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희와 함께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의 속뜻

 

 

14때가 이르매 예수께서 사도들과 함께 앉으사 15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16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이 유월절이 하나님의 나라에서 이루기까지 다시 먹지 아니하리라 하시고 17이에 잔을 받으사 감사 기도 하시고 이르시되 이것을 갖다가 너희끼리 나누라 18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내가 이제부터 하나님의 나라가 임할 때까지 포도나무에서 난 것을 다시 마시지 아니하리라 하시고 19또 떡을 가져 감사 기도 하시고 떼어 그들에게 주시며 이르시되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20저녁 먹은 후에 잔도 그와 같이 하여 이르시되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 21그러나 보라 나를 파는 자의 손이 나와 함께 상 위에 있도다 22인자는 이미 작정된 대로 가거니와 그를 파는 그 사람에게는 화가 있으리로다 하시니 23그들이 서로 묻되 우리 중에서 이 일을 행할 자가 누구일까 하더라 (눅22:14-23)

 

 

오늘 본문 14절과 15절은 주님이 어떤 마음으로 세상에 오셨는지를 말하고 있습니다. 그 말씀은 이렇습니다.

 

14때가 이르매 예수께서 사도들과 함께 앉으사 15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주님께서 제자들에게 너희와 함께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또 원했다고 하십니다. 여기 너희, 곧 주님과 함께 유월절을 보내는 제자들은 어떤 사람들일까요? 세상 것을 버리고, 영원한 천국을 꿈꾸는 사람들입니다. 마치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을 탈출, 자유와 평화의 나라 가나안으로 가기를 원하는 것처럼 말이지요. 그런데 그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주님이 주시는 유월절 떡과 잔을 먹고 마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떡과 잔으로 상징되는, 순진무구(純眞無垢)의 선과 거짓 없는 진리를 소유하지 않으면, 주님을 온전히 믿고 따를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주님은 당신의 제자들이 당신과 함께 유월절 음식 먹기를 고대(苦待, 몹시 기다림)하신 것입니다. 그리고 마침내 그날이 왔습니다. 제자들이 생각과 의지를 활짝 열고, 유월절 음식을 기꺼이 먹으려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말씀에는 때가 이르렀다 했고, 주님께서는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또 원하였다 말씀하십니다.

 

그렇다면 주님은 왜 고난을 앞두고 마지막 유월절 음식을 제자들과 함께 드시며, 또한 말씀에 그것을 자세히 기록하셨을까요? 그 이유는 유월절 만찬을 통해 성찬 예배의 전례를 세우려 하시기 때문입니다. 아시는 것처럼 주님은 십자가의 마지막 시험을 이기신 후, 비로소 완전하신 하나님, 완전하신 말씀이 되셨습니다. 왜냐하면 그때 주님 안의 신성(神性, The Divine)이 인성의 끝에까지 흘러들어와 신성과 인성(人性, The Divine Human)이 완전히 하나가 되셨기 때문입니다. 상응의 의미로 볼 때, 주님의 신성과 인성이 하나가 되었다는 것은 말씀의 내적 진리가 문자적 의미 안에 충만하게 된 것을 의미합니다. 왜냐하면 주님의 속 사람이신 신성이 말씀의 내적 진리라면 주님의 겉 사람이신 인성은 말씀의 문자적 의미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주님은 말씀 그 자체이신 분이기 때문이지요. 그렇게 보면 고난이 있기 전의 말씀은 완전한 말씀이 아니었습니다. 완전한 말씀이 아니었다는 것은, 그때 구약 말씀의 문자적 의미 안의 상태가 아직 내적 진리로 충만한 상태가 아니었다는 것입니다. 그런 까닭에 당시 주님의 제자들은 성찬의 내적 의미를 완전히는 알 수 없었습니다. 그럼에도 주님이 성찬 예배를 제정하신 것은 시대와 각자의 신앙에 따라 어떤 사람은 말씀의 문자적 의미를 통해, 또 어떤 사람은 내적 진리를 통해 십자가 고난의 의미와 그 근저(根底, 밑바탕)에 있는 인류에 대한 주님의 사랑을 영원히 기억하기를 원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주님은 내가 고난을 받기 전 너희와 함께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또 원했다고 하셨습니다.

 

주님과 함께 먹는 유월절 음식은 어떤 것일까요? 그것에 대해 17절과 19절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먼저 17절,

 

17이에 잔을 받으사 감사 기도 하시고 이르시되 이것을 갖다가 너희끼리 나누라

 

주님이 주시는 잔, 즉 포도주와 주님의 피는 영적으로는 같은 뜻입니다. 그러니까 성찬의 포도주로 표상되는 주님의 피는 주님에게서 나오는 신적 진리(The Divine Truth)를 뜻합니다. 주님은 그것을 너희끼리 나누라고 하셨습니다. 이 말씀은 진리를 배우는 것에 그치지 말고, 이웃에게 전하고 행하라는 말씀입니다. 그렇다고 원하지 않는 사람에게 진리를 억지로 전하라는 것은 아니고, 알고 싶어 하는 사람에게 아는 만큼만 전하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주님이 주신 잔을 서로 나누는 것이며, 그렇게 해서 주님께 다시 돌려드리는 일입니다. 다음은 19절,

 

19또 떡을 가져 감사 기도 하시고 떼어 그들에게 주시며 이르시되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여기서 떡과 주님의 몸은 모두 인류에 대한 주님의 사랑(The Divine Love)을 뜻합니다. 그리고 떡을 떼어주시는 것은 주님과 인간 사이 상호적 사랑을 뜻합니다. 즉 주님이 우리를 사랑하시는 것처럼 우리도 주님과 이웃을 사랑하라는 것입니다. 주님은 당신이 주신 사랑으로 우리가 서로 사랑하고, 궁극적으로 주님을 사랑하며, 그렇게 해서 주님과 우리가 영원히 결합하기를 원하십니다. 이것이 주님께서 성찬 예배를 제정하신 목적입니다. 그러나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성찬식에 담긴 이런 의미는 마지막 때 새 교회를 통해 말씀의 내적 의미가 밝혀지기 전에는 아무도 알 수 없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래서 주님은 18절에서

 

18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내가 이제부터 하나님의 나라가 임할 때까지 포도나무에서 난 것을 다시 마시지 아니하리라 하시고

 

라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마태복음 26장 29절에서는 같은 말씀을,

 

그러나 너희에게 이르노니 내가 포도나무에서 난 것을 이제부터 내 아버지의 나라에서 새것으로 너희와 함께 마시는 날까지 마시지 아니하리라 하시니라

 

고 말씀하십니다. 여기서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는 것은 땅에 마지막 새 교회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고, 그때 포도나무에서 난 새것은 새 교회를 통해 밝히시는 완전하고 신성한 진리를 뜻합니다. 그리고 너희와 함께 마신다는 것은 그 신성한 진리로 주님과 인간이 영원히 결합하는 것을 뜻합니다. 이 말씀과 관련하여 ‘계시록 해설’ 376번 글 26번 항은 이렇게 말합니다.

 

주님이 부활하신 후에는 주님에게서 나오는 모든 것이 신성했으므로 주님께서는 하나님의 나라가 임할 때 너희와 함께 마시겠다고 말씀하셨다.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고 동시에 주님이 오시는 때는 주님께서 천국과 지옥의 모든 것을 당신의 질서 아래 두시는 때이다. (계시록 해설 376.26, 이순철 역) And as everything Divine, since the Lord has risen, proceeds from Him, He says that He will drink it with them when the kingdom of God shall come, and it came when He reduced all things to order in the heavens and in the hells. (AE.376.26)

 

이 말이 무슨 뜻일까요? 첫째는, 주님은 부활하심으로써 흠 없는 신성한 진리가 되셨다는 것이고, 둘째는, 하늘에 오르신 후, 마지막 심판을 통해 천국과 지옥을 주님의 신성한 진리 아래 굴복시키셨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셋째는, 마지막 새 교회에 주신 완전하고 신성한 진리, 즉 말씀의 문자적 의미를 통해 드러나는 내적 진리로 주님과 인류가 영원히 결합하게 되었다는 뜻입니다.

 

그런 이유로 해서, 주님은 당신에게서 나오는 신성한 진리를 언약의 피(blood of covenant)라 하셨습니다. 언약은 주님과의 결합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스베덴보리의 증언에 따르면, 주님이 오시기 전 천국은 지옥의 팽창으로 인해 완전한 상태가 아니었다고 합니다. 세상이 너무 악해서 사후, 지옥에 가는 사람들이 많아졌을 뿐만 아니라 악의 정도 또한 극악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지옥의 세력이 천국의 낮은 부분에까지 영향을 미쳤다고 합니다. 그것은 천국이 더 이상 완전하고 순수한 상태가 아니었다는 것이고, 그리하여 천국을 통해 지상으로 흘러들어오는 신성의 흐름 또한 완전하고 순수하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다시 말하면, 주님으로부터 천국을 통해 지상으로 흘러들어오는 주님의 선과 진리가 인간을 거듭나게 할 정도로 그렇게 신성하거나 완전하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주님께서 세상에 오신 것입니다. 직접 말씀을 가르치시고, 병을 고쳐주시기 위해 오신 것입니다. 인간의 몸으로 세상에 오신 주님은 지옥을 상대로 치열한 싸움을 하셨고, 그렇게 해서 지옥을 완전히 정복하셨습니다. 부활하신 주님이 천국과 지옥을 당신의 질서 아래 두실 수 있었던 것은 지옥을 이기신 그 신성하고 완전하신 능력으로 인함이었습니다. 따라서 주님께서 ‘내가 이제부터 하나님의 나라가 임할 때까지 포도나무에서 난 것을 다시 마시지 아니하리라’ 하신 것은 마지막 새 교회를 통해 완전하고 신성한 진리가 나타나기 전에는 주님과 인간 사이에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말씀입니다. 인간은 신성한 인간이신 주님에게서 나오는 신성하고 완전한 진리를 통해서만 온전히 개혁되고 거듭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지금 이 시대는 원하기만 하면 주님에게서 오는 신성한 진리와 선을 마음껏 먹고 마실 수 있는 때입니다. 그런데 21절과 22절에서 주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21그러나 보라 나를 파는 자의 손이 나와 함께 상 위에 있도다 22인자는 이미 작정된 대로 가거니와 그를 파는 그 사람에게는 화가 있으리로다 하시니

 

상은 음식을 올려놓고 먹는 곳입니다. 그래서 영적으로는 교회를 뜻합니다. 교회는 주님이 주시는 영적 양식을 먹고 마시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주님께서 나를 파는 자의 손이 나와 함께 상 위에 있다 하십니다. 이 말씀이 무슨 뜻일까요? 진리를 배반하는 자는 늘 교회 안에 있다는 것입니다. 진리를 가지고 주님과 이웃을 위해 사용하지 않고, 사사로운 목적으로 악용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일수록 불순한 의도를 가지고 진리를 왜곡하거나 조작하기를 잘합니다. 그동안 교회를 타락시킨 사람들도 그런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리고 주님의 제자 중에는 유다가 그런 사람이었습니다. 혹자는 주님께서 구원의 섭리를 위해 그를 쓰셨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주님은 당신의 섭리를 이루시기 위해 사랑하는 제자를 타락시키는 그런 분이 아닙니다. 불순한 욕망이 그로 하여 주님을 배반하게 했고, 주님은 그것을 막지 않으신 것입니다. 주님께서 인자는 작정한 길을 가려니와 인자를 파는 사람에게 화가 있다 하신 것은 그 때문입니다.

 

23그들이 서로 묻되 우리 중에서 이 일을 행할 자가 누구일까 하더라

 

주님의 말씀을 듣고 제자들은 서로 물으며, 우리 중에 그런 일을 행할 자가 누굴까 했습니다. 참된 진리를 아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 매우 두려운 일입니다. 여러 가지 이유로 진리를 팔아넘기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나는 절대 안 그럴 거라고 장담할 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지옥은 작은 틈을 비집고 들어와 우리의 욕망을 자극하고, 나쁜 생각을 불어넣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삶이 끝나는 마지막 순간까지 마음을 놓으면 안 됩니다. 진리를 가까이하되 언제나 경외하는 마음을 잃지 않도록 해야 하겠습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주님이 세상에 오심으로 주님과 예배를 표상하던 많은 것들이 폐지되었습니다. 예를 들면, 모세의 율법과 예언서에서 정하고 있는 각종 법도와 제사의 규례 같은 것입니다. 그런 가운데 예배의 필수적인 요소라 생각하시고, 주님이 직접 남겨 놓으신 것이 있습니다. 세례(洗禮, 원어로는 βαπτίζω, βἀπτισμα, 곧 浸禮)식과 성찬식이 그것입니다. 오늘 말씀은 주님께서 마지막 시험을 앞두고 제자들과 함께 성찬식을 제정하시는 장면을 그리고 있습니다. 당시 주님의 제자들은 성찬식이 왜 필요한지, 성찬식에 나누는 음식이 어떤 의미인지 정확히 몰랐을 것입니다. 주님께서 부활하신 후, 마지막 새 교회를 통해 밝히시기 전에는 아무도 알 수 없는 내용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주님께서 성찬식을 제정하신 것은 그것이 가지고 있는 거룩한 의미 때문입니다. 그것이 뭘까요? 주님이 주신 사랑과 지혜, 또는 선과 진리로 주님과 인간이 영원히 결합하는 것입니다. 말씀의 속뜻으로 다시 오신 주님에게서 나오는 진리는 그 속에 선이 있는 진리입니다. 그리고 그 선의 바탕에는 주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이 있습니다. 사랑과 선이 없는 진리로는 주님이 주시는 것을 받을 수 없고, 주님과 결합할 수도 없습니다. 새 교회인이라고 해서 모두 선이 있는 진리를 가진 것은 아닙니다. 내면에 새 교회가 세워진 사람이라야 선이 있는 진리를 소유할 수 있습니다. 주님이 주시는 성찬의 떡과 잔으로 매일 같이 선이 있는 진리를 소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겠습니다. 그래서 물질로는 살 수 없는 영원한 것을 향해 나아가야 하겠습니다. 주님의 그런 은혜가 이 진리 안에 있는 모든 성도에게 함께하시길 기도합니다.

 

 

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눅22:15)

 

아멘

 

2022-11-06(D1)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

 

2024-09-15(D1)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2024-09-15(D1)-주일예배(2561, 눅22,14-23), ‘너희와 함께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의 속뜻.pdf
0.36MB
축도.2024-09-15(D1)-주일예배(2561, 눅22,14-23), ‘너희와 함께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의 속뜻.pdf
0.22MB

 

 

- YouTube

 

www.youtube.com

 

 

Posted by bygracetistory
,

 

말씀대로 유월절을 준비하니라

 

 

7유월절 양을 잡을 무교절날이 이른지라 8예수께서 베드로와 요한을 보내시며 이르시되 가서 우리를 위하여 유월절을 준비하여 우리로 먹게 하라 9여짜오되 어디서 준비하기를 원하시나이까 10이르시되 보라 너희가 성내로 들어가면 물 한 동이를 가지고 가는 사람을 만나리니 그가 들어가는 집으로 따라 들어가서 11그 집 주인에게 이르되 선생님이 네게 하는 말씀이 내가 내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을 먹을 객실이 어디 있느냐 하시더라 하라 12그리하면 그가 자리를 마련한 큰 다락방을 보이리니 거기서 준비하라 하시니 13그들이 나가 그 하신 말씀대로 만나 유월절을 준비하니라 (눅22:7-13)

 

 

※ 다음은 유월절 관련 본문인 출애굽기 12장 본문 전반부입니다.

 

1여호와께서 애굽 땅에서 모세와 아론에게 일러 말씀하시되 2이 달을 너희에게 달의 시작 곧 해의 첫 달이 되게 하고 3너희는 이스라엘 온 회중에게 말하여 이르라 이 달 열흘에 너희 각자가 어린 양을 잡을지니 각 가족대로 그 식구를 위하여 어린 양을 취하되 4그 어린 양에 대하여 식구가 너무 적으면 그 집의 이웃과 함께 사람 수를 따라서 하나를 잡고 각 사람이 먹을 수 있는 분량에 따라서 너희 어린 양을 계산할 것이며 5너희 어린 양은 흠 없고 일 년 된 수컷으로 하되 양이나 염소 중에서 취하고 6이 달 열나흗날까지 간직하였다가 해 질 때에 이스라엘 회중이 그 양을 잡고 7그 피를 양을 먹을 집 좌우 문설주와 인방에 바르고 8그 밤에 그 고기를 불에 구워 무교병과 쓴 나물과 아울러 먹되 9날것으로나 물에 삶아서 먹지 말고 머리와 다리와 내장을 다 불에 구워 먹고 10아침까지 남겨두지 말며 아침까지 남은 것은 곧 불사르라 11너희는 그것을 이렇게 먹을지니 허리에 띠를 띠고 발에 신을 신고 손에 지팡이를 잡고 급히 먹으라 이것이 여호와의 유월절이니라 12내가 그 밤에 애굽 땅에 두루 다니며 사람이나 짐승을 막론하고 애굽 땅에 있는 모든 처음 난 것을 다 치고 애굽의 모든 신을 내가 심판하리라 나는 여호와라 13내가 애굽 땅을 칠 때에 그 피가 너희가 사는 집에 있어서 너희를 위하여 표적이 될지라 내가 피를 볼 때에 너희를 넘어가리니 재앙이 너희에게 내려 멸하지 아니하리라 14너희는 이 날을 기념하여 여호와의 절기를 삼아 영원한 규례로 대대로 지킬지니라 15너희는 이레 동안 무교병을 먹을지니 그 첫날에 누룩을 너희 집에서 제하라 무릇 첫날부터 일곱째 날까지 유교병을 먹는 자는 이스라엘에서 끊어지리라 16너희에게 첫날에도 성회요 일곱째 날에도 성회가 되리니 너희는 이 두 날에는 아무 일도 하지 말고 각자의 먹을 것만 갖출 것이니라 17너희는 무교절을 지키라 이 날에 내가 너희 군대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었음이니라 그러므로 너희가 영원한 규례로 삼아 대대로 이 날을 지킬지니라 18첫째 달 그 달 열나흗날 저녁부터 이십일일 저녁까지 너희는 무교병을 먹을 것이요 19이레 동안은 누룩이 너희 집에서 발견되지 아니하도록 하라 무릇 유교물을 먹는 자는 타국인이든지 본국에서 난 자든지를 막론하고 이스라엘 회중에서 끊어지리니 20너희는 아무 유교물이든지 먹지 말고 너희 모든 유하는 곳에서 무교병을 먹을지니라 (출12:1-20)

 

 

오늘 말씀은 무교절이라고도 하는 유월절이 가까운 때에 주님께서 제자들을 시켜 유월절 만찬을 나눌 장소를 알아보신다는 이야기입니다.

 

※ 정확히는 유월절 다음날, 그러니까 유월절 해 질 무렵인 오후 5시부터 시작되는 한 주간이 무교절입니다. 이스라엘의 하루는 해 질 무렵을 기준으로 24시간입니다.

 

아시는 것처럼 이스라엘 사람들은 유월절을 무교절이라 부르기도 했습니다. 그 이유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모세를 따라 애굽을 탈출하기 전날 밤, 여호와께서는 어린 양의 고기와 무교병을 먹으라고 하셨기 때문입니다. 무교병(無酵餠), 즉 누룩을 넣지 않은 빵(unleavened bread, 이스트, 곧 누룩을 넣지 않은 빵, 마짜)은 영적으로는 거짓 없는 순수한 선을 뜻합니다. 누룩은 거짓을 뜻하고, 빵은 선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무교병을 먹으라고 하시는 것은 이웃에게 선을 행할 때 사심 없는 순수한 마음으로 행하라는 의미입니다. 삶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가 그러할 때 비로소 거듭남이 시작됩니다.

 

오늘 본문 7절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7유월절 양을 잡을 무교절날이 이른지라

 

영적 의미로 유월절은 신앙인에게는 거듭남의 단초(端初, 일이나 사건을 풀어나갈 수 있는 첫머리)가 되는 시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시기를 전후로 삶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유월절 이전의 삶이 애굽이라 하는 자아와 세상에 속한 것들에 매여있는 삶이라면, 유월절 이후의 삶은 진리가 이끄는 대로 자유를 찾아가는 삶으로 나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애굽에서 벗어나려면 각자에게 다가오는 영적인 유월절을 잘 감당해야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유월절은 누구에게나 일률적으로 오는 것이 아니라 준비된 사람에게만 옵니다. 그렇다면 유월절을 위해 준비된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요? 자신을 믿지 않고, 오로지 주님만 믿고 따르는 사람입니다. 그런 사람이라야 주님이 주시는, 어린 양과 무교병으로 상징되는 순진함의 선과 거짓 없는 진리를 기쁘게 받아들일 수 있으며, 그렇게 해서 주님을 따라 애굽에서 탈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8예수께서 베드로와 요한을 보내시며 이르시되 가서 우리를 위하여 유월절을 준비하여 우리로 먹게 하라

 

유월절을 준비하라는 건 단순히 만찬 장소를 준비하라는 게 아닙니다. 이제까지의 타성(惰性, 오래되어 굳어진 좋지 않은 버릇)을 버리고, 주님을 따라 애굽을 떠날 마음의 준비를 하라는 것입니다. 주님을 따라나서는 데 무슨 준비가 필요한가 할 수 있지만, 신앙인들 가운데는 말로만 주님을 따를 뿐, 주님이 아무리 끌어당겨도 전혀 꿈쩍도 않는 사람이 의외로 많습니다. 안락한 애굽을 떠나 광야로 나가려면, 어린아이와 같은 순진함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주님이 이끄실 때, 의심하지 않고 바로 늘 주님을 따라나설 수 있습니다. 주님의 제자들이 그랬던 것처럼 말입니다. 바로 그런 마음이 되는 것, 그것이 유월절을 준비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주님은 왜 베드로와 요한에게 준비를 맡기셨을까요? 그 두 사람이 신앙인의 영적 특성을 대표하기 때문입니다. 말씀에서 베드로는 진리를 뜻하고, 요한은 사랑과 인애, 그러니까 체어리티(charity)를 뜻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베드로로 표상되는 신앙인은 진리로 사는 사람이고, 요한으로 표상되는 신앙인은 사랑과 체어리티로 사는 사람입니다. 진리, 또는 질서를 중시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사랑과 체어리티, 그러니까 관용, 너그러움을 중시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영적으로 보면 진리보다는 사랑과 체어리티가 더 내적이지요. 그러나 주님의 교회가 서려면 그 두 성향 사람들이 모두 필요합니다. 그래서 주님은 그 둘과 함께 유월절을 준비하십니다.

 

9여짜오되 어디서 준비하기를 원하시나이까 10이르시되 보라 너희가 성내로 들어가면 물 한 동이를 가지고 가는 사람을 만나리니 그가 들어가는 집으로 따라 들어가서 11그 집 주인에게 이르되 선생님이 네게 하는 말씀이 내가 내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을 먹을 객실이 어디 있느냐 하시더라 하라

 

유월절 준비는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그것에 대해 주님께서 말씀하시길 먼저 성내(城內)로 들어가면 물 한 동이를 가지고 가는 사람을 만나게 될 것이라고 하십니다. 말씀에서 성(城)은 교회의 교리를 뜻합니다.

 

※ 성과 촌락의 구분은, 울타리, 그러니까 성벽의 유무입니다.

 

그러므로 성내로 들어가라는 건, 유월절을 위한 첫 번째 준비는 교리를 배우고 익히는 것이라는 뜻입니다. 배운다는 건 교리 관련 지식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고, 익히는 건 그것에 따라 사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래야 배운 교리가 몸에 붙기 때문에, 곧 내 것이 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그렇게 노력할 때 물 한 동이를 가지고 가는 사람을 만날 수 있습니다. 물 한 동이를 가지고 가는 사람은 누굴까요? 각자의 내면에서 말씀의 진리를 가지고 역사하시는 주님이십니다. 왜냐하면 물을 담은 물동이는 진리의 그릇으로서 말씀의 문자적인 지식을 의미하고, 속에 담긴 물은 그 문자적 지식 안에 있는 내적 진리를 의미하며, 그것을 가지고 가는 사람은 곧 주님 자신이시기 때문입니다.

 

계속해서 주님은 그 사람이 들어가는 집으로 따라 들어가라고 하십니다. 집은 신앙인의 의지를 뜻합니다. 어떤 신앙인의 의지 안에 주님이 계시고, 그 주님이 물동이, 곧 그 안에 속뜻이 담긴 기록된 말씀을 붙들고 계신 모습이 상상이 되시지요?

 

주님께서 그 집주인에게 유월절을 먹을 방이 어디냐고 물어보라고 말씀하십니다. 집이 신앙인의 의지라면, 당연히 집주인은 신앙인인 우리 자신이지요. 그 사람이 보인 행동은 무엇이었나요? 12절입니다.

 

12그리하면 그가 자리를 마련한 큰 다락방을 보이리니 거기서 준비하라 하시니

 

한글 성경에는 다락방이라고 번역하고 있지만, 영어 성경에는 어퍼 룸(upper room), 즉 윗방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윗방은 어떤 곳일까요? 집을 의지라 했을 때, 의지 안에 윗방, 아랫방이 있네요? 사람의 의지는 이른바 합리적 인간(rational man)이라고 하는, 영적 마음에 속한 내적 의지가 있고, 또 하나 겉 사람이라고 하는 자연적 인간(natural man)에 속한 외적 의지가 있는데, 이때 이 윗방은 바로 이 내적 의지를 뜻합니다. 겉 사람에 속한 외적 의지 안에는 눈과 귀 같은 감각을 통해 들어오는 불결한 욕망들이 가득하며, 그래서 만약 주님께서 진리를 가지고 그곳으로 가셔서 가르치신다면 그들이 받아들일까요? 받아들이지 않겠죠. 그래서 주님은 윗방, 즉 영적인 걸 추구하는 내적 의지 안으로 들어가십니다. 그리고 그곳에 당신의 생명인 순진함의 선과 거짓 없는 진리를 심어주십니다. 그것이 주님께서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 음식을 드시는 것입니다.

 

주님의 생명이 심어진 후에 우리의 의지가 변화되는 모습을 ‘천국의 비밀’ 4884번 글은 이렇게 말합니다.

 

사람의 의지는 그의 생명이다. 사람이 진리를 즐거워할 때, 진리는 그의 생명의 문턱에 있으며, 진리를 자발적으로 행할 때, 온전히 그 사람 안에 있다. 그리고 사람이 진리를 자주 행동으로 옮길 때, 습관과 애정으로부터 진리가 반복해 소환되고, 그리하여 자유로부터 반복해 소환된다. (이순철 역) man’s will is his life. But when man wills the truth, it is then on the threshold of his life; and when from willing he does it, then the truth is in the whole man; and when he does it frequently, it not only recurs from habit, but also from affection, thus from freedom. (창38:19, ‘과부의 의복을 도로 입으니라’ 주석 중)

 

사람의 의지가 곧 그의 생명이라는 것입니다. 의지가 가만히 있으면, 사람은 죽은 듯이 가만히 있을 겁니다. 그러나 의지가 어떤 것에 관심을 가지고 움직이기 시작하면, 그때 비로소 사람도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그러므로 사람의 의지는 그의 생명입니다. 그런데 세상 것들을 좋아하던 의지가 이제는 진리를 즐거워하기 시작합니다. 그때 진리는 의지의 문턱에 있습니다. 그리고 의지가 자발적으로 진리를 행동으로 옮길 때, 문턱에 있던 진리가 그의 의지 안에 자리를 잡습니다. 진리가 온전히 사람 안에 있다는 것은 그런 의미입니다. 다음에는 진리를 자주 행동으로 옮깁니다. 한두 번 하고 마는 것이 아니고, 자주 행동으로 옮깁니다. 그때 진리가 사람의 이성과 의지, 그리고 삶 가운데로 반복해서 소환되는데, 습관과 애정으로부터 소환된다고 합니다. 습관으로부터 소환된다는 건 진리가 몸에 배어가는 것을 말하고, 애정으로부터 소환된다는 건 진리에 기쁨을 느끼는 것입니다. 자유로부터 소환되는 건 어떤 억압도 없는 자발적인 상태를 말합니다. 진리는 그렇게 점진적으로 신앙인의 생명인 의지 안에 확고하게 자리를 잡게 됩니다. 그것이 주님과 함께 유월절 음식을 나눠 먹은 다음 우리 내면에서 생기는 변화들입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주님은 당신의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 음식 드시기를 원하십니다. 주님은 왜 그들과 함께 음식을 드시려고 하실까요? 그 이유를 ‘천국의 비밀’ 5114번 글 4항은 이렇게 말합니다.

 

사람은 신성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람의 깊은 내면은 신성을 받아들일 뿐 아니라 신성을 인정하고 사랑하여 자기 소유로 만들려는 성질이 있다. 그런 상호성으로 인해 사람은 신성 안에 심어진다. (이순철 역) as with man there is a connection with the Divine, and his inmost is of such a nature that he can receive the Divine, and not only receive it, but also make it his own by acknowledgment and affection, thus by reciprocation, he therefore can never die, because he has thus been implanted in the Divine, (창40:10, ‘그 나무에 세 가지가 있고’ 주석 중)

 

한 마디로, 주님이 사람 안에 계시고, 사람이 주님 안에 있는 것은 주님과 인간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성(相互性, reciprocality) 때문이라는 겁니다. 이 상호성은 자연계의 모든 것 가운데 사람에게만 있는 특성으로, 주님으로부터 받은 것을 다시 주님께 돌려드리는 특성입니다. 어떻게 돌려드릴까요? 주님의 생명을 받아 그 힘으로 주님이 우리를 사랑하듯 우리도 주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주님이 주신 것을 다시 주님께 되돌려 드리는 것입니다. 그런 상호성 때문에 주님은 유월절 음식을 제자들과 함께 드시기를 원하십니다. 그런데 개중(個中)에는 상호성이 부족한 사람이 있습니다. 주님이 주시는 것을 받으려 하지 않거나, 받은 다음에는 돌려드리지 않는 사람입니다. 주님은 그런 사람들과는 유월절 음식을 함께 드실 수 없으십니다. 그렇기 때문에 준비가 필요합니다.

 

유월절을 준비하는 방법으로 주님께서는 다음 몇 가지를 권하십니다. 첫째는 새 교회의 교리인 말씀의 속뜻을 배우고 익히는 것입니다. 본문에서 제자들에게 성내로 들어가라는 것은 그런 뜻입니다. 둘째는 주님께서 말씀의 진리를 가지고 우리의 내적 의지 안으로 들어오실 때, 주님 앞에 서지 않고 주님의 뒤를 따르는 것입니다. 인간의 의지가 행여 주님을 가로막을까 염려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말씀에는 베드로와 요한이 물동이를 든 사람의 뒤를 따라 집으로 들어갔다 기록하고 있습니다. 셋째는 주님과 함께 유월절의 떡과 포도주를 맛있게 먹는 것입니다. 그것은 주님의 생명인 선과 진리를 우리의 생명인 의지로 만드는 것입니다.

 

그런 방법으로 우리는 주님과 함께 유월절을 지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때 비로소 주님을 따라 애굽에서 영원히 벗어날 수 있습니다. 주님이 주신 상호성으로 이웃과도 잘 지내야 합니다. 받기만 하고 베풀지 않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주기만 하고 받지 않으려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래서는 이웃과 하나 될 수 없습니다. 소중한 것을 주기도 하고 받기도 해야 합니다. 주고받을 때는 거짓이 있으면 안 됩니다. 어린 양의 고기와 무교병을 나누어 먹는 것처럼 신앙인들끼리 순진하고 담백한 마음을 서로 나눠야 합니다. 유월절을 준비하는 주님의 은혜가 성도들과 이 진리를 사랑하는 모든 이들에게 함께하시길 기도합니다.

 

 

너희는 이레 동안 무교병을 먹을지니 그 첫날에 누룩을 너희 집에서 제하라 무릇 첫날부터 일곱째 날까지 유교병을 먹는 자는 이스라엘에서 끊어지리라 (출12:15)

 

아멘

 

2022-10-16(D1)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

 

2024-09-08(D1)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2024-09-08(D1)-주일예배(2560, 눅22,7-13), '말씀대로 유월절을 준비하니라'.pdf
0.43MB
축도.2024-09-08(D1)-주일예배(2560, 눅22,7-13), '말씀대로 유월절을 준비하니라'.pdf
0.21MB

 

 

Posted by bygracetistory
,

 가룟 유다처럼 되지 않으려면

 

1유월절이라 하는 무교절이 다가오매 2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예수를 무슨 방도로 죽일까 궁리하니 이는 그들이 백성을 두려워함이더라 3열둘 중의 하나인 가룟인이라 부르는 유다에게 사탄이 들어가니 4이에 유다가 대제사장들과 성전 경비대장들에게 가서 예수를 넘겨줄 방도를 의논하매 5그들이 기뻐하여 돈을 주기로 언약하는지라 6유다가 허락하고 예수를 무리가 없을 때에 넘겨줄 기회를 찾더라 (눅22:1-6)

 

 

※ 먼저 오늘 본문의 배경이 되는 ‘유월절’ 장인 출애굽기 12장을 함께 봉독하겠습니다.

 

1여호와께서 애굽 땅에서 모세와 아론에게 일러 말씀하시되 2이 달을 너희에게 달의 시작 곧 해의 첫 달이 되게 하고 3너희는 이스라엘 온 회중에게 말하여 이르라 이 달 열흘에 너희 각자가 어린 양을 잡을지니 각 가족대로 그 식구를 위하여 어린 양을 취하되 4그 어린 양에 대하여 식구가 너무 적으면 그 집의 이웃과 함께 사람 수를 따라서 하나를 잡고 각 사람이 먹을 수 있는 분량에 따라서 너희 어린 양을 계산할 것이며 5너희 어린 양은 흠 없고 일 년 된 수컷으로 하되 양이나 염소 중에서 취하고 6이 달 열나흗날까지 간직하였다가 해 질 때에 이스라엘 회중이 그 양을 잡고 7그 피를 양을 먹을 집 좌우 문설주와 인방에 바르고 8그 밤에 그 고기를 불에 구워 무교병과 쓴 나물과 아울러 먹되 9날것으로나 물에 삶아서 먹지 말고 머리와 다리와 내장을 다 불에 구워 먹고 10아침까지 남겨두지 말며 아침까지 남은 것은 곧 불사르라 11너희는 그것을 이렇게 먹을지니 허리에 띠를 띠고 발에 신을 신고 손에 지팡이를 잡고 급히 먹으라 이것이 여호와의 유월절이니라 12내가 그 밤에 애굽 땅에 두루 다니며 사람이나 짐승을 막론하고 애굽 땅에 있는 모든 처음 난 것을 다 치고 애굽의 모든 신을 내가 심판하리라 나는 여호와라 13내가 애굽 땅을 칠 때에 그 피가 너희가 사는 집에 있어서 너희를 위하여 표적이 될지라 내가 피를 볼 때에 너희를 넘어가리니 재앙이 너희에게 내려 멸하지 아니하리라 14너희는 이 날을 기념하여 여호와의 절기를 삼아 영원한 규례로 대대로 지킬지니라 15너희는 이레 동안 무교병을 먹을지니 그 첫날에 누룩을 너희 집에서 제하라 무릇 첫날부터 일곱째 날까지 유교병을 먹는 자는 이스라엘에서 끊어지리라 16너희에게 첫날에도 성회요 일곱째 날에도 성회가 되리니 너희는 이 두 날에는 아무 일도 하지 말고 각자의 먹을 것만 갖출 것이니라 17너희는 무교절을 지키라 이 날에 내가 너희 군대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었음이니라 그러므로 너희가 영원한 규례로 삼아 대대로 이 날을 지킬지니라 18첫째 달 그 달 열나흗날 저녁부터 이십일일 저녁까지 너희는 무교병을 먹을 것이요 19이레 동안은 누룩이 너희 집에서 발견되지 아니하도록 하라 무릇 유교물을 먹는 자는 타국인이든지 본국에서 난 자든지를 막론하고 이스라엘 회중에서 끊어지리니 20너희는 아무 유교물이든지 먹지 말고 너희 모든 유하는 곳에서 무교병을 먹을지니라 21모세가 이스라엘 모든 장로를 불러서 그들에게 이르되 너희는 나가서 너희의 가족대로 어린 양을 택하여 유월절 양으로 잡고 22우슬초 묶음을 가져다가 그릇에 담은 피에 적셔서 그 피를 문 인방과 좌우 설주에 뿌리고 아침까지 한 사람도 자기 집 문 밖에 나가지 말라 23여호와께서 애굽 사람들에게 재앙을 내리려고 지나가실 때에 문 인방과 좌우 문설주의 피를 보시면 여호와께서 그 문을 넘으시고 멸하는 자에게 너희 집에 들어가서 너희를 치지 못하게 하실 것임이니라 24너희는 이 일을 규례로 삼아 너희와 너희 자손이 영원히 지킬 것이니 25너희는 여호와께서 허락하신 대로 너희에게 주시는 땅에 이를 때에 이 예식을 지킬 것이라 26이 후에 너희의 자녀가 묻기를 이 예식이 무슨 뜻이냐 하거든 27너희는 이르기를 이는 여호와의 유월절 제사라 여호와께서 애굽 사람에게 재앙을 내리실 때에 애굽에 있는 이스라엘 자손의 집을 넘으사 우리의 집을 구원하셨느니라 하라 하매 백성이 머리 숙여 경배하니라 28이스라엘 자손이 물러가서 그대로 행하되 여호와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명령하신 대로 행하니라 29밤중에 여호와께서 애굽 땅에서 모든 처음 난 것 곧 왕위에 앉은 바로의 장자로부터 옥에 갇힌 사람의 장자까지와 가축의 처음 난 것을 다 치시매 30그 밤에 바로와 그 모든 신하와 모든 애굽 사람이 일어나고 애굽에 큰 부르짖음이 있었으니 이는 그 나라에 죽임을 당하지 아니한 집이 하나도 없었음이었더라 31밤에 바로가 모세와 아론을 불러서 이르되 너희와 이스라엘 자손은 일어나 내 백성 가운데에서 떠나 너희의 말대로 가서 여호와를 섬기며 32너희가 말한 대로 너희 양과 너희 소도 몰아가고 나를 위하여 축복하라 하며 33애굽 사람들은 말하기를 우리가 다 죽은 자가 되도다 하고 그 백성을 재촉하여 그 땅에서 속히 내보내려 하므로 34그 백성이 발교되지 못한 반죽 담은 그릇을 옷에 싸서 어깨에 메니라 35이스라엘 자손이 모세의 말대로 하여 애굽 사람에게 은금 패물과 의복을 구하매 36여호와께서 애굽 사람들에게 이스라엘 백성에게 은혜를 입히게 하사 그들이 구하는 대로 주게 하시므로 그들이 애굽 사람의 물품을 취하였더라 37이스라엘 자손이 라암셋을 떠나서 숙곳에 이르니 유아 외에 보행하는 장정이 육십만 가량이요 38수많은 잡족과 양과 소와 심히 많은 가축이 그들과 함께 하였으며 39그들이 애굽으로부터 가지고 나온 발교되지 못한 반죽으로 무교병을 구웠으니 이는 그들이 애굽에서 쫓겨나므로 지체할 수 없었음이며 아무 양식도 준비하지 못하였음이었더라 40이스라엘 자손이 애굽에 거주한 지 사백삼십 년이라 41사백삼십 년이 끝나는 그 날에 여호와의 군대가 다 애굽 땅에서 나왔은즉 42이 밤은 그들을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심으로 말미암아 여호와 앞에 지킬 것이니 이는 여호와의 밤이라 이스라엘 자손이 다 대대로 지킬 것이니라 43여호와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이르시되 유월절 규례는 이러하니라 이방 사람은 먹지 못할 것이나 44각 사람이 돈으로 산 종은 할례를 받은 후에 먹을 것이며 45거류인과 타국 품꾼은 먹지 못하리라 46한 집에서 먹되 그 고기를 조금도 집 밖으로 내지 말고 뼈도 꺾지 말지며 47이스라엘 회중이 다 이것을 지킬지니라 48너희와 함께 거류하는 타국인이 여호와의 유월절을 지키고자 하거든 그 모든 남자는 할례를 받은 후에야 가까이 하여 지킬지니 곧 그는 본토인과 같이 될 것이나 할례 받지 못한 자는 먹지 못할 것이니라 49본토인에게나 너희 중에 거류하는 이방인에게 이 법이 동일하니라 하셨으므로 50온 이스라엘 자손이 이와 같이 행하되 여호와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명령하신 대로 행하였으며 51바로 그 날에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을 그 무리대로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셨더라 (출12)

 

여기서 ‘유월(逾越)은 ‘넘어가다’(passover)라는 뜻으로, 위 13절, ‘내가 애굽 땅을 칠 때에 그 피가 너희가 사는 집에 있어서 너희를 위하여 표적이 될지라 내가 피를 볼 때에 너희를 넘어가리니 재앙이 너희에게 내려 멸하지 아니하리라’는 말씀에 기원합니다.

 

무교절의 ‘무교’(無酵)는 ‘발효되지 않은’(unleavened, 이스트, 곧 누룩을 넣지 않은)이라는 뜻으로, 위 34절, ‘그 백성이 발교되지 못한 반죽 담은 그릇을 옷에 싸서 어깨에 메니라’는 말씀에 기원합니다. 그만큼 그날 밤 상황이 긴박했다는 것이지요.

 

주님이 스베덴보리를 통해 계시하신 이 출애굽기 12장의 속뜻은, 영적 교회에 속한 사람들이 맛보게 될 해방, 그리고 체어리티에서 분리된 신앙을 가진 사람들이 맛보게 될 저주입니다. 이것을 유월절로 표상하고 있으며, 유월절 기간에 지켜야 할 것들을 통해 자유의 몸이 된 사람들의 체어리티와 신앙에 관한 상태를 표상하고 있습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1유월절이라 하는 무교절이 다가오매

 

주님의 생애에 마지막 유월절이 다가오고 있었습니다. 이 절기가 지나면 주님은 유대의 제사장과 서기관들에게 체포되어 곤욕을 당하실 것이고, 종래에는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실 것입니다. 이 사실을 전혀 모르는 주님의 제자들은 마치 명절을 기다리는 아이들처럼 유월절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문자적 의미로 유월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모세의 인도에 따라 애굽을 탈출한 것을 기념하는 절기입니다. 그러나 영적 의미로는 자아 사랑과 세상 사랑에 매여있던 인류가 주님에 의해 영적으로 거듭나 구원받는 걸 의미합니다. 그런 까닭에 출애굽기 12장 2절과 8절에는

 

2이 달을 너희에게 달의 시작 곧 해의 첫 달이 되게 하고, 8그 밤에 그 고기를 불에 구워 무교병과 쓴 나물과 아울러 먹되

 

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주님은 이 달을 해의 첫 달이 되게 하라 하셨는데, 그것은 유월절로 표상되는 구원의 길로 들어서는 것보다 더 중요한 일은 인류에게는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습니다! 이기심과 온갖 정욕에 빠져 사는 삶은 덧없고 고통스러운 일입니다. 주님은 바로 그런 상태에 있는 인류를 구원하시기 위해 세상에 오셨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애굽에서 끌어내는 모세는 바로 세상에 오신 주님의 표상, 곧 주님 역할을 대신하는 주님의 표상입니다.

 

어떻게 하면 우리는 주님의 손을 붙잡고, 애굽에서 탈출할 수 있을까요? 주님께서는 양의 고기를 불에 구워 무교병과 쓴 나물과 함께 먹으라 하십니다. 말씀에서 양은 선을 뜻하고, 불은 주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을 뜻합니다. 그러므로 양의 고기를 불에 구워 먹으라는 것은 선을 행하되 이기적인 동기가 아니라 주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으로 행하라는 뜻입니다. 무교병과 함께 먹으라는 것 역시 거짓 없는 순수한 마음으로 선을 행하라는 뜻인데요, 무교병(無酵餠, unleavened bread), 즉 누룩을 넣지 않은 빵은 거짓 없는 선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왜 쓴 나물을 먹으라 하실까요? 쓴 나물은 거듭나는 사람들이 겪는 시험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시험이 없으면 인간은 절대로 자기 아닌 다른 사람을 위해 선을 행할 수 없습니다. 설령 선을 행하더라도 그 공을 자신에게 돌립니다. 왜냐하면 시험이 없으면 자아가 죽지 않기 때문입니다. 시험에서 반복해서 질 때 인간은 자기가 얼마나 무력한 존재인지, 그리고 자기 안에 얼마나 악하고 거짓된 것들이 있는지 깨닫습니다. 그리고 그때 비로소 주님 앞에 온전히 굴복하고 주님을 따르게 됩니다. 그래서 주님은 유월절 그 밤에 양의 고기를 불에 구워 반드시 무교병과 쓴 나물과 함께 먹으라 하신 것입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대로 유월절의 어린 양은 주님에게서 오는 가장 순수한 선을 의미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유월절 어린 양은 가장 큰 의미로는 주님을 표상합니다.

 

※ 시작하면서 함께 봉독한 출애굽기 12장, 유월절 장에 의하면 말이지요. 그만큼 정말 중요한 절기임에도...

 

그런데 유월절이 가까운 이때에 바로 유월절의 주인이신 주님을 죽이려는 자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이 누굴까요? 바로 유대교회의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입니다. 그들에 대해 본문 2절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2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예수를 무슨 방도로 죽일까 궁리하니 이는 그들이 백성을 두려워함이더라

 

※ ‘대제사장’ 하면 그 뜻 자체로 이미 단수이어야 하지만, 본문은 ‘대제사장들’이라고 복수로 적고 있습니다. 이는 당시 종교 지도자들의 부패상을 드러내고자 함인데요, 당시 안나스 가문의 안나스와 그의 사위 가야바, 이 둘이 대제사장 권력을 쥐고 흔들었기 때문입니다.

 

말씀에서 제사장은 주님에 대한 사랑에서 비롯한 선을 뜻하고, 서기관은 선에서 비롯한 진리를 뜻하지만, 여기서는 그 반대의 의미입니다. 즉 제사장은 자아 사랑에서 비롯한 악을 뜻하고, 서기관은 악에서 비롯한 거짓을 뜻합니다. 이런 의미를 통해 주님을 죽이려는 자들이 누군지 알 수 있습니다. 그들은 주님을 믿는다고 하면서 사실은 자기만 아는 자들이며, 진실을 거짓이라 하고 거짓을 진실이라 왜곡하는, 악하고 거짓된 자들입니다. 본문에는 그들이 백성을 두려워하였다고 합니다. 백성은 영어로는 people이고, 속뜻으로는 진리를 사랑하는 사람들을 뜻합니다. 그러므로 백성을 두려워한다는 것은 그들이 진리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눈을 두려워하여 주님을 해치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유대교회 안에도 진리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주님의 말씀이 진리라는 사실을 알았고, 그래서 주님을 지지했습니다. 그것을 아는 유대의 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은 어떻게 하든 그들의 눈을 피해 주님을 해칠 방법을 찾고 있었습니다.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주님을 죽일 방도를 찾고 있을 때, 바로 3절과 같은 상황이 전개됩니다.

 

3열둘 중의 하나인 가룟인이라 부르는 유다에게 사탄이 들어가니

 

말씀에서 유다라는 이름은 주님에 대한 사랑과 그것에서 비롯한 선을 뜻하지만, 반대의 의미로는 자아 사랑과 그것에서 비롯한 악을 뜻합니다. 그렇게 볼 때, 주님의 제자 유다는 신앙인들 가운데서도 특히 자아 사랑이 많은 사람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인간이면 누구나 자아를 사랑합니다. 그래서 신앙을 통해 그것을 극복하려고 노력합니다. 유다의 경우는 그런 노력이 부족했던 모양입니다. 그러다 보니 그의 마음속으로 사탄이 들어갔습니다. 사탄은 유다에게 어떤 생각을 불어넣었을까요? 4절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4이에 유다가 대제사장들과 성전 경비대장들에게 가서 예수를 넘겨줄 방도를 의논하매

 

유다가 대제사장들과 성전을 지키는 경비대장들을 찾아갔습니다. 그리고 그들에게 주님을 팔아 버리려 합니다. 진리를 따라 자아 사랑을 버리고, 주님과 이웃을 사랑하려 노력하던 사람이 어느 순간 더 이상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제자리를 맴돌거나 뒷걸음질 칠 때가 있습니다. 그때 지옥의 영들이 소리 없이 그의 마음으로 들어옵니다. 그리고 참된 진리를 버리고, 이전의 잘못된 신앙이나 삶의 습관으로 돌아가라고 유혹합니다. 얼마든지 쉽게 구원받는 길이 있는데, 왜 그렇게 어려운 길을 가려고 하느냐는 겁니다. 유다가 대제사장들과 경비대장들에게 주님을 넘겨주려고 하는 모습이 바로 신앙인들의 그런 모습입니다. 왜냐하면 여기서 대제사장들은 지옥의 영들이 불어넣는 자아 사랑의 악을 뜻하고, 경비대장들은 지옥이 불어넣는 교리의 거짓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경비대장들이 거짓 교리를 뜻하는 이유는, 말씀에서 군인은 거짓과 싸우는 진리를 뜻하거나, 또는 진리와 싸우는 거짓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유다가 팔아넘기려는 주님은 누굴까요? 그동안 그가 믿고 따랐던 참된 진리를 뜻합니다.

 

유다가 자기 스승을 팔아넘기려 하자 그들이 기뻐하면서 유다에게 돈을 주기로 약속했습니다. 유다가 마침내 지옥의 유혹에 넘어간 것입니다. 유다가 원했던 것은 뭘까요? 돈입니다. 돈은 속뜻으로는 진리를 뜻하지만, 여기서는 반대로 거짓 진리로부터 생기는 비뚤어진 지성을 뜻합니다. 유다와 같이 도중에 진리를 포기하는 신앙인들이 있습니다. 지옥은 그들에게 자아가 원하는 삶을 살면서도 얼마든지 하나님의 지혜를 얻을 수 있다고 유혹합니다. 마치 뱀이 하와를 유혹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많은 사람이 그 말을 믿고 참된 진리를 버리기로 작정합니다. 유다가 돈을 받기로 약속한다는 것은 그런 의미입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진리를 따라 사는 건 참으로 어려운 일입니다. 지옥이 수시로 악하고 거짓된 생각을 불어넣어 거짓을 진실처럼 보이게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타인에 대한 증오심과 세상 달콤한 것들로 유혹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더라도 신앙인들은 그런 모든 것을 이기고, 앞으로만 나아가야 합니다. 그러지 않고 엉거주춤한 상태로 있으면 마치 악어가 먹이를 무는 것처럼 지옥이 다가와 그를 덮칩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유다라는 이름은 주님에 대한 사랑에서 비롯한 선을 뜻하지만, 반대의 의미는 자아 사랑의 악을 뜻합니다. 그러니까 주님의 제자 중 유다는 자아 사랑이 특히 강했던 사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 사람이 타락하면 아주 심하게 타락합니다. 그와 관련해 ‘천국의 비밀’ 4750번 글 3항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옵니다.

 

사랑의 선은 천적 사랑의 선, 즉 주님 사랑에서 비롯한 선과 영적 사랑의 선, 즉 이웃 사랑에서 비롯한 선 두 가지로 되어 있다. 천적 사랑의 선의 정반대는 자아 사랑의 악이며, 영적 사랑의 선의 정반대는 세상 사랑의 악이다. 자아 사랑의 악 안에 있는 사람들은 어떤 선이나 다 반대하지만, 세상 사랑의 악 안에 있는 사람들은 그 정도로 반대하지는 않는다.

 

이 서술을 통해 가장 고결한 선은 주님 사랑에 속한 선이며, 가장 나쁜 악은 자아 사랑에 속한 악이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또 유다가 왜 주님을 팔아넘길 정도로 심하게 타락했는지도 이해가 됩니다. 사람의 성향은 자기 마음대로 타고 나는 게 아닙니다. 그러므로 자신에게 자아 사랑이 많다고 지나치게 염려할 필요는 없습니다. 주님께 의지해 자아를 극복하기만 하면 누구보다 주님을 사랑하는 사람으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 유월절이 시작된 것은 하루 중에도 어두운 저녁이었습니다. 신앙인에게 저녁의 상태는 진리도 없고, 사랑도 없다고 스스로 느낄 때입니다. 우리가 그런 것을 심각하게 느낄 때, 내면으로부터 영적인 유월절이 시작됩니다. 다시 말하면 그런 자각이 있을 때, 주님께서 어린 양과 같은 순수한 선을 주신다는 것입니다. 극심한 시험 가운데서도 그런 소망을 잃지 마시고, 주님을 바라고 사모하는 우리가 되어야 하겠습니다. 그때 주님께서 우리를 애굽의 어두운 그늘에서 건져내 홍해 저편의 가나안 땅으로 옮겨주십니다. 주님의 그런 은혜가 이 진리를 사랑하는 모든 성도와 함께하시길 기도합니다.

 

 

2이 달을 너희에게 달의 시작 곧 해의 첫 달이 되게 하고, 15너희는 이레 동안 무교병을 먹을지니 그 첫날에 누룩을 너희 집에서 제하라 무릇 첫날부터 일곱째 날까지 유교병을 먹는 자는 이스라엘에서 끊어지리라 (출12:2. 15)

 

아멘

 

2022-10-09(D1)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

 

2024-09-01(D1)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2024-09-01(D1)-주일예배(2559, 눅22,1-6), '가룟 유다처럼 되지 않으려면'.pdf
0.47MB
성찬.pdf
0.14MB
축도.2024-09-01(D1)-주일예배(2559, 눅22,1-6), '가룟 유다처럼 되지 않으려면'.pdf
0.24MB

 

Posted by bygracetistory
,

 ‘항상 기도하며 깨어 있으라’ 하신 속뜻

 

29이에 비유로 이르시되 무화과나무와 모든 나무를 보라 30싹이 나면 너희가 보고 여름이 가까운 줄을 자연히 아나니 31이와 같이 너희가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을 보거든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온 줄을 알라 32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하노니 이 세대가 지나가기 전에 모든 일이 다 이루어지리라 33천지는 없어지겠으나 내 말은 없어지지 아니하리라 34너희는 스스로 조심하라 그렇지 않으면 방탕함과 술취함과 생활의 염려로 마음이 둔하여지고 뜻밖에 그날이 덫과 같이 너희에게 임하리라 35이날은 온 지구상에 거하는 모든 사람에게 임하리라 36이러므로 너희는 장차 올 이 모든 일을 능히 피하고 인자 앞에 서도록 항상 기도하며 깨어 있으라 하시니라 37예수께서 낮에는 성전에서 가르치시고 밤에는 나가 감람원이라 하는 산에서 쉬시니 38모든 백성이 그 말씀을 들으려고 이른 아침에 성전에 나아가더라 (눅21:29-38)

 

 

마태복음 21장 18, 19절을 보면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18이른 아침에 성으로 들어오실 때에 시장하신지라 19길 가에서 한 무화과나무를 보시고 그리로 가사 잎사귀 밖에 아무 것도 찾지 못하시고 나무에게 이르시되 이제부터 영원토록 네가 열매를 맺지 못하리라 하시니 무화과나무가 곧 마른지라 (마21:18, 19)

 

주님께서는 이 일을 통해 무엇을 말씀하려 하셨을까요? 여기서 무화과나무는 말씀의 문자적인 의미 위에 세워진 자연적인 교회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잎이 무성하다는 것은 말씀의 문자적인 지식이 교회 안에 많다는 것이고요, 열매가 없다는 것은 그럼에도 말씀에 따른 삶이 없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무화과나무가 말라 죽은 것은 말세에 사랑, 즉 삶이 없는 교회는 결국 스스로 파멸하고 말 것이라는 걸 뜻합니다. 말씀에는 주님의 저주로 인해 나무가 말라 죽은 것처럼 말하지만, 사실은 교회가 자신의 악과 거짓으로 인해 스스로 무너지는 것입니다. 주님 당시 유대교회가 그렇게 무너졌고, 그 후에 세워질 교회들도 마지막에는 그렇게 무너질 것이라는 걸 주님께서는 말씀을 통해 예언하고 계십니다. 마지막 때 타락한 교회들이 무너지고, 새 교회가 나타나는 것을 오늘 본문 29절로 32절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29이에 비유로 이르시되 무화과나무와 모든 나무를 보라 30싹이 나면 너희가 보고 여름이 가까운 줄을 자연히 아나니 31이와 같이 너희가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을 보거든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온 줄을 알라 32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하노니 이 세대가 지나가기 전에 모든 일이 다 이루어지리라

 

여기 무화과나무는 낡은 교회를 대신해 주님께서 새로 세우시는 새 교회를 뜻합니다. 새 교회는 말씀의 내적 의미 위에 세워진 내적인 교회, 즉 영적인 교회입니다. 그렇다면 영적 교회인 새 교회를 왜 자연적 교회를 표상하는 무화과나무에 비유했을까요? 새 교회가 처음 세워질 때는 진리만 있고, 사랑이 없기 때문입니다. 영적 교회는 본래 진리를 먼저 배우고, 그다음에 그 진리를 통해 사랑을 실천하는 교회입니다. 그러다 보니 초기의 새 교회 사람들은 진리에 대한 애정은 있지만, 삶에 있어서는 믿지 않는 사람들보다 각박할 때가 많습니다. 따지기를 좋아하고, 옳으니 그르니 하며 자주 다툽니다. 마치 아브라함과 하갈 사이에서 태어난 첫 번째 아들 이스마엘처럼 말입니다. 아시는 것처럼 이스마엘은 거듭나는 사람에게 처음 생기는 합리성(合理性, rationality)을 표상합니다. 그런데 그것은 주님에게서 오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지식에서 비롯한 합리성입니다. 그래서 사랑이 없는 합리성이며, 들나귀처럼 다투기를 좋아하는 합리성입니다. 그것이 새 교회의 처음 상태입니다.

 

※ 실제로 한국 새 교회의 경우(대략 한 8, 90년?)도 그렇고, 미국 새 교회의 경우(대략 한 200년?)도 그렇고, 정확히는 모르지만 이런 내부 다툼과 그로 인한 혼란의 시간들이 있었다 들었습니다. 그러나 따로 무슨 여러 분파를 만들어 갈라져 나가지는 않은 걸 보면 개신교와는 좀 다르구나 싶습니다. 새 교회 신앙은, 구원론 하나만 가지고 비교해 볼 때, 신앙과 체어리티(charity, 이웃 사랑)는 같이 간다는 것, 즉 신앙 고백이 그럴듯해도 삶이 안 받쳐주면 구원받지 못한다는 신앙인 반면, 개신교 신앙은, 물론 신앙 고백과 삶이 같이 가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그러나 ‘오직 믿음’이라는 신앙 고백만 분명하면 일단 구원은 받는다는, 사람이 무엇이며, 영이라고도 하는 속 사람에 관한 바른 지식이 있다면 절대로 할 수 없는, 이상한 신앙을 가르치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그러므로 본문에 무화과나무에 싹이 난다는 것은 처음 새 교회에 주어지는 내적 진리와, 그것을 바탕으로 한 인애(charity), 곧 체어리티의 신앙을 뜻합니다. 이전 교회의 신앙이 믿음만의 신앙이었다면, 새 교회의 신앙은 체어리티의 신앙입니다. 체어리티의 신앙을 통해 새 교회인들은 이기심에서 벗어나 이타적으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 체어리티의 신앙은 그 자체로 능력이 있기 때문이지요. 체어리티라는 선 안에 주님이 계시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말씀에는 무화과나무에 싹이 나면 여름이 가깝다고 했습니다. 여름은 선한 삶이라는 신앙의 열매를 맺는 때이기 때문입니다.

 

주님께서 다시 ‘이 세대가 지나가기 전에 모든 일이 다 이루어지리라’ 하십니다.

 

이 말씀이 무슨 뜻일까요? 말세에 낡은 교회의 심판과 새 교회의 출현은 동시에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만일 교회에 대한 심판이 먼저 이루어진다면, 새 교회가 나타나기도 전에 인류는 멸망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주님께서는 한편으로는 타락한 교회를 심판하시고, 또 한편으로는 새로운 교회를 세우십니다. 그것이 이 세대가 지나가기 전에 모든 일이 다 이루어지리라 하신 말씀의 의미입니다. 주님은 왜 그렇게 하실까요? 심장이 병들었다고 아무 대책도 없이 바로 심장부터 떼어내 버리면, 그 사람은 수습할 겨를도 없이 사망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주님은 한편으로 새 교회라는 새로운 심장을 준비하시고, 한편으로는 병든 심장에 손을 대십니다. 그렇게 해서 새 교회의 진리를 받아들이는 사람은 영원한 생명으로, 그렇지 않고 낡은 교회에 남아서 새 교회를 배척하는 사람은 영원한 죽음의 길을 가게 됩니다.

 

※ 이와 관련, 제가 고민한 아래 제 블로그 글을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오직 믿음’(Sola Fide), ‘이신칭의’(以信稱義)를 가르치는 교회에 다니시는, 체어리티(Charity, 仁愛, 이웃 사랑)의 사람들에 관한 네 가지 경우 (2024/8/22)

 

제가 위와 같은 글을 준비한 이유는 제 오랜 개신교 경험에 의하면, 여러 가지 이유로 개신교 교회를 다니시고는 있지만, 그 안에서 분명 체어리티의 삶을 사시는 분들도 다수 계시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방금 하신 위 말씀 중, ‘그렇게 해서 새 교회의 진리를 받아들이는 사람은 영원한 생명으로, 그렇지 않고 낡은 교회에 남아서 새 교회를 배척하는 사람은 영원한 죽음의 길을 가게 됩니다.’라는 위 말씀은 개신교회를 다니신다고 무조건 저렇게 된다는 말씀이 아니라 그 가운데 아주 악한 사람들, 즉 삶은 나 몰라라 하시면서 ‘오직 믿음’만 주장, 그걸로 다른 사람들을 정죄하시는 분들과, 교리도 대충, 체어리티도 대충, 그저 교회를 다니며 신앙생활이라는 걸 하는 이유가 그래도 복은 받고 싶고, 어두운 기운들은 또 피하고 싶은, 거의 기복 신앙과 다름없는, 이렇게 두 경우 다 자기 사랑, 세상 사랑의 분들한테만 해당되는 말씀이지 싶습니다.

 

주님은 죄인들을 무자비하게 지옥으로 던지시는 분이 아닙니다. 참된 진리를 밝히 열어 보여 주시고, 그 진리를 선택하도록 기회를 주십니다. 그런데 주님 당시 유대교회는 어떻게 했습니까? 진리 자체이신 주님을 모욕하고, 십자가에 매달았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주님도 어쩌실 수가 없습니다. 그것은 지금 이 시대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주님의 임재와 심판에 대해 ‘계시록 해설’ 414번 글은 이렇게 말합니다.

 

하나님이 임재하실 때 악한 사람에게는 사망이 있고, 선한 사람에게는 생명이 있다. (AE.414)

 

그러니까 참된 진리이신 주님을 받아들이는 사람은 생명의 길로, 진리를 거부하는 사람은 스스로 죽음의 길로 들어선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말세에 이루어지는 심판입니다. 주님은 그런 방법으로 인류를 영원한 죽음에서 구원하십니다. 그러면 심판의 날에 대비해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하겠습니까? 34절, 35절입니다.

 

34너희는 스스로 조심하라 그렇지 않으면 방탕함과 술취함과 생활의 염려로 마음이 둔하여지고 뜻밖에 그날이 덫과 같이 너희에게 임하리라 35이날은 온 지구상에 거하는 모든 사람에게 임하리라

 

심판의 날은 지구상에 거하는 모든 사람에게 임하며, 그날에는 방탕함과 술취함과 생활의 염려가 덫이 될 수 있다고 하십니다. 마지막 때 심판을 피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기존 교회에 속한 사람이든 새 교회에 속한 사람이든 모두가 각자의 신앙에 따라 심판을 받습니다. 말씀에서 방탕하고 술에 취하는 것은 자아와 세상에 속한 욕망을 좇는 사람의 모습을 나타내며, 그리하여 주님이 주시는 선과 진리보다는 세상의 악과 거짓을 생명처럼 사랑하는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본래 말씀에서 마시거나 먹는 것은 주님이 주시는 선과 진리를 자신의 생명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선으로는 의지라는 생명을 만들고, 진리를 가지고는 이성이라는 생명을 만듭니다. 말세에는 주님이 주신 것이 아닌, 세상 것에 취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거짓을 마치 진실인 것처럼 말하고, 진실을 거짓으로 몰아 공격합니다. 그 이유는 그들의 내면에 있는 악으로부터 오로지 거짓만 나오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방탕하고 술취한 것이며, 지옥이 놓은 덫에 걸려든 모습입니다. 그래서 주님께서는 그런 상태가 되지 않도록 다음과 같이 말씀하십니다.

 

36이러므로 너희는 장차 올 이 모든 일을 능히 피하고 인자 앞에 서도록 항상 기도하며 깨어 있으라 하시니라

 

자아의 욕망과 세상 욕망이라는 덫에 걸리면 악의 유혹을 거절할 힘을 잃게 되고, 나중에는 악과 거짓을 즐기게 됩니다. 계시록 6장 16절에서는 그런 사람들의 심판 때의 모습을 이렇게 표현합니다.

 

산들과 바위에게 말하되 우리 위에 떨어져 보좌에 앉으신 이의 얼굴에서와 그 어린 양의 진노에서 우리를 가리라 (계6:16)

 

여기서 산은 자아 사랑과 세상 사랑에 속한 악을 뜻하고, 바위는 그런 악에서 비롯한 거짓을 뜻합니다. 그러니까 악한 사람은 주님의 선과 진리를 두려워하고, 오히려 자아의 악과 거짓에 편안함을 느낀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참으로 슬픈 일입니다. 그래서 주님은 인자 앞에 서도록 항상 기도하며 깨어 있으라 하십니다. 말씀에서는 주님을 인자라고 부르기도 하고, 하나님의 아들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인자라고 할 때는 거룩한 인간이신 주님 안에 있는 진리의 속성을 나타내고,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할 때는 주님 안에 있는 선의 속성을 나타냅니다. 그래서 주님은 당신의 시험에 대해 말씀하실 때는 언제나 자신을 인자라고 부르셨습니다. 왜냐하면 지옥은 선으로서의 주님은 대적할 수 없지만, 진리로서의 주님은 대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인자는 진리이신 주님을 뜻합니다. 그러므로 심판을 능히 피하고 인자 앞에 서는 것은, 심판 때에 진리와 함께 있음에 기뻐하고 평안을 느끼는 것입니다. 그것은 평소에 늘 기도하고 깨어 있었던 사람들만이 느끼는 기쁨이요 평화입니다. 그렇다면 영적으로 기도하는 것과 깨어 있는 것은 어떻게 다를까요? 기도하는 것은 외적으로 경건한 삶을 뜻합니다. 이를테면 경건한 말과 행동, 기도와 예배들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그에 비해 깨어 있는 것은 내적으로 경건한 삶을 뜻합니다. 그러니까 항상 주님과 연결된 상태에서 주님으로부터 선과 진리를 받는 상태를 뜻합니다. 그러므로 깨어 있는 것이 신앙인의 정신적 활동이라면 기도는 육신의 활동이며 둘은 언제나 하나가 되어야 합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세상이 혼탁하고 유혹이 많은 시대입니다. 세상에 사는 동안 세상에 관한 염려가 없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세상만 바라보다 보면 금방 주님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느낍니다. 그렇기 때문에 세상의 일을 할 때도 언제나 주님을 먼저 생각하는 그런 마음가짐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주님에게서 멀어지지 않습니다. 그렇게 볼 때 세상에 계실 때 주님의 삶은 신앙인들에게 어떤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복음서의 여러 곳에서 주님은 낮에는 성전에서 가르치시고, 밤에는 감람산에서 쉬셨다고 합니다. 낮은 진리의 지각이 밝은 상태를 말합니다. 그때는 어떻게 말하고 행동해야 하는지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신앙인들의 외적인 삶은 그때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면에 밤은 진리의 지각이 흐릿할 때입니다. 그때는 말씀을 읽더라도 깨달음이 별로 없습니다. 그럴 때 말을 많이 하거나 왕성한 활동을 하면 실수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그때는 조용히 주님께 마음을 모으고 주님의 사랑으로 내면을 채우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그래야 다시 낮이 되었을 때 더욱 밝은 진리의 상태에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주님은 낮에는 성전에서 가르치시고, 밤에는 감람산에서 쉬셨습니다. 성전에서 가르치시는 것이 외적인 경건의 상태이며 기도하시는 상태라면, 감람산에서 쉬시는 것은 내적인 경건의 상태요 깨어 있음의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님은 우리도 당신의 그런 삶을 따르기를 원하시고, 친히 모범을 보여 주셨다고 생각합니다. 어려운 일이 많고 때로는 혼란스럽기도 하지만, 주님이 가르쳐주시고 삶으로 보여 주신 길을 따라가다 보면 어둠이 걷히고 혼란한 일들도 정리가 될 것입니다. 주님의 그런 은혜가 이 진리를 사랑하는 모든 성도와 함께하시길 기도합니다.

 

 

그가 임하시는 날을 누가 능히 당하며 그가 나타나는 때에 누가 능히 서리요 그는 금을 연단하는 자의 불과 표백하는 자의 잿물과 같을 것이라 (말3:2)

 

아멘

2022-10-02(D1)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

 

2024-08-25(D1)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2024-08-25(D1)-주일예배(2558, 눅21,29-38), ‘항상 기도하며 깨어 있으라’ 하신 속뜻.pdf
0.39MB
축도.2024-08-25(D1)-주일예배(2558, 눅21,29-38), ‘항상 기도하며 깨어 있으라’ 하신 속뜻.pdf
0.22MB

 

Posted by bygracetistory
,

말세의 증거

2024-08-18(D1)-주일예배(2557, 눅21,20-28), '말세의 증거'.pdf
0.38MB
축도.2024-08-18(D1)-주일예배(2557, 눅21,20-28), '말세의 증거'.pdf
0.22MB

 

20너희가 예루살렘이 군대들에게 에워싸이는 것을 보거든 그 멸망이 가까운 줄을 알라 21그때에 유대에 있는 자들은 산으로 도망갈 것이며 성내에 있는 자들은 나갈 것이며 촌에 있는 자들은 그리로 들어가지 말지어다 22이날들은 기록된 모든 것을 이루는 징벌의 날이니라 23그날에는 아이 밴 자들과 젖먹이는 자들에게 화가 있으리니 이는 땅에 큰 환난과 이 백성에게 진노가 있겠음이로다 24그들이 칼날에 죽임을 당하며 모든 이방에 사로잡혀 가겠고 예루살렘은 이방인의 때가 차기까지 이방인들에게 밟히리라 25일월성신에는 징조가 있겠고 땅에서는 민족들이 바다와 파도의 성난 소리로 인하여 혼란한 중에 곤고하리라 26사람들이 세상에 임할 일을 생각하고 무서워하므로 기절하리니 이는 하늘의 권능들이 흔들리겠음이라 27그때에 사람들이 인자가 구름을 타고 능력과 큰 영광으로 오는 것을 보리라 28이런 일이 되기를 시작하거든 일어나 머리를 들라 너희 속량이 가까웠느니라 하시더라 (눅21:20-28)

 

 

사람이 가장 신앙하는 진리는 (내면의) 중심에 위치하고, 그보다 덜 신앙하는 진리는 그 다음에, 그리고 가장자리에는 거짓이 위치한다. 거짓은 진리들과 열을 지어 서 있지 않고, 선에서 비롯한 진리처럼 천국을 향해 바로 서 있지도 않으며, 아래를 향하거나 악에서 비롯한 만큼 지옥 쪽을 바라보고 있다. (천국의 비밀 9164, 이순철 역) ...When a man is in truth from good, then that truth in which he has the greatest faith is in the middle; next follow the truths in which he has less faith; and finally those which are of doubtful faith. In the borders round about are falsities, which, however, are not in a series with the truths, and do not stand upright toward heaven as do the truths of good; but are bent downward, and look toward hell insofar as they come forth from evil... (AC.9164)

 

 

지난 2주 동안 계속해서 말세의 징조에 대해 전해 드렸습니다. 첫 주에는 마지막 때 교회들은 주님 당시 유대교회가 그런 것처럼 외적으로만 경건하고 내적으로는 불경하다는 것과, 그래서 말세에 새 교회가 나타난다는 것, 그리고 새 교회가 세워지는 것을 계시록에서는 여자가 힘들게 아이를 낳는 모습으로 그리고 있다 말씀드렸습니다. 또 둘째 주에는 말세에는 기존 교회들에 의해 새 교회가 박해를 받을 것이라는 것과, 그때 새 교회 사람들은 인내함으로 오히려 영적 생명인 인애, 곧 체어리티(charity)를 얻는다는 걸 말씀드렸습니다.

 

오늘 전해드릴 말씀은 말세의 징조에 대한 세 번째 이야기입니다. 오늘 본문에는 말세에는 타락한 교회들에 대한 심판이 있을 것이며, 그러므로 그때가 바로 징벌의 날이라고 합니다. 주님은 사람이 아무리 잘못해도 결코 성내거나 벌을 주시는 분이 아닙니다. 그런데 왜 말씀에서는 징벌의 날이라고 할까요? 교회가 그릇된 신앙으로 인해 영적으로 피폐해질 때, 지옥으로부터 공포와 불안감이 몰려오고, 더구나 자연적으로도 좋지 않은 일들이 생기는데, 그때 벌을 받는 것 같은 느낌이 들기 때문입니다.

 

※ ‘그릇된 신앙’이란, 주님의 속성, 성품, 실제 모습에 위배 되는, 안 어울리는 신앙을 말합니다. 즉 주님은 실제로는 이런 분인데, 사람들은 저런 분, 곧 무엇을 더하거나 빼서 살짝(?) 위, 변조, 결국 자기들을 닮은 그런 이상한 신을 만들어 내고는 그 신이 곧 주님이시라고 믿는 신앙을 말합니다. 오늘날 대표적인 게 바로 ‘오직 믿음’의 신앙입니다. 사랑과 신앙은 같이 가는데, 역사적으로 인류는 여기서 사랑 따로, 신앙 따로, 즉 사랑에서 신앙을 분리, 굳이 삶이 안 받쳐줘도 굳센 신앙만 있으면, 구원받는다, 천국에 들어갈 수 있다 배우고 믿어왔는데, 각 교회 시대마다 그 시대 종말에 이르면 이런 신앙이 아주 극에 달하곤 했습니다. 위에서 ‘역사적’이라 한 것은, 이런 비극이 창세기 가인이라는 신앙과 아벨이라는 신앙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교회들의 그런 상태를 본문 20절과 24절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십니다.

 

20너희가 예루살렘이 군대들에게 에워싸이는 것을 보거든 그 멸망이 가까운 줄을 알라, 24그들이 칼날에 죽임을 당하며 모든 이방에 사로잡혀 가겠고 예루살렘은 이방인의 때가 차기까지 이방인들에게 밟히리라

 

이 말씀에서 예루살렘은 교회를, 군대는 진리를 공격하는 거짓을 뜻합니다. 그러므로 예루살렘이 군대들에게 에워싸였다는 것은 진리를 가르쳐야 할 교회 안에 거짓 진리가 가득한 것을 뜻합니다. 그들이 칼날에 죽임을 당하는 것도 비슷한 의미입니다. 즉 거짓 진리 때문에 교회 안에 진리가 없어지는 것을 뜻합니다. 여기서 칼은 거짓 진리를, 칼날에 죽임을 당하는 것은 거짓 진리에 의해 참된 진리가 파괴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예루살렘이 이방인들에게 밟힌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요? 교회 안에 악이 가득한 것, 즉 자아의 악이 교회를 지배하는 것을 뜻합니다. 말씀에서 나라는 보통 선을 뜻하지만, 이방 나라, 또는 이방인이라 할 때는 반대로 자아의 악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 ‘자아의 악’이란 자기를 사랑하는 악을 말합니다. ‘’이란 자기를 사랑하는 것이며, 사람이 자기를 사랑하면 그가 의도하고 생각하며, 말하고 행동하는 모든 것이 겉보기와는 달리 실제로는 악합니다.

 

교회 안에서 선과 진리, 또는 하나님에 대한 사랑과 신앙이 사라지는 것을 본문 25절과 26절에서는 또 이렇게 말합니다.

 

25일월성신에는 징조가 있겠고 땅에서는 민족들이 바다와 파도의 성난 소리로 인하여 혼란한 중에 곤고하리라 26사람들이 세상에 임할 일을 생각하고 무서워하므로 기절하리니 이는 하늘의 권능들이 흔들리겠음이라

 

하늘의 징조와 땅의 징조에 대해 말씀하시는 것은 마지막 때 교회의 심판은 영계에서 먼저 이루어지고, 그다음에 지상의 교회에서 차례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하늘의 일월성신의 징조는 영계에서 심판이 있을 때, 그곳 하늘에서 해와 달이 빛을 잃고, 별이 떨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영계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은 교회의 영적인 상태를 상응(相應)으로 나타냅니다. 그러니까 영계의 하늘에서 해와 달이 빛을 잃는 것은 지상 교회 안에서는 주님에 대한 사랑과 신앙이 사라지는 것을 의미하고, 별이 떨어지는 것은 선과 진리에 대한 올바른 지식이 사라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해는 주님에 대한 사랑을, 달은 주님에 대한 신앙을, 별은 선과 진리에 관한 지식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땅에서 바다와 파도가 으르렁대는 것은 무슨 뜻일까요? 그것은 지상에서 이루어지는 교회의 심판을, 구체적으로는 교회 간 교리의 다툼을 뜻합니다. 왜냐하면 바다와 파도가 으르렁대는 것은 말씀의 문자적 의미를 바탕으로 추론, 이것이 진리다, 이것이 맞다 하면서 서로 다투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교회 간 교리 다툼이 교회의 심판을 의미하는 이유는, 그 다툼을 통해 교회의 잘못된 신앙과 타락상이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교회의 심판은 이렇게 영계와 자연계에서 차례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그때 새 교회가 나타납니다.

 

교회의 마지막 때, 새 교회는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까요? 그것에 대해 본문 27절은 이렇게 말합니다.

 

27그때에 사람들이 인자가 구름을 타고 능력과 큰 영광으로 오는 것을 보리라

 

말씀에서 인자는 진리이신 주님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구름은 말씀의 문자적인 의미를, 능력과 영광은 말씀의 내적 의미를 뜻합니다. 그러므로 인자가 구름을 타고 능력과 큰 영광으로 오는 것은 주님이 다시 오실 때는 말씀의 문자적 의미 안에 있는 내적 의미로 오시는 것을 뜻합니다. 능력과 영광이 말씀의 내적 의미를 뜻하는 까닭은, 말씀의 내적 의미는 문자적 의미 안에서 빛나는 영광이며, 능력이기 때문입니다. 말씀을 내적으로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주님이 처음 오실 때처럼 그렇게 다시 오시는 줄 압니다. 그러나 주님은 그렇게 오시지 않고, 말씀의 내적 의미로 오십니다. 말씀은 곧 주님이시기 때문입니다.

 

말세에 교회들이 믿음만으로의 구원을 가르칠 때도 교인들 가운데는 신앙에 따라 인애, 곧 체어리티, 이웃 사랑의 삶을 사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에게 주님은 21절 이하에서 다음과 같이 당부하십니다.

 

21그때에 유대에 있는 자들은 산으로 도망갈 것이며 성내에 있는 자들은 나갈 것이며 촌에 있는 자들은 그리로 들어가지 말지어다 22이날들은 기록된 모든 것을 이루는 징벌의 날이니라 23그날에는 아이 밴 자들과 젖먹이는 자들에게 화가 있으리니 이는 땅에 큰 환난과 이 백성에게 진노가 있겠음이로다

 

본문에서 유대 및 성과 촌에 있는 자들, 그리고 아이 밴 자들, 젖을 먹이는 자들은 타락한 교회 안에서도 참된 신앙에 따라 체어리티의 삶을 살려는 사람들을 뜻합니다. 그래서 그들을 아이 밴 자, 또는 젖 먹이는 자라고 했습니다. 아이는 삶의 선을 뜻하고, 젖을 먹인다 할 때 이 젖은 삶의 선과 함께 있어야 할 진리를 뜻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이들은 누구보다 선량한 참된 신앙인들입니다. 그런데 왜 이들에게 화가 있다고 할까요? 그 이유는 타락한 교회 안에서는 체어리티의 신앙, 또는 선이 있는 진리를 지키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그들의 그릇된 교리가 주님으로부터 교회로 유입되는 참된 선과 진리를 가로막기 때문입니다.

 

※ ‘선이 있는 진리’란 그 진리 안에 주님이 계시는 진리를 말합니다. 얼핏, 혹은 누가 보아도 진리 같아도 실제로는 그 안에 주님이 계시지 않는, 그런 진리가 있으며, 그런 진리로는 능력이 비롯되지 않습니다. 선은 오직 주님으로부터만 말미암으며, 능력은 오직 이런 선으로만 말미암기 때문입니다. 조용기 목사 저, ‘4차원 영성’에 나오는 수많은 기적은 이런 관점에서 이해해야 합니다. 즉 그 사람, 혹은 그 장소에 주님이 임하실 수 있었던 그런 상태였음을, 천국의 능력, 입류가 흘러 들어갈 수 있었던 상태였음을 우리는 알아야 합니다.

 

주님으로부터 선과 진리를 받지 못하면, 기왕에 가지고 있던 체어리티의 선과 진리가 점점 메말라 버립니다. 그래서 주님은 유대 및 성과 촌을 떠나 산으로 도망하라 하셨습니다. 왜냐하면 유대와 성과 촌은 교회들을, 산은 주님에 대한 사랑을 바탕으로 하는 선한 삶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28절에서 주님께서 다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28이런 일이 되기를 시작하거든 일어나 머리를 들라 너희 속량이 가까웠느니라 하시더라

 

말세의 징조가 보일 때, 주님은 일어나 머리를 들라 하십니다. 머리는 영적으로 가장 높은 것인 사랑과 체어리티의 선을 뜻하고, 또한 하나님의 지혜를 뜻하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머리를 들라는 것은 말세에는 무엇보다 사랑과 체어리티의 삶을 살라는 것이고, 인간의 지혜, 세상 지혜가 아닌, 하나님의 지혜를 구하라는 말씀입니다. 이와 관련해 ‘천국의 비밀’ 9164번 글에는 이런 가르침이 있습니다.

 

사람이 선에서 비롯한 진리 안에 있을 때, 그가 가장 신앙하는 그 진리가 (내면의) 한복판에 위치하고, 그것보다 덜 신앙하는 진리는 그다음에, 그리고 끝에는 확신하지 않는 진리가 있으며,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거짓이 위치한다. 거짓은 진리들과 함께 열을 지어 서 있지 않고, 선에서 비롯한 진리처럼 천국을 향해 바로 서 있지도 않으며, 아래를 향하거나 악에서 비롯한 만큼 지옥 쪽을 바라보고 있다.

 

한마디로 말하면, 사람이 가장 사랑하고 믿는 진리가 참된 진리, 즉 선이 있는 진리라면, 그것이 마음의 중심에 있다는 뜻입니다. 만약 우리가 굳게 믿는 것처럼 보이는 진리가 선이 없는 진리, 즉 그냥 지식에 불과하다면 그것은 마음 한복판에 자리 잡지를 못합니다. 그렇게 되면 진리를 이해하기만 할 뿐 그대로 살지는 않습니다. 진리 안에 선이라고 하는 애정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세상의 욕망이나 자아에 속한 것들이 마음 한복판에 있다면, 그것을 밀어내고 선이 있는 진리, 또는 체어리티가 있는 신앙을 그 자리에 두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주님을 의지, 아주 사소한 습관부터 고쳐나가야 합니다. 사소한 습관들이 주님에 의해 높이 들어 올려질 때, 그것과 연결된 많은 것들이 거룩하게 변하며, 그렇게 해서 거듭남의 변화들이 나타납니다. 그것을 우리는 믿어야 합니다.

 

주님은 상응을 통해 말세에 일어날 일들을 말씀해 주셨습니다. 그러므로 구름을 타고 영광과 능력으로 오신 주님이 밝혀 주시지 않으면 이 말씀을 이해할 사람이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혹자는 말합니다. 교회는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는 곳인데, 어떻게 그렇게 타락할 수 있는가? 라고요. 그냥 말씀에 대한 해석의 차이가 좀 있을 뿐이라는 것이지요. 그러나 주님은 성경의 모든 말씀을 통해 구원을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밝혀 주셨습니다. 그것이 뭘까요? 하나님에 대한 신앙과 사랑입니다. 하나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이 없는 신앙으로는 구원받지 못합니다. 그런데도 교회들은 말씀을 임의로 왜곡, 믿음만의 교리를 만들어 내고, 그것을 교인들에게 강요했습니다. 마치 유대의 제사장과 바리새인들이 정결 의식의 의미가 내적인 데 있다는 걸 알면서도 외적인 것으로 바꿔 그것으로 교인들을 지배했던 것처럼 말입니다. 교회의 타락은 그렇게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므로 말세에 그들에게 내려질 심판이 참으로 크다고 하겠습니다.

 

새 교회는 말씀의 속뜻으로 오신 주님의 영광과 능력이 함께하는 교회입니다. 잘못을 하더라도 진심으로 회개하면 말씀의 능력으로 능히 거듭남의 삶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 아주 작은 악부터 끊어야 합니다. 그때 주님께서 도저히 끊을 수 없을 것 같던 큰 악도 끊게 하십니다. 아주 작은 선부터 행합시다. 그러면 주님께서 우리들의 삶을 크게 변화시켜 주실 것입니다. 주님께서 말씀하십니다. ‘이런 일이 되기를 시작하거든 일어나 머리를 들라 너희 속량이 가까웠느니라’ (눅21:28)

 

아멘

 

 

 

2022-09-18(D1)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

 

2024-08-18(D1)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Posted by bygracetistory
,

내 이름으로 말미암아 모든 사람에게 미움을 받을 것이나’의 속뜻

2024-08-11(D1)-주일예배(2556, 눅21,10-19), '내 이름으로 말미암아 모든 사람에게 미움을 받을 것이나’의 속뜻.pdf
0.41MB
축도.2024-08-11(D1)-주일예배(2556, 눅21,10-19), '내 이름으로 말미암아 모든 사람에게 미움을 받을 것이나’의 속뜻.pdf
0.23MB

 

 

 

10또 이르시되 민족이 민족을, 나라가 나라를 대적하여 일어나겠고 11곳곳에 큰 지진과 기근과 전염병이 있겠고 또 무서운 일과 하늘로부터 큰 징조들이 있으리라 12이 모든 일 전에 내 이름으로 말미암아 너희에게 손을 대어 박해하며 회당과 옥에 넘겨주며 임금들과 집권자들 앞에 끌어가려니와 13이 일이 도리어 너희에게 증거가 되리라 14그러므로 너희는 변명할 것을 미리 궁리하지 않도록 명심하라 15내가 너희의 모든 대적이 능히 대항하거나 변박할 수 없는 구변과 지혜를 너희에게 주리라 16심지어 부모와 형제와 친척과 벗이 너희를 넘겨주어 너희 중의 몇을 죽이게 하겠고 17또 너희가 내 이름으로 말미암아 모든 사람에게 미움을 받을 것이나 18너희 머리털 하나도 상하지 아니하리라 19너희의 인내로 너희 영혼을 얻으리라 (눅21:10-19)

 

 

(運, fortune)이라는 것은 하나님의 섭리가 질서의 가장 마지막 부분으로 흘러들어와 그곳에서 일으키는 현상이다. 그러므로 그 섭리는 모든 개별적인 일 속에 존재한다. 그것에 대해 주님은 하나님의 뜻이 아니면 머리털 하나도 떨어지지 않으리라고 말씀하셨다. (천국의 비밀 6494, 이순철 역) and that what is called fortune is from the influx of providence in the ultimates of order, where it so comes forth; thus that providence is in the veriest singulars of all things, according to the Lord’s words, that not even a hair falls from the head without the will of God. (AC.6494)

 

 

※ 다음은 지난주 설교 부분 인용입니다. 오늘 본문은 그 연장 본문이기 때문입니다.

 

어떤 사람들이 말세에 일어날 징조에 대해 주님께 물었습니다. 주님은 그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다음과 같은 말씀을 주셨는데요, 우리는 그 대답을 계시록 12장 1절로 6절 말씀에서 찾아보겠습니다.

 

1하늘에 큰 이적이 보이니 해를 옷 입은 한 여자가 있는데 그 발아래에는 달이 있고 그 머리에는 열두 별의 관을 썼더라 2이 여자가 아이를 배어 해산하게 되매 아파서 애를 쓰며 부르짖더라 3하늘에 또 다른 이적이 보이니 보라 한 큰 붉은 용이 있어 머리가 일곱이요 뿔이 열이라 그 여러 머리에 일곱 왕관이 있는데 4그 꼬리가 하늘의 별 삼분의 일을 끌어다가 땅에 던지더라 용이 해산하려는 여자 앞에서 그가 해산하면 그 아이를 삼키고자 하더니 5여자가 아들을 낳으니 이는 장차 철장으로 만국을 다스릴 남자라 그 아이를 하나님 앞과 그 보좌 앞으로 올려가더라 6그 여자가 광야로 도망하매 거기서 천이백육십 일 동안 그를 양육하기 위하여 하나님께서 예비하신 곳이 있더라 (계12:1-6)

 

이 말씀에서 아이를 낳는 여인은 교회의 마지막 때 주님이 세우시는 새 교회를 뜻합니다. 그리고 여자가 낳는 아이는 새 교회의 교리를 나타냅니다. 그러면 용은 뭘까요? 새 교회의 진리를 말살하려 하는 기존 교회들을 뜻합니다. 새 교회가 처음 나타날 때는 이처럼 기존 교회들의 저항이 아주 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 교회는 주님의 보호 아래 천천히, 그러나 견실하게 성장합니다.

 

※ 다음은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님의 말씀입니다.

 

마치 우리 한국 새 교회가 지난 60년 동안 더러는 시험도 있었지만, 아주 조금씩, 그러나 견실하게 성장해 온 것처럼 말입니다. 미국 새 교회의 경우는, 제가 알기로 1800년대 초인 1817년에 세워졌고, 그 후 70년쯤 지난 후인 1890년에 컨벤션 처치와 교리적인 견해 차이로 갈라졌으니까, 그렇게 보면 대략 130년 정도 되었습니다. 제가 일이 있어서 갈 때마다 느끼는 건, 그래서인지 미국 새 교회는 교리적으로 아주 안정되어 있고, 교리에 대한 이해가 바르고 깊다는 것입니다.

 

그런 식으로 새 교회는 천천히 그러나 견실하게 발전합니다. 말씀에서 천이백육십일 동안 여자가 주님에 의해 양육된다는 것은 그런 뜻입니다.

 

말세라고 하면, 보통 전쟁이나 자연재해로 인해 세상의 종말이 오는 걸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말세는 성경에서 비롯한 개념으로 교회의 마지막 때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예를 들면, 홍수로 인해 땅이 모두 물에 잠겼던 노아 홍수 시대나, 지금부터 2000년 전에 유대인들이 주님을 십자가에 매단 후에 예루살렘 성전이 이교도들에 의해 철저히 파괴되었던 때가 모두 영적으로는 말세입니다. 오늘 말씀에서 주님은 말세의 징조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말씀하십니다. 오늘 본문 10절, 11절입니다.

 

10또 이르시되 민족이 민족을, 나라가 나라를 대적하여 일어나겠고 11곳곳에 큰 지진과 기근과 전염병이 있겠고 또 무서운 일과 하늘로부터 큰 징조들이 있으리라

 

말세에는 나라가 나라를 대적하고 민족이 민족을 대적한다고 합니다. 여기서 나라는 영어로 nation을 번역한 것으로, 속뜻으로는 악을 뜻합니다. 그리고 민족은 people을 번역한 것이고, 진리를 뜻하며, 반대로는 거짓을 말합니다. 따라서 나라가 나라를, 민족이 민족을 대적한다는 것은, 교회의 마지막 때는 선한 사람들과 악한 사람들이 싸우는 것이 아니라 악한 사람들끼리, 또는 거짓된 사람들끼리 서로 싸운다는 뜻입니다. 그 이유는 말세에는 교회가 타락해 세상에 선과 진리를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기 때문인데요, 그것은 몸의 심장과 폐가 장기와 손발에 깨끗한 혈액을 공급하지 못하는 것과 같습니다. 말세에 교회가 타락하는 것을 말씀에서는 기근과 전염병이 창궐하는 것으로 그리고 있습니다. 기근은 교회 안에서 사랑이나 선이 사라지는 것을 나타내고, 전염병이 발발하는 것은 교회 안에 거짓 진리가 만연하여 교회가 병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교회들이 그렇게 영적으로 무너질 때, 주님께서는 기존 교회를 대신할 새로운 교회를 세우시는데, 그 교회가 계시록 12장에서 아이를 낳는 여자로 표현된 새 교회입니다.

 

새 교회가 나타날 때, 기존의 교회들은 어떻게 할까요? 교리가 이단적이라거나 하면서 자기들의 잣대로 새 교회를 비난하고 공격합니다. 그것에 대해 본문 12절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12이 모든 일 전에 내 이름으로 말미암아 너희에게 손을 대어 박해하며 회당과 옥에 넘겨주며 임금들과 집권자들 앞에 끌어 가려니와

 

여기서 내 이름은 주님의 이름을 말하는 것으로, 속뜻으로는 새 교회에서 가르치는 신앙의 진리와 체어리티(charity)를 뜻합니다. 말세에 교회들은 오직 믿음만으로 구원을 받는다고 가르칩니다. 그런데 새 교회에서는 체어리티가 없는 믿음, 신앙은 죽은 신앙이며, 그러므로 신앙이 아니라고 가르칩니다. 교회들이 새 교회를 박해하는 것은 그런 이유 때문입니다. 성경 전체를 놓고 볼 때, 주님은 한 번도 믿음만으로 구원받는다 가르치신 적이 없습니다. 열매 맺지 못하는 무화과나무의 비유나, 등불의 기름을 준비하지 못한 처녀들의 이야기는 모두 체어리티가 없는 믿음, 신앙은 구원의 신앙이 될 수 없음을 가르칩니다. 그러므로 본문에서 주님의 이름으로 말미암아 박해를 받고 회당과 옥에 갇히는 것은 체어리티의 신앙을 가졌다는 이유로 새 교회인들이 핍박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교회들이 새 교회를 박해할 때 새 교회 교인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냥 가만히 있어야 할까요? 그와 관련해 14절과 15절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14그러므로 너희는 변명할 것을 미리 궁리하지 않도록 명심하라 15내가 너희의 모든 대적이 능히 대항하거나 변박할 수 없는 구변과 지혜를 너희에게 주리라

 

의도가 순수하지 않은 사람들과 대화할 때는 사전에 이런저런 궁리를 합니다. 자칫 상대가 놓은 덫에 걸려 넘어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주님께서는 미리 궁리하지 말라고 하십니다. 미리 궁리하는 것은 주님의 지혜에 기대지 않고, 인간의 지혜에 기대는 일입니다. 그래서 주님은 그렇게 하지 말라고 하십니다.

 

※ 이순철 목사님의 에피소드입니다.

 

말씀을 읽으면서 처음 안수받고 제너럴 처치 목회자 회의에 참여했을 때의 일이 생각났습니다. 어떤 댁에 식사 초대를 받아 대접을 잘 받았는데, 식사를 마치고 어떤 장로님이 저희 새내기 목사들에게 이런 질문을 하셨습니다. “목사님들은 성경책과 성문서 중 어떤 것을 더 많이 읽으십니까?”

 

※ 성(聖)문서란, 주님이 스베덴보리를 통해서 남기신 모든 기록을 말합니다.

 

그때 저도 모르게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성경의 문자적 의미가 주님의 몸에 해당한다면, 성문서에서 밝히는 말씀의 내적 의미는 주님 안에 계신 신성에 해당합니다. 주님은 곧 말씀이시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성경과 성문서 중 어느 하나를 중히 여기고, 다른 것을 소홀히 하는 것은 주님의 인성과 신성 중 어느 하나를 중히 여기고, 다른 것을 경히 여기는 것과 같은 일입니다.”

 

아마 이런 것이 주님이 주시는 구변과 지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합니다. 주님께서는 우리에게 무엇이 필요한지를 아시고, 그때그때 필요한 것을 주십니다.

 

※ 이런 것이 바로 퍼셉션(perception)입니다. 천국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인데요, 지상에서는 태고교회 때 있었습니다.

 

우리에게 이런 신앙이 있다면 미리 염려하거나 궁리할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그런가 하면 17절에서 주님은 또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17또 너희가 내 이름으로 말미암아 모든 사람에게 미움을 받을 것이나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주님의 이름은 인애(仁愛), 곧 체어리티의 신앙을 뜻합니다. 그냥 신앙이 아니라 그 속에 체어리티라는 본질이 들어있는 신앙, 그것이 바로 주님의 이름입니다. 왜냐하면 신앙인들이 주님을 부를 때는 체어리티의 신앙으로부터 불러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어떻게 하는 것이 이 체어리티 신앙으로 사는 걸까요? 일을 할 때, 자신의 이익보다는 주님과 이웃을 먼저 생각하는 것입니다. 모든 일에 게으름을 부리지 않는 것, 다른 사람을 지배하려 하지 않는 것입니다. 겸손하게 자신을 낮추는 것, 세상 것보다 영적인 것을 바라보는 것, 이런 것이 모두 체어리티의 신앙으로 살아가는 것입니다.

 

그러나 체어리티의 신앙으로 살고자 할 때, 우리를 미워하는 자들이 있습니다. 그것은 교회 밖에도 있고, 교회 안에도 있으며, 또한 각자의 내면에도 있습니다. 그것이 뭘까요? 우리가 싸워 이겨야 할 모든 이기적인 것들입니다. 이때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은, 시험을 당하여 싸울 때는 자신에게는 엄격히 하되 다른 사람에게는 너그럽게 해야 한다는 겁니다. 그것이 인내하는 것입니다. 그러다 보면 억울하거나 항변하고 싶을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주님이 제사장과 바리새인들 앞에서 침묵하신 것처럼 우리도 때로는 침묵해야 합니다. 그렇게 인내하고, 또 인내할 때, 죽었던 영혼이 살아나기 시작합니다. 영혼이 살아난다는 건 우리에게 있는 진리 안에 이 체어리티라는 생명이 생기는 걸 의미합니다. 신앙인의 영혼은 곧 진리이기 때문입니다. 그동안은 어느 때는 진리만 가지고 행동하고, 어느 때는 진리와 체어리티를 함께 가지고 행동했습니다. 그러나 영혼이 살아나기 시작하면 언제나 체어리티가 있는 진리로부터 행동합니다. 그것이 인내로부터 얻는 결실입니다. 그래서 주님께서는 너희의 인내로 영혼을 얻을 것이라고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말세에는 교회 안에 진리와 선이 점점 사라져 교회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합니다. 교회가 세상으로 선과 진리를 공급하지 못할 때, 사람들은 무엇이 선이고 악인지, 무엇이 진리이고 거짓인지를 구별하지 못합니다. 그러다 보면 지성인이라는 사람들도 악을 선이라 하고, 거짓을 진실이라 주장하는 때가 많습니다. 그때 주님께서는 아주 소수의 사람들을 데리고 광야와 같은 세상에 새 교회를 세우십니다. 그러므로 새 교회가 처음 세워질 때는 시련과 고난이 많습니다. 새 교회 사람들도 처음에는 교회 밖의 사람들과 많이 다르지 않습니다. 진리에 대한 순수한 애정이 있을 뿐, 그렇게 선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새 교회인들에게 시험이 많은 건 그래서입니다. 각자 견뎌야 할 것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온 세상이 나를 미워하고 공격할 때에도 인내하며, 주님께 엎드리면 주님께서 머리털 하나도 훼손되지 않도록 지켜주십니다. 그리고 그때 우리를 항상 외면하는 것만 같던 행운이 마치 햇빛을 받아 눈부시게 빛나는 새털구름과 같이 몰려옵니다.

 

이 운(運, fortune)이라는 것에 대해 새 교회 가르침 ‘천국의 비밀’ 6494번 글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운이라는 것은 하나님의 섭리가 질서의 가장 마지막의 것 안으로 흘러들어와 그곳에서 일으키는 현상이다. 그러므로 운이라는 하나님의 섭리는 모든 개별적인 일들 속에 존재한다. 그것에 대해 주님께서는 하나님의 뜻이 아니면 머리털 하나도 떨어지지 않으리라 하셨다.

 

머리털은 인체의 가장 바깥쪽에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속뜻으로는 하나님의 질서의 가장 끝단에 있는 자연적인 영역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뜻합니다. 이 말씀을 통해 행운이나 불운 같은, 우연처럼 보이는 일도 사실은 주님의 섭리에서 비롯되는 일이라는 것과, 주님께서는 그것을 통해 사람을 선으로 이끄신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불운처럼 보이는 일이 있더라도 주님을 바라보며, 인내하시기를 바랍니다. 그때 주님의 구원의 섭리가 우리들의 영혼을 살리고, 자연적 삶의 끝에까지 흘러들어와 행운을 가져다 줍니다. 주님의 그런 은혜가 이 진리를 사랑하는 모든 성도와 함께하시길 기도합니다.

 

 

17또 너희가 내 이름으로 말미암아 모든 사람에게 미움을 받을 것이나, 19너희의 인내로 너희 영혼을 얻으리라 (눅21:17, 19)

 

아멘

 

2022-09-11(D1)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

 

2024-08-11(D1)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Posted by bygracetistory
,

돌 하나도 돌 위에 남지 않는 날에 관한 때와 징조

2024-08-04(D1)-주일예배(2555, 눅21,5-9), '돌 하나도 돌 위에 남지 않는 날에 관한 때와 징조'.pdf
0.36MB
성찬.pdf
0.14MB
축도.2024-08-04(D1)-주일예배(2555, 눅21,5-9), '돌 하나도 돌 위에 남지 않는 날에 관한 때와 징조'.pdf
0.24MB

 

 

 

 

5어떤 사람들이 성전을 가리켜 그 아름다운 돌과 헌물로 꾸민 것을 말하매 예수께서 이르시되 6너희 보는 이것들이 날이 이르면 돌 하나도 돌 위에 남지 않고 다 무너뜨려지리라 7그들이 물어 이르되 선생님이여 그러면 어느 때에 이런 일이 있겠사오며 이런 일이 일어나려 할 때에 무슨 징조가 있사오리이까 8이르시되 미혹을 받지 않도록 주의하라 많은 사람이 내 이름으로 와서 이르되 내가 그라 하며 때가 가까이 왔다 하겠으나 그들을 따르지 말라 9난리와 소요의 소문을 들을 때에 두려워하지 말라 이 일이 먼저 있어야 하되 끝은 곧 되지 아니하리라 (눅21:5-9)

 

 

사람이 주님과 주님의 신성을 부인하거나 주님을 인정하되 선과 진리가 주님에게서 나오지 않고 자신에게 나온다고 믿으며, 그러므로 의를 자기 자신에게 돌릴 때, 주님은 그에게 있는 진리 안에 계시지 않는다. (천국의 비밀 8868, 이순철 역)

 

 

유럽 여행을 다녀온 분들의 얘기를 들으면, 가는 곳마다 아름답고 웅장한 성당 건축물이 많았는데 정작 예배를 드리는 것 같지는 않았고, 예배를 드리더라도 아주 소수의 사람들만 드리는 것 같다고 합니다. 교인들의 수가 그렇게 작으면 교회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고, 그래서 아마 유럽 교회가 점점 관광상품으로 전락하고 있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사람들이 온통 세상의 쾌락을 쫓아다니고, 영적인 것에는 전혀 관심을 두지 않습니다. 그러다 보니 가톨릭이나 개신교나 교인들이 점점 줄어들고, 교회는 비어갑니다. 오늘 말씀에서는 그러한 일들이 모두 교회의 마지막 때 징조와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마지막 때 교회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그리고 그 징조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5절과 6절입니다.

 

5어떤 사람들이 성전을 가리켜 그 아름다운 돌과 헌물로 꾸민 것을 말하매 예수께서 이르시되 6너희 보는 이것들이 날이 이르면 돌 하나도 돌 위에 남지 않고 다 무너뜨려지리라

 

※ 이때의 성전은 스룹바벨 성전을 확장한 헤롯(BC.37-AD.4) 성전입니다. 헤롯 성전은 46년 동안 증축한 당대 최고의 건축물입니다.

 

말씀에서 ‘성전’은 보통은 교회를 뜻하지만, 여기서는 유대교회와 같은 외적인 교회를 뜻합니다. 외적인 교회란 믿음만 있고 삶은 없는 교회를 말합니다. 그러면 ‘돌과 헌물’은 무슨 뜻일까요? 돌은 외적인 교회의 교리를 뜻하고, 헌물은 그 교리를 바탕으로 드리는 예배를 뜻합니다. 따라서 사람들이 아름다운 성전 건물을 보고 감탄하는 것은 교회의 마지막 때에는 사람들이 교회의 본질인 사랑의 삶보다는 믿음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이고, 그러므로 교회의 내적인 것보다는 외적인 것에 더 끌리는 걸 의미합니다. 주님께서 그런 그들을 보시고, ‘너희 보는 이것들이 날이 이르면 돌 하나도 돌 위에 남지 않고 다 무너뜨려지리라’고 하시는 것입니다. 참으로 두려운 말씀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렇게 말씀하시는 주님을 보면서 우리는 주님은 참으로 진리 그 자체이신 분이심을 느끼게 됩니다. 진리라고 불리는 하나님의 질서는 단호한 것이며, 또한 반드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돌 하나도 돌 위에 남지 않고 다 무너뜨려지리라’, 이 말씀은 말세에는 교회 안에 진리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을 거라는 뜻입니다. 돌은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교회의 진리를 뜻하기 때문인데요, 주님 당시 유대교회나 오늘날의 교회나 교회들은 모두 나름의 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테면 유대교회에는 모세의 십계명을 포함한 각종 규례와 장로의 전통이라는 교리가 있었고, 그리고 오늘날 교회에는 삼위일체의 신앙과 믿음만의 교리가 있습니다. 주님께서는 지금 그 교리들이 모두 진정한 진리가 아니라고 하시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인간의 생각으로 말씀을 임의로 해석해 만든 교리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마가복음 7장에서 주님은 ‘너희가 하나님의 계명은 버리고 사람의 전통을 지키느니라’(8절) 하시면서 그들을 꾸짖으십니다. 진리가 아닌 교회의 교리에 대해 ‘천국의 비밀’ 8868항은 ‘사람이 주님과 주님의 신성을 부인하거나 주님을 인정하더라도 선과 진리가 주님에게서 나오지 않고 자신에게서 나온다고 믿을 때 주님은 그의 진리 안에 계시지 않는다’라고 합니다. 또 8868:2항은 ‘진리가 진리가 되기 위해서는 그 속에 생명이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생명 없는 진리는 신앙의 진리가 아니며, 또한 생명은 오직 주님으로부터 선을 통해 나오기 때문이다. 만일 진리 안에 주님이 계시지 않으면 그것은 생명 없는 진리이고, 그러므로 진리가 아니다’라고 합니다. 유대교회는 주님의 신성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오늘날의 교회들 역시 말로는 삼위일체를 믿는다고 하면서 실제로는 아버지의 신성과 아들의 신성을 구별, 한 분 주님의 존재를 사실상 부인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들의 진리 안에는 생명이신 주님이 계시지 않고, 그러므로 그것은 진리가 아닌 것입니다.

 

주님께서 그렇게 말씀하시자 그들은 다음과 같이 주님께 묻습니다. 7절입니다.

 

7그들이 물어 이르되 선생님이여 그러면 어느 때에 이런 일이 있겠사오며 이런 일이 일어나려 할 때에 무슨 징조가 있사오리이까

 

교회의 마지막 때 나타날 징조는 하늘에서 별이 쏟아지거나 천재지변과 같은 그런 것이 아니라, 그때 주님이 나타내 보여 주시는 계시를 뜻합니다. 주님의 사도 요한은 계시록 12장 1절 이하에 그 계시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습니다.

 

1하늘에 큰 이적이 보이니 해를 옷 입은 한 여자가 있는데 그 발아래에는 달이 있고 그 머리에는 열두 별의 관을 썼더라 2이 여자가 아이를 배어 해산하게 되매 아파서 애를 쓰며 부르짖더라 3하늘에 또 다른 이적이 보이니 보라 한 큰 붉은 용이 있어 머리가 일곱이요 뿔이 열이라 그 여러 머리에 일곱 왕관이 있는데 4그 꼬리가 하늘의 별 삼분의 일을 끌어다가 땅에 던지더라 용이 해산하려는 여자 앞에서 그가 해산하면 그 아이를 삼키고자 하더니 5여자가 아들을 낳으니 이는 장차 철장으로 만국을 다스릴 남자라 그 아이를 하나님 앞과 그 보좌 앞으로 올려가더라 6그 여자가 광야로 도망하매 거기서 천이백육십 일 동안 그를 양육하기 위하여 하나님께서 예비하신 곳이 있더라 (계12:1-6)

 

이 계시의 말씀을 통해 교회의 마지막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소상히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계시의 내적 의미를 통해 그것이 무엇인지를 차례로 알아보겠습니다. 여기 ‘하늘에 큰 이적’은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교회의 마지막 때 주님이 나타내 보이시는 계시를 뜻하는데, 구체적으로는 기존 교회를 대신할 새 교회에 대한 계시를 뜻합니다. ‘해를 옷 입고 그 발아래에는 달이 있는’ 여자는 그때 나타날 하늘의 새 천국과 그것과 통하는 땅의 새 교회를 뜻합니다. 여자가 새 교회를 뜻하는 이유는 말씀에서 여자는 보통 진리에 대한 애정을 뜻하며, 또한 교회는 진리에 대한 애정으로부터 세워지기 때문입니다. ‘여자가 아이를 배어 해산하게 되매’는 새 교회의 교리가 비로소 세상에 나타나는 것을 뜻합니다. 여자가 낳는 아이는 새 교회의 교리를 뜻하기 때문입니다. ‘아파서 애를 쓰며 부르짖더라’는 새 교회의 교리를 받아들이는 게 쉽지 않음을 뜻합니다. 왜냐하면 용으로 표현된 기존 교회들의 극렬한 저항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늘에 한 큰 붉은 용이 있어’에서 붉은 용은 한 분 하나님을 셋으로 나누고, 사랑과 체어리티의 신앙을 믿음만의 신앙으로 변질시킨 교회들을 뜻합니다. ‘용이 해산하려는 여자 앞에서 그가 해산하면 그 아이를 삼키고자 하더니’는 새 교회가 처음 생길 때, 교회들이 새 교회의 교리를 말살하려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자가 아들을 낳으니 이는 장차 철장으로 만국을 다스릴 남자라’, 이 말씀은 새 교회의 합리적인 교리가 체어리티가 없는, 죽은 신앙 안에 있는 사람들을 설득하고 가르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철장은 새 교회의 합리적인 교리를 뜻하고, 만국은 체어리티가 없는, 그래서 죽은 신앙 안에 있는 모든 사람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그 아이를 하나님 앞과 그 보좌 앞으로 올려가더라’는 새 교회의 교리가 훼손되지 않도록 주님께서 보호하시는 것을 뜻합니다. ‘그 여자가 광야로 도망하매’는 처음 새 교회가 생길 때는 교인의 수가 별로 없는 것을 나타냅니다. 광야는 아무 것도 자라지 않는 황폐한 곳이기 때문이며, 이는 곧 새 교회의 처음 상태를 뜻합니다. ‘천이백육십 일 동안 그를 양육하기 위하여 하나님께서 예비하신 곳이 있더라’는 주님의 보호 아래 새 교회가 지속적으로 커지는 것이고, 그렇게 해서 완전하게 성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느 정도로 성장하는 게 완전하게 성장하는 걸까요? 새 교회를 통해 주님이 계획하셨던 일들이 완벽하게 실현될 때, 그때가 새 교회가 완전하게 성장한 때가 될 것입니다. 주님께서 이 모든 것을 밝히신 후, 제자들에게 말씀하십니다. 8절입니다.

 

8이르시되 미혹을 받지 않도록 주의하라 많은 사람이 내 이름으로 와서 이르되 내가 그라 하며 때가 가까이 왔다 하겠으나 그들을 따르지 말라

 

교회의 마지막 때에는 종말론 같은 거짓 진리를 퍼뜨리거나, 마치 자신이 재림 예수인 것처럼 행세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들이 바로 주님의 이름을 빙자하는 자들이며, 때가 가까이 왔다고 거짓말하는 자들입니다. 주님은 그런 자들의 말에 속지 말라 하십니다.

 

주님께서는 또 ‘난리와 소요의 소문을 들을 때에 두려워하지 말라 이 일이 먼저 있어야 하되 끝은 곧 되지 아니하리라’ 하십니다.

 

난리와 소요는 새 교회와 기존 교회들 간의 교리적 다툼 같은 외부의 시험을 뜻하기도 하고, 또는 새 교회인들이 겪는 내면의 시험을 뜻하기도 합니다. 시험의 조짐이 있을 때, 새 교회인들은 어쩔 수 없이 불안감과 두려움에 휩싸이게 됩니다. 시험에서 넘어졌던 경험이 있는 사람일수록 두려움을 느끼게 되고, 혹 시험을 통해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오히려 후퇴하는 게 아닌가 하고 걱정합니다. 그러나 시험에서 이기든 지든 그때마다 깨닫는 것이 있습니다. 새 교회의 신앙은 그냥 자라는 게 아닙니다. 내면으로부터 오는 것이든 외부에서 오는 것이든 시험과 연단을 통해 자랍니다. 그래서 주님은 난리와 소요가 먼저 있어야 한다 하시고, 그래야 끝이 있다고 하십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교회의 마지막 때 사람들은 감각적인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무엇이든 외적으로 크고 화려한 것에 끌립니다. 신앙인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교회 건물이 크고 아름다워야 교인들이 모입니다. 그러나 교회당이 아무리 아름답고 예배 의식이 경건해 보이더라도 그 속에 내적인 것이 없으면 진정한 교회가 아닙니다. 왜냐하면 주님이 그곳에 계시지 않기 때문입니다. 내적인 것이란 무엇입니까? 주님에 대한 사랑과 이웃에 대한 체어리티입니다. 그것과 관련해서 ‘천국의 비밀’ 8868:3항은, ‘살아있는 진리는 주님에 대한 사랑과 이웃에 대한 체어리티를 바탕으로 한 신앙의 진리이다. 살아있지 않은 진리는 진리가 아닌데, 그 이유는 그 진리 안에 자아와 세상에 대한 사랑이 있기 때문이다’라고 합니다.

 

우리는 모두 교회의 외적인 것에 미혹되는 대신 사랑과 체어리티라는 내적인 것에 끌려 새 교회로 왔습니다. 그런데도 사랑의 체어리티의 삶은 아직 멀리 있습니다. 새 교회는 우리만의 구원을 위한 교회가 아닙니다. 우리의 구원을 통해 이웃과 사회와 지구 전체를 살리는 교회입니다. 그러므로 사랑과 체어리티의 신앙이 우리의 입술에 머물지 않고 입에서 가슴으로, 그리고 손과 발끝까지 이르도록 해야 합니다. 주님의 그런 은혜가 오늘 말씀의 진리를 배운 모든 성도와 함께하시기를 간절히 기도합니다.

 

 

4...용이 해산하려는 여자 앞에서 그가 해산하면 그 아이를 삼키고자 하더니 5여자가 아들을 낳으니 이는 장차 철장으로 만국을 다스릴 남자라 그 아이를 하나님 앞과 그 보좌 앞으로 올려가더라 (계12:4-5)

 

아멘

 

2022-08-14(D1)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

 

2024-08-04(D1)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Posted by bygracetistory
,

2024-07-28(D1)-주일예배(2554, 눅21,1-4), '과부의 두 렙돈 헌금'.pdf
0.45MB
축도.2024-07-28(D1)-주일예배(2554, 눅21,1-4), '과부의 두 렙돈 헌금'.pdf
0.23MB

https://youtu.be/Q0iBCab2Z-U

 

과부의 두 렙돈 헌금

 

1예수께서 눈을 들어 부자들이 헌금함에 헌금 넣는 것을 보시고 2또 어떤 가난한 과부가 두 렙돈 넣는 것을 보시고 3이르시되 내가 참으로 너희에게 말하노니 이 가난한 과부가 다른 모든 사람보다 많이 넣었도다 4저들은 그 풍족한 중에서 헌금을 넣었거니와 이 과부는 그 가난한 중에서 자기가 가지고 있는 생활비 전부를 넣었느니라 하시니라 (눅21:1-4)

 

인애는 자체로 사람의 지위나 기부액에 따라 평가되지 않고 그 일을 하는 애정으로 평가된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돈을 기부하는 지위가 높은 사람보다 동전 한 잎을 기부하는 비천한 사람의 인애가 더 큰 것일 수 있다. (참된기독교 459:9)

 

※ 오늘부터 누가복음 21장입니다. 총 다섯 편의 설교가 준비되어 있으니 기존 설교 원고들도 계속 가까이하시며, 함께 큰 은혜 받으시기 바랍니다.

 

※ 오늘 본문은 특별히 성서 시대 이스라엘 화폐 단위에 대한 배경지식이 있어야 합니다. 다음은 류모세 저, ‘열린다 성경, 생활풍습 이야기(하)’(2010)에 나오는 ‘화폐 단위’ 이야기입니다.

 

...복음서에 나오는 화폐 단위가 복잡한 것은, 1세기 당시 이스라엘에서 세 가지 화폐 단위가 모두 통용되었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첫째, 주전 63년, 로마의 폼페이우스 장군에 의해 이스라엘이 로마 제국에 편입되면서 제국의 공식 화폐인 로마 화폐가 사용되었다. 둘째, 로마 제국 이전부터 사용되던 헬라 화폐도 통용되었다. 셋째, 이방인들의 화폐를 거부하고, 이스라엘 자체의 화폐도 통용되었다.

 

금과 은으로 만든 동전보다 작은 단위의 동전은 구리 동전이었다. 로마의 구리 동전은 앗사리온(assarion)과 콰드란스(quadrans)가 있었다. 4과드란스는 1앗사리온으로, 당시 하루치 품삯인 1데나리온(denarius)은 16앗사리온이었다. 이를 기초로 대략적인 가치를 환산해 보면, 하루 품삯인 1데나리온을 2010년 기준, 대략 5만 원이라고 할 때, 1앗사리온은 3,125원, 1콰드란스는 781원에 해당한다. 헬라의 구리 동전은 렙돈(lepton)으로 2렙돈은 1콰드란스였다. 이것을 기초로 과부가 성전의 연보궤에 넣은 두 렙돈, 즉 1고드란트(콰드란스)는 1,000원도 안 되는 적은 돈이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로마의 은 동전인 데나리온과 헬라의 은 동전인 드라크마는 거의 같은 화폐 가치를 가졌다. 시장에서 값을 지불할 때는 두 개의 은 동전이 같았지만, 로마 제국에 세금을 납부할 때는 1드라크마가 4분의 3데나리온에 해당했다. 납세를 위해서는 제국 내의 공식 화폐인 데나리온에 비해 헬라 화폐인 드라크마가 25퍼센트 할인된 가격에 거래된 것이다. 데나리온과 드라크마는 노동자의 하루 품삯에 해당하는 돈이었다.

 

로마와 헬라의 동전과는 별도로 이스라엘은 ‘셰켈’(Shekel, 성경에는 ‘세겔’로 나옴)로 불리는 자체적인 동전이 있었다. 세겔은 일반 세겔과 성전세 납부에 사용하는 특수 세겔이 있었다. 특수 세겔은 두로(Tyre, 지금의 레바논에 있는 도시)에서 주조했기 때문에, ‘두로 세겔’로도 불렸다. 일반 세겔은 2데나리온의 가치가 있었고, 두로 세겔은 4데나리온의 가치가 있었다.

 

※ 다음은 ‘연보궤’ 관련, 배경지식입니다. ‘열린다 성경, 성전’ 인용입니다.

 

성전 안 여인의 뜰 주변을 따라 3면의 벽에는 13개의 연보궤(헌금함)가 있었다. 각각의 연보궤는 유대인의 신년인 나팔절 때 부는 양각(숫양의 뿔) 나팔처럼 돈을 넣는 입구는 좁고, 밑바닥은 넓었다. 이는 연보궤에 손을 넣어 헌금을 훔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고안된 것이다. 예수님은 헌금과 구제를 하고 나서 ‘나팔을 불지 말라’는 독특한 표현을 하셨는데, 이는 여인의 뜰에 있는 연보궤의 모양에서 나온 재미있는 표현이다.

 

그러므로 구제할 때에 외식하는 자가 사람에게서 영광을 받으려고 회당과 거리에서 하는 것 같이 너희 앞에 나팔을 불지 말라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그들은 자기 상을 이미 받았느니라 (마6:2)

 

13개의 연보궤는 각각 용도가 달랐고, 그 용도는 연보궤에 새겨져 있었다. 이 중 1, 2번 연보궤에는 성전에 바치는 반 세겔의 성전세를 넣었다. 3, 4번의 연보궤에는 번제와 속죄제로 비둘기를 바치는 여인들이 그에 상당하는 돈을 넣었다. 첫 아들인 예수를 낳은 마리아도 성전을 찾아 초태생을 위한 속죄제로 비둘기값을 이곳에 넣었을 것이다.

 

22모세의 법대로 정결 예식의 날이 차매 아기를 데리고 예루살렘에 올라가니 23이는 주의 율법에 쓴 바 첫 태에 처음 난 남자마다 주의 거룩한 자라 하리라 한 대로 아기를 주께 드리고 24또 주의 율법에 말씀하신 대로 산비둘기 한 쌍이나 혹은 어린 집비둘기 둘로 제사하려 함이더라 (눅2:22-24)

 

연보궤 5번에는 제단에서 사용되는 목재, 6번에는 분향단의 향, 7번에는 성전에서 사용되는 금잔, 8번에는 남자의 속죄제, 9번에는 속건제, 10번에는 비둘기, 11번에는 나실인 서원, 12번에는 나병환자의 치유, 13번에는 기타 자원 헌금과 관련된 헌금을 넣었다.

 

13개의 연보궤 외에 ‘은밀한 방’(Silence Chamber)으로 불리는 특별한 공간이 있었다. 이곳은 가난해서 교육을 받지 못하는 아이들을 위해 특별 헌금을 내는 곳이었다. 경건한 사람들은 이스라엘의 미래를 책임질 아이들의 교육을 위해 비밀리에 헌금을 하곤 했다. 과부의 두 렙돈은 아마 이곳에서 은밀하게 드려졌을 것이고, 부자들은 바깥에 있는 나팔 모양의 연보궤에 위풍당당하게 헌금을 넣으며, 힘차게 나팔을 불었을 것이다.

 

//

 

이상의 설명으로, 오늘 본문의 과부가 헌금한 두 렙돈이라는 돈은 2010년 기준, 1,000원도 안 되는 금액이었음을 볼 수 있습니다.

 

※ 2024년도 시급 9,860원으로 계산하니 1,230원 정도 나오는군요.

 

그런데도 주님께서는 과부의 헌금을 가리켜 다른 모든 사람보다 많이 넣었다 하셨습니다. 주님이 그렇게 말씀하신 까닭은 부자들은 그 풍족한 중에서 넣었지만, 과부는 그 가난한 중에서 자기가 가지고 있는 생활비 전부를 넣었기 때문입니다. 과부는 당장 끼니를 걸러야 할지도 모릅니다. 그런데도 주님께서는 그를 말리지 않으시고 오히려 지켜보신 후, 칭찬하셨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도 이 과부처럼 목숨을 걸고(?) 신앙생활을 해야 할까요? 오늘은 그것에 대해 함께 생각해 보겠습니다.

 

영적 의미로 과부는 선은 있는데 진리가 없는 사람을 뜻합니다. 그런데 이 말은 사실 논리에 맞지 않는 말입니다. 진리가 없으면 선도 없기 때문입니다. 선과 진리의 관계는 열차의 목적지와 궤도와 같아서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관계입니다. 그러니까 열차가 궤도를 벗어나면 목적지에 제대로 도착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선과 진리는 언제나 함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과부의 정확한 의미는 진리에 대한 애정은 있는데 아직 진리가 없는 사람을 뜻합니다. 왜냐하면 진리가 있기 전의 선은 선이라기보다는 진리에 대한 애정 같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본문의 과부가 진리에 대한 애정만 있고 진리가 없는 사람이라면, 부자는 어떤 사람일까요? 말씀에 관한 지식을 많이 가진 사람을 뜻합니다. 부자도 여러 종류의 부자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부자와 거지 나사로의 비유에 나오는 부자가 있습니다. 그는 말씀을 이용해 재물과 명예를 얻고, 그것을 즐기는 사람입니다. 주님은 그런 사람들을 과부의 재산을 빼앗는 강도라고 하셨습니다. 왜냐하면 말씀을 조작, 거짓 교리를 만들고, 그것으로 교인들을 세뇌, 조금 남아있는 진리마저 빼앗아 버리는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마태복음 19장, 주님을 찾아와 ‘선생님이여 내가 무슨 선한 일을 하여야 영생을 얻으리이까’라며 영생에 대해 여쭙는 청년과 같은 부자도 있습니다. 그는 말씀에 대해 많이 알고 있으나 다른 사람처럼 문자적인 의미에 머물지 않고, 내적 진리에 가까이 가길 원하는 사람이었는데요, 그것은 그가 ‘살인하지 말라, 간음하지 말라, 도둑질하지 말라, 거짓 증언 하지 말라, 네 부모를 공경하라, 네 이웃을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 하신 것이니라’ 하시는 주님의 대답에, ‘이 모든 것을 내가 지키었사온대 아직도 무엇이 부족하니이까’ 주님께 되묻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그 말을 들으시고 주님께서 ‘네가 온전하고자 할진대 가서 네 소유를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주라 그리하면 하늘에서 보화가 네게 있으리라 그리고 와서 나를 따르라’ 하십니다. 여기서 ‘네 소유’는 부자 청년이 가지고 있는 말씀의 문자적인 지식을 뜻합니다. 청년은 자신이 노력해 얻은 말씀의 문자적인 지식에 대해 자부심을 느끼고 있습니다. 그런데 주님께서는 ‘네 소유를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주라’ 하십니다. 이 말씀은 성경의 문자적 의미는 내적 진리를 담는 그릇에 불과하니 내적 진리를 얻기 위한 것이 아닌 다른 목적으로는 소유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주님은 그렇게 할 때 하늘에서 보화가 있을 것이라고 하십니다. 하늘에서 내려오는 보화란 어떤 것입니까? 말씀의 문자적 의미를 통해 주님으로부터 오는 내적인 깨달음을 뜻합니다. 주님은 청년에게 ‘그리고 와서 나를 따르라’고 하십니다. ‘나를 따르라’는 것은 그동안 삶 가운데 허용했던 자아의 악을 멀리하고, 이제는 주님이 이끄시는 대로 따르라는 것입니다. 자아로부터 오는 여러 종류의 악들이 있는데요, 그걸 계속 허용하면 언제까지나 자아에 끌려다닐 수밖에 없습니다. 지식적으로 말씀에 접근하는 사람 중에는 말씀의 규범을 잘 지키지 않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자아의 악들 가운데는 말씀의 문자적 의미로 보면 죄가 아닌 것 같은데 내적으로는 죄악인 것이 많습니다. 주님께서는 그러한 악들을 멀리하고 당신을 따르라고 하십니다. 그 말씀을 듣고 청년이 재물이 많으므로 근심하며 갔다고 합니다. 지식이 많은 사람일수록 주님의 말씀에 순진하게 따르기가 어렵습니다. 인간의 생각으로 이런저런 계산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부자 청년은 근심하며 주님으로부터 멀어졌습니다.

 

이 부자 청년에게 하셨듯 주님이 과부에게도 똑같이 말씀하신다면 그녀는 어떻게 행동할까요? 그와 관련해 열왕기상 17장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5그가 여호와의 말씀과 같이 하여 곧 가서 요단 앞 그릿 시냇가에 머물매 6까마귀들이 아침에도 떡과 고기를, 저녁에도 떡과 고기를 가져왔고 그가 시냇물을 마셨으나 7땅에 비가 내리지 아니하므로 얼마 후에 그 시내가 마르니라 8여호와의 말씀이 엘리야에게 임하여 이르시되 9너는 일어나 시돈에 속한 사르밧으로 가서 거기 머물라 내가 그곳 과부에게 명령하여 네게 음식을 주게 하였느니라 10그가 일어나 사르밧으로 가서 성문에 이를 때에 한 과부가 그곳에서 나뭇가지를 줍는지라 이에 불러 이르되 청하건대 그릇에 물을 조금 가져다가 내가 마시게 하라 11그가 가지러 갈 때에 엘리야가 그를 불러 이르되 청하건대 네 손의 떡 한 조각을 내게로 가져오라 12그가 이르되 당신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살아 계심을 두고 맹세하노니 나는 떡이 없고 다만 통에 가루 한 움큼과 병에 기름 조금뿐이라 내가 나뭇가지 둘을 주워다가 나와 내 아들을 위하여 음식을 만들어 먹고 그 후에는 죽으리라 13엘리야가 그에게 이르되 두려워하지 말고 가서 네 말대로 하려니와 먼저 그것으로 나를 위하여 작은 떡 한 개를 만들어 내게로 가져오고 그 후에 너와 네 아들을 위하여 만들라 14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이 나 여호와가 비를 지면에 내리는 날까지 그 통의 가루가 떨어지지 아니하고 그 병의 기름이 없어지지 아니하리라 하셨느니라 15그가 가서 엘리야의 말대로 하였더니 그와 엘리야와 그의 식구가 여러 날 먹었으나 16여호와께서 엘리야를 통하여 하신 말씀같이 통의 가루가 떨어지지 아니하고 병의 기름이 없어지지 아니하니라 (왕상17:5-16)

 

이 본문은 아합왕 때 여러 해 동안 비가 오지 않아 기근이 들었던, 그래서 참 절박하고 비참한 그런 상황입니다. ‘당신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살아 계심을 두고 맹세하노니 나는 떡이 없고 다만 통에 가루 한 움큼과 병에 기름 조금뿐이라 내가 나뭇가지 둘을 주워다가 나와 내 아들을 위하여 음식을 만들어 먹고 그 후에는 죽으리라’는 과부의 대답을 보면 말이지요. 이 말을 듣고 엘리야가 이렇게 말합니다. ‘두려워하지 말고 가서 네 말대로 하려니와 먼저 그것으로 나를 위하여 작은 떡 한 개를 만들어 내게로 가져오고 그 후에 너와 네 아들을 위하여 만들라 14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이 나 여호와가 비를 지면에 내리는 날까지 그 통의 가루가 떨어지지 아니하고 그 병의 기름이 없어지지 아니하리라 하셨느니라’ 엘리야의 말을 들은 과부는 어떻게 하나요? 부자 청년처럼 근심하며 엘리야를 떠나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다음은 과부의 순종과 그 순종의 결과입니다. ‘그가 가서 엘리야의 말대로 하였더니 그와 엘리야와 그의 식구가 여러 날 먹었으나 16여호와께서 엘리야를 통하여 하신 말씀같이 통의 가루가 떨어지지 아니하고 병의 기름이 없어지지 아니하니라’

 

이 말씀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이스라엘 땅에 비가 오지 않는 것은 교회 안에 진리가 없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그때 엘리야가 사르밧의 과부에게 가서 거기 머무는 것은 하나님의 말씀의 진리가 이방인의 과부, 즉 진리를 갈구하는 교회 밖의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것을 뜻합니다. 그 이유는 교회 안에는 진정한 진리를 원하는 자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과부가 떡을 만들어 엘리야에게 바치는 것은 무슨 뜻일까요? 자아의 생각보다 말씀의 진리를 더 사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게 할 때 과부의 집에 통의 가루와 병의 기름이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그때 주님으로부터 신앙의 진리와 인애, 체어리티의 선이 끊임없이 흘러들어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와 관련해 ‘참된 기독교’ 459번 글 9항은 이렇게 말합니다. ‘인애는 자체로 사람의 지위나 기부액에 따라 평가되지 않고, 그 일을 하는 애정으로 평가된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돈을 기부하는, 지위가 높은 사람보다 동전 한 잎을 기부하는, 비천한 사람의 인애가 더 큰 것일 수 있다’ 이 말씀을 통해 주님께서 자기 생활비 전부를 헌금함에 넣는 과부를 왜 더 칭찬하셨는지 알 수 있습니다.

 

저는 오늘날 교회의 상태가 아합왕의 시대와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교회가 말씀을 마음대로 왜곡, 믿음만의 교리, ‘오직 믿음’의 교리를 만든 이후부터 교회에 더 이상 진리의 비가 내리지 않고 있습니다.

 

※ 새 교회 분들은 기존 기독교, 특히 개신교 교리를 언급할 때 좀 극단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교회가 그렇게 황폐해질 때, 주님으로부터 참된 말씀을 받는 사람은 누굴까요? 말씀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 자부하는 교회의 높은 사람들일까요? 아니면 한편으로는 진리를 배운다고 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세상과 적당히 타협하는 부자들일까요? 진리이신 주님은 그런 사람들에게는 오시지 않습니다. 혼자 먹기에도 부족한 가루와 기름으로 말씀을 따라 떡을 만들어 먼저 선지자에게 드리는 과부와 같은 사람, 자신보다 주님과 이웃을 사랑하는 사람에게 주님은 오셔서 그들의 단단한 마음을 여시고, 그 속으로 신앙의 진리와 체어리티의 선을 넣어주십니다. 그리고 그때 비로소 우리는 어둠에서 일어나 빛을 볼 수 있고, 빛이 이끄는 대로 이전의 악을 끊고, 이웃을 사랑하는 삶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우리 각자가 생명처럼 사랑하는 세상의 것들이 있습니다. 떨쳐버리려 해도 도저히 떨어지지 않는 자아의 악이 있습니다. 그것들이 마음 깊은 곳에서 소리 지를 때, 사르밧 과부처럼 가지고 있는 모든 진리와 사랑을 동원해 그것을 제지하고, 오직 주님이 말씀하시도록 해야 합니다. 그렇게 항상 나는 침묵, 오직 주님이 말씀하실 때, 우리 안에 신앙의 빛과 열기가 끊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주님의 그런 은혜가 서울 새 교회와 대전 한결같은 교회의 모든 성도와 이 진리를 사랑하는 모든 형제, 자매에게 영원히 함께하시길 기도합니다.

 

 

저들은 그 풍족한 중에서 헌금을 넣었거니와 이 과부는 그 가난한 중에서 자기가 가지고 있는 생활비 전부를 넣었느니라 하시니라 (눅21:4)

 

아멘

 

 

2022-08-07(D1)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

 

2024-07-28(D1)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Posted by bygracetistory
,

 어찌 그의 자손이 되겠느냐’의 속뜻

 

41예수께서 그들에게 이르시되 사람들이 어찌하여 그리스도를 다윗의 자손이라 하느냐 42시편에 다윗이 친히 말하였으되 주께서 내 주께 이르시되 43내가 네 원수를 네 발등상으로 삼을 때까지 내 우편에 앉았으라 하셨도다 하였느니라 44그런즉 다윗이 그리스도를 주라 칭하였으니 어찌 그의 자손이 되겠느냐 하시니라 45모든 백성이 들을 때에 예수께서 그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46긴 옷을 입고 다니는 것을 원하며 시장에서 문안받는 것과 회당의 높은 자리와 잔치의 윗자리를 좋아하는 서기관들을 삼가라 47그들은 과부의 가산을 삼키며 외식으로 길게 기도하니 그들이 더 엄중한 심판을 받으리라 하시니라 (눅20:41-47)

 

주님은 말씀이시고, 말씀은 일반적으로는 천국과 교회를 만들고, 개별적으로는 각각의 천사와 사람을 만드는 신적 진리이다. 그러므로 천사 하나하나 안에는 천국이 있고, 사람 하나하나 안에는 교회가 있다. (계시록의 속뜻 256: 2, 이순철 역) Since the Lord is the Word, and the Word is the Divine truth, which in general makes heaven and the church, and in particular each angel, that heaven may be in him, and man that the church may be in him; (AR.256:2)

 

2024-07-21(D1)-주일예배(2553, 눅20,41-47), ‘어찌 그의 자손이 되겠느냐’의 속뜻.pdf
0.42MB
축도.2024-07-21(D1)-주일예배(2553, 눅20,41-47), ‘어찌 그의 자손이 되겠느냐’의 속뜻.pdf
0.23MB

 

 

 

주님 당시 유대교회 안에는 두 개의 파벌이 있었다고 언젠가 말씀드린 적이 있는데 사실은 바리새파와 사두개파, 에세네파라는 세 개의 파가 있었고,

 

※ 이 외에도 ‘열심당’이라 하는 무장 독립단체도 포함, 보통은 네 개로 나눕니다.

 

그 가운데 백성들로부터 가장 신뢰를 받는 것은 바리새파였습니다. 바리새라는 말은 히브리어 ‘페루쉼’(פָּרָש, 분리하다)에서 비롯한 말로 ‘분리된 자’라는 뜻입니다. 안티오코스 4세(BC.215-164)의 헬레니즘 동화 운동에 가장 먼저 저항한 유대교 순수주의 세력인 ‘하시딤’(חסידים, 경건)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이런 시대적 배경 아래 이 기간에 유대인들 사이에는 성경으로 돌아가자는 운동이 있었고, 그때 바리새인들은 율법에 어긋나는 행위를 삶으로부터 철저히 분리하고자 노력, 그들이 분리된 자라고 불리게 된 것은 그때부터였습니다. 그리고 그 일로 인해 대중들은 그들을 경건주의자라 부르며 신뢰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렇다면 율법을 그토록 철저히 지켰던 바리새인들은 왜 주님과 사사건건 부딪쳤을까요? 그 이유는 그들이 겉으로만 율법을 잘 지킬 뿐, 속으로는 사실은 율법에 반대하는 자들, 율법을 우습게 여기고, 단지 자기 사랑, 세상 사랑을 위한 수단과 도구로만 여기던 사람들이었기 때문입니다. 주님께서는 율법의 첫 번째는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런 까닭에 바리새인들은 말씀 자체이신 주님과는 본질적으로 맞지 않는 사람들이었습니다.

 

41예수께서 그들에게 이르시되 사람들이 어찌하여 그리스도를 다윗의 자손이라 하느냐

 

어느 날 주님께서 바리새인들에게 ‘사람들이 어찌하여 그리스도를 다윗의 자손이라 하느냐’ 물으셨습니다. 사람들이 그렇게 말하고 있는 이유는 구약의 많은 예언이 메시아가 다윗의 자손으로 오실 것이라고 했기 때문입니다. 앞에서 말한 것처럼 바리새인들은 겉으로만 경건한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말씀을 대할 때도 문자적 의미에만 집중, 속에 담긴 내적 의미에 대해서는 전혀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 사실 말씀에 ‘속뜻’이라는 게 있다는 생각은 이들뿐 아니라 지난 2천 년 기독교 역사를 통틀어서 거의 그 누구도, 심지어 소위 ‘성인’(聖人)이라 하는 사람들 역시도 생각조차 할 수 없었습니다만, 그러나 이들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처럼 겉과 속이 노골적으로 다른 사람들과는 달리 그나마 겉과 속이 같아지고자 애쓴 사람들은 그 삶과 인격 가운데 ‘실천’이라는 게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주님은 왜 그들에게 그리스도, 즉 메시아에 대해 물으셨을까요? 그들의 무지를 지적하려 하셨던 걸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주님께서는 바리새인들처럼 말씀에 대해 많이 아는 사람이나 일반 백성처럼 조금 밖에 모르는 사람이나 누구에게나 진리를 가르쳐주려고 애쓰십니다. 그리고 그때 겸손한 사람들은 주님의 말씀을 통해 깨우침을 얻습니다. 주님은 계속해서 말씀하십니다. 본문 42절에서 44절까지 말씀입니다.

 

42시편에 다윗이 친히 말하였으되 주께서 내 주께 이르시되 43내가 네 원수를 네 발등상으로 삼을 때까지 내 우편에 앉았으라 하셨도다 하였느니라 44그런즉 다윗이 그리스도를 주라 칭하였으니 어찌 그의 자손이 되겠느냐 하시니라

 

이 말씀은 시편 110편 1절의 말씀,

 

여호와께서 내 주에게 말씀하시기를 내가 네 원수들로 네 발판이 되게 하기까지 너는 내 오른쪽에 앉아 있으라 하셨도다

 

라는 말씀을 인용하신 것입니다. 이 말씀에서 ‘여호와’는 신성 자체이신 주님을 뜻하고, ‘내 주’는 신성으로부터 잉태하신 그리스도, 즉 메시아를 뜻합니다. 그리고 ‘네 원수들로 네 발판이 되게 하겠다’는 것은 그리스도가 세상에서 당한 시험과 승리를 뜻합니다. 왜냐하면 ‘발판’은 그리스도의 몸에 속한 자연적인 것들을 뜻하고, ‘원수’는 그 자연적인 것들을 통해 주님을 공격하는 지옥의 영들을 뜻하며, ‘원수들로 발판이 되게 하는 것’은 시험에서의 승리와 그로 말미암아 주님의 불완전 몸이 신성한 몸으로 바뀌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시험에서 이기기 전의 발판이 육신의 어머니 마리아로부터 받은 불완전한 몸이라면, 시험에서 승리하신 후의 발판은 거룩한 몸, 즉 주님의 신적 인성(Divine Human)인 것입니다.

 

주님이 이렇게 시편 말씀을 인용해 그리스도가 다윗의 자손이 아님을 입증하신 것은, 교회의 모든 교리는 말씀의 문자적인 뜻으로부터 이끌어 내 입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렇다면 그리스도가 다윗의 자손이라고 한 바리새인들도 할 말이 있는데요, 왜냐하면 예레미야서에서

 

5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보라 때가 이르리니 내가 다윗에게 한 의로운 가지를 일으킬 것이라 그가 왕이 되어 지혜롭게 다스리며 세상에서 정의와 공의를 행할 것이며 6그의 날에 유다는 구원을 받겠고 이스라엘은 평안히 살 것이며 그의 이름은 여호와 우리의 공의라 일컬음을 받으리라 (렘23:5, 6)

 

했기 때문입니다. 이 말씀을 문자 그대로만 보면 그리스도는 다윗의 자손이 분명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말씀이라고 해서 그 문자적인 의미가 모두 진리는 아니고, 오직 내적 의미와 일치할 때만 진리라는 사실입니다. 내적 의미로 볼 때, 다윗은 인간 다윗이 아니라 신적 진리를 뜻합니다. 그러므로 말씀에서 그리스도를 다윗의 자손이라 한 것은, 그리스도는 본질적으로 신적 선에서 나오는 신적 진리라는 걸 알리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그리스도에 대한 논의를 통해 주님께서 가르치려 하셨던 진실은, 첫째는 그리스도는 신적 선이신 여호와로부터 태어난 신적 진리시라는 사실, 둘째는 말씀의 진리는 문자적으로만 이해하면 안 되고, 내적 의미와 함께 이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그러면 여기서 한 가지 근본적인 의문이 듭니다. 왜 주님은 그러면 처음부터 말씀을 내적 의미, 곧 속뜻으로 기록하지 않으셨을까? 하는 의문 말이죠. 말씀을 그 기록된 신성, 곧 속뜻으로 읽는 천사들에게는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그들은 내적 존재이기에 말씀도 내적 의미로 바로 읽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다릅니다. 우리는 영과 육으로 되어있어 말씀을 내적 의미로만 기록하면, 아무도 읽을 수도, 그리고 따라서 이해할 수도 없기 때문입니다. 이는 육을 입고 사는 우리가 영을 볼 수도, 이해할 수도 없는 것과 같습니다. 육의 상태로 있는 사람한테는 육의 상태인 겉 글자로 기록된 말씀이 필요한 것이며, 그러므로 참으로 말씀 앞에 겸손하고, 또 주님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이렇게 서로 모순되는 것 같은 말씀, 곧 다윗이 그리스도를 주라 칭하였는데, 어떻게 그리스도가 다윗의 자손이 될 수 있는가 하는, 이런 소위 난해한 말씀을 만나면, 무슨 잔머리를 굴리며 억지로 푸는 대신, 정직하고 겸손하게 ‘아직은 내가 이해할 수 없는, 무슨 주님의 깊으신 뜻이 있으신가 보다’며, 주께서 때가 되면 내게 빛을 비춰 주실 줄 믿고, 한발 물러나 기다리는 태도가 가장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45모든 백성이 들을 때에 예수께서 그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주님께서 그 말씀을 하실 때, 45절에는 모든 백성이 들었다고 했습니다. 여기서 ‘백성’(people)은 진리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을 뜻하고, ‘들었다’는 것은 그들이 진리에 복종했다는 뜻입니다. 주님께서 각 사람에게 오셔서 진리를 가르쳐주실 때, 겸손한 사람들은 즉시 받아들여 그대로 실천합니다. 반면에 말로는 주님을 믿는다면서 사실은 자신의 지성을 믿는 바리새인들과 같은 위선자들은 주님이 아무리 말씀하셔도 받아들이지를 않습니다. 그래서 주님께서는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46절 말씀입니다.

 

46긴 옷을 입고 다니는 것을 원하며 시장에서 문안받는 것과 회당의 높은 자리와 잔치의 윗자리를 좋아하는 서기관들을 삼가라

 

긴 옷’은 본래 하나님의 신성한 진리를 뜻하지만, 여기서는 반대로 인간의 진리, 즉 거짓 진리를 뜻합니다. 그리고 ‘시장’은 말씀의 진리와 선이 유통되는 곳인 교회를 뜻하고, ‘잔치’는 예배를 뜻합니다. ‘서기관과 바리새인’은 겉과 속이 다른 위선자를 뜻합니다. 따라서 이 말씀의 의미는 주님의 제자들은 말씀을 왜곡해 거짓 진리를 만들거나, 교회에서 윗자리에 앉으려고 하면 안 된다는 뜻입니다. 그것은 위선자들이나 하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 다음은 ‘긴 옷’에 대한 보충 설명입니다.

 

유대인들에게 겉옷이 특별하고 소중한 이유는 겉옷의 네 귀에 달린 ‘’ 때문이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겉옷을 지을 때 술을 달라고 지시하셨는데, 이는 그 술을 보면서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계명 안에서 살아가는 ‘계명의 아들’임을 기억하게 하기 위해서였다.

 

37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38이스라엘 자손에게 명령하여 대대로 그들의 옷단 귀에 술을 만들고 청색 끈을 그 귀의 술에 더하라 39이 술은 너희가 보고 여호와의 모든 계명을 기억하여 준행하고 너희를 방종하게 하는 자신의 마음과 눈의 욕심을 따라 음행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라 40그리하여 너희가 내 모든 계명을 기억하고 행하면 너희의 하나님 앞에 거룩하리라 (민15:37-40)

 

히브리어로 ‘찌찌트’라 불리는 ‘’은 ‘기다란 실’로 번역될 수 있는데, 이스라엘 사람들은 겉옷의 옷단 귀에 술을 달아 하나님의 계명을 좇는 하나님의 백성임을 나타냈다.

 

예수님 당시에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은 자신들의 종교적 열심과 경건성을 드러내려는 수단으로 옷단 술을 이용했다. 술을 길게 늘어뜨림으로써 자신이 하나님께 충성하고 계명에 남다른 열심을 가지고 순종하고 있음을 보이려 한 것이다. ‘경문’은 기도할 때 이마에 차는 성구함을 가리킨다.

 

그들의 모든 행위를 사람에게 보이고자 하나니 곧 그 경문 띠를 넓게 하며 옷 술을 길게 하고 (마23:5)

 

때로는 술을 너무 길게 늘어뜨려 땅에 질질 끌려서 뒤에 오는 사람에게 밟히는 경우도 있었다. 서기관들이 ‘긴 옷’을 입고 다닌다는 것은 바로 이 옷단 술을 길게 늘어뜨리고 다닌다는 말이다.

 

열두 해 혈루증을 앓던 여인이 손을 댔다는 예수님의 겉옷은 바로 이 겉옷, 즉 예수님이 쓰신 숄 네 귀퉁이에 달린 ‘옷단 술’을 만진 것이다.

 

참고로, 계속 나오는 이 ‘겉옷’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기도할 때 자기 머리를 덮는 마름모 형태의 큰 ‘’(히, 탈릿)을 말한다.

 

(류모세 저, ‘열린다 성경, 생활풍습 이야기(상)’ 여기저기서 인용)

 

 

※ 다음은 위 본문에 나오는 ‘서기관’에 관한 보충 설명입니다.

 

구약 왕정 때부터 존재했고 특별히 바벨론 포로를 거치면서 율법 필사와 율법 연구 및 전승을 담당했으며, 또 회당이나 성전에서 공문서 등을 작성한 전문가 집단이었다. 더욱이 율법을 전수하는 일에 남다른 역할을 했기에 율법사 또는 랍비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그리고 정치적으로 산헤드린 공회나 헤롯 정부 내 각종 기관에 속해 일종의 행정 관료가 되기도 했다. 이들은 특정한 종교 분파에 속해야 한다는 원칙은 없지만, 통상적으로 바리새파 사람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신약시대 유대교의 분파들 (라이프성경사전, 2006. 8. 15., 가스펠서브)

 

 

47그들은 과부의 가산을 삼키며 외식으로 길게 기도하니 그들이 더 엄중한 심판을 받으리라 하시니라

 

계속해서 주님이 이르시길 ‘그들은 과부의 가산을 삼키며 외식으로 길게 기도하니 그들이 더 엄중한 심판을 받으리라’라고 하십니다.

 

말씀에서 ‘과부’는 선한 애정은 있는데 진리가 없는 사람을 뜻합니다. 그러니까 진리 배우기를 원하지만, 참된 진리를 찾지 못해 애태우는 사람들이 바로 영적 과부인 것입니다. 또 ‘외식으로 길게 기도하는 것’은 위선자들이 경건한 척 자신을 꾸미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님 당시나 지금이나 교회 안에 바리새인과 같은 거짓된 지도자들이 많습니다. 그들은 겉으로는 경건한 것처럼 하면서 속으로는 진리를 왜곡하고, 그것을 가지고 참된 진리를 갈망하는 교인들을 잘못된 길로 이끕니다. 바로 그런 것이 교회 안의 위선자들이 과부의 재산을 빼앗는 일입니다. 주님께서는 그들에게 엄중한 심판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하십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말씀은 주님에 대한 기록입니다. 즉 영원 전부터 계신 주님이 왜 인간의 몸을 입으시고 세상에 오셨는지, 그리고 어떻게 불완전한 인간을 극복하고 여호와이시며 동시에 거룩한 인간이 되셨는지, 또한 우리 인간은 어떻게 신성한 인간이신 주님에게 다가가 거듭날 수 있는지를 가르쳐 줍니다. 주님의 제자들은 그것을 잘 이해하고 실천해야 하며, 또한 진리를 갈망하는 이웃들에게 전해야 할 사명이 있습니다. 그런데 유대의 바리새인들은 말씀의 문자적 의미에만 매달려 내적인 것을 볼 수 없었고, 그리하여 주님의 뜻에 따라 살지 않았습니다. 언젠가 주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그들은 하나님 앞에 목이 곧은 사람들이었기 때문입니다. 주님의 제자들은 마땅히 주님과 이웃들에게 할 수 있는 만큼 자신을 낮춰야 합니다. 그렇게 할 때 말씀의 내적 의미에 다가갈 수 있으며, 진리를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이 생깁니다. 그래서 주님께서는 제자들에게 ‘긴 옷을 입고 다니는 것을 원하며 시장에서 문안받는 것과 회당의 높은 자리와 잔치의 윗자리를 좋아하는 서기관들을 삼가라’ 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새 교회인이라면 누구나 각자의 마음속에서 바리새인을 몰아내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주님의 그런 은혜가 새 교회와 한결같은 교회의 모든 성도와, 그리고 이 진리를 사랑하는 모든 이들에게 함께 하시길 간절히 기도합니다.

 

 

좋은 소식을 전하며 평화를 공포하며 복된 좋은 소식을 가져오며 구원을 공포하며 시온을 향하여 이르기를 네 하나님이 통치하신다 하는 자의 산을 넘는 발이 어찌 그리 아름다운가 (사52:7)

 

아멘

 

2022-07-31(D1)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

 

2024-07-21(D1)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Posted by bygracetistory
,

2024-07-14(D1)-주일예배(2552, 눅20,27-40), '결혼과 부활에 관한 주님의 가르침'.pdf
0.40MB
축도.2024-07-14(D1)-주일예배(2552, 눅20,27-40), '결혼과 부활에 관한 주님의 가르침'.pdf
0.24MB

 

 

결혼과 부활에 관한 주님의 가르침

 

 

27부활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두개인 중 어떤 이들이 와서 28물어 이르되 선생님이여 모세가 우리에게 써 주기를 만일 어떤 사람의 형이 아내를 두고 자식이 없이 죽으면 그 동생이 그 아내를 취하여 형을 위하여 상속자를 세울지니라 하였나이다 29그런데 칠 형제가 있었는데 맏이가 아내를 취하였다가 자식이 없이 죽고 30그 둘째와 셋째가 그를 취하고 31일곱이 다 그와 같이 자식이 없이 죽고 32그 후에 여자도 죽었나이다 33일곱이 다 그를 아내로 취하였으니 부활 때에 그중에 누구의 아내가 되리이까 34예수께서 이르시되 이 세상의 자녀들은 장가도 가고 시집도 가되 35저세상과 및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함을 얻기에 합당히 여김을 받은 자들은 장가가고 시집가는 일이 없으며 36그들은 다시 죽을 수도 없나니 이는 천사와 동등이요 부활의 자녀로서 하나님의 자녀임이라 37죽은 자가 살아난다는 것은 모세도 가시나무 떨기에 관한 글에서 주를 아브라함의 하나님이요 이삭의 하나님이요 야곱의 하나님이시라 칭하였나니 38하나님은 죽은 자의 하나님이 아니요 살아 있는 자의 하나님이시라 하나님에게는 모든 사람이 살았느니라 하시니 39서기관 중 어떤 이들이 말하되 선생님 잘 말씀하셨나이다 하니 40그들은 아무 것도 감히 더 물을 수 없음이더라 (눅20:27-40)

 

 

말씀에서 장가가는 것은 주님과의 결합을 뜻하고, 시집가는 것은 주님에 의해 천국에 받아들여지는 것을 뜻한다. 이것이 분명한 이유는 마태복음 22장 1절로 14절까지의 말씀에서, 천국은 아들을 위해 혼인 잔치를 베풀고, 종을 보내 사람들을 초대하는 임금과 같다고 했기 때문이다. (결혼의 사랑 41:3, 이순철 역) That to be married is to be conjoined with the Lord, and that to enter into marriage is to be received in heaven by the Lord is clear from the following passages: The kingdom of the heavens is like unto a man, a king, who made a marriage for his son, and sent forth servants and invited to the wedding (Matt. 22:1–14).

 

 

27부활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두개인 중 어떤 이들이 와서

 

주님 당시 유대교회 안에는 바리새파와 사두개파라는 두 개의 파벌이 있었습니다. 사두개파는 성직자들이 많았고, 주로 엘리트층의 지지를 받았습니다. 교리적으로는 구약의 율법을 문자 그대로 지키려는 경향이 강했고, 사후의 부활을 믿지 않았습니다. 반면에 바리새파는 일반 대중들의 지지를 받았고, 부활을 믿었습니다. 또 그들의 구전 율법인 장로의 전통을 하나님의 말씀만큼이나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어느 날 사두개파 사람들이 주님을 찾아와 다음과 같이 물었습니다. 본문 28절 말씀입니다.

 

28물어 이르되 선생님이여 모세가 우리에게 써 주기를 만일 어떤 사람의 형이 아내를 두고 자식이 없이 죽으면 그 동생이 그 아내를 취하여 형을 위하여 상속자를 세울지니라 하였나이다

 

당시 이스라엘에는 형이 자손을 남기지 않고 죽었을 경우, 동생이 형수와 결혼해 대를 잇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다음과 같은 신명기 25장 말씀에 근거한 것입니다.

 

5형제들이 함께 사는데 그 중 하나가 죽고 아들이 없거든 그 죽은 자의 아내는 나가서 타인에게 시집 가지 말 것이요 그의 남편의 형제가 그에게로 들어가서 그를 맞이하여 아내로 삼아 그의 남편의 형제 된 의무를 그에게 다 행할 것이요 6그 여인이 낳은 첫 아들이 그 죽은 형제의 이름을 잇게 하여 그 이름이 이스라엘 중에서 끊어지지 않게 할 것이니라 (신25:5, 6)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정해주신 결혼의 원칙은 한 남자와 한 여자의 결혼이었습니다. 그것은 창세기 2장의 아담과 하와의 결혼 이야기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그렇게 보면 앞에서 말한 신명기의 규례는 일부일처의 원칙에도 맞지 않을뿐더러, 엄격히 말하면 레위기 18장에 형제의 아내와 관계하지 말라는 율법에도 맞지 않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주님께서는 왜 이러한 법을 만들어 지키게 하셨을까요? 영적으로 남편의 형제는 이른바 친족의 선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각자 생각이나 취미가 다른 것처럼 각각의 진리와 선도 성격이 모두 다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진리와 선은 끊임없이 자기와 맞는 선 또는 진리를 찾아 그것과 결합하려고 합니다. 이것이 우리 내면에서 선과 진리들 사이에 일어나는 일들입니다. 따라서 친족의 선(kindred good)이란, 어떤 진리가 좋아하여 자신을 그것과 결합시키려 하는 비슷한 성격의 선들을 뜻합니다. 그러므로 여인이 남편의 형제와 결혼해 아이를 낳는 것은 어떤 진리가 죽은 남편으로 상징되는 선과 친족의 관계에 있는 선과 결합하는 것이고, 그렇게 해서 새로운 선과 진리를 낳는 것을 의미합니다.

 

선과 진리가 그렇게 결합해 열매를 맺을 때 각자의 내면에 교회가 굳건하게 서고, 점점 부흥하게 됩니다. 물론 반대의 경우는 교회가 침체하겠지요. 그렇다면 여인과 첫 번째 남편 사이에 아이가 없었던 까닭은 뭘까요? 예를 들면 하나의 진리가 하나의 선을 좋아하여 만났는데 만나보니 생각이 다르고 열정이 다를 수 있습니다. 그때 둘 사이에는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 다음은 새 교회 이순철 목사님의 에피소드입니다.

 

이번에 미국 제너럴 처치 목회자 회의에 참석해서 보니 목사님들의 성향이 모두 달랐습니다. 어떤 분은 교회의 살림을 맡아 건전하게 꾸리는 데 관심이 있고, 어떤 분은 유튜브 같은 매체를 통해 선교를 하는 데 관심이 있었습니다. 또 어떤 분은 말씀과 교리를 연구하여 그것을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또한 동료 목사님들과 공유하고자 하는 열정을 가진 분도 있었습니다. 그러한 일들이 각자의 내면에서 선과 진리들이 하는 일입니다. 그런데 그때 어느 한쪽이 기울어지면, 예를 들면 진리가 미숙하거나 아니면 애정이 부족하거나 하면 둘 사이에 충분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그에 따라 성과가 잘 나타나지 않습니다. 우리 교회 안에서도 비슷한 일이 생길 수 있습니다. 같은 신앙 안에 있지만 생각이나 애정이 모두 같지는 않습니다. 그러다 보면 어떤 분들은 서로 잘 맞아 협력하여 선을 이루지만, 어떤 분들은 마음이 잘 맞지 않아 함께 일해도 시너지가 생기지 않습니다.

 

이를테면 이런 것이 영적으로 아이가 생기지 않는 것입니다.

 

사두개파 사람들이 계속해서 주님께 묻습니다.

 

29그런데 칠 형제가 있었는데 맏이가 아내를 취하였다가 자식이 없이 죽고 30그 둘째와 셋째가 그를 취하고 31일곱이 다 그와 같이 자식이 없이 죽고 32그 후에 여자도 죽었나이다 33일곱이 다 그를 아내로 취하였으니 부활 때에 그중에 누구의 아내가 되리이까

 

사두개파 사람들의 말에서 간교함이 느껴집니다. 부활을 믿지 않는 자들이 말씀을 이용해 부활의 신앙을 공격하고, 주님을 함정에 빠뜨리려 하기 때문입니다. 주님이 보실 때, 이들은 두 가지 오류를 범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사후의 부활을 믿지 않는 것이고, 또 하나는 천국의 결혼도 세상의 결혼처럼 육신의 결합으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그 말을 들으시고 주님께서 34절 이하에서 다음과 같이 대답하십니다.

 

34예수께서 이르시되 이 세상의 자녀들은 장가도 가고 시집도 가되 35저세상과 및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함을 얻기에 합당히 여김을 받은 자들은 장가가고 시집가는 일이 없으며

 

부활함을 얻기에 합당한 자는 어떤 사람일까요? 세상에 살 때 많이 거듭나 사후에 천국에 들어가는 사람입니다. 주님께서 그들에 대해 세상 사람들처럼 장가가고 시집가는 일이 없다고 하십니다. 그러면 천국의 천사들의 결혼은 어떤 것입니까? 그것에 대해 ‘결혼의 사랑’ 41:3항은

 

말씀에서 장가가는 것은 주님과의 결합을 뜻하고, 시집가는 것은 주님에 의해 천국에 받아들여지는 것을 뜻한다. 이것이 분명한 이유는 마태복음 22장 1절로 14절까지의 말씀에서 천국은 아들을 위해 혼인 잔치를 베풀고 종을 보내 사람들을 초대하는 임금과 같다고 했기 때문이다.

 

라고 말합니다. 여기서 임금의 아들은 주님을 뜻하고, 혼인 잔치에 초대될 사람은 주님과 결혼할 준비가 된 사람, 즉 세상에서 충분히 거듭난 사람을 뜻합니다. 또한 ‘천국과 지옥’ 366항 이하에서는

 

천국에도 남녀의 결혼이 있으나 세상의 결혼과는 다르다. 즉 천국에서 남녀의 결혼은 이성과 의지의 결합이고, 선과 진리의 결합이며, 믿음과 사랑의 결합이다.

 

라고 합니다. 이것으로 천국의 결혼은 육신의 결합이 아니라 영의 결합이며, 궁극적으로는 영의 결합을 통한 주님과의 결합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말씀에서 부활함을 얻기에 합당한 자들은 장가가고 시집가는 일이 없느니라고 하신 것은 천국의 남녀는 더 이상 육신으로 결합하지 않는다는 것이고, 그러므로 천국에서 결혼의 기쁨은 육신의 결혼에서 오는 기쁨이 아니라 영적인 결혼에서 오는 기쁨, 즉 믿음과 사랑이 하나가 될 때 주님이 주시는 지극한 평화와 순진함의 기쁨이라는 뜻입니다.

 

부활을 믿지 않는 그들에게 주님께서 다시 말씀하십니다. 37절의 말씀입니다.

 

37죽은 자가 살아난다는 것은 모세도 가시나무 떨기에 관한 글에서 주를 아브라함의 하나님이요 이삭의 하나님이요 야곱의 하나님이시라 칭하였나니 38하나님은 죽은 자의 하나님이 아니요 살아 있는 자의 하나님이시라 하나님에게는 모든 사람이 살았느니라 하시니

 

주님은 육신을 입고 오셔서 죽었다가 부활하심으로써 영원한 부활을 꿈꾸는 이들의 표상이 되셨습니다. 그리고 천국으로 올라가셔서 죽어가는 인류를 살리시고, 그들과 하나가 되셨습니다. 본문에 하나님은 죽은 자의 하나님이 아니요 살아있는 자의 하나님이라고 하신 것은 그 때문입니다. 주님께서는 성경의 여러 곳에서 사후의 부활을 자주 말씀하셨습니다. 예를 들면 세상에서 부자로 살았던 사람은 사후에 지옥에 있고, 거지였던 나사로는 천국에 있다는 누가복음 16장 22절의 비유의 말씀이 그렇고, 주님과 함께 십자가에 달린 죄수 중 ‘나를 기억하소서’라고 했던 겸손한 사람에게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하신 누가복음 23장 43절 말씀이 그렇습니다.

 

내적인 눈, 시야가 닫힌 상태에서 외적인 눈, 시야로만 보는 사두개파 사람들은 주님의 말씀이 무슨 뜻인지 알 수가 없었을 것입니다. 사두개파 사람들처럼 외적인 눈만 발달한 사람들이 오늘날에도 많습니다. 그들 중 일부는 구약의 율법과 선지자의 예언은 지금도 유효하며, 할 수만 있으면 문자 그대로 지켜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런가 하면 또 다른 사람들은 그것은 구시대의 유물이기 때문에 지킬 필요가 전혀 없다고 말합니다. 어느 쪽이든 진실을 바로 아는 게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진실을 알고 지킬 때, 부활에 합당한 사람으로 거듭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진실은 무엇일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문자의 의미로서 모세의 율법과 선지자의 강령들은 말씀의 내적 의미에 비추어 볼 때 일치하는 것만 지키고, 그 밖의 것은 지키지 않아도 된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주님이 오시기 전 모세와 선지자를 통해 내려주셨던 법도들은 진리 자체가 아니라 진리에 관한 표상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진리 자체이신 주님이 오셨을 때, 그 표상들은 모두 폐지되었습니다. 그와 관련해 누가복음 16장 16절에서는

 

율법과 선지자는 요한의 때까지요 그 후부터는 하나님 나라의 복음이 전파되어 사람마다 그리로 침입하느니라

 

고 하셨습니다. 말씀에서 율법과 선지자, 그리고 요한은 말씀의 문자적 의미를 뜻합니다. 그리고 하나님 나라의 복음은 주님이 부활하신 후 보내시기로 약속하신 보혜사, 즉 말씀의 내적 진리를 뜻합니다. 그렇게 보면 구약성경의 문자적 의미는 더 이상 유효한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세의 율법과 선지자의 문자적 가르침을 모두 버리면 안 되는 이유는, 마태복음 5장 17절에서

 

내가 율법이나 선지자를 폐하러 온 줄로 생각하지 말라 폐하러 온 것이 아니요 완전하게 하려 함이라

 

하셨기 때문입니다. 주님이 오심으로 해서 구약의 모든 율법이 폐지된 것이 아니라 말씀의 내적 의미를 통해 더욱 분명하고 힘이 있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주님께서 문자적 의미 안으로 내적 의미라는 말씀의 생명을 불어넣어 주셨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문자적 의미로서 구약의 말씀들은 말씀의 내적 의미를 통해 비춰봐야 하고, 그렇게 해서 내적인 것과 일치하는 말씀은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예를 들면, 십계명의 대부분의 내용과 순결한 부부 사랑에 관한 것들이 그런 것입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말씀의 문자적인 의미 안에서 구원에 관한 교리들은 얼굴이나 손이 그렇듯 벌거벗은 진리로 명확히 드러나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주님께서 허락하신 내적 진리를 통해 말씀의 문자적 의미를 바로 알고 지켜야 하겠습니다. 서울 새 교회와 대전 한결같은 교회, 그리고 이 진리를 사랑하는 모든 이들이 외적이면서 동시에 내적인 말씀의 의미를 통해 부활에 합당한 결혼의 기쁨을 영원히 누리시길 축원합니다.

 

 

7우리가 즐거워하고 크게 기뻐하며 그에게 영광을 돌리세 어린 양의 혼인 기약이 이르렀고 그의 아내가 자신을 준비하였으므로, 9천사가 내게 말하기를 기록하라 어린 양의 혼인 잔치에 청함을 받은 자들은 복이 있도다 하고 또 내게 말하되 이것은 하나님의 참되신 말씀이라 하기로 (계19:7, 9)

 

아멘

 

2022-07-17(D1)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

 

2024-07-14(D1)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