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11

 

1온 땅의 언어가 하나요 말이 하나였더라 2이에 그들이 동방으로 옮기다가 시날 평지를 만나 거기 거류하며 3서로 말하되 자, 벽돌을 만들어 견고히 굽자 하고 이에 벽돌로 돌을 대신하며 역청으로 진흙을 대신하고 4또 말하되 자, 성읍과 탑을 건설하여 그 탑 꼭대기를 하늘에 닿게 하여 우리 이름을 내고 온 지면에 흩어짐을 면하자 하였더니 5여호와께서 사람들이 건설하는 그 성읍과 탑을 보려고 내려오셨더라 6여호와께서 이르시되 이 무리가 한 족속이요 언어도 하나이므로 이같이 시작하였으니 이 후로는 그 하고자 하는 일을 막을 수 없으리로다 7자, 우리가 내려가서 거기서 그들의 언어를 혼잡하게 하여 그들이 서로 알아듣지 못하게 하자 하시고 8여호와께서 거기서 그들을 온 지면에 흩으셨으므로 그들이 그 도시를 건설하기를 그쳤더라 9그러므로 그 이름을 바벨이라 하니 이는 여호와께서 거기서 온 땅의 언어를 혼잡하게 하셨음이니라 여호와께서 거기서 그들을 온 지면에 흩으셨더라

 

 

1279. 1절로 9절에서 다루는 주제는 첫 번째 고대교회로서, 홍수 후에 있었던 교회입니다. The subject treated of is the first ancient church, which was after the flood (verses 1–9).

 

 

1280. 1절은 그 첫 번째 상태로서, 모두가 하나의 교리를 갖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Concerning its first state, that all had one doctrine (verse 1);

 

※ ‘언어’는 교리, ‘’은 교회이며, ‘온 땅의 언어가 하나요’는 전반적으로, ‘말이 하나였더라’는 구체적으로라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즉, 다양하게 퍼져나간 고대교회의 내적, 외적 예배의 모양과 형태는 저마다 다 달랐지만, 처음, 곧 아직까지는 하나의 교리였다는 말이며, 이것은 마치 신체 내 각 장기와 모든 지체가 저마다 그 역할과 기능은 다 다르지만 한가지로 움직이는 것과 같다 하겠습니다. (AC.1284)

 

2절은, 그 두 번째 상태, 곧 그 교리가 외면받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its second state, that it began to decline (verse 2);

 

※ ‘동방으로 옮기다가’는 그들이 체어리티의 삶에서 점점 후퇴하였음을, ‘시날 평지를 만나’는 그들의 예배가 점점 불결해지고, 주님을 모독하게 되었음을 뜻하며, 이는 곧 그들이 처음 교리, 신학, 가르침을 가볍게 여기며 외면하게 되었음을 말합니다. (AC.1290-1292)

 

3절, 세 번째 상태, 탐욕에서 나온 거짓들이 군림하기 시작했음을 its third, that the falsities of yearnings began to reign (verse 3);

 

※ ‘자, 벽돌을 만들어 견고히 굽자’는 자기들을 위해 변화시킨 거짓과 자기 사랑에서 온 악을 말하며, ‘벽돌로 돌을’은 거짓으로 진리를, ‘역청으로 진흙을’은 탐욕으로 선을 각각 대신하는 것입니다. ‘서로 말하되’는 이런 일이 시작되었다는 것입니다.

 

4절, 네 번째 상태입니다. 사람들이 신성한 예배를 가지고 지배력을 행사하기 시작했다는 말씀입니다. its fourth, that men began to exercise dominion by means of Divine worship (verse 4)

 

※ ‘성읍과 탑을 건설하여’는 그들이 교리와 예배의 틀, 프레임을 짰음을, 여기 ‘성읍’은 교리, ‘탑’은 자아를 예배함입니다. ‘그 탑 꼭대기를 하늘에 닿게 하여’는 그들의 지배권이 하늘에 속한 것들에까지 미치도록을, ‘우리 이름을 내고’는 그런 식으로 유명해져서 권세를 누리고자 함을, ‘온 지면에 흩어짐을 면하자’는 이런 방법 말고는 자기들이 인정받을 길이 없음을 각각 의미합니다.

 

5절, 6절입니다. 이런 이유로, 그 교회의 상태가 변했습니다. and therefore the state of the church was changed (verses 5–6);

 

※ ‘여호와께서 내려오셨더라’는 그들 위에 내려질 심판을, ‘그 성읍과 탑을 보려고’는 그들이 교리를 뒤집고 예배를 모독했기 때문임을, ‘사람들이 건설하는’은 그들이 자기들을 위해 그런 걸 고안하였음을, ‘이 무리가 한 족속이요 언어도 하나이므로’는 그들 모두 신앙과 교리에 관한 하나의 진리를 가졌음을, ‘이같이 시작하였으니’는 그들이 지금 변화에 대한 추구를 시작했음을, ‘이 후로는 그 하고자 하는 일을 막을 수 없으리로다’는 그들의 상태가 지금 안 바뀌면...을, ‘여호와께서 이르시되’는 이상과 같은 일이 일어났음을 각각 의미합니다.

 

7절로 9절입니다. 그 결과, 신앙의 선을 가진 사람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so that none had the good of faith (verses 7–9).

 

※ 7절, ‘자, 우리가 내려가서’는 그 결과, 심판을 초래하게 되었음을, 아, 그리고 잠깐, 여기 ‘우리’라는 복수 형태가 사용되는 이유는, 이것이 심판의 집행이고, 이 집행은 영들, 실제로는 악한 영들에 의해서 집행되기 때문입니다. 계속해서, ‘그들의 언어를 혼잡하게 하여’는 어느 누구도 교리의 진리를 갖고 있지 않음을, ‘그들이 서로 알아듣지 못하게’는 모두가 서로 상충되는 가운데 있음을, 8절, ‘여호와께서 거기서 그들을 온 지면에 흩으셨으므로’는 그들은 인정받지 못했음을, ‘그들이 그 도시를 건설하기를 그쳤더라’는 그런 교리는 받으시지 않았음을, 9절, ‘그러므로 그 이름을 바벨이라 하니’는 그런 예배, 곧 주님을 향한 예배에 자아 사랑이 저변에 깔려 있어 몹시 불결, 순수를 짓밟은 예배, 즉, ‘바벨’이라 하는 예배를, ‘이는 여호와께서 거기서 온 땅의 언어를 혼잡하게 하셨음이니라’는 이 고대교회의 상태, 곧 내적 예배가 소멸되기 시작한 상태를, 여기 ‘땅’은 교회입니다. ‘여호와께서 거기서 그들을 온 지면에 흩으셨더라’는 내적 예배가 전멸했음을 각각 의미합니다.

 

 

10셈의 족보는 이러하니라 셈은 백 세 곧 홍수 후 이 년에 아르박삿을 낳았고 11아르박삿을 낳은 후에 오백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12아르박삿은 삼십오 세에 셀라를 낳았고 13셀라를 낳은 후에 사백삼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14셀라는 삼십 세에 에벨을 낳았고 15에벨을 낳은 후에 사백삼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16에벨은 삼십사 세에 벨렉을 낳았고 17벨렉을 낳은 후에 사백삼십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18벨렉은 삼십 세에 르우를 낳았고 19르우를 낳은 후에 이백구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20르우는 삼십이 세에 스룩을 낳았고 21스룩을 낳은 후에 이백칠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22스룩은 삼십 세에 나홀을 낳았고 23나홀을 낳은 후에 이백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24나홀은 이십구 세에 데라를 낳았고 25데라를 낳은 후에 백십구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26데라는 칠십 세에 아브람과 나홀과 하란을 낳았더라

 

 

1281. 두 번째 고대교회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 교회는 에벨로 명명되며, 그 퍼져나감 및 상태, 그리고 결국엔 우상숭배로 종말을 고하게 됩니다. The second ancient church is then treated of—which was named from Eber—and its derivation and state, which finally ended in idolatry (verses 10–26).

 

※ 10절입니다. ‘셈의 족보는 이러하니라’는 두 번째 고대교회의 퍼져나감을, ‘셈’은 일반적으로 내적 예배를, ‘백 세’는 시작 당시 이 교회의 상태를, ‘아르박삿’은 이 이름으로 명명된 나라였으며, 기억-지식(memory-knowledge)을 상징함을, ‘홍수 후 이 년’은 홍수 후 두 번째 교회임을 각각 상징합니다. (AC.1329)

 

가급적 반복되는 표현들은 빼고, 좀 특별한 표현들 위주로 풀이를 달겠습니다.

 

11절, ‘아르박삿을 낳은 후에 오백 년을 지내며’는 셈이라는 교회가 아르박삿 이후 존속한 기간과 상태를, ‘자녀를 낳았으며’는 교리적 것들을 각각 상징합니다. (AC.1336)

 

12절, ‘아르박삿은 삼십오 세에’는 두 번째 상태의 시작 및, 뿐만 아니라, 두 번째 상태 자체를, ‘셀라를 낳았고’는 그렇게 파생됨을 상징합니다. 셀라는 그 이름으로 명명된 나라이며, 기억-지식에 존재하는 것을 이 이름으로 상징하고 있습니다. (AC.1339)

 

14절, ‘셀라는 삼십 세에’는 세 번째 상태의 시작을, ‘에벨을 낳았고’에서 ‘에벨’은 그 이름으로 부르던 나라였으며, 히브리 나라는 이 에벨을 아버지로 한 나라입니다. 히브리 나라는 일반적으로 이 두 번째 고대교회의 예배를 상징합니다. (AC.1342)

 

16절, ‘에벨은 삼십사 세에’는 이 교회의 네 번째 상태의 시작을, ‘벨렉을 낳았고’, 벨렉은 앞장 25절은 보면,

 

25에벨은 두 아들을 낳고 하나의 이름을 벨렉이라 하였으니 그 때에 세상이 나뉘었음이요 벨렉의 아우의 이름은 욕단이며 (창10:25)

 

‘그 때에 세상이 나뉘었음이요’, 벨렉은 그의 아우 욕단과 함께 이 두 번째 고대교회를 표현했기 때문입니다. (AC.1345)

 

벨렉과 욕단은 에벨이라는 교회의 두 예배, 곧 내적 예배인 벨렉과, 외적 예배인 욕단을 의미합니다. ‘땅’은 교회를 의미하므로, ‘땅’, 곧 ‘세상이 나뉘었다’는 것은, 새로운 교회가 일어났음을 말합니다.

 

18절, ‘벨렉은 삼십 세에’는 다섯 번째 상태의 시작을, ‘르우’는 훨씬 더 외적인 예배를 상징합니다. (AC.1347)

 

20절, ‘르우는 삼십이 세에’는 여섯 번째 상태의 시작을, ‘스룩’은 외적인 것들 가운데서 드리는 예배를 말합니다. (AC.1349)

 

22절, ‘스룩은 삼십 세에’는 이 교회의 일곱 번째 상태의 시작을, ‘나홀’은, 예배가 외적인 것에 치중하다가 아예 우상숭배로 기울어진, 그런 예배를 말합니다. (AC.1351)

 

24절, ‘나홀은 이십구 세에’는 이 교회의 여덟 번째 상태이 시작을, ‘데라’는 우상숭배를 말합니다. (AC.1353)

 

26절입니다. ‘데라는 칠십 세에’는 아홉 번째 상태의 시작을, 그리고 이 상태가 끝입니다. 아브라함, 나홀, 하란부터는 실제 했던 인물들(persons)이었습니다. (AC.1355)

 

창1부터 여기 아브라함 전까지는 고대인들의 문체인 일종의 스토리텔링입니다. 긴 역사, 생생한 많은 일들을 무슨 재미난 역사서술식 이야기로 함축적으로 풀어내는 것이며, 고대인들은 이런 문체를 즐겼다고 합니다.

 

그래서 창세기 처음 열한 장은 글자 그대로인 겉 글자의 뜻으로 읽으면 여러 난센스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말씀(The Word)은 모두 네 가지 문체로 기록되었는데, 이와 관련한 이야기는 따로 시간을 내겠습니다.

 

 

27데라의 족보는 이러하니라 데라는 아브람과 나홀과 하란을 낳고 하란은 롯을 낳았으며 28하란은 그 아비 데라보다 먼저 고향 갈대아인의 우르에서 죽었더라 29아브람과 나홀이 장가 들었으니 아브람의 아내의 이름은 사래며 나홀의 아내의 이름은 밀가니 하란의 딸이요 하란은 밀가의 아버지이며 또 이스가의 아버지더라 30사래는 임신하지 못하므로 자식이 없었더라 31데라가 그 아들 아브람과 하란의 아들인 그의 손자 롯과 그의 며느리 아브람의 아내 사래를 데리고 갈대아인의 우르를 떠나 가나안 땅으로 가고자 하더니 하란에 이르러 거기 거류하였으며 32데라는 나이가 이백오 세가 되어 하란에서 죽었더라

 

 

1282. 세 번째 고대교회의 기원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교회는 우상숭배로 시작, 표상(表象) 교회, 표현(representative) 교회가 되었습니다. The origin of a third ancient church is treated of, which from being idolatrous became representative (verses 27–32).

 

※ 27절, ‘데라의 족보는 이러하니라’는 우상숭배의 기원과 그 파생되어 나감, 그리고 거기서 표상교회가 나왔음을 가리킵니다. ‘데라’ 하면 우상숭배(idolatrous worship)를 상징합니다. (AC.1359)

 

※ 우상숭배는 크게 세 종류입니다. 자기를 사랑함, 세상을 사랑함, 그리고 감각을 사랑함, 곧 관능적 기쁨을 추구하는 것이지요. 이 세 종류의 우상숭배를 데라의 세 아들, 아브라함, 나홀, 그리고 하란으로 상징하고 있습니다. (AC.1357)

 

※ 표현(representative)이라는 것은 그야말로 표현, 즉 그것의 속이 아닌, 겉만 취하는 것입니다. 가령, 꼭 선한 왕이 아닌, 아주 악한 왕이라 하더라도 왕은 주님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 왕이 어떤 삶을 살았느냐가 아니라 왕의 기능과 역할을 취하여 주님을 표현하기 때문입니다. 무대 위 배우들이 실제 그 배우의 성품이 아닌, 극 중 인물을 표현하는 것과 같습니다. (AC.1361)

 

※ 유대교회에서, 그리고 말씀에서 ‘표현’된 것은 주님과 주님의 왕국, 곧 사랑의 천적인 것들과, 신앙의 영적인 것들입니다. 또 이것들에 속하는 많은 것들, 곧 교회에 속하는 모든 것이 표현됩니다. (AC.1361)

 

※ 교회가 표현뿐인 교회가 된 이유는 내적 예배가 완전히 사라지고 우상숭배로 전락했을지라도 여전히 지상은 천국과, 즉 주님은 천국을 통하여 인간과 어떤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AC.1361)

 

28절, ‘하란은 그 아비 데라보다 먼저 고향 갈대아인의 우르에서 죽었더라’는 내적 예배는 완전히 잊히고, 껍데기뿐인 우상숭배가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하란’은 내적 우상숭배를, ‘그 아비 데라’는 일반적으로 우상숭배를, ‘고향’은 그것이 발원한 기원을, ‘갈대아인의 우르’는 그 안에 거짓이 있는 외적 예배를 작각 상징합니다. (AC.1365)

 

29절, ‘아브람과 나홀이 장가 들었으니 아브람의 아내의 이름은 사래며 나홀의 아내의 이름은 밀가니 하란의 딸이요 하란은 밀가의 아버지이며 또 이스가의 아버지더라’는 우상숭배, 곧 우상을 섬기는 예배 가운데 보면, 악과 거짓 간 결혼들이 있는데 바로 그걸 의미하는 것입니다. 남편들은 악을, 아내들은 거짓을 상징합니다. (AC.1369)

 

※ 아브라함과 사라 등에 대한 선입견 때문에 위와 같은 속뜻이 좀 불편할 수는 있겠지만, 위에서 말한 ‘표현’의 의미를 붙잡으시기 바랍니다.

 

30절, ‘사래는 임신하지 못하므로 자식이 없었더라’는 악과 거짓이었던 것이 더 이상 무슨 재생산이 없었음을 말합니다. (AC.1371)

 

31절, ‘데라가 그 아들 아브람과 하란의 아들인 그의 손자 롯과 그의 며느리 아브람의 아내 사래를 데리고 갈대아인의 우르를 떠나 가나안 땅으로 가고자 하더니 하란에 이르러 거기 거류하였으며’는 우상숭배 가운데 있었던 사람들이 신앙의 천적, 영적인 것들에 관한 가르침을 받아 바야흐로 본격적인 표상교회를 시작하게 되었음을 말합니다. (AC.1373)

 

32절, ‘데라는 하란에서 죽었더라’는 우상숭배, 곧 우상을 향한 예배를 그치고, 아브람을 통한 표상교회(a representative church)를 시작함을 의미합니다.

2021-09-10(D6)-매일예배(2188, 아케이나말씀리딩.창11), '바벨, 에벨, 아브라함, 고대교회의 세 상태'.hwp
0.07MB

https://youtu.be/rZnpV5-1aZY

 

한결같은교회.매일예배(9/10, 아케이나말씀리딩.창11), '바벨, 에벨, 아브라함, 고대교회의 세 상태

관련 블로그 : https://bygracetistory.tistory.com/664

youtu.be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