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의 속뜻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창1:27)
이러므로 남자가 부모를 떠나 그의 아내와 합하여 둘이 한 몸을 이룰지로다 (창2:24)
천사 또는 사람 안에서 결합한 선과 진리는 둘이 아니라 하나이다. 왜냐하면 그때 선은 진리를 바탕으로 한 선이고, 진리는 선을 바탕으로 한 진리이기 때문이다. 이 선과 진리의 결합은 마치 사람이 의도하는 것을 생각하고, 또 생각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과 같고, 그때 생각과 의지가 하나의 마음이 되는 것과 같다. (천국과 지옥 372, 이순철 역) Good and truth conjoined in an angel or a man are not two but one, since good is then good of truth and truth is truth of good. This conjunction may be likened to a man’s thinking what he wills and willing what he thinks, when the thought and will make one, that is, one mind; (HH.372)
새 교회에서는 결혼은 남녀의 순결한 사랑으로부터 이루어져야 하고, 그러므로 거룩하고 아름다운 것이라고 가르칩니다. 그러나 오늘날 그러한 생각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결혼은 남녀의 정서적, 육체적 필요에 따른 결합이며, 자손을 번식하는 수단이라고 생각합니다. 결혼을 영적인 문제와 결부시켜 생각하는 사람은 더더욱 없습니다. 그러다 보니 결혼했다 헤어지는 부부들이 많고, 또 결혼한 부부들 중에서도 순결을 지키지 않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결혼에 대해 마태복음 19장 3절 이하에는 다음과 같은 말씀이 있습니다.
3바리새인들이 예수께 나아와 그를 시험하여 이르되 사람이 어떤 이유가 있으면 그 아내를 버리는 것이 옳으니이까 4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사람을 지으신 이가 본래 그들을 남자와 여자로 지으시고 5말씀하시기를 그러므로 사람이 그 부모를 떠나서 아내에게 합하여 그 둘이 한 몸이 될지니라 하신 것을 읽지 못하였느냐 6그런즉 이제 둘이 아니요 한 몸이니 그러므로 하나님이 짝지어 주신 것을 사람이 나누지 못할지니라 하시니 7여짜오되 그러면 어찌하여 모세는 이혼 증서를 주어서 버리라 명하였나이까 8예수께서 이르시되 모세가 너희 마음의 완악함 때문에 아내 버림을 허락하였거니와 본래는 그렇지 아니하니라 9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누구든지 음행한 이유 외에 아내를 버리고 다른 데 장가드는 자는 간음함이니라 (마19:3-9)
주님께서는 결혼한 부부 중 어느 하나가 순결의 의무를 깨지만 않는다면 결혼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고 말씀하십니다.
서신서에 보면, 바울도 결혼에 대한 얘기를 많이 했습니다. 그는 결혼보다는 독신을 지지했던 것 같은데요, 그의 서신 몇몇 구절들에서 그의 생각을 엿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고린도 전서 7장에는 어떤 사람이 바울에게 편지를 보내 결혼에 대한 생각을 묻자 이렇게 대답합니다.
25처녀에 대하여는 내가 주께 받은 계명이 없으되 주의 자비하심을 받아서 충성스러운 자가 된 내가 의견을 말하노니 26내 생각에는 이것이 좋으니 곧 임박한 환난으로 말미암아 사람이 그냥 지내는 것이 좋으니라, 28그러나 장가 가도 죄짓는 것이 아니요 처녀가 시집 가도 죄짓는 것이 아니로되 이런 이들은 육신에 고난이 있으리니 나는 너희를 아끼노라 (고전7:25-26, 28)
그는 또 결혼이 좋지 않은 이유에 대해 말하는데,
32너희가 염려 없기를 원하노라 장가 가지 않은 자는 주의 일을 염려하여 어찌하여야 주를 기쁘시게 할까 하되 33장가 간 자는 세상 일을 염려하여 어찌하여야 아내를 기쁘게 할까 하여 34마음이 갈라지며 시집 가지 않은 자와 처녀는 주의 일을 염려하여 몸과 영을 다 거룩하게 하려 하되 시집 간 자는 세상 일을 염려하여 어찌하여야 남편을 기쁘게 할까 하느니라 35내가 이것을 말함은 너희의 유익을 위함이요 너희에게 올무를 놓으려 함이 아니니 오직 너희로 하여금 이치에 합당하게 하여 흐트러짐이 없이 주를 섬기게 하려 함이라 (고전7:32-35)
서신서의 이러한 구절들을 통해 드는 생각은, 바울은 결혼에 대해 그렇게 긍정적이지는 않았구나 하는 생각입니다.
※ 바울은 ‘결혼’의 내적 의미, 곧 주님의 신성인 선과 진리의 결합이라는 속뜻에 대해 잘 몰랐던 것 같습니다. 만일 그가 알고 있었다면, 이런 상담의 결과, 성도들로 하여금 그들이 당시와 같은 시대적 상황 속에서도 결혼을 생각할 때 변함없이 ‘속 사람’이라는 목표, 관점으로만 생각하도록 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속 사람의 완성이 결혼이며, 그래야 천국에 올라가 그곳 생활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시대적 상황’이라 하면, 그때는 박해의 시대였고, 그리고 사도들은 주님이 곧 다시 오실 것으로 가르쳤으며, 그래서 당시 성도들은 ‘이제 잠시 후면 새 하늘과 새 땅이 시작되는데 굳이 결혼이라는 걸 해야 하나?’ 하는 식으로 좀 헷갈렸기 때문입니다. 사도들이 그렇게 가르친 건 그들 역시 주님의 말씀을 겉 글자로만 이해했기 때문입니다.
성경에는 결혼에 대해 어떻게 말하고 있을까요? 말씀에는 결혼에 대한 얘기가 굉장히 많이 나오는데요, 그중 오늘 본문은 주님께서 처음으로 남녀의 결혼에 대해 언급하신 내용입니다. 창세기 1장 27절 말씀입니다.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창1:27)
하나님께서 사람을 창조하시는데 남자와 여자로 창조하셨다고 합니다. 이 말씀은 주님이 인간을 물질적 존재로만 창조하시지 않고, 오히려 영적 존재로 창조하셨음을 나타냅니다. 왜냐하면 ‘자기 형상’은 사람의 영적 생명 중에서 신앙을, ‘하나님의 형상’은 사랑을, 그러니까 각각 진리와 선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하셨다는 것은, 사람은 폐의 호흡과 심장의 박동으로만 사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에 대한 신앙과 사랑으로 살도록 창조하셨다는 뜻이며, 그걸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셨다’로 표현하신 것입니다. 여기서 ‘남자’는 하나님에 대한 신앙, 또는 진리, 이해(understanding)를, ‘여자’는 하나님에 대한 사랑, 또는 선, 의지(will)를 뜻하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누구나 하나님이 누구인지, 그분에 대한 신앙은 무엇이고, 사랑은 무엇인지를 전혀 모르는 상태로 태어납니다. 창세기 1장 2절에는 그렇게 영적으로 무지한 상태를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다’ 했습니다. 그랬던 사람이 어느 순간 주님으로부터 오는 진리의 빛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그때 사람은 처음으로 주님의 존재를 알게 되고, 점점 주님을 믿고, 사랑하게 됩니다. 그때가 그의 마음에 남자와 여자가 창조되는 순간입니다. 남자와 여자로 표상되는 신앙과 사랑은 처음에는 사람의 속 사람 안에 생깁니다. 그리고 속 사람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겉 사람 안에 생기지요.
주님에 대한 신앙과 사랑이 그렇게 속 사람으로부터 시작, 마지막에 겉 사람 안에까지 생기는 모습을 오늘 두 번째 본문인 창세기 2장 24절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이러므로 남자가 부모를 떠나 그의 아내와 합하여 둘이 한 몸을 이룰지로다 (창2:24)
여기서 ‘부모’는 속 사람을 뜻합니다. 속 사람을 부모에 비유하는 것은, 거듭나는 동안 겉 사람 안에 뿌리내리는 모든 진리와 선은 속 사람으로부터 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남자가 부모를 떠나’라는 표현은 속 사람 안에 있던 진리, 또는 신앙이 겉 사람 안에 심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남자가 부모를 떠나 그의 아내와 합하여 둘이 한 몸을 이룰지로다’라는 표현은 속 사람과 겉 사람 안의 자아가 하나가 되었다는 뜻입니다. 왜냐하면 여기서 ‘몸’은 자아, 곧 하나님의 생명이 있는 자아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하면, 속 사람을 반대하던 자아가 속 사람에게 순종하는 자아로 변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남자와 여자, 또는 속 사람과 겉 사람이 한 몸을 이루게 됩니다. 창세기 2장 21절입니다.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을 깊이 잠들게 하시니 잠들매 그가 그 갈빗대 하나를 취하고 살로 대신 채우시고
여기, ‘그가 그 갈빗대 하나를 취하고 살로 대신 채우시고’라고 했는데, 그것이 바로 자아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즉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던 단단하고 차갑기만 하던 자아가, 거듭나는 과정을 거치면서 주님의 생명이 들어있는 부드럽고 따뜻한 자아로 변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아담의 단단한 ‘갈빗대’는 타고난 자아를 뜻하고, 그것을 들어낸 자리에 채워지는 ‘살’은 주님의 생명이 담긴 따뜻한 자아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자아가 변할 때, 겉 사람은 속 사람의 구애에 화답하고, 둘이 한 몸을 이루게 됩니다.
모두들 아시는 것처럼 창세기의 천지창조 이야기는 인류 최초의 교회인 태고교회 사람들의 거듭나는 과정을 그리고 있습니다. 태고교회 사람들은 주님과 직접 소통할 정도로 영이 맑고 순수한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남녀의 결혼이 육체의 결합일 뿐만 아니라 영적인 결혼을 의미한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았습니다. 영적 결혼이란 어떤 것입니까? 사람의 내면에서 이루어지는 선과 진리의 결혼이고, 신앙과 사랑의 결혼이며, 속 사람과 겉 사람, 이성과 의지의 결혼입니다. 태고교회 사람들은 그것을 너무나 잘 알았기 때문에 남녀의 순결한 결혼을 세상의 그 어떤 것보다 더 거룩하게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순수했던 태고교회가 무너지면서 결혼의 순수한 의미도 퇴색되어 버렸고, 그 결과 노아의 고대교회를 지나 모세의 유대교회에 이르러서는 결혼의 영적 의미를 아는 사람이 거의 없었습니다. 다음은 시작하면서 살핀 본문인데요,
3바리새인들이 예수께 나아와 그를 시험하여 이르되 사람이 어떤 이유가 있으면 그 아내를 버리는 것이 옳으니이까 4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사람을 지으신 이가 본래 그들을 남자와 여자로 지으시고 5말씀하시기를 그러므로 사람이 그 부모를 떠나서 아내에게 합하여 그 둘이 한 몸이 될지니라 하신 것을 읽지 못하였느냐 6그런즉 이제 둘이 아니요 한 몸이니 그러므로 하나님이 짝지어 주신 것을 사람이 나누지 못할지니라 하시니 7여짜오되 그러면 어찌하여 모세는 이혼 증서를 주어서 버리라 명하였나이까 8예수께서 이르시되 모세가 너희 마음의 완악함 때문에 아내 버림을 허락하였거니와 본래는 그렇지 아니하니라 9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누구든지 음행한 이유 외에 아내를 버리고 다른 데 장가드는 자는 간음함이니라 (마19:3-9)
위와 같은 대화가 저렇게 오갔다는 사실 자체가 그들이 결혼의 영적 의미에 대해 무지했다는 증거입니다. 다시 말하면, 그들은 자연계의 결혼이 선과 진리의 결합을 표상하며, 그러므로 결혼의 파기는 선과 진리의 분리를 의미한다는 것을 전혀 몰랐던 것입니다.
‘계시록 해설’ 710번 글의 20항을 보면, 주님이 보시기에 유대인들은 그렇게 선한 사람들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스스로 주님의 교회가 되기를 갈망했습니다. 야곱이 얍복 강가에서 만난 주님의 천사와 동이 틀 때까지 씨름을 한 이야기는 유대인들의 그런 집요함(tenacity)을 나타내는데요, 그러므로 유대인들에게 주님의 교회가 세워진 것은 주님이 그들을 선택하신 것이 아니라 유대인들의 집요한 요구를 주님께서 들어주신 것입니다. 이것은 스베덴보리를 통해 주님이 직접 밝히신 내용입니다.
신명기 9장 6절 말씀을 통해 우리는 유대인들에 대한 주님의 마음을 읽을 수 있는데요, 거기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그러므로 네가 알 것은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이 아름다운 땅을 기업으로 주신 것이 네 공의로 말미암음이 아니니라 너는 목이 곧은 백성이니라 (신9:6)
유대교회 사람들처럼 완악한 사람들은 순결한 결혼을 반대하고, 오히려 간음의 기쁨을 원합니다. 주님께서 유대인들에게 여러 명의 아내를 허락하신 것은 그런 이유 때문이었습니다. 그래서 주님께서는 바리새인들에게
모세가 너희 마음의 완악함 때문에 아내 버림을 허락하였거니와 본래는 그렇지 아니하니라
하신 것입니다.
※ 위 ‘계시록 해설’ 710번 글(계12:2, ‘이 여자가 아이를 배어’의 속뜻 주석)의 20항에 의하면, 야곱과 그의 후손, 즉 열두 지파에 이르기까지 그들은 모두 그저 자연적이기만 했으며, 그 결과 천국의 선과 교회, 양쪽에 모두 반대되는, 즉 안 맞는 사람들이었다(Jacob and his posterity even from their fathers down were merely natural, and therefore were opposed to the good of heaven and the church)고 하며, 그럼에도 그들이 성경에서 저런 위치에 있는 것은 그들의 성정이 집요하고 고집스러웠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실상은 그들은 선택된 게 아니라 하도 생떼를 부리는 바람에 할 수 없이 허락하신 거(That the Israelitish and Jewish nation was not chosen, but was accepted to represent a church, because of the tenacity with which their fathers and Moses persisted)라는 말이지요.
이런 비슷한 일이 현 기독교, 개신교에서도 여전히 비일비재합니다. 가령, 자신의 그 무엇을 관철하기 위해 40일 금식기도를 한다든지, 그것도 여러 번을 말이죠, 무슨 솔로몬의 일천번제, 즉 천일예배나 천일기도를 드려 주님의 보좌를 흔든다든지 등, 소위 ‘지성이면 감천’이라는 식의 신앙생활로 말이지요. 그리고 그걸 또 무슨 영적 계급장처럼 자랑하고 다닌다든지... 물론 이런 것도 그 속뜻을 따라 하는 것이면 그 순기능이 크지만, 저들 유대인들처럼 그저 자연적이기만 한 사람들이 주님을 사랑하여 주님 뜻 이루기 위해서가 아닌, 그저 자신의 그 어떤 걸 이루기 위해서 저렇게 집요하게, 저렇게 고집부리며 무리를 하는 것이라면, 나중에 혹시 그게 이루어지더라도... 글쎄요, 그게 과연 ‘이루어진 것’이며, ‘기도 응답’이라 할 수 있을까요?
저런 일련의 모든 황소고집 같은 태도는 그 결과, 자신의 속 사람의 성장, 내면의 열림 등으로 나타나야 하는 것임을 우리는 잊어서는 안 되겠습니다. 솔로몬의 일천번제 후, 그의 꿈에 여호와께서 하나님으로 그에게 나타나시는데요, 그것은 그의 내면이 한 단계 열려 비로소 주님의 음성을 들을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즉 그전까진 자연적이기만 했던 솔로몬이 비로소 영적 인간이 된 것이죠. 우리 역시 어떤 큰 기도, 정말 진지한 나아감이 필요할 때는 저들 야곱의 후손들처럼 집요하고 고집스러운, 생떼를 쓰는 태도가 아니라, 참으로 주님이 우리를 거듭나게 하시기를, 참으로 우리를 변화시켜 주셔서 우리 내면이 한 단계 더욱 높이, 그리고 깊이 열리기를 구하는 그런 태도여야 하겠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주님의 모든 복은 우리 내면, 우리의 속 사람의 크기만큼만 담기기 때문입니다. 혹시 그동안 내 삶이 정말 많이 불행했다면 그것은 그저 내 속 사람이 주님으로부터 오는 복을 조금도 담을 수 없는 상태였기 때문이었구나 하시면 틀림없으며, 그렇다면 지금 당장 이런 내 모습을 가지고 주님 앞에 나아가, 저 우주공간 햇볕처럼 영원히 공급되는 주님의 복을 넘치도록 담는 그런 속 사람의 태도로 변화를 도모해야 할 것입니다.
이상은 왜 유대인들은 결혼을 자연적으로만 생각했는지, 그들이 사실은 얼마나 집요한 사람들인지에 대한 배경 설명이었습니다. //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결혼이 신성한 이유는 순결한 결혼은 천국을 만드는 온상과 같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순결한 부부 사이에서 태어나고 자란 아이들은 나중에 천국의 천사들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왜냐하면 부부의 순결한 사랑 안으로 주님으로부터 선과 진리가 끊임없이 흘러들어오기 때문입니다. 주님의 선과 진리는 어떤 방법으로 결혼한 부부에게로 흘러들어올까요? 새 교회의 가르침에 의하면, 주님께서는 먼저 남편에게 진리를 보내주시고, 그것이 남편의 지혜를 사랑하는 아내에게로 흘러 들어가 거기서 진리와 사랑이 하나가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진리와 결합한 사랑이 다시 남편에게로 흘러 들어가 남편의 생명이 됩니다. 그렇게 될 때, 아내를 순결하게 사랑하는 남편에게는 사랑이 있는 진리가 생기고, 남편을 순결하게 사랑하는 아내에게는 진리가 있는 사랑이 생겨납니다. 그것이 순결한 부부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선과 진리의 결합입니다. 남녀의 결혼을 거룩하다 하는 것은 바로 그런 까닭입니다.
그러나 남녀의 결합이라 하더라도 불순한 결합이 있습니다. 이를테면, 간음이나 불륜 같은 것입니다. 간음은 배우자가 있는 사람이 다른 사람을 탐내는 것입니다. 그것은 한 남자와 한 여자의 결혼만을 허락하는 하나님의 질서에 반하는 행동입니다. 순결한 부부의 사랑이 모든 천국의 기쁨의 원천이라면, 간음의 사랑은 지옥의 모든 기쁨의 원천입니다. 그러므로 이 둘은 절대로 가까워질 수도, 섞여서도 안 됩니다. 그래서 주님은 십계명을 통해 간음하지 말라 하시고, 이웃의 아내를 탐하지 말라 하신 것입니다.
14간음하지 말라, 17네 이웃의 집을 탐내지 말라 네 이웃의 아내나 그의 남종이나 그의 여종이나 그의 소나 그의 나귀나 무릇 네 이웃의 소유를 탐내지 말라 (출20:14, 17)
‘천국과 지옥’ 384번 글은, 간음을 즐기는 사람에게는 천국이 닫히며, 일단 천국이 닫히게 되면, 하나님의 존재나 교회의 신앙을 인정하지 않게 된다고 말합니다. And this is why heaven is closed up to man when he commits adultery from delight; and when heaven is closed man no longer acknowledges the Divine nor anything of the faith of church. (HH.384)
그러므로 간음은 인류를 지옥으로 이끄는 가장 위험한 악이라고 하겠습니다. 반면에 순결한 결혼의 사랑은 천국의 모든 기쁨과 자유와 평화와 순진함의 원천이며, 그러므로 신성한 것입니다.
남녀의 결혼이 이렇게 거룩하고 아름다운 것이라면, 세상 사람들은 모두 자기에게 맞는 짝을 만나 결혼을 해야 합니다. 주님은 능히 그렇게 하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렇지 못한 사람들이 많습니다. 예를 들면, 스베덴보리 같은 분입니다. 스베덴보리는 웁살라 대학교 재학 시절, 친구인 크리스토퍼 풀하임의 여동생을 연모했으나, 풀하임의 아버지가 교제를 허락했음에도 불구, 여자 쪽의 지나친 수줍음으로 둘 사이의 사랑이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합니다. 이후 그의 일생에 두 번 다시 무슨 여자 이야기가 등장하지는 않는데요, 이렇게 이런 분들이 혼자 사는 이유는 주님만이 아시는 개인의 사정과 그에 따른 주님의 어떤 특별한 섭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를테면, 개인의 영적 특성이 거듭나는 데 있어 결혼하는 것보다 독신으로 사는 것이 유리하다든가, 아니면 주님이 맡기시는 어떤 특별한 사명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독신으로 사는 게 더 나은 경우 같은 섭리 말입니다. ‘결혼애’ 229항에는 독신으로 사는 사람들에게 위안이 되는 이런 말이 있습니다.
주님은 참된 결혼의 사랑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비슷한 배우자를 보내주신다. 그러나 세상에서 만나지 못하면 천국에서 맺어 주신다. (CL.229, 이순철 역) That for those who desire love truly conjugial the Lord provides similitudes; and if they are not given on earth, he provides them in the heavens. (CL.229, Warren 역)
앞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결혼한 부부들은 배우자에 대한 순결한 사랑을 통해 주님과 더욱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그러면 독신으로 사는 사람들은 어떨까요? 그들은 주님이 맡겨주시는 일을 통해 주님과 결합하고, 그 결합을 통해 천국의 기쁨과 자유를 누릴 수 있습니다. 주님의 그런 은혜가 새 교회의 모든 성도들과 함께 하시길 기도합니다.
우리가 즐거워하고 크게 기뻐하며 그에게 영광을 돌리세 어린 양의 혼인 기약이 이르렀고 그의 아내가 자신을 준비하였으므로 (계19:7)
아멘
2020-10-18(D1)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
2025-02-23(D1)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즐겨찾기 > 한결같은교회.예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일예배(2025/2/16, 창2:21-23), ‘그 갈빗대로 여자를 만드시고’의 속뜻 (4) | 2025.02.16 |
---|---|
6. 눅1:67-75, '사가랴의 예언 (1)' (2) | 2025.02.14 |
주일예배(2025/2/9, 창2:8, 10-14), '주님이 천적(天的, celestial)인 사람들에게 주시는 참된 지성' (2) | 2025.02.09 |
주일예배(2025/2/2, 눅24:44-53), '주님의 마지막 가르침' (0) | 2025.02.02 |
주일예배(2025/1/26, 눅24:36-43), '내 손과 발을 보고 나인 줄 알라' (2) | 2025.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