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198-203

 

2여자가 뱀에게 말하되 동산 나무의 열매를 우리가 먹을 수 있으나 3동산 중앙에 있는 나무의 열매는 하나님의 말씀에 너희는 먹지도 말고 만지지도 말라 너희가 죽을까 하노라 하셨느니라 And the woman said unto the serpent, We may eat of the fruit of the tree of the garden; but of the fruit of the tree which is in the midst of the garden, God hath said, Ye shall not eat of it, neither shall ye touch it, lest ye die. (창3:2-3)

 

 

198. ‘동산 나무의 열매’는 태고교회 때부터 그들에게 계시된 선과 진리입니다. The “fruit of the tree of the garden” is the good and truth revealed to them from the most ancient church;

 

동산 중앙에 있는 나무의 열매는 하나님의 말씀에 너희는 먹지 말라’는 신앙에 속한 선과 진리인데, 이것은 그들이 절대 자신들로부터 배워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the “fruit of the tree which is in the midst of the garden, of which they were not to eat” is the good and truth of faith, which they were not to learn from themselves;

 

 

만지지 말라’는 스스로 혹은 감각과 기억-지식에 속한 것들을 가지고 선과 신앙의 진리를 생각해서는 안 된다는 일종의 금지입니다. not to touch it” is a prohibition against thinking of the good and truth of faith from themselves, or from what is of sense and memory-knowledge [sensuali et scientifico];

 

너희가 죽을까 하노라’는 그렇게 신앙 혹은 모든 지혜와 지성이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lest ye die” is because thus faith, or all wisdom and intelligence, would perish.

 

 

199. 본문, ‘동산 나무의 열매를 우리가 먹을 수 있으나’가 태고교회 때부터 그들에게 계시된 선과 신앙의 진리 혹은 신앙 지식들을 가리키는 것이 분명한 것은, ‘동산 나무의 열매를 우리가 먹을 수 있으나’라고 하고 있지, 지난 번 천적 인간 또는 태고교회를 다룰 때 살피던 ‘동산 각종 나무’(창2:16)라고 하고 있는 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That the “fruit of the tree of which they might eat” signifies the good and truth of faith revealed to them from the most ancient church, or the knowledges [cognitiones] of faith, is evident from the fact that it is said to be the “fruit of the tree of the garden of which they might eat,” and not the “tree of the garden,” as before when treating of the celestial man, or the most ancient church (Gen. 2:16).

 

동산의 나무’는 거기 언급된 대로 선하고 참된 것에 관한 퍼셉션입니다. The “tree of the garden,” as it is there called, is the perception of what is good and true;

 

선과 진리는 그 근원에서 나오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열매’로 부르며, 그래서 말씀에서도 또한 자주 ‘열매’로 상징되고 있습니다. which good and truth, because they are from that source, are here called “fruit,” and are also frequently signified by “fruit” in the Word.

 

 

200. 앞서 창세기 2장 9절에서는 동산 중앙에 있는 나무로 지식의 나무가 아닌 생명 나무가 언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기서는 ‘지식의 나무’를 ‘동산 중앙에 있는 나무’라고 하는 이유는 동산의 ‘중앙’이 가장 깊은 곳, 맨 안쪽을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The reason why the “tree of knowledge” is here spoken of as being “in the midst of the garden,” although previously (Gen. 2:9), the tree of lives was said to be in the midst of the garden, and not the tree of knowledge, is that the “midst” of the garden signifies the inmost;

 

천적 인간 또는 태고교회의 맨 안쪽, 마음 속 가장 깊은 곳에는 ‘생명 나무’가 있었습니다. 이것은 사랑과 사랑에서 나오는 신앙입니다. and the inmost of the celestial man, or of the most ancient church, was the “tree of lives,” which is love and the faith thence derived;

 

그러나 천적 영적 인간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이 사람, 혹은 그 후손한테서는 신앙이 동산 혹은 마음 속 가장 깊은 곳의 ‘중앙’이 되었습니다. whereas with this man, who may be called a celestial spiritual man, or with this posterity, faith was the “midst” of the garden, or the inmost.

 

태고 때 살던 사람들의 퀄러티를 아주 충분히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왜냐 하면, 지금까지 인류 역사상 그 어느 누구의 재능하고도 완전히 다른 그들의 지니어스에 대해서는 오늘날 정말 끔찍할 정도로 알려진 게 없기 때문입니다. It is impossible more fully to describe the quality of the men who lived in that most ancient time, because at the present day it is utterly unknown, their genius being altogether different from what is ever found with anyone now.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지니어스에 관한 한 조각 아이디어를 전하는 목적은, 그들은 선을 통해 진리를 아는 사람들이었다, 사랑을 통해 무엇이 신앙에 속한 것인지를 아는 사람들이었다는 것을 언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For the purpose however of conveying some idea of their genius, it may be mentioned that from good they knew truth, or from love they knew what is of faith.

 

그러나 그 세대가 끝났을 때, 이후 일어난 새로운 세대는 완전히 다른 지니어스를 계승했습니다. 그들은 선을 가지고 진리를 식별하거나 사랑을 가지고 무엇이 신앙인지를 알아차리는 대신, 진리를 가지고 선이란 무엇인가 하는 지식을 습득하거나, 신앙의 지식들을 가지고 사랑이란 무엇인가 하는 지식을 획득했습니다. 그들 중 정말 많은 사람이 지식 밖에는 정말 아무 것도 몰랐습니다. But when that generation expired, another succeeded of a totally different genius, for instead of discerning the true from the good, or what is of faith from love, they acquired the knowledge of what is good by means of truth, or what is of love from the knowledges of faith, and with very many among them there was scarcely anything but knowledge [quod scirent].

 

이것이 바로 세상의 멸망을 막기 위해 홍수 후 생겨난 변화였습니다. Such was the change made after the flood to prevent the destruction of the world.

 

 

201. 홍수 전 태고 때 사람들의 것과 같은 그런 지니어스는 오늘날은 찾을 수도 없고, 존재하지도 않기 때문에, 그들의 지니어스로 기록된 이 구절, 단어들의 의미를 인텔리전트하게 설명하는 것은 정말 쉬운 일이 아닙니다. Seeing therefore that such a genius as that of the most ancient people anterior to the flood is not found and does not exist at the present day, it is no easy matter to explain intelligibly what the words of this passage in their genuine sense imply.

 

하지만 이 말씀들은 천국에서는 아주 명확하게 이해됩니다. 천적이라 하는 천사들과 천사적 영들은 홍수 전 거듭난 태고 때 사람들과 같은 지니어스를 가졌기 때문입니다. They are, however, perfectly understood in heaven, for the angels and angelic spirits who are called celestial are of the same genius as the most ancient people who were regenerate before the flood;

 

한편, 영적이라 하는 천사들과 천사적 영들의 지니어스는 홍수 후 거듭난 사람들의 지니어스와 유사합니다. 두 경우 다 무한한 다양성을 가지지만 말입니다. while the angels and angelic spirits who are termed spiritual are of a similar genius to the regenerate after the flood, although in both cases with indefinite variety.

 

 

202. 천적 인간이었던 태고교회의 캐릭터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그들은 ‘지식의 나무를 먹는 일’, 곧 신앙에 속한 것을 감각적인 것들과 기억-지식들을 가지고 배우는 일에 참여하지도 않았고, 그 나무를 만지는 일, 곧 어떤 신앙 관련 일들을 그런 걸 가지고 생각하는 것 조차 허용하지 않았던 사람들이었습니다. 안 그러면 그들은 천적 삶에서 미끌어져 영적 삶으로, 그리고 계속해서 밑으로 가라앉기 때문입니다. The most ancient church, which was a celestial man, was of such a character as not only to abstain from “eating of the tree of knowledge,” that is, from learning what belongs to faith from sensuous things and memory-knowledges, but was not even allowed to touch that tree, that is, to think of anything that is a matter of faith from sensuous things and memory-knowledges, lest they should sink down from celestial life into spiritual life, and so on downward.

 

천적 천사들의 삶 또한 바로 이와 같은데요, 천사들이 더 내적일수록 그들은 자신들의 신앙이 무슨 이름 같은 걸로 불리거나 무엇이든지 어떤 영적인 일에 관여되는 것을 아주 싫어합니다. Such also is the life of the celestial angels, the more interiorly celestial of whom do not even suffer faith to be named, nor anything whatever that partakes of what is spiritual;

 

만일 타인에 의해 거론되면, 그들은 신앙 대신 자기들만 아는 어떤 차이를 가지고 사랑에 관한 퍼셉션을 취합니다. and if it is spoken of by others, instead of faith they have a perception of love, with a difference known only to themselves;

 

그러므로 신앙에 관한 어떤 것이든지 그들은 사랑과 체어리티로부터 출발합니다. thus whatever is of faith they derive from love and charity.

 

그들은 신앙 관련 무슨 토론 듣는 걸 아주 아주 싫어합니다. 또한 그에 관한 어떤 기억-지식도 정말 힘들어 합니다. Still less can they endure listening to any reasoning about faith, and least of all to anything of memory-knowledge respecting it;

 

그들은 사랑으로, 주님으로부터 선과 진리에 관한 퍼셉션을 받기 때문입니다. for, through love, they have a perception from the Lord of what is good and true;

 

그리고 이 퍼셉션으로 말미암아 그들은 어떤 일이 그런지, 안 그런지를 즉시 압니다. and from this perception they know instantly whether a thing is so, or is not so.

 

그래서 그들은 신앙에 관한 무슨 말을 들을 때, 그저 단순히 그렇다, 안 그렇다로 대답합니다. 그들이 주님으로 말미암아 그걸 퍼셉션하기 때문입니다. Therefore when anything is said about faith, they answer simply that it is so, or that it is not so, because they perceive it from the Lord.

 

이것이 주님이 마태복음에서 하신 말씀의 뜻입니다. This is what is signified by the Lord’s words in Matthew:

 

오직 너희 말은 옳다 옳다, 아니라 아니라 하라 이에서 지나는 것은 악으로부터 나느니라 Let your communication be Yea, yea; nay, nay; for whatsoever is more than these cometh of evil (마5:37)

 

이것이 바로 ‘동산 중앙에 있는 나무의 열매는 하나님의 말씀에 너희는 만지지도 말라’ 하신 말씀의 의미입니다. This then is what was meant by their not being allowed to touch the fruit of the tree of knowledge;

 

만일 그들이 그걸 만지면, 그들은 악 가운데 있게 되고, 그 결과, 그들은 ‘죽기’ 때문입니다. for if they touched it, they would be in evil, that is, they would in consequence “die.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적 천사들은 다른 천사들처럼 다양한 주제들을 가지고 서로 대화합니다. 그러나 천적 언어를 가지고 하는데요, 이 언어는 사랑으로 되어 있고, 사랑으로부터 나오며, 영적 천사들의 언어보다 훨씬 형언할 수 없는 언어입니다. Nevertheless the celestial angels converse together on various subjects like the other angels, but in a celestial language, which is formed and derived from love, and is more ineffable than that of the spiritual angels.

 

 

203. 반면, 영적 천사들은 신앙 관련 대화를 하며, 지성, 이성, 그리고 지식들을 가지고 신앙의 일들을 심지어 컨펌까지 합니다. 그러나 그들은 결코 그런 그라운드에서 신앙의 일들 관련 무슨 결론을 내리지는 않습니다. The spiritual angels, however, converse about faith, and even confirm the things of faith by those of the intellect, of the reason, and of the memory, but they never form their conclusions concerning matters of faith on such grounds:

 

그렇게 하면 악에 속하기 때문입니다. those who do this are in evil.

 

주님은 이들에게 신앙에 관한 모든 진리를 깨달을 수 있도록 관련 퍼셉션을 주시는데 물론 이것은 천적 천사들의 퍼셉션과는 다른 것입니다. They are also endowed by the Lord with a perception of all the truths of faith, although not with such a perception as is that of the celestial angels.

 

영적 천사들의 퍼셉션은 주님으로 말미암아 생생해지는 일종의 양심 같은 것입니다. 실제로는 천적 퍼셉션처럼 나타납니다만 그러나 사실은 그건 아니고, 오직 영적 퍼셉션일 뿐입니다. The perception of the spiritual angels is a kind of conscience which is vivified by the Lord and which indeed appears like celestial perception, yet is not so, but is only spiritual perception.

 

2021-04-11(D1)-창세기(창3,2-3, AC.198-203), '동산 중앙에 있는 나무에 대한 태고교회 사람들의 태도'.hwp
0.07MB

youtu.be/vbEiDMYUjkA

 

Posted by bygracetistory
,

주말 오후

Posted by bygracetistory
,

AC.194-197

 

1그런데 뱀은 여호와 하나님이 지으신 들짐승 중에 가장 간교하니라 뱀이 여자에게 물어 이르되 하나님이 참으로 너희에게 동산 모든 나무의 열매를 먹지 말라 하시더냐 And the serpent was more subtle than any wild animal of the field which Jehovah God had made; and he said unto the woman, Yea, hath God said, Ye shall not eat of every tree of the garden? (창3:1)

 

 

※ 오늘은 창3:1 총정리입니다.

 

194. 여기서 ‘’은 사람이 기대는 자신의 감각 파트를, By the “serpent” is here meant the sensuous part of man in which he trusts;

 

들짐승’은 앞서 살핀 것처럼, 겉 사람의 모든 affection을, by the “wild animal of the field” here, as before, every affection of the external man;

 

여자’는 사람의 own을, by the “woman,” man’s own;

 

뱀의 말, ‘하나님이 참으로 너희에게 동산 모든 나무의 열매를 먹지 말라 하시더냐’는 그들이 의심을 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각각 표현한 것입니다. by the serpent’s saying, “Yea, hath God said, Ye shall not eat of every tree?” that they began to doubt.

 

여기서 다루는 주제는 태고교회의 세 번째 후손에 관한 건데요, 이들은 비록 계시된 것들이라 할지라도 그것이 과연 그런지 자기들 두 눈으로 보고, 느낌으로 알 수 있기 전까지는 안 믿기 시작했습니다. The subject here treated of is the third posterity of the most ancient church, which began not to believe in things revealed unless they saw and felt that they were so.

 

이들의 첫 번째 상태는 의심의 일종이었는데, 그것을 여기, 그리고 이어지는 다음 구절에서 설명합니다. Their first state, that it was one of doubt, is described in this and in the next following verse.

 

 

195. 태고인들은 사람 안에 있는 그 어떤 것도 짐승이나 새하고 비교하는 일은 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다른 이름으로 부르기는 했지만 말입니다. The most ancient people did not compare all things in man to beasts and birds, but so denominated them;

 

이런 식의 그들의 일상 언어 매너는 심지어 홍수 후 고대교회에도 남아있었고, 선지자들 중에도 보존되었습니다. and this their customary manner of speaking remained even in the ancient church after the flood, and was preserved among the prophets.

 

사람한테 있는 감각적인 것들을 그들은 ‘’이라고 했습니다. 뱀이 땅에 달라붙어 지내는 것처럼 감각적인 것들 또한 몸에 달라붙어 있는 것 같기 때문입니다. The sensuous things in man they called “serpents,” because as serpents live close to the earth, so sensuous things are those next the body.

 

그래서 또한 그들은 신앙의 신비들에 관한 추론, 그리고 확실한 감각에 기초한 추론을 가리켜 ‘뱀의 독’이라 했고, 그런 사람들을 ‘뱀들’이라고 했습니다. Hence also reasonings concerning the mysteries of faith, founded on the evidence of the senses, were called by them the “poison of a serpent,” and the reasoners themselves “serpents”;

 

이런 사람들은 많은 걸 감각, 곧 보이는 것들을 가지고 추론하기 때문에 ‘들짐승 중에 가장 간교하니라’ 하신 것입니다. 보이는 것들은 예를 들면, 땅, 육체, 일상 및 자연에 관한 것들입니다. and because such persons reason much from sensuous, that is, from visible things (such as are things terrestrial, corporeal, mundane, and natural), it is said that “the serpent was more subtle than any wild animal of the field.

 

 

[2] 그래서 시편에서도 추론으로 사람을 유혹하는 자들을 가리켜 And so in David, speaking of those who seduce man by reasonings:

 

뱀 같이 그 혀를 날카롭게 하니 그 입술 아래에는 독사의 독이 있나이다 They sharpen their tongue like a serpent; the poison of the asp is under their lips (시140:3)

 

3악인은 모태에서부터 멀어졌음이여 나면서부터 곁길로 나아가 거짓을 말하는도다 4그들의 독은 뱀의 독 같으며 그들은 귀를 막은 귀머거리 독사 같으니 5술사의 홀리는 소리도 듣지 않고 능숙한 술객의 요술도 따르지 아니하는 독사로다 They go astray from the womb, speaking a lie. Their poison is like the poison of a serpent, like the deaf poisonous asp that stoppeth her ear, that she may not hear the voice of the mutterers, of a wise one that charmeth charms [sociantis sodalitia] (시58:3-5)

 

여기 ‘뱀의 독’이라는 표현은, 사람들로 하여금 지혜로운 사람이 하는 말이나 그들의 목소리조차 작정하고 듣지 않게 하는 그런 추론들을 가리킵니다. Reasonings that are of such a character that the men will not even hear what a wise one says, or the voice of the wise, are here called the “poison of a serpent.

 

그래서 ‘귀를 막은 귀머거리 독사’라는 표현이 고대인들 사이에서는 일종의 잠언이 되었습니다. Hence it became a proverb among the ancients, that “The serpent stoppeth the ear.

 

아모스에 In Amos:

 

19마치 사람이 사자를 피하다가 곰을 만나거나 혹은 집에 들어가서 손을 벽에 대었다가 뱀에게 물림 같도다 20여호와의 날은 빛 없는 어둠이 아니며 빛남 없는 캄캄함이 아니냐 As if a man came into a house, and leaned his hand on the wall, and a serpent bit him. Shall not the day of Jehovah be darkness and not light? even thick darkness, and no brightness in it? (암5:19-20)

 

손을 벽에 대었다가’는 자기 자신한테서 나오는 힘을 말하며, 감각적인 것들을 신뢰한 결과, 여기서 말하는 장님이 되는 것입니다. The “hand on the wall” means self-derived power, and trust in sensuous things, whence comes the blindness which is here described.

 

[3] 예레미야에서, In Jeremiah:

 

22애굽의 소리가 뱀의 소리 같으리니 이는 그들의 군대가 벌목하는 자 같이 도끼를 가지고 올 것임이라 23여호와의 말씀이니라 그들이 황충보다 많아서 셀 수 없으므로 조사할 수 없는 그의 수풀을 찍을 것이라 24딸 애굽이 수치를 당하여 북쪽 백성의 손에 붙임을 당하리로다 The voice of Egypt shall go like a serpent, for they shall go in strength, and shall come to her with axes as hewers of wood. They shall cut down her forest, saith Jehovah, because it will not be searched; for they are multiplied more than the locust, and are innumerable. The daughter of Egypt is put to shame; she shall be delivered into the hand of the people of the north (렘46:22-24)

 

애굽’은 주님의 것들을 감각과 기억-지식들을 가지고 추론하는 걸 말합니다. Egypt” denotes reasoning about Divine things from sensuous things and memory-knowledges.

 

뱀의 소리’는 그런 추론들을, Such reasonings are called the “voice of a serpent”;

 

그리고 ‘북쪽 백성’은 그런 일로 말미암아 야기되는 블라인드니스, 곧 앞을 못 보는 것을 말합니다. and the blindness thereby occasioned, the “people of the north.

 

욥기에, In Job:

 

16그는 독사의 독을 빨며 뱀의 혀에 죽을 것이라 17그는 강 곧 꿀과 엉긴 젖이 흐르는 강을 보지 못할 것이요 He shall suck the poison of asps; the viper’s tongue shall slay him. he shall not see the brooks, the flowing rivers of honey and butter (욥20:16-17)

 

강 곧 꿀과 엉긴 젖이 흐르는 강’은 영적이고 천적인 일들인데 그저 추론만 하는 자들의 눈엔 절대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Rivers of honey and butter” are things spiritual and celestial, which cannot be seen by mere reasoners;

 

독사의 독’, ‘뱀의 혀’는 추론의 일들을 말합니다. reasonings are called the “poison of the asp” and the “viper’s tongue.

 

뱀 관련, 더 자세한 건 아래 14절, 15절을 보시면 됩니다. See more respecting the serpent below, at verses 14 and 15.

 

 

196. 고대에 ‘’으로 부르던 사람들은 계시의 일들보다는 감각의 일들을 더 마음에 들어 했습니다. In ancient times those were called “serpents” who had more confidence in sensuous things than in revealed ones.

 

지금도 여전히 그러나 훨씬 더 악화되었습니다. 지금은 사람들이, 볼 수 없고, 느낄 수 없는 모든 것을 그저 안 믿기만 하는 게 아니라, 그때 고대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지식들을 가지고는 ‘절대 고분고분 믿지 않겠다’ 작정들을 하기 때문이며, 그 결과, 자신들을 훨씬 더 심각한 어두움 가운데로 내몰고 있기 때문입니다. But it is still worse at the present day, for now there are persons who not only disbelieve everything they cannot see and feel, but who also confirm themselves in such incredulity by knowledges [scientifica] unknown to the ancients, and thus occasion in themselves a far greater degree of blindness.

 

이런 사람들이 어떻게 스스로를 장님이 되게 하는지, 그래서 정말 아무 것도 못 보고, 못 듣게 하는지, 또한 이들은 천국의 일들을 감각과 기억-지식들, 그리고 철학을 가지고 결론을 내리는 사람들인데, 말씀에서 자주 ‘귀머거리 독사’, ‘날으는 뱀’이라고 하는 사람들입니다. 이런 것들은 정말 아주 치명적인 것입니다. 이상과 같은 내용이 알려질 수 있도록 이런 사람들이 영에 대해서는 무엇을 믿고 있는지 한 가지 예를 들어 설명 드리겠습니다. In order that it may be known how those blind themselves, so as afterwards to see and hear nothing, who form their conclusions concerning heavenly matters from the things of sense, of memory-knowledge, and of philosophy, and who are not only “deaf serpents,” but also the “flying serpents” frequently spoken of in the Word, which are much more pernicious, we will take as an example what they believe about the spirit.

 

 

[2] 감각적인 사람, 오직 감각적으로 확실한 것만 믿는 사람은 영의 존재를 부인합니다. 그가 그걸 볼 수 없기 때문인데요, 그는 말하기를, “그건 아무 것도 아닌 것이, 내가 그걸 느낄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내가 알기로는 보고 만질 수 있는 것이라야만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The sensuous man, or he who only believes on the evidence of his senses, denies the existence of the spirit because he cannot see it, saying, “It is nothing because I do not feel it: that which I see and touch I know exists.”

 

그 다음, 기억-지식의 사람, 자기의 기억-지식을 가지고 결론을 내리는 사람은 말하기를, The man of memory-knowledge [scientificus], or he who forms his conclusions from memory-knowledges says,

 

영이라는 게, 가령 증기나 열, 아니면 무슨 다른 과학적 엔터티의 일종으로 그냥 즉시 옅은 공기 속으로 사라져 버리는, 그런 것이 아니면 도대체 무엇입니까? What is the spirit, except perhaps vapor or heat, or some other entity of his science, that presently vanishes into thin air?

 

동물들 또한 몸, 감각, 그리고 이성과 유사한 뭔가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까? 하지만 사람의 영은 살고, 동물들의 영은 죽는다라고들 주장되고 있지요. Have not the animals also a body, senses, and something analogous to reason, and yet it is asserted that these will die, while the spirit of man will live.

 

이걸 보면 그들은 영의 존재를 부인하고 있습니다. Thus they deny the existence of the spirit.

 

[3] 철학자들 또한, 어쩌면 이들은 남은 인류 가운데 가장 예리한 사람들일 것 같은데요, 이들은 영에 대하여 자기들도 이해하지 못 하는 용어들을 가지고 말을 합니다. 이들은 물질이나 유기체, 혹은 그밖의 것들로부터 나오는 영을 한 가지 표현만 가지고 적용하면 안 된다고 주장하면서 그들을 반박하기 때문입니다. Philosophers also, who would be more acute than the rest of mankind, speak of the spirit in terms which they themselves do not understand, for they dispute about them, contending that not a single expression is applicable to the spirit which derives anything from what is material, organic, or extended;

 

이들은 이런 식으로 자기들의 생각을 추상화시켜 결국 소멸, 아무 것도 남지 않게 만들어 버립니다. thus they so abstract it from their ideas that it vanishes from them, and becomes nothing.

 

보다 분별 있는 사람들은 영은 사고(思考)다 주장합니다. The more sane however assert that the spirit is thought;

 

그러나 이들은 사고에 관해 추론하면서 사고를 모든 실재성으로부터 분리하게 되고, 결국은 ‘몸이 기능을 다하면 영도 사라져야만 한다’는 결론에 이르고 맙니다. but in their reasonings about thought, in consequence of separating from it all substantiality, they at last conclude that it must vanish away when the body expires.

 

이와 같이 감각이나 기억-지식, 그리고 철학을 가지고 추론하는 사람들은 영의 존재를 부인하고, 그 결과 영과 영적인 일들에 관한 말들을 하나도 믿지 않습니다. Thus all who reason from the things of sense, of memory-knowledge, and of philosophy, deny the existence of the spirit, and therefore believe nothing of what is said about the spirit and spiritual things.

 

하지만 마음이 단순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습니다. Not so the simple in heart:

 

그들은 영의 존재에 관한 질문을 받으면 대답하기를, 자기들은 그것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안다고, 왜냐 하면, 주께서 말씀하시기를, 사후에도 그들이 살리라 하셨기 때문이라고, if these are questioned about the existence of spirit, they say they know it exists, because the Lord has said that they will live after death;

 

그래서 그들은 자기들의 이성을 끄는 대신, 주님의 말씀을 가지고 그것을 생생하게 합니다. thus instead of extinguishing their rational, they vivify it by the Word of the Lord.

 

 

197. 태고인들은 천적인 사람들이었는데, 그들 사이에서는 ‘’ 하면 ‘세심한 주의’ 및 그들의 감각 파트를 상징하였습니다. 그들은 평소 이 감각 파트를 잘 훈련하여 각종 신체적 상처로부터 안전한 생활을 하고자 하는 신중한 사람들이었습니다. Among the most ancient people, who were celestial men, by the “serpent” was signified circumspection, and also the sensuous part through which they exercised circumspection so as to be secure from injury.

 

’에 관한 이러한 상징은 주님이 제자들에게 하신 말씀을 보면 분명한데요, This signification of a “serpent” is evident from the Lord’s words to his disciples:

 

보라 내가 너희를 보냄이 양을 이리 가운데로 보냄과 같도다 그러므로 너희는 뱀 같이 지혜롭고 비둘기 같이 순결하라 Behold, I send you forth as sheep into the midst of wolves; be ye therefore prudent as serpents, and simple as doves (마10:16)

 

또. 광야에 세웠던 ‘놋뱀’으로부터도 분명합니다. 이 놋뱀은 주님 안 감각 파트를 가리키는데요, 오직 주님만이 천적인 사람이시며, 오직 주님만이 모든 사람을 돌보시고, 또 공급하시는 분입니다. And also from the “brazen serpent” that was set up in the wilderness, by which was signified the sensuous part in the Lord, who alone is the celestial man, and alone takes care of and provides for all;

 

그래서 그때 그 뱀을 쳐다 보는 사람들은 모두 보호를 받은 것입니다. wherefore all who looked upon it were preserved.

 

2021-04-10(D7)-창세기(창3,1, AC.194-197), '뱀, the sensuous part of man'.hwp
0.07MB

youtu.be/rZq0RfRtil0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