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 한결같은교회 예배의 설교 및 특송은 다음과 같이 접하실 수 있습니다.

 

※ 아래 설명은 스마트기기(안드로이드폰) 기준이며, 홈피 서비스는 곧 준비하겠습니다.

 

1. 앱 스토어로 이동(Android 계열: Play 스토어, iOS 계열: App Store)

2. 검색 창에 synology 입력

3. synology 나오면 선택

4. 목록 중에서 DS audio 선택

5. 설치 클릭

6. 열기 클릭

7. DS audio 로그인 화면이 나오면 아래와 같이 입력 후 로그인 클릭

bygrace
cbc

(패스워드)는 공란

※ cbc는 공용아이디입니다. consistent baptist church의 약자

8. 기본적으로 라이브러리 메뉴가 뜹니다. 여기서 최근 추가됨, 폴더 등으로 자유롭게 들으시면 됩니다. 루트 폴더는 music, 그 밑에 몇 개의 폴더가 있는데 그 중 예배 폴더에 설교 및 특송 등이 들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결같은교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종인가, 주인인가?  (0) 2015.10.30
Posted by bygracetistory
,

이런 순서로 진행 중입니다.

 

1. 설치환경 준비

2. DSM

3. Audio Station

4. Photo Station

5. Video Station

6. Cloud Station

7. File Station

8. 기타 Station들

9. 제어판

10. 원격제어

 

오늘은 4강, Photo Station입니다.

 

4강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Photo Station 설치

2. DS photo+ 앱 설치

3. Photo Station에 사진 올리기

4. Photo Station에 동영상 올리기

 

자, 그럼 순서대로,

 

1. Photo Station 설치

 

Audio Station 못지 않게 이 Photo Station 또한, 교회에서 그 쓰임새가 매우 크고 다양합니다. 특히, 교회 예배, 각종 행사 및 주일학교 모습 등, 소위 '비주얼' 자료공유에 힘쓰시는 교회일수록 더욱 그렇습니다. 이 Photo Station은 Photo뿐 아니라 Video Streaming까지도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그 활용도가 높습니다. 블로그도 있는데, Photo Station이 제공하는 블로그는 쓰시라 권하기가 좀...^^

 

앞으로 앞 강의에서 다루었다 하더라도 독자의 편의를 위해 무한반복을 하겠습니다. 이미 익숙하신 분들에게는 다소 지루하실지라도 이제 새로 배우시는 분들을 위해 양해하여 주실 줄 믿습니다. ^^

 

설치는 Audio Station 때 처럼 다음과 같이 합니다.

 

① DSM을 admin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② 바탕화면 상단 타이틀바 왼쪽 바탕화면 표시 바로 옆에 있는 메인 메뉴를 클릭

③ 밑으로 펼쳐지면 여러 섬네일 중 두 번째 줄 첫 번째 섬네일 패키지 센터 클릭

멀티미디어 그룹에서 Photo Station 클릭, 설치

 

참고로, 이 Photo Station은 앞서 5개 Station들(Audio, Download, Surveillance, Video, File)처럼 사용자 지정 별칭리디렉션 기능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하나의 Station을 설치, 외부에서 NAS 즉, DSM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앞서 2강에서 다룬, 포트포워딩을 해주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Synology에서 각 Station에 배정한 포트 번호를 알아야 합니다.

 

아래 링크는 DSM 4.2 현재, Synology SupportKnowledge Base, What network ports are used by Synology services? 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 페이지입니다.

 

http://www.synology.com/support/faq_show.php?q_id=299&lang=enu

 

위 표에 보면, Photo Station, DS photo+ 둘 다 HTTP의 경우, TCP 포트 번호 80을 사용합니다.

 

다음과 같이 합니다.

 

① 공유기 관리자 화면에서 고급 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으로 갑니다.

② 오른쪽 포트포워드 설정에서,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하지요.

 

규칙 이름 : DS photo+

내부 IP주소 : 192.168.0.100

프로토콜 : TCP

외부 포트 : 80

내부 포트 : 80

 

③ 위와 같이 하고, 추가 클릭,

④ 그러면, 하단에 한 줄 생깁니다.

⑤ 왼쪽 번호 옆 체크 박스 체크 후, 위 동작 버튼 클릭, 동작시켜 줍니다.

 

제대로 들어가지는지 확인은 DS photo+ 앱 설치 후, 앱에서 하겠습니다.

 

Photo Station의 경우, 브라우저에서는 80 포트가 겹쳐 DSM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이 우선순위를 피하면서 바로 Photo Station으로 들어가려면, http://onelove.synology.me/photo 하시면, DSM이 아닌, Photo Station 화면이 뜹니다. 여기서 로그인하시면 됩니다.

 

포트 번호 80이 겹친다고 공유기 포트포워딩을 생략하시면 앱에서 안 들어가집니다.

꼭 한 줄 넣으셔야 합니다.

 

Photo Station 설치는 이 정도 하겠습니다.

 

2. DS photo+ 앱 설치

 

앱 설치 및 확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갤3 기준입니다만, 다른 기종들도 거의 같습니다.

 

① 앱 Play 스토어를 실행합니다.

② 맨 위 돋보기를 탭, 영문에서 synology 입력, 밑에 리스트에서 synology 선택

③ DS 앱들이 주욱 뜨는데 여기서 DS photo+ 선택, 설치합니다.

④ DS photo+ 앱 열기

⑤ Wi-Fi를 끕니다.

⑥ DS photo+ 로그인 창에서 한사랑교회는 다음과 같이 했습니다.

 

주소 또는 QuickConnect ID : onelove.synology.me

계정 : admin

패스워드 : *******

 

나머지는 안 건드립니다.

 

앨범 - 한사랑교...30505

⑧ 사진 하나 탭한 후, 홈버튼 왼쪽 메뉴 버튼 탭, 슬라이드쇼로 보시면 더욱 편합니다.

⑨ 이상 없으면 홈 버튼 왼쪽 탭, 로그아웃

 

위 ⑤항은, 공유기 권역이 아닌, 일반 공중망에서도 잘 들어와지는지 보기 위해서입니다.

 

한사랑교회 NAS 이동이 완료, 이젠 잘 들어가지는군요! ^^

 

위 ⑥항에서, QuickConnect ID는... 아래와 같이 생성합니다.

 

① 관리자 계정으로 DSM 로그인

제어판 - 네트워크 서비스 - QuickConnect 클릭

제어판 - QuickConnect 창에서 위 QuickConnect 박스에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 빈 박스 체크, 여기서는 DS photo+ 체크

④ 아래 QuickConnect 정보 박스에서 QuickConnect ID : 숫자(아홉자리) 확인

⑤ (위 숫자 외우기가 불편하면) 사용자 지정 버튼 클릭, 임의의 아이디 입력, 사용하셔도 됩니다. 아이디는 숫자로 시작하실 수 없습니다.

 

앱 DS photo+ 실행 후, 아홉자리 숫자 혹은, 아이디를 입력해 보세요. 신기하게도 로그인이 될 겁니다. 이 방법이 훨씬 더 편하실 겁니다. ^^

 

QuickConnect를 지원하는 클라이언트들은 DS file, Cloud Station, DS photo+, DS audio 입니다.

 

지금은 첫 테스트라 admin으로 로그인했지만, 나중에 계정들 생성하면 각각 접근 권한 등을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DS photo+ 앱 설치 및 확인은 여기까지입니다.

'NAS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413 설치후기 - ③ Audio Station  (0) 2013.08.16
DS413 설치후기 - ② DSM  (0) 2013.08.13
DS413 설치후기 - ① 설치환경 준비  (0) 2013.08.12
Posted by bygracetistory
,

PC이든, 스마트폰이든, 하나의 기기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하려면 반드시 필요한 게 있는데

바로 '주소'입니다.

 

너무 당연한 걸 정색을 하고 말하는 것 같네요...^^

 

이 '주소'는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아이피(IP) 주소, 다른 하나는 맥(MAC) 주소입니다.

 

IP 주소는 TCP/IP 설정 때 자동 또는 수동으로 지정하는 것이고,

MAC 주소는 기기 내부 네크워크 관련 부품에 공장에서부터 박혀져 나오는 겁니다.

 

그 형태는 각각

 

IP 주소 : 192.168.0.200

MAC 주소 : 60-D8-19-C2-72-4B

 

이렇게 생겼습니다.

 

보안을 위해

IP 주소는 라우팅 불가능 주소를, MAC 주소는 안 쓰는 주소를 적어놓았으니 참고하세요. ^^

 

이 둘은 아무 사이도 아닙니다.

그럼, 왜 MAC 주소를?

 

기기 A에서 보낸 메시지가 기기 B에 도착하는 과정이

우리가 볼 땐 IP 주소로만 찾아가는 거 같지만

사실은 IP 주소를 가지고 그에 해당하는 MAC 주소를 찾아가는 과정이랍니다.

 

그래서 그런지 네트워크 전반에 은근히

이 MAC 주소에 대한 이해가 좀 필요하여 잠깐 다루었습니다.

 

내가 사용 중인 기기의 MAC 주소를 알려면

PC에서는 명령 프롬프트 실행 후, getmac 하면 되고,

스마트 기기는 보통 환경 - 디바이스 정보 - 상태에서 알 수 있습니다.

 

'IT 상식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램들이 대화를 해요?  (0) 2013.08.12
포트(Port) 번호  (0) 2013.08.09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