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교회가 정치적으로 흔들릴 때, 목회자가 붙들어야 할 단 한 가지
목사님이 목회하시는 교회가 정치 뉴스, 국가 혼란, 유튜브 정보, 사회적 대립 때문에 정서적으로 흔들릴 때가 있습니다. 이때 목회자는 무엇을 붙들어야 할까요? 스베덴보리는 이 주제에 대해 놀라울 정도로 명확한 답을 줍니다. 그 답은 하나입니다. 질서(order), 곧 교회의 질서, 말씀의 질서, 주님의 질서입니다. 정치적 혼란을 막는 것은 정치적 해석, 사회 분석, 설득이 아니라 영적 질서입니다. 이 내용을 아주 구체적으로 풀어보겠습니다.
교회는 질서 속에서만 서 있는 공동체
스베덴보리는 교회를 질서의 집으로 봅니다. 질서가 흐르면 천국의 영향이 교회로 흘러오고, 질서가 깨지면 그 틈을 통해 지옥의 영향이 들어옵니다. 정치적 혼란은 교회 밖의 문제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교회 내부의 질서에 영향을 미치는 시험입니다. 스베덴보리의 말입니다. 천국은 질서이며, 지옥은 무질서이다. 따라서 교회의 영적 싸움은 정치가 아니라 질서를 지키는 일입니다.
정치가 교회에 들어올 때 나타나는 현상들
스베덴보리는 정념의 기류가 교회 안으로 들어오면 다음의 변화가 발생한다고 설명합니다. 회중 사이에 보이지 않는 긴장, 대화 중 무거운 분위기, 말씀보다 뉴스가 더 강한 감정 파동을 일으킴, 설교 내용이 왜곡되는 위험, 소그룹들이 갈라짐, 교회의 영적 분위기(afflatus)가 흐려짐 등, 스베덴보리는 이것을 영적 질서의 틈이 생긴 상태라고 부릅니다.
이때 목회자가 붙들어야 할 단 한 가지 : 질서(order)
스베덴보리는 질서를 이렇게 정의합니다. 질서란 주님으로부터 내려오는 참된 생명의 흐름이다. 즉, 내적 질서, 설교의 질서, 예배의 질서, 공동체의 질서 등, 이 모든 질서는 정치적 파동이 아닌, 주님이 흘러오시는 통로입니다. 정치 혼란이 일어날수록 정치가 아니라 말씀의 질서에 더 집중하는 것이 영적 리더의 핵심 사명입니다.
그럼 질서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스베덴보리식으로 질서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
말씀의 질서
본문 읽기, 본문 해석, 본문 적용. 이 과정이 감정·정치·의견에 의해 흔들리지 않고, 오직 영적 진리에 의해 세워지는 것입니다. 정치적 소란이 있을수록 목사는 더욱 원문·본문·AC의 질서를 붙들어야 합니다.
예배의 질서
예배는 교회의 하늘 문입니다. 예배 순서·찬양·기도·말씀·축도로 이어지는 이 전통적 질서 자체가 정치와 무관하게 교인들의 내면을 고요한 상태로 만듭니다. 스베덴보리는 예배의 질서는 천국의 구조와 같다. 예배 질서가 무너지면 천국의 기운이 사라진다고 강조합니다. 즉, 정치가 흔들릴수록 예배를 더 단단히, 더 고요히, 더 질서 있게 세워야 합니다.
목회자의 내적 질서
목사의 마음이 흔들리면, 설교에, 상담에, 기도에 그 흐름이 그대로 전달됩니다. 따라서 스베덴보리는 이렇게 말합니다. 설교자는 먼저 자기 안에서 질서를 세워야 한다. 그래야 공동체 안으로 질서가 흘러간다. 목사님이 정치 뉴스 감정에서 벗어나 내적 평화와 진리를 회복하면, 그 자체가 교회의 영적 질서를 다시 세우는 일입니다.
정치 혼란기의 실제 목회 적용
스베덴보리의 질서 이론을 현실 목회에 바로 적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정치 이야기 금지 규칙이 아니라 말씀 중심 질서를 강화
정치 이야기 하지 맙시다는 갈등을 일으킵니다. 대신 우리 교회의 중심은 말씀입니다, 우리의 평화는 말씀에서 옵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반복하면 정치 갈등이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교인들의 감정적 파동을 예배의 고요함으로 덮어주기
예배는 교회의 영적 공기입니다. 예배가 고요하고 안정되면, 교회 안의 정치적 파동이 자연스럽게 가라앉습니다.
설교를 더욱 내적 진리 중심으로
정치적 사례나 시사적 언급은 감정 파동을 다시 일으킵니다. 대신 마음, 내면, 진리, 선, 영적 질서 등, 이런 주제에 집중하면 정치적 감정은 빠르게 사라집니다.
성도끼리 정치 이야기를 해도 싸움이 되지 않게 하는 한 문장
목사님이 이렇게 말하면 큰 도움이 됩니다. 정치적 의견은 달라도 괜찮습니다. 우리는 내면에서 같은 주님을 따르는 사람들입니다. 이 한 문장이 교회 내 갈등을 많이 예방합니다.
목사님 자신이 질서의 기둥이 되기
스베덴보리는 말합니다. 공동체의 질서는 지도자가 내면에서 어떤 질서를 유지하느냐에 달려 있다. 정치 혼란 속에서 목사님이 내적 평화를 붙들면, 그 평화가 교회의 기본 분위기(spiritual atmosphere)를 만들게 됩니다.
목사님께 드리는 조용한 결론
정치적 혼란은 교회의 적이 아닙니다. 질서가 무너지는 것이 교회의 적입니다. 정치에 흔들리지 않고, 말씀·예배·내면의 질서를 붙드는 것, 이것이 목회자가 혼란의 시대에 붙들어야 할 단 한 가지입니다. 목사님이 내면에서 질서를 세울 때, 그 질서가 교회로 흘러갑니다. 정치가 아니라 영적 질서가 교회를 세웁니다.
'즐겨찾기 > ChatGPT로 보는 스베덴보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0. 정치 뉴스에 민감한 교인들을 어떻게 인도할 것인가 (0) | 2025.11.27 |
|---|---|
| 9. 정치적 분노가 설교와 목회에 스며들지 않게 하려면 (0) | 2025.11.27 |
| 8. 스베덴보리는 자기 나라의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았는가 (0) | 2025.11.27 |
| 7. 영적으로 강한 나라는 어떤 나라인가 (0) | 2025.11.27 |
| 6. 스웨덴 정계가 혼란할 때, 스베덴보리가 취한 ‘거리 두기’의 이유 (1) | 2025.11.2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