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마지막 주 현재 어느 정도 정돈된 양식에 따라 기존 원고들의 틀을 소급 정비하였습니다. 그 결과 기존 녹음은 정비 전 원고 녹음이며, 현 저 하단 첨부파일과 같은 내용입니다. 아래는 새 원고로, 주석 원본 100%이며, 그래서 기존 주석 원본 첨부하던 거는 더 이상 하지 않습니다. 참고하세요.

 

 

셋째 날, 풀, 채소, 나무(1:9-13, AC.27-29)

 

 

9하나님이 이르시되 천하의 물이 한곳으로 모이고 뭍이 드러나라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10하나님이 뭍을 땅이라 부르시고 모인 물을 바다라 부르시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11하나님이 이르시되 땅은 풀과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라 하시니 그대로 되어 12땅이 풀과 각기 종류대로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13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셋째 날이니라 (1:9-13) 9And God said, Let the waters under the heaven be gathered together in one place, and let the dry [land] appear; and it was so. 10And God called the dry [land] earth, and the gathering together of the waters called he seas; and God saw that it was good. 11And God said, Let the earth bring forth the tender herb, the herb yielding seed, and the fruit tree bearing fruit after its kind, whose seed is in itself, upon the earth; and it was so. 12And the earth brought forth the tender herb, the herb yielding seed after its kind, and the tree bearing fruit, whose seed was in itself, after its kind; and God saw that it was good. 13And the evening and the morning were the third day. (Gen. 1:9-13)

 

 

창세기 속뜻 강해, 오늘은 1장, 그 세 번째 시간, 곧 셋째 날에 관한 내용(9-13)입니다. 역시 1장 전체에 대한 개요는 지난(7/20) 원고를 참고하시고요, 오늘 본문 바로 들어갑니다.

 

 

9

하나님이 이르시되 천하의 물이 한곳으로 모이고 뭍이 드러나라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27

두 가지, 곧 속 사람과 겉 사람이라는 게 존재한다는 사실, 그리고 진리와 선이라는 게 먼저 주님으로부터 속 사람으로, 그리고는 속 사람으로부터, 즉 속 사람을 통해서 이번엔 겉 사람으로 흘러든다는 이런 두 가지 사실을 알게 되면비록 겉보기에는 그리 보이지 않을지라도저들 진리와 선, 곧 거듭나는 중인 사람 안에 있는 진리와 선에 관한 지식들이 그의 기억 안에 쌓이며그 지식들(knowledges [scientifica]) 사이로 분류됩니다. 겉 사람의 기억 속으로 밀어 넣어지는 것은 그게 무엇이든, 그게 자연적이든 영적이든 아니면 천적이든 기억-지식(memory-knowledge)이라는 형태로 거기 머물며, 그 후 주님에 의해 나오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들 지식이 ‘한곳으로 모인 물’(waters gathered together into one place)이며, 부르기를 ‘바다’(seas)라고 합니다. 그러나 겉 사람 자체는 ‘뭍’(dry [land])이라 하며, 지금은 이어지는 10절에서처럼 ‘땅’(earth)이라고 합니다.

 

 

10

하나님이 뭍을 땅이라 부르시고 모인 물을 바다라 부르시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28

‘물’(waters)을 가지고는 지식들(knowledges, 체험적 지식 및 학문적 지식, [cognitiones et scientifica])을, 그리고 그 결과, ‘바다’(seas)를 가지고는 그런 지식들을 한데 모아놓은 걸 의미하는 것이 말씀에서는 아주 흔한 일입니다.

 

이사야입니다.

 

내 거룩한 산 모든 곳에서 해 됨도 없고 상함도 없을 것이니 이는 물이 바다를 덮음같이 여호와를 아는 지식이 세상에 충만할 것임이니라 (11:9)

 

그리고 이사야 다른 데서는 지식들의 결핍(a lack of knowledges [cognitionum et scientificorum])을 다루면서

 

5바닷물이 없어지겠고 강이 잦아서 마르겠고 6강들에서는 악취가 나겠고 애굽의 강물은 줄어들고 마르므로 갈대와 부들이 시들겠으며 (19:5, 6)

 

학개에서는 새 교회에 관한 말씀을 하시면서

 

6만군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조금 있으면 내가 하늘과 땅과 바다와 육지를 진동시킬 것이요 7또한 모든 나라를 진동시킬 것이며 모든 나라의 보배가 이르리니 내가 이 성전에 영광이 충만하게 하리라 만군의 여호와의 말이니라 (2:6-7)

 

그리고 스가랴에서는 거듭남의 과정 가운데 있는 사람과 관련하여

 

7여호와께서 아시는 한 날이 있으리니 낮도 아니요 밤도 아니라 어두워 갈 때에 빛이 있으리로다 8그 날에 생수가 예루살렘에서 솟아나서 절반은 동해로, 절반은 서해로 흐를 것이라 여름에도 겨울에도 그러하리라 (14:7-8)

 

시편 또한 지금은 황폐한 상태이나 앞으로는 거듭나 주님을 경배하게 될 사람을 묘사하면서

 

33여호와는 궁핍한 자의 소리를 들으시며 자기로 말미암아 갇힌 자를 멸시하지 아니하시나니 34천지가 그를 찬송할 것이요 바다와 그 중의 모든 생물도 그리할지로다 (69:33, 34)

 

스가랴를 보면 ‘땅’은 일종의 리시피언트(recipient, 그릇, 用器)로 나옵니다.

 

이스라엘에 관한 여호와의 경고의 말씀이라 여호와 곧 하늘을 펴시며 땅의 터를 세우시며 사람 안에 심령을 지으신 이가 이르시되 (12:1)

 

 

11-13

11하나님이 이르시되 땅은 풀과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라 하시니 그대로 되어 12땅이 풀과 각기 종류대로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13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셋째 날이니라

 

29

‘땅’(earth), 즉 사람이 주님으로부터 천적(天的, celestial)인 씨앗을 받아 뭔가 선하고 참된 열매를 맺을 준비가 되면이제 주님은 먼저 무슨 부드러운 것, 곧 ‘풀’(tender herb)을, 그리고 뭔가 좀 더 유용한, 그 안에 씨를 맺을 수 있는 것, 곧 ‘씨 맺는 채소’(herb yielding seed)를, 그리고 끝으로 열매까지 맺을 수 있는 어떤 선한 것, 곧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tree bearing fruit, whose seed is in itself)를 각기 종류대로 나게 하십니다. 거듭나는 중인 사람의 처음 상태, 퀄러티(quality)는 다음과 같은데요, 그는 자기가 행하는 선과 말하는 진리가 자기한테서 나오는 줄로 압니다. 모든 선과 모든 진리가 실제로는 주님으로부터 오는 건데도 말입니다. 누구나 다 이렇게 선과 진리가 자기로 말미암는 줄로 아는 한 그 사람은 아직 참된 신앙의 생명(the life of true faith) 가운데 있는 게 아닙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 그는 나중에는 이런 생활을 할 수 있게 될 겁니다. 이 모든 것은 그가 이런 게 주님으로 말미암는다는 것을 아직은 믿을 수 없는, 그는 이제 겨우 신앙의 생명을 받아들일 준비를 하는 단계, 상태에 있을 뿐이기 때문입니다. 이 상태를 여기서는 못 움직이는(inanimate) 걸로, 그리고 이어지는 다음 상태에서는 움직이는(animate) 걸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2] 주님이 복음서 여러 본문에서 마지못해 친히 언급하신 것처럼, 주님은 씨 뿌리는 농부요, ‘씨’(seed)는 그분의 말씀이고, ‘땅’(earth)은 사람입니다 (13:19-24, 37-39; 4:14-21; 8:11-16).

 

19아무나 천국 말씀을 듣고 깨닫지 못할 때는 악한 자가 와서 그 마음에 뿌려진 것을 빼앗나니 이는 곧 길가에 뿌려진 자요 20돌밭에 뿌려졌다는 것은 말씀을 듣고 즉시 기쁨으로 받되 21그 속에 뿌리가 없어 잠시 견디다가 말씀으로 말미암아 환난이나 박해가 일어날 때에는 곧 넘어지는 자요 22가시떨기에 뿌려졌다는 것은 말씀을 들으나 세상의 염려와 재물의 유혹에 말씀이 막혀 결실하지 못하는 자요 23좋은 땅에 뿌려졌다는 것은 말씀을 듣고 깨닫는 자니 결실하여 어떤 것은 백 배, 어떤 것은 육십 배, 어떤 것은 삼십 배가 되느니라 하시더라 24예수께서 그들 앞에 또 비유를 들어 이르시되 천국은 좋은 씨를 제 밭에 뿌린 사람과 같으니, 37대답하여 이르시되 좋은 씨를 뿌리는 이는 인자요 38밭은 세상이요 좋은 씨는 천국의 아들들이요 가라지는 악한 자의 아들들이요 39가라지를 뿌린 원수는 마귀요 추수 때는 세상 끝이요 추수꾼은 천사들이니 (13:19-24, 37-39)

 

14뿌리는 자는 말씀을 뿌리는 것이라 15말씀이 길가에 뿌려졌다는 것은 이들을 가리킴이니 곧 말씀을 들었을 때에 사탄이 즉시 와서 그들에게 뿌려진 말씀을 빼앗는 것이요 16또 이와 같이 돌밭에 뿌려졌다는 것은 이들을 가리킴이니 곧 말씀을 들을 때에 즉시 기쁨으로 받으나 17그 속에 뿌리가 없어 잠깐 견디다가 말씀으로 인하여 환난이나 박해가 일어나는 때에는 곧 넘어지는 자요 18또 어떤 이는 가시떨기에 뿌려진 자니 이들은 말씀을 듣기는 하되 19세상의 염려와 재물의 유혹과 기타 욕심이 들어와 말씀을 막아 결실하지 못하게 되는 자요 20좋은 땅에 뿌려졌다는 것은 곧 말씀을 듣고 받아 삼십 배나 육십 배나 백 배의 결실을 하는 자니라 (4:14-20)

 

11이 비유는 이러하니라 씨는 하나님의 말씀이요 12길가에 있다는 것은 말씀을 들은 자니 이에 마귀가 가서 그들이 믿어 구원을 얻지 못하게 하려고 말씀을 그 마음에서 빼앗는 것이요 13바위 위에 있다는 것은 말씀을 들을 때에 기쁨으로 받으나 뿌리가 없어 잠깐 믿다가 시련을 당할 때에 배반하는 자요 14가시떨기에 떨어졌다는 것은 말씀을 들은 자이나 지내는 중 이생의 염려와 재물과 향락에 기운이 막혀 온전히 결실하지 못하는 자요 15좋은 땅에 있다는 것은 착하고 좋은 마음으로 말씀을 듣고 지키어 인내로 결실하는 자니라 (8:11-15)

 

같은 취지로, 주님은 다음과 같은 설명을 보태셨습니다.

 

26또 이르시되 하나님의 나라는 사람이 씨를 땅에 뿌림과 같으니 27그가 밤낮 자고 깨고 하는 중에 씨가 나서 자라되 어떻게 그리 되는지를 알지 못하느니라 28땅이 스스로 열매를 맺되 처음에는 싹이요 다음에는 이삭이요 그다음에는 이삭에 충실한 곡식이라 (4:26-28)

 

‘하나님의 나라’(kingdom of God)는 일반적으로는 천국 전체(the universal heaven)를, 그보다 덜 일반적으로는 주님의 참된 교회(the true church)를, 그리고 특별히는 참된 신앙(true faith)의 사람, 즉 신앙생활을 통해 거듭나는 모든 사람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그런 사람을 또한 ‘천국’(heaven)이라고도 하는데, 그것은 그의 안에 천국이 있기 때문이지요. ‘하나님의 나라’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하나님의 나라가 그의 안에 있기 때문인데요, 주님이 친히 이 사실을 가르치셨습니다. 누가복음입니다.

 

20바리새인들이 하나님의 나라가 어느 때에 임하나이까 묻거늘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하나님의 나라는 볼 수 있게 임하는 것이 아니요 21또 여기 있다 저기 있다고도 못하리니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느니라 (17:20, 21)

 

이것은 사람의 거듭남 연속 단계 중 세 번째 상태인데요, 이 상태는 뉘우침(repentance, 회개)의 상태, 곧 그늘에서 빛으로, 저녁에서 아침으로 진행하는 상태와 같은 상태입니다. 그래서 13절에,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셋째 날이니라’(and the evening and the morning were the third day) 하신 것입니다.

 

 

오늘 본문에 대한 주석은 여기까지이며, 오늘은 특별히 맨 끝에 언급한 ‘회개(repentance)에 대해서만 살피고, 이어서 성찬을 진행하겠습니다.

 

구원을 받고자 하는 사람은 반드시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must confess) 회개해야(must do repentance) 합니다. (AC.8387)

 

죄를 고백한다는 것은 악에 대한 철저한 숙지(to become acquainted with), 그걸 자기 안에서 보고(to see) 시인(to acknowledge), 그 결과 자기 자신을 죄인으로 여긴(to regard) 후, 이러한 이유로 자신을 정죄하는(to condemn) 것입니다. 이런 과정을 하나님 앞에서 행하는 것, 이런 게 죄를 고백하는 것입니다. (AC.8388)

 

회개한다는 건 사람이 그렇게 죄를 고백 및 그 죄에 대한 용서를 겸손하게 간구한 후(has made supplication for), 그런 죄짓는 걸 그치고(to desist from) 신앙의 계명들을 따라 새로운 삶으로 인도함을 받는 것(to lead a new life)입니다. (AC.8389)

 

그가 자신은 남들과 같이 죄인임을 그저 시인만 할 뿐인, 그리고 자신을 모든 악에 대해 유죄로 여기면서도 정작 자신을 살피지는(examine) 않는, 즉 자신의 죄를 직시하지는 않는 그런 사람이라면 그는 고백이라는 걸 하긴 하지만, 그러나 회개의 고백을 하는 건 아닙니다. 그가 전에 하던 대로 후에도 그대로 살기 때문입니다. (AC.8390)

 

신앙생활을 하는(leads a life of faith) 사람은 날마다 회개하는데요, 그는 자기 안에 있는 악을 반성(reflects upon), 시인 및 대적(guards against), 그리고 주님의 도우심을 간구하기(supplicates for) 때문입니다. 사람은 자신의 힘으로는 계속해서 넘어지지만 주님에 의해서는 계속해서 일으키심을 얻기 때문이지요. 사람은 욕망을 품고 악한 걸 생각할 때는 넘어지지만, 그러나 악을 대적할 때는, 그리고 그 결과 악을 행하지 않을 때는 주님에 의해 일어납니다. 그런 게 선 안에 있는 사람들의 상태입니다. 악 안에 있어 끊임없이 넘어지는 자들 또한 주님은 끊임없이 일으키시지만, 그러나 이 경우는 그들로 하여금 모든 지옥 중 가장 끔찍한 지옥으로 떨어지는 걸 막으심일 뿐인데요, 그들 스스로 그렇게 기울어져 가는 자신들을 온 힘을 다해 발버둥 치는 만큼만이며, 그래서 사실은 그들을 좀 더 부드러운 지옥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일 뿐입니다. (AC.8391)

 

자유롭게 행한 회개는 도움이 되지만 무슨 강압적 상태 속에서 행한 회개는 그렇지 않습니다. 강압적 상태라는 건 무슨 큰 병에 걸린 상태라든지 불행이 닥쳐 몹시 낙담한 상태, 혹은 죽음이 임박한 상태 등, 한 마디로 건전한 이성의 사용을 방해하는 모든 두려움의 상태를 말합니다. 이런 강압적 상태에 놓이게 된 악인은 회개를 약속, 선행을 하여 자유로운 상태가 되지만 그렇게 되면 그는 이전의 그 악한 생활로 돌아갑니다. 선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데요 그에게는 그가 정복하는 유혹의 상태가 될 뿐입니다. (AC.8392)

 

입으로 하는 회개, 그리고 삶이 받쳐주지 않는 회개는 회개가 아닙니다. 죄는 그런 걸로가 아닌, 삶의 회개, 생활의 회개로 용서받습니다. 주님은 사람의 죄를 계속 용서해 주십니다. 주님은 자비 그 자체이시기 때문이지요. 그럼에도 죄는 여전히 그 사람에게 붙어 있습니다. 아무리 그가 ‘나는 죄 사함을 받았어’라고 할지라도 그가 신앙의 계명들을 따라 살지 않는 이상은 죄는 그에게서 제거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가 이들 계명에 따라 사는 만큼 그의 죄는 제거되며, 그의 죄가 제거되는 만큼 그는 죄 사함을 받습니다. 주님으로 말미암아 사람은 악에서 물러나 선에 머물게 됩니다. 그가 이 세상에서 몸 안에 살면서 악에 저항한 만큼 그는 저세상에서도 악에서 물러날 수 있으며, 그가 이 세상 삶을 통해 애정으로 선을 행한 만큼 그는 저세상에서도 선 안에 머물 수 있습니다. 이 사실은 죄 사함이라는 게 뭔지, 그리고 그게 어디서 오는 건지를 보여 줍니다. 그밖에 무슨 다른 방식으로 죄 사함을 받을 수 있다 믿는 사람은 크게 착각하고 있는 것입니다. (AC.8393)

 

사람은 스스로를 살피고 자기 죄를 시인하며 회개한 후에는 생의 마지막까지 선 안에 늘 머물러 있어야(must remain constant in) 합니다. 만일 나중에 이전 악한 삶으로 돌아가 거기 빠지게 되면, 그게 바로 신성모독의 죄를 범하는 건데요, 그때 그는 악을 선으로 결합, 그 결과 그의 나중 상태는 이전 상태보다 더 나빠집니다. 다음 주님의 말씀처럼 말입니다.

 

43더러운 귀신이 사람에게서 나갔을 때에 물 없는 곳으로 다니며 쉬기를 구하되 쉴 곳을 얻지 못하고 44이에 이르되 내가 나온 내 집으로 돌아가리라 하고 와 보니 그 집이 비고 청소되고 수리되었거늘 45이에 가서 저보다 더 악한 귀신 일곱을 데리고 들어가서 거하니 그 사람의 나중 형편이 전보다 더욱 심하게 되느니라 이 악한 세대가 또한 이렇게 되리라 (12:43-45) (AC.8394)

 

※ 이 말씀에서 더러운 귀신이 물 없는 곳으로 다니며 쉬기를 구하’는 이유는, ’이 주님으로 말미암는 선과 진리에 관한 지식을 의미하기 때문이며, 그 집이 비고 청소되고 수리되었거늘’, 즉 그 집이 청소되고 수리되었음에도 비어 있다는 것은, 수고롭게 청소하고 수리한 것까지는 좋았으나 정작 주님으로 말미암는 선과 진리에 관한 지식으로 채워넣지를 않았다는 것입니다. 이런 상태가 바로 주님이 보실 때, 당시 유대인들의 상태였습니다. 이들은 부지런히 제사 관련, 온갖 제의를 부지런히, 그리고 정말 고집스럽게 행했지만, 정작 그런 제의에 담긴 속뜻은 전혀 모른 채, 그러니까 그런 제의가 정작 표상하는 바가 무엇인지는 전혀 모른 채, 겉으로만, 즉 겉으로 드리는 예배에만 집중하였기 때문에 그 속이 텅 비어 있었던 것입니다.

 

오늘 셋째 날, 곧 거듭남의 세 번째 상태를 ‘회개(repentance)의 상태라 한 이유를 회개에 대한 위와 같은 설명을 통해 생각해 보면, 이 세 번째 상태, 곧 ‘땅은 풀과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라 하시니 그대로 되어 땅이 풀과 각기 종류대로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는 상태는, ‘자기가 행하는 선과 말하는 진리가 자기한테서 나오는 줄로 아는’ 상태, 주님이 사람을 소생시키실 때, 즉 그로 하여금 생명을 향해 거듭나게 하실 때, 주님은 먼저 ‘그가 선을 행하는 것도 자기요, 진리를 말하는 것도 자기 자신이라고 여기는 것을 허락하시는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어린 손주들을 보면 다들 제 잘난 맛에 살지만, 그러나 우리는 아, 이쁘다, 이쁘다 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이 상태를 지나면서 사람은 저런 ‘회개’를 하게 되기 때문됩니다. 즉 철이 드는 것이지요.

 

이 거듭남의 상태들을 잘 살피면 현재 나는 어느 단계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부디 다들 바른 판단들을 하셔서 인생을 너무 돌아가지 않으시기를, 가급적 지름길로들 가시기를 축원합니다. 아멘

 

설교

2025-08-03(D1)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2025-08-03(D1)-주일예배(2609, 창1,9-13, AC.27-29), ‘셋째 날, 풀, 채소, 나무’의 속뜻.pdf
0.38MB
성찬.pdf
0.14MB

 


아래 링크는 오늘 설교의 유튜브 오디오입니다.

 

 

주일예배(2025/8/10, 창1:14-19), ‘넷째 날, 두 큰 광명체’의 속뜻

‘넷째 날, 두 큰 광명체’의 속뜻 (창1:14-19) 14하나님이 이르시되 하늘의 궁창에 광명체들이 있어 낮과 밤을 나뉘게 하고 그것들로 징조와 계절과 날과 해를 이루게 하라 15또 광명체들이 하늘의

bygrace.kr

 

주일예배(2025/7/27, 창1:6-8), ‘둘째 날, 궁창’의 속뜻

‘둘째 날, 궁창’의 속뜻 (창1:6-8) 6하나님이 이르시되 물 가운데에 궁창이 있어 물과 물로 나뉘라 하시고 7하나님이 궁창을 만드사 궁창 아래의 물과 궁창 위의 물로 나뉘게 하시니 그대로 되니

bygrace.kr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