삶을 도와주며 지낸 경우, 이들은 천국에서도 비슷한 층위의 공동체에 들어가며, 정기적으로 만나 삶을 나누게 됩니다. 스베덴보리는 말합니다. “비슷한 선을 가진 이들은 천국에서 자주 교류한다.”
③ 서로의 영적 기쁨을 북돋아주는 관계
천국의 사람들은 “누구와 함께 있을 때 영적 기쁨이 더 밝아지는가?”를 아주 정확히 느낍니다. 그 기쁨을 선사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과 자연스럽게 자주 교류합니다. 가족 중에 이런 관계가 있었던 경우, 영계에서도 빈번한 만남이 이루어집니다.
2. 드물게 만나는 가족 - “애정은 있지만 상태가 다를 때”
스베덴보리는 두 사람이 서로 사랑하지만 영적 수준이 다르면 “자주 만나기 어렵다”고 기록합니다. 이것은 결코 단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태가 서로 달라 애정이 지속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① 둘의 영적 “공기”가 다를 때
스베덴보리는 자주 천국의 공기를 ‘선함의 향기’로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아버지는 아주 깊은 천국적 신앙 단계인 반면, 아들은 비교적 외적 선의 단계라면, 둘은 서로를 보지만, 영적 호흡(affection)이 오래 합쳐지지 못합니다. 그래서 만남은 가능하나 길게 머물 수는 없습니다. 스베덴보리는 이것을 “짧은 기쁨, 그러나 온전한 기쁨”이라고 표현합니다.
② 서로 좋아하지만 정서의 깊이가 다를 때
어떤 가족은 지상에서 서로 사랑했지만, 영혼의 기질(애정의 종류)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은 ‘천적(天的) 사랑’을 가진 유형(순전한 선)인 반면, 다른 사람은 ‘영적(靈的) 사랑’을 가진 유형(진리를 통한 선)일 경우, 두 사람은 만날 때마다 진정한 기쁨을 느끼지만, 각자의 공동체로 돌아가야만 편안함을 느낍니다. 그래서 만남은 “특별한 일”처럼 반갑고 의미 있지만, 빈번한 일은 되지 않습니다.
③ 서로 사랑하지만 “사명”이 다른 경우
천국 사람들은 각자 맡겨진 일, 주님과의 결합의 형태, 섬김의 방식이 다릅니다. 그 사명의 깊이에 따라 서로를 자주 만나지 못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들은 만남에 대한 욕심이 없습니다. 스베덴보리는 설명합니다. “천국의 사람들은 사랑에 집착하지 않는다. 사랑은 자유 속에서 더욱 밝아진다.” 즉, 자주는 아니어도 항상 ‘열려 있는 관계’입니다.
3. 거의 만나지 않는 가족 - “영적 방향이 완전히 다른 경우”
이 경우는 “관계 단절”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다른 방향으로 가는 것입니다. 스베덴보리는 말합니다. “영계에서는 서로 다른 애정은 서로를 향해 움직일 수 없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은 선한 삶을 사랑하고, 다른 사람은 명예·자기애·세속적 욕망을 사랑했다면, 중간영계에서도 잠시 재회할 수는 있지만, 그 후에는 자연스럽게 헤어집니다. 이때 천국인은 전혀 슬퍼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천국인은 악을 향해 마음이 끌리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천국적 정서의 특징입니다.
4. 스베덴보리의 결론 – “자주 만남은 사랑의 친화성이고, 드문 만남은 자유의 표현이다.”
스베덴보리는 천국에서의 가족 관계를 이렇게 종합합니다. 자주 만나는 경우는 서로 비슷한 선이거나 비슷한 신앙, 그리고 서로에게 기쁨을 주는 관계이거나 영적 공기가 비슷한 경우이고, 드물게 만나는 경우는 본질은 같으나 깊이가 다르거나, 서로를 사랑하지만 영역(사명)이 다른 경우 등 이럴 땐, 서로의 상태가 맞춰질 때만 만남이 허용된다. 그리고 거의 만나지 않는 경우는 본질의 사랑이 완전히 다른 경우이거나 영적 방향성이 전혀 반대인 경우이다.
5. 결정적이고 실제적인 메시지
스베덴보리는 이 내용을 정리하며, 아주 중요한 목회적 통찰을 남깁니다. “사랑의 깊이는 영원히 기억되고, 각자의 거처는 영적 본질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만남의 자유는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즉, 가족 사랑은 영원하지 않다는 뜻이 아니라, 그 사랑의 형태가 영계의 형태에 맞게 변형되어 가장 순전한 방식으로 보존된다는 것입니다.
'즐겨찾기 > ChatGPT로 보는 스베덴보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부부 중 한 사람만 신앙이 깊은 경우, 사후에는 어떻게 되는가? (0) | 2025.11.23 |
|---|---|
| 천국에서의 가족은 어떻게 새롭게 구성되는가? (0) | 2025.11.23 |
| 영적 수준, 즉 상태가 서로 다른 가족이 사후에 재회할 수 있는가? (0) | 2025.11.23 |
| 사후, 가족 중 일부가 지옥에 간 경우 (0) | 2025.11.22 |
| 사후 첫 3일간 일어나는 일, 먼저 간 가족들, 그리고 돕는 천사들 (0) | 2025.11.2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