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 없는 진리, 체어리티(charity) 없는 신앙

 

 

24또 그들 사이에 그 중 누가 크냐 하는 다툼이 난지라 25예수께서 이르시되 이방인의 임금들은 그들을 주관하며 그 집권자들은 은인이라 칭함을 받으나 26너희는 그렇지 않을지니 너희 중에 큰 자는 젊은 자와 같고 다스리는 자는 섬기는 자와 같을지니라 27앉아서 먹는 자가 크냐 섬기는 자가 크냐 앉아서 먹는 자가 아니냐 그러나 나는 섬기는 자로 너희 중에 있노라 28너희는 나의 모든 시험 중에 항상 나와 함께 한 자들인즉 29내 아버지께서 나라를 내게 맡기신 것 같이 나도 너희에게 맡겨 30너희로 내 나라에 있어 내 상에서 먹고 마시며 또는 보좌에 앉아 이스라엘 열두 지파를 다스리게 하려 하노라 31시몬아, 시몬아, 보라 사탄이 너희를 밀 까부르듯 하려고 요구하였으나 32그러나 내가 너를 위하여 네 믿음이 떨어지지 않기를 기도하였노니 너는 돌이킨 후에 네 형제를 굳게 하라 33그가 말하되 주여 내가 주와 함께 옥에도, 죽는 데에도 가기를 각오하였나이다 34이르시되 베드로야 내가 네게 말하노니 오늘 닭 울기 전에 네가 세 번 나를 모른다고 부인하리라 하시니라 (눅22:24-34)

 

 

다음은 마가복음 10장에 나오는 말씀입니다.

 

35세베대의 아들 야고보와 요한이 주께 나아와 여짜오되 선생님이여 무엇이든지 우리가 구하는 바를 우리에게 하여 주시기를 원하옵나이다 36이르시되 너희에게 무엇을 하여 주기를 원하느냐 37여짜오되 주의 영광중에서 우리를 하나는 주의 우편에, 하나는 좌편에 앉게 하여 주옵소서 38예수께서 이르시되 너희는 너희가 구하는 것을 알지 못하는도다 내가 마시는 잔을 너희가 마실 수 있으며 내가 받는 세례를 너희가 받을 수 있느냐 39그들이 말하되 할 수 있나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너희는 내가 마시는 잔을 마시며 내가 받는 세례를 받으려니와 40내 좌우편에 앉는 것은 내가 줄 것이 아니라 누구를 위하여 준비되었든지 그들이 얻을 것이니라 41열 제자가 듣고 야고보와 요한에 대하여 화를 내거늘 (막10:35-41)

 

※ 다음은 새 교회 이순철 목사님의 에피소드입니다.

 

이 말씀을 읽으면서 얼마 전 미국 제너럴 처치 목회자 회의에서 있었던 일이 생각났습니다. 회의 도중에 제너럴 처치의 어떤 직책을 맡을 사람을 뽑았는데, 투표 결과 아시아에서는 일본 목사님이 선출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자리에 대한 욕심이 없다고 생각했는데, 서운하다고 할까 그런 생각이 잠깐 들었습니다. 한국 목회자들도 여럿 있는데 왜 일본 목회자인가 하는 생각이었겠지요. 오늘 말씀을 읽으면서 그때 그런 생각도 어쩌면 야고보와 요한 형제에게 다른 제자들이 화를 내는 심리 같은 것이었나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오늘 본문에도 주님의 제자들끼리 서로 다투는 모습이 나옵니다. 그것을 24절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24또 그들 사이에 그 중 누가 크냐 하는 다툼이 난지라

 

주님의 제자들은 주님과 늘 함께 다니며 주님에게서 천국에 대한 말씀을 수도 없이 들었을 것입니다. 그런데도 세상 사람들처럼 서로 누가 더 크냐 하며 동료들과 다툽니다. 그들이 그러는 이유에 대해 ‘천국의 비밀’ 3417번 글 3번 항은

 

기억의 지식 안에만 있고, 인애(charity)의 삶 안에 있지 않은 사람은 남보다 우월함에서 오는 기쁨만 알고, 겸손과 섬김의 애정에서 비롯한 천국의 기쁨은 전혀 모른다. (이순철 역) Thus they who are in the memory-knowledge of knowledges, and not in the life of charity, cannot know that there is any other delight than that which results from preeminence; and because this is the only delight that is seated in their minds, and makes all their life, therefore they are utterly ignorant of the heavenly delight that results from humiliation and the affection of serving others—that is, the delight of love to the Lord and of charity toward the neighbor—consequently of the blessedness and happiness thence derived. (AC.3417.3)

 

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주님의 제자들이 남보다 높아지려 하고, 지배하기를 좋아하는 것은 진리를 알기만 하고, 행하지는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지요. 사실 우리도 그렇습니다. 새 교회 진리가 너무 좋고, 참으로 구원의 진리라는 걸 확신하지만, 정작 실천하지는 못할 때가 참으로 많습니다.

 

제자들이 다투는 모습을 보시고, 주님은 다음과 같이 말씀하십니다. 25절에서 27절까지 말씀입니다.

 

25예수께서 이르시되 이방인의 임금들은 그들을 주관하며 그 집권자들은 은인이라 칭함을 받으나 26너희는 그렇지 않을지니 너희 중에 큰 자는 젊은 자와 같고 다스리는 자는 섬기는 자와 같을지니라 27앉아서 먹는 자가 크냐 섬기는 자가 크냐 앉아서 먹는 자가 아니냐 그러나 나는 섬기는 자로 너희 중에 있노라

 

주님께서 이르시길, ‘이방인의 임금들은 그들을 주관하며 그 집권자들은 은인이라 칭함을 받으나 너희는 그렇지 않을지니’라 하십니다. 말씀에서 이방인은 교회 밖 사람을 뜻합니다. 그리고 임금과 집권자는 본래는 선이 있는 진리를 뜻하는데, 여기서는 이방인의 임금과 집권자라고 했기 때문에 선 없는 진리, 또는 체어리티(charity) 없는 신앙을 뜻합니다. 그러면 은인은 누굴까요? 은인은 주님이 주시는 선을 뜻합니다. 왜냐하면 신앙인들에게 은혜가 되는 것은 진리를 많이 아는 게 아니라 실천하는 것인데, 이때 진리 실천의 힘이 진리 안에 있는 선에서 나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말씀에서 은인은 선을 뜻합니다. 이런 의미들을 종합해 볼 때, ‘이방인의 임금들은 그들을 주관하며 그 집권자들은 은인이라 칭함을 받으나’라는 말씀은, 교회 밖 사람들은 선 없는 진리, 체어리티 없는 신앙을 마치 구원의 진리이며 신앙인 것처럼 생각한다는 뜻입니다. 그런 이유로 해서 이방인들 사이에서는 행하는 것보다는 진리를 많이 아는 사람이 높임을 받는 경향이 두드러짐을 봅니다.

 

주님께서는 이방인들은 그렇더라도 ‘너희는 그렇지 않을지니 너희 중에 큰 자는 젊은 자와 같고 다스리는 자는 섬기는 자와 같을지니라 나는 섬기는 자로 너희 중에 있노라’ 하십니다. 주님께서 너희라고 부른 제자들은 어떤 사람들입니까? 선 있는 진리, 즉 선을 동반한 진리 안에 있는 사람들입니다. 그러니까 진리를 알기만 하는 게 아니라 행하면서 가르치기까지 하는 사람들이 주님의 제자들인 것입니다. 따라서 ‘너희는 그렇지 않을지니’라 하신 것은 주님의 제자들은 이방인들과는 다르다는 겁니다. 어떻게 다를까요? 그것에 대해 주님은 ‘큰 자는 젊은 자와 같고 다스리는 자는 섬기는 자와 같을지니라’고 하십니다. 큰 자와 다스리는 자는 선 있는 진리, 선을 동반한 진리 안에 있는 사람을 뜻하고, 젊은 자와 같다, 섬기는 자와 같다는 것은 자신을 낮춰 이웃을 섬긴다는 뜻입니다. 선 있는 진리를 소유한 사람은 교회 밖 사람처럼 스스로 높아지려 하지 않고, 오히려 자신을 낮추고 이웃을 섬기려고 노력합니다. 선 있는 진리가 그렇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주님께서도 ‘나는 섬기는 자로 너희 중에 있노라’라고 하신 것입니다. 주님은 선 있는 진리 그 자체인 분이시기 때문입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주님의 제자들은 매우 세속적인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들은 주님이 언젠가 자기들을 모든 나라 사람 위에 높이 세우시고, 그 사람들을 다스리게 하실 거라고 믿었습니다. 유대인들 대다수가 메시아에 대해 그런 환상을 가졌습니다. 주님은 그들의 신앙이 비록 속되지만, 그러나 꺾지 않으셨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28, 9절입니다.

 

28너희는 나의 모든 시험 중에 항상 나와 함께 한 자들인즉 29내 아버지께서 나라를 내게 맡기신 것 같이 나도 너희에게 맡겨

 

주님께서 당신과 함께 시험을 견딘 사람에게 하나님의 나라를 맡기겠다고 하십니다. 사실 주님이 시험을 받으시는 동안 제자들이 한 일은 없습니다. 주님은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 지옥과 싸우셨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제자들을 가리켜 ‘나의 모든 시험 중에 항상 나와 함께 한 자들’이라 하신 것은, 하나님의 나라를 얻으려는 사람은 누구나 시험을 당하는데, 그때 혼자서는 싸울 수 없고, 항상 주님과 함께 싸워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시험에서 싸워 이길 때, 각 사람 안에 교회가 세워집니다. 그리고 사후에는 그 교회의 모습과 똑같은 천국의 사회로 들어갑니다. 그러므로 시험에서 이긴 사람들에게 맡겨질 하나님의 나라는 지위나 권세가 아닙니다. 거듭나는 사람 안에 세워지는 교회와 사후에 들어갈 천국을 뜻합니다. 제자들은 이 말씀을 그냥 문자적으로만 이해하고 기뻐했을 것입니다. 그런데도 주님이 이 말씀을 하신 까닭은, 말씀의 문자적 의미는 내적 진리로 들어가는 문과 같으며, 그러므로 언젠가 제자들이 이를 통해 내적 진리를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님께서 장차 시험을 받게 될 제자 시몬에게 다음과 같이 말씀하십니다. 31, 2절 말씀입니다.

 

31시몬아, 시몬아, 보라 사탄이 너희를 밀 까부르듯 하려고 요구하였으나 32그러나 내가 너를 위하여 네 믿음이 떨어지지 않기를 기도하였노니 너는 돌이킨 후에 네 형제를 굳게 하라

 

시몬은 주님의 제자 베드로를 뜻하는데, 속뜻으로는 선이 있는 진리, 또는 체어리티 있는 신앙 안에 있는 사람을 뜻합니다. 그러므로 주님께서 시몬아! 라고 부르시는 것은 선이 있는 진리 안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사탄이 너희를 밀 까부르듯 한다는 것은 시험을 뜻합니다. 신앙인들에게 시험은 마치 농부가 키로 곡식을 까불어 알곡과 쭉정이를 가려내는 일과 같습니다. 시험을 통해 마음속에서 거짓이 제거되고 진리가 남으며, 악이 제거되고 사랑과 체어리티가 남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님의 제자들에게는 시험이 꼭 필요합니다. 그러나 시험이 너무 깊으면 신앙을 잃어버릴 수도 있습니다. 그동안 새 교회에 나와 세례까지 받았던 분들이 여럿 계신데, 그중 일부는 시험을 이기지 못하시고 그만 교회를 떠나셨습니다. 그래서 주님은 ‘내가 너를 위하여 네 믿음이 떨어지지 않기를 기도하였노니’라 하십니다. 주님과 함께 혹독한 시험에서 이긴 제자들은 선 없는 진리에서 선 있는 진리로, 체어리티 없는 신앙에서 체어리티 있는 신앙으로 완전히 돌아서게 됩니다. 새 교회 교리에서는 이것을 신앙의 진리 상태에서 신앙의 선 상태로 옮겨가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신앙의 진리 상태는 진리를 믿기는 하는데 아직 실천하지는 못하는 상태이고, 신앙의 선 상태는 진리가 이끄는 대로 선을 행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본문에서 ‘돌이킨 후에’는 신앙의 진리 상태에서 신앙의 선 상태로 완전히 올라서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네 형제를 굳게 하라’는 것은 무슨 뜻일까요? 일단 신앙의 선 상태가 되면 다시는 신앙의 진리 상태로 돌아가지 않도록 주의하라는 뜻입니다. ‘형제’는 거듭나는 사람들이 소유하는 신앙의 선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33그가 말하되 주여 내가 주와 함께 옥에도, 죽는 데에도 가기를 각오하였나이다

 

앞에서 말한 것처럼 베드로는 사랑이 있는 신앙을 뜻합니다. 모든 교회가 처음에는 그렇게 순수하고 뜨거운 신앙으로 출발합니다. 그리고 그때 교회에 속한 사람들은 주님을 위해서라면 죽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베드로가 ‘주여 내가 주와 함께 옥에도, 죽는 데에도 가기를 각오하였나이다’ 라고 말한 것은 그런 뜻입니다. 그러니까 베드로의 이 각오는 교회가 처음 시작될 때, 신앙인들의 처음 사랑과 같은 것입니다. 그러나 그렇게 뜨겁던 사랑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식어가고 나중에는 신앙만 남게 됩니다. 교회의 마지막 때 사람들의 신앙을 34절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34이르시되 베드로야 내가 네게 말하노니 오늘 닭 울기 전에 네가 세 번 나를 모른다고 부인하리라 하시니라

 

닭 울기 전은 새벽을 뜻합니다. 영적 의미로 새벽은 기존 교회의 마지막 때이며, 동시에 주님이 오셔서 새 교회를 세우시는 때입니다. 베드로가 세 번 주님을 부인 한다는 것은 기존 교회에 주님에 대한 신앙이 조금도 남아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베드로는 교회의 마지막 때의 신앙을 뜻하고, 세 번 부인한다는 것은 주님을 완전히 부인하는 것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교회의 신앙 안에 사랑이 없으면, 삶이 없으면 신앙 없는 것과 같습니다. 왜냐하면 사랑은 신앙의 생명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베드로가 주님을 세 번 부인할 것이라는 예언은 가깝게는 유대교회의 몰락을, 멀게는 유대교회 이후에 세워질 교회의 몰락을 예언하신 것입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 다음은 새 교회의 에피소드입니다. 비록 새 교회에 있었던 일이지만, 내용이 유익하여 그대로 인용합니다.

 

지난 주일 예배가 끝난 후, 어떤 분이 이런 질문을 하셨습니다. 주님이 십자가 마지막 시험을 이기고 부활하셨을 때 완전한 진리가 되셨다고 했는데, 그럼 왜 1,700년이 훨씬 지난 후에야 새 교회가 세워지고, 완전한 진리인 새 교회의 교리가 선포되었느냐 하는 것입니다. 다른 분들도 비슷한 의문을 가질 것 같아 답변을 드립니다. 주님이 부활하셨을 때, 완전하고 신성한 진리가 되신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스베덴보리의 증언에 따르면, 주님께서 이른바 보혜사 성령이라고 하는 완전한 진리를 보내주시기 전, 영계에서 먼저 이루실 일이 있었습니다. 그 일은 마지막 심판을 통해 영계의 질서를 회복하는 일이었습니다. 왜냐하면 주님이 오시기 전에는 지옥의 세력이 너무 커져서 천국을 압도했기 때문입니다. 부활하신 주님은 하늘에 오르셔서 지옥을 이기신 완전한 진리로 마지막 심판을 단행하셨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해서 천국과 지옥을 그 신성하고 완전한 진리의 질서 아래 복종시키셨습니다. 주님이 영계의 질서를 회복했다는 것은 그런 뜻입니다. 천국이 지옥의 영향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남으로써 주님으로부터 천국을 통해 지상으로 흘러들어오는 진리 또한 완전하고 신성한 진리가 되었습니다. 스베덴보리는 그 일이 일어난 때를 지상의 시간으로 1770년 6월 19일이라고 증언합니다.

 

※ 아래는 위 내용에 대한 원문입니다. 참고하세요.

 

After this work was finished the Lord called together his twelve disciples who followed him in the world; and the next day he sent them all forth throughout the whole spiritual world to preach the gospel that the Lord God Jesus Christ reigns, whose kingdom shall be for ages and ages, according to the prediction in Daniel (7:13, 14), and in Revelation (11:15).

 

Also that blessed are those that come to the marriage supper of the lamb (Rev. 19:9).

 

This took place on the nineteenth day of June, 1770. This is what is meant by these words of the Lord:

 

He shall send his angels and they shall gather together his elect, from the end of the heavens to the end thereof (Matt. 24:31). (TCR.791)

 

그런 이유로 해서 주님은 부활하신 후 처음 만난 마리아에게, ‘나를 붙들지 말라 내가 아직 아버지께로 올라가지 아니하였노라’(요20:17) 말씀하셨습니다. 인류에게 완전한 진리를 주시기 위해서는 아직 해야 할 일이 남았다는 뜻입니다. 왜냐하면 말씀에서 마리아는 진리에 대한 애정을 뜻하고, 주님과 마리아가 접촉하는 것은 주님으로부터 진리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신성하고 완전한 진리가 흘러들어오는 것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오늘 말씀을 통해 인간에게 왜 완전한 진리가 필요한가를 알았고, 또 완전한 진리란 신성한 인간(The Divine Human)이신 주님에게서 나오는, 선 있는 진리, 선을 수반, 동반한 진리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왜냐하면 선 없는 진리, 체어리티 없는 신앙으로는 아무리 오래 신앙생활을 해도 거듭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주님의 제자들을 보면 그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주님은 세상에 오셔서 지옥과 싸우셨고, 그러는 동안 말할 수 없는 고초를 겪으셨습니다. 완전한 능력의 진리를 우리에게 주시기 위해서입니다. 새 교회의 진리가 바로 그 완전한 능력의 진리입니다. 이 진리를 붙잡고 당면한 문제들과 싸워 나간다면 아무리 어려운 일도 반드시 극복할 수 있습니다. 주님의 그런 은혜가 이 진리를 사랑하는 모든 이들에게 함께 하시길 기도합니다.

 

 

그러나 내가 너를 위하여 네 믿음이 떨어지지 않기를 기도하였노니 너는 돌이킨 후에 네 형제를 굳게 하라 (눅22:32)

 

아멘

 

이순철 목사

2022-11-13(D1)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

 

2024-09-22(D1)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2024-09-22(D1)-주일예배(2562, 눅22,24-34), ‘선(Good) 없는 진리, 체어리티(charity) 없는 신앙’.pdf
0.40MB
축도.2024-09-22(D1)-주일예배(2562, 눅22,24-34), ‘선(Good) 없는 진리, 체어리티(charity) 없는 신앙’.pdf
0.22MB

 

 

Posted by bygracetistory
,

 

너희와 함께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의 속뜻

 

 

14때가 이르매 예수께서 사도들과 함께 앉으사 15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16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이 유월절이 하나님의 나라에서 이루기까지 다시 먹지 아니하리라 하시고 17이에 잔을 받으사 감사 기도 하시고 이르시되 이것을 갖다가 너희끼리 나누라 18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내가 이제부터 하나님의 나라가 임할 때까지 포도나무에서 난 것을 다시 마시지 아니하리라 하시고 19또 떡을 가져 감사 기도 하시고 떼어 그들에게 주시며 이르시되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20저녁 먹은 후에 잔도 그와 같이 하여 이르시되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 21그러나 보라 나를 파는 자의 손이 나와 함께 상 위에 있도다 22인자는 이미 작정된 대로 가거니와 그를 파는 그 사람에게는 화가 있으리로다 하시니 23그들이 서로 묻되 우리 중에서 이 일을 행할 자가 누구일까 하더라 (눅22:14-23)

 

 

오늘 본문 14절과 15절은 주님이 어떤 마음으로 세상에 오셨는지를 말하고 있습니다. 그 말씀은 이렇습니다.

 

14때가 이르매 예수께서 사도들과 함께 앉으사 15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주님께서 제자들에게 너희와 함께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또 원했다고 하십니다. 여기 너희, 곧 주님과 함께 유월절을 보내는 제자들은 어떤 사람들일까요? 세상 것을 버리고, 영원한 천국을 꿈꾸는 사람들입니다. 마치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을 탈출, 자유와 평화의 나라 가나안으로 가기를 원하는 것처럼 말이지요. 그런데 그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주님이 주시는 유월절 떡과 잔을 먹고 마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떡과 잔으로 상징되는, 순진무구(純眞無垢)의 선과 거짓 없는 진리를 소유하지 않으면, 주님을 온전히 믿고 따를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주님은 당신의 제자들이 당신과 함께 유월절 음식 먹기를 고대(苦待, 몹시 기다림)하신 것입니다. 그리고 마침내 그날이 왔습니다. 제자들이 생각과 의지를 활짝 열고, 유월절 음식을 기꺼이 먹으려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말씀에는 때가 이르렀다 했고, 주님께서는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또 원하였다 말씀하십니다.

 

그렇다면 주님은 왜 고난을 앞두고 마지막 유월절 음식을 제자들과 함께 드시며, 또한 말씀에 그것을 자세히 기록하셨을까요? 그 이유는 유월절 만찬을 통해 성찬 예배의 전례를 세우려 하시기 때문입니다. 아시는 것처럼 주님은 십자가의 마지막 시험을 이기신 후, 비로소 완전하신 하나님, 완전하신 말씀이 되셨습니다. 왜냐하면 그때 주님 안의 신성(神性, The Divine)이 인성의 끝에까지 흘러들어와 신성과 인성(人性, The Divine Human)이 완전히 하나가 되셨기 때문입니다. 상응의 의미로 볼 때, 주님의 신성과 인성이 하나가 되었다는 것은 말씀의 내적 진리가 문자적 의미 안에 충만하게 된 것을 의미합니다. 왜냐하면 주님의 속 사람이신 신성이 말씀의 내적 진리라면 주님의 겉 사람이신 인성은 말씀의 문자적 의미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주님은 말씀 그 자체이신 분이기 때문이지요. 그렇게 보면 고난이 있기 전의 말씀은 완전한 말씀이 아니었습니다. 완전한 말씀이 아니었다는 것은, 그때 구약 말씀의 문자적 의미 안의 상태가 아직 내적 진리로 충만한 상태가 아니었다는 것입니다. 그런 까닭에 당시 주님의 제자들은 성찬의 내적 의미를 완전히는 알 수 없었습니다. 그럼에도 주님이 성찬 예배를 제정하신 것은 시대와 각자의 신앙에 따라 어떤 사람은 말씀의 문자적 의미를 통해, 또 어떤 사람은 내적 진리를 통해 십자가 고난의 의미와 그 근저(根底, 밑바탕)에 있는 인류에 대한 주님의 사랑을 영원히 기억하기를 원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주님은 내가 고난을 받기 전 너희와 함께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또 원했다고 하셨습니다.

 

주님과 함께 먹는 유월절 음식은 어떤 것일까요? 그것에 대해 17절과 19절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먼저 17절,

 

17이에 잔을 받으사 감사 기도 하시고 이르시되 이것을 갖다가 너희끼리 나누라

 

주님이 주시는 잔, 즉 포도주와 주님의 피는 영적으로는 같은 뜻입니다. 그러니까 성찬의 포도주로 표상되는 주님의 피는 주님에게서 나오는 신적 진리(The Divine Truth)를 뜻합니다. 주님은 그것을 너희끼리 나누라고 하셨습니다. 이 말씀은 진리를 배우는 것에 그치지 말고, 이웃에게 전하고 행하라는 말씀입니다. 그렇다고 원하지 않는 사람에게 진리를 억지로 전하라는 것은 아니고, 알고 싶어 하는 사람에게 아는 만큼만 전하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주님이 주신 잔을 서로 나누는 것이며, 그렇게 해서 주님께 다시 돌려드리는 일입니다. 다음은 19절,

 

19또 떡을 가져 감사 기도 하시고 떼어 그들에게 주시며 이르시되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여기서 떡과 주님의 몸은 모두 인류에 대한 주님의 사랑(The Divine Love)을 뜻합니다. 그리고 떡을 떼어주시는 것은 주님과 인간 사이 상호적 사랑을 뜻합니다. 즉 주님이 우리를 사랑하시는 것처럼 우리도 주님과 이웃을 사랑하라는 것입니다. 주님은 당신이 주신 사랑으로 우리가 서로 사랑하고, 궁극적으로 주님을 사랑하며, 그렇게 해서 주님과 우리가 영원히 결합하기를 원하십니다. 이것이 주님께서 성찬 예배를 제정하신 목적입니다. 그러나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성찬식에 담긴 이런 의미는 마지막 때 새 교회를 통해 말씀의 내적 의미가 밝혀지기 전에는 아무도 알 수 없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래서 주님은 18절에서

 

18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내가 이제부터 하나님의 나라가 임할 때까지 포도나무에서 난 것을 다시 마시지 아니하리라 하시고

 

라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마태복음 26장 29절에서는 같은 말씀을,

 

그러나 너희에게 이르노니 내가 포도나무에서 난 것을 이제부터 내 아버지의 나라에서 새것으로 너희와 함께 마시는 날까지 마시지 아니하리라 하시니라

 

고 말씀하십니다. 여기서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는 것은 땅에 마지막 새 교회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고, 그때 포도나무에서 난 새것은 새 교회를 통해 밝히시는 완전하고 신성한 진리를 뜻합니다. 그리고 너희와 함께 마신다는 것은 그 신성한 진리로 주님과 인간이 영원히 결합하는 것을 뜻합니다. 이 말씀과 관련하여 ‘계시록 해설’ 376번 글 26번 항은 이렇게 말합니다.

 

주님이 부활하신 후에는 주님에게서 나오는 모든 것이 신성했으므로 주님께서는 하나님의 나라가 임할 때 너희와 함께 마시겠다고 말씀하셨다.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고 동시에 주님이 오시는 때는 주님께서 천국과 지옥의 모든 것을 당신의 질서 아래 두시는 때이다. (계시록 해설 376.26, 이순철 역) And as everything Divine, since the Lord has risen, proceeds from Him, He says that He will drink it with them when the kingdom of God shall come, and it came when He reduced all things to order in the heavens and in the hells. (AE.376.26)

 

이 말이 무슨 뜻일까요? 첫째는, 주님은 부활하심으로써 흠 없는 신성한 진리가 되셨다는 것이고, 둘째는, 하늘에 오르신 후, 마지막 심판을 통해 천국과 지옥을 주님의 신성한 진리 아래 굴복시키셨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셋째는, 마지막 새 교회에 주신 완전하고 신성한 진리, 즉 말씀의 문자적 의미를 통해 드러나는 내적 진리로 주님과 인류가 영원히 결합하게 되었다는 뜻입니다.

 

그런 이유로 해서, 주님은 당신에게서 나오는 신성한 진리를 언약의 피(blood of covenant)라 하셨습니다. 언약은 주님과의 결합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스베덴보리의 증언에 따르면, 주님이 오시기 전 천국은 지옥의 팽창으로 인해 완전한 상태가 아니었다고 합니다. 세상이 너무 악해서 사후, 지옥에 가는 사람들이 많아졌을 뿐만 아니라 악의 정도 또한 극악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지옥의 세력이 천국의 낮은 부분에까지 영향을 미쳤다고 합니다. 그것은 천국이 더 이상 완전하고 순수한 상태가 아니었다는 것이고, 그리하여 천국을 통해 지상으로 흘러들어오는 신성의 흐름 또한 완전하고 순수하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다시 말하면, 주님으로부터 천국을 통해 지상으로 흘러들어오는 주님의 선과 진리가 인간을 거듭나게 할 정도로 그렇게 신성하거나 완전하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주님께서 세상에 오신 것입니다. 직접 말씀을 가르치시고, 병을 고쳐주시기 위해 오신 것입니다. 인간의 몸으로 세상에 오신 주님은 지옥을 상대로 치열한 싸움을 하셨고, 그렇게 해서 지옥을 완전히 정복하셨습니다. 부활하신 주님이 천국과 지옥을 당신의 질서 아래 두실 수 있었던 것은 지옥을 이기신 그 신성하고 완전하신 능력으로 인함이었습니다. 따라서 주님께서 ‘내가 이제부터 하나님의 나라가 임할 때까지 포도나무에서 난 것을 다시 마시지 아니하리라’ 하신 것은 마지막 새 교회를 통해 완전하고 신성한 진리가 나타나기 전에는 주님과 인간 사이에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말씀입니다. 인간은 신성한 인간이신 주님에게서 나오는 신성하고 완전한 진리를 통해서만 온전히 개혁되고 거듭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지금 이 시대는 원하기만 하면 주님에게서 오는 신성한 진리와 선을 마음껏 먹고 마실 수 있는 때입니다. 그런데 21절과 22절에서 주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21그러나 보라 나를 파는 자의 손이 나와 함께 상 위에 있도다 22인자는 이미 작정된 대로 가거니와 그를 파는 그 사람에게는 화가 있으리로다 하시니

 

상은 음식을 올려놓고 먹는 곳입니다. 그래서 영적으로는 교회를 뜻합니다. 교회는 주님이 주시는 영적 양식을 먹고 마시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주님께서 나를 파는 자의 손이 나와 함께 상 위에 있다 하십니다. 이 말씀이 무슨 뜻일까요? 진리를 배반하는 자는 늘 교회 안에 있다는 것입니다. 진리를 가지고 주님과 이웃을 위해 사용하지 않고, 사사로운 목적으로 악용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일수록 불순한 의도를 가지고 진리를 왜곡하거나 조작하기를 잘합니다. 그동안 교회를 타락시킨 사람들도 그런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리고 주님의 제자 중에는 유다가 그런 사람이었습니다. 혹자는 주님께서 구원의 섭리를 위해 그를 쓰셨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주님은 당신의 섭리를 이루시기 위해 사랑하는 제자를 타락시키는 그런 분이 아닙니다. 불순한 욕망이 그로 하여 주님을 배반하게 했고, 주님은 그것을 막지 않으신 것입니다. 주님께서 인자는 작정한 길을 가려니와 인자를 파는 사람에게 화가 있다 하신 것은 그 때문입니다.

 

23그들이 서로 묻되 우리 중에서 이 일을 행할 자가 누구일까 하더라

 

주님의 말씀을 듣고 제자들은 서로 물으며, 우리 중에 그런 일을 행할 자가 누굴까 했습니다. 참된 진리를 아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 매우 두려운 일입니다. 여러 가지 이유로 진리를 팔아넘기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나는 절대 안 그럴 거라고 장담할 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지옥은 작은 틈을 비집고 들어와 우리의 욕망을 자극하고, 나쁜 생각을 불어넣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삶이 끝나는 마지막 순간까지 마음을 놓으면 안 됩니다. 진리를 가까이하되 언제나 경외하는 마음을 잃지 않도록 해야 하겠습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주님이 세상에 오심으로 주님과 예배를 표상하던 많은 것들이 폐지되었습니다. 예를 들면, 모세의 율법과 예언서에서 정하고 있는 각종 법도와 제사의 규례 같은 것입니다. 그런 가운데 예배의 필수적인 요소라 생각하시고, 주님이 직접 남겨 놓으신 것이 있습니다. 세례(洗禮, 원어로는 βαπτίζω, βἀπτισμα, 곧 浸禮)식과 성찬식이 그것입니다. 오늘 말씀은 주님께서 마지막 시험을 앞두고 제자들과 함께 성찬식을 제정하시는 장면을 그리고 있습니다. 당시 주님의 제자들은 성찬식이 왜 필요한지, 성찬식에 나누는 음식이 어떤 의미인지 정확히 몰랐을 것입니다. 주님께서 부활하신 후, 마지막 새 교회를 통해 밝히시기 전에는 아무도 알 수 없는 내용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주님께서 성찬식을 제정하신 것은 그것이 가지고 있는 거룩한 의미 때문입니다. 그것이 뭘까요? 주님이 주신 사랑과 지혜, 또는 선과 진리로 주님과 인간이 영원히 결합하는 것입니다. 말씀의 속뜻으로 다시 오신 주님에게서 나오는 진리는 그 속에 선이 있는 진리입니다. 그리고 그 선의 바탕에는 주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이 있습니다. 사랑과 선이 없는 진리로는 주님이 주시는 것을 받을 수 없고, 주님과 결합할 수도 없습니다. 새 교회인이라고 해서 모두 선이 있는 진리를 가진 것은 아닙니다. 내면에 새 교회가 세워진 사람이라야 선이 있는 진리를 소유할 수 있습니다. 주님이 주시는 성찬의 떡과 잔으로 매일 같이 선이 있는 진리를 소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겠습니다. 그래서 물질로는 살 수 없는 영원한 것을 향해 나아가야 하겠습니다. 주님의 그런 은혜가 이 진리 안에 있는 모든 성도에게 함께하시길 기도합니다.

 

 

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눅22:15)

 

아멘

 

2022-11-06(D1)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

 

2024-09-15(D1)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2024-09-15(D1)-주일예배(2561, 눅22,14-23), ‘너희와 함께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의 속뜻.pdf
0.36MB
축도.2024-09-15(D1)-주일예배(2561, 눅22,14-23), ‘너희와 함께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의 속뜻.pdf
0.22MB

 

 

- YouTube

 

www.youtube.com

 

 

Posted by bygracetistory
,

 

말씀대로 유월절을 준비하니라

 

 

7유월절 양을 잡을 무교절날이 이른지라 8예수께서 베드로와 요한을 보내시며 이르시되 가서 우리를 위하여 유월절을 준비하여 우리로 먹게 하라 9여짜오되 어디서 준비하기를 원하시나이까 10이르시되 보라 너희가 성내로 들어가면 물 한 동이를 가지고 가는 사람을 만나리니 그가 들어가는 집으로 따라 들어가서 11그 집 주인에게 이르되 선생님이 네게 하는 말씀이 내가 내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을 먹을 객실이 어디 있느냐 하시더라 하라 12그리하면 그가 자리를 마련한 큰 다락방을 보이리니 거기서 준비하라 하시니 13그들이 나가 그 하신 말씀대로 만나 유월절을 준비하니라 (눅22:7-13)

 

 

※ 다음은 유월절 관련 본문인 출애굽기 12장 본문 전반부입니다.

 

1여호와께서 애굽 땅에서 모세와 아론에게 일러 말씀하시되 2이 달을 너희에게 달의 시작 곧 해의 첫 달이 되게 하고 3너희는 이스라엘 온 회중에게 말하여 이르라 이 달 열흘에 너희 각자가 어린 양을 잡을지니 각 가족대로 그 식구를 위하여 어린 양을 취하되 4그 어린 양에 대하여 식구가 너무 적으면 그 집의 이웃과 함께 사람 수를 따라서 하나를 잡고 각 사람이 먹을 수 있는 분량에 따라서 너희 어린 양을 계산할 것이며 5너희 어린 양은 흠 없고 일 년 된 수컷으로 하되 양이나 염소 중에서 취하고 6이 달 열나흗날까지 간직하였다가 해 질 때에 이스라엘 회중이 그 양을 잡고 7그 피를 양을 먹을 집 좌우 문설주와 인방에 바르고 8그 밤에 그 고기를 불에 구워 무교병과 쓴 나물과 아울러 먹되 9날것으로나 물에 삶아서 먹지 말고 머리와 다리와 내장을 다 불에 구워 먹고 10아침까지 남겨두지 말며 아침까지 남은 것은 곧 불사르라 11너희는 그것을 이렇게 먹을지니 허리에 띠를 띠고 발에 신을 신고 손에 지팡이를 잡고 급히 먹으라 이것이 여호와의 유월절이니라 12내가 그 밤에 애굽 땅에 두루 다니며 사람이나 짐승을 막론하고 애굽 땅에 있는 모든 처음 난 것을 다 치고 애굽의 모든 신을 내가 심판하리라 나는 여호와라 13내가 애굽 땅을 칠 때에 그 피가 너희가 사는 집에 있어서 너희를 위하여 표적이 될지라 내가 피를 볼 때에 너희를 넘어가리니 재앙이 너희에게 내려 멸하지 아니하리라 14너희는 이 날을 기념하여 여호와의 절기를 삼아 영원한 규례로 대대로 지킬지니라 15너희는 이레 동안 무교병을 먹을지니 그 첫날에 누룩을 너희 집에서 제하라 무릇 첫날부터 일곱째 날까지 유교병을 먹는 자는 이스라엘에서 끊어지리라 16너희에게 첫날에도 성회요 일곱째 날에도 성회가 되리니 너희는 이 두 날에는 아무 일도 하지 말고 각자의 먹을 것만 갖출 것이니라 17너희는 무교절을 지키라 이 날에 내가 너희 군대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었음이니라 그러므로 너희가 영원한 규례로 삼아 대대로 이 날을 지킬지니라 18첫째 달 그 달 열나흗날 저녁부터 이십일일 저녁까지 너희는 무교병을 먹을 것이요 19이레 동안은 누룩이 너희 집에서 발견되지 아니하도록 하라 무릇 유교물을 먹는 자는 타국인이든지 본국에서 난 자든지를 막론하고 이스라엘 회중에서 끊어지리니 20너희는 아무 유교물이든지 먹지 말고 너희 모든 유하는 곳에서 무교병을 먹을지니라 (출12:1-20)

 

 

오늘 말씀은 무교절이라고도 하는 유월절이 가까운 때에 주님께서 제자들을 시켜 유월절 만찬을 나눌 장소를 알아보신다는 이야기입니다.

 

※ 정확히는 유월절 다음날, 그러니까 유월절 해 질 무렵인 오후 5시부터 시작되는 한 주간이 무교절입니다. 이스라엘의 하루는 해 질 무렵을 기준으로 24시간입니다.

 

아시는 것처럼 이스라엘 사람들은 유월절을 무교절이라 부르기도 했습니다. 그 이유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모세를 따라 애굽을 탈출하기 전날 밤, 여호와께서는 어린 양의 고기와 무교병을 먹으라고 하셨기 때문입니다. 무교병(無酵餠), 즉 누룩을 넣지 않은 빵(unleavened bread, 이스트, 곧 누룩을 넣지 않은 빵, 마짜)은 영적으로는 거짓 없는 순수한 선을 뜻합니다. 누룩은 거짓을 뜻하고, 빵은 선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무교병을 먹으라고 하시는 것은 이웃에게 선을 행할 때 사심 없는 순수한 마음으로 행하라는 의미입니다. 삶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가 그러할 때 비로소 거듭남이 시작됩니다.

 

오늘 본문 7절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7유월절 양을 잡을 무교절날이 이른지라

 

영적 의미로 유월절은 신앙인에게는 거듭남의 단초(端初, 일이나 사건을 풀어나갈 수 있는 첫머리)가 되는 시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시기를 전후로 삶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유월절 이전의 삶이 애굽이라 하는 자아와 세상에 속한 것들에 매여있는 삶이라면, 유월절 이후의 삶은 진리가 이끄는 대로 자유를 찾아가는 삶으로 나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애굽에서 벗어나려면 각자에게 다가오는 영적인 유월절을 잘 감당해야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유월절은 누구에게나 일률적으로 오는 것이 아니라 준비된 사람에게만 옵니다. 그렇다면 유월절을 위해 준비된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요? 자신을 믿지 않고, 오로지 주님만 믿고 따르는 사람입니다. 그런 사람이라야 주님이 주시는, 어린 양과 무교병으로 상징되는 순진함의 선과 거짓 없는 진리를 기쁘게 받아들일 수 있으며, 그렇게 해서 주님을 따라 애굽에서 탈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8예수께서 베드로와 요한을 보내시며 이르시되 가서 우리를 위하여 유월절을 준비하여 우리로 먹게 하라

 

유월절을 준비하라는 건 단순히 만찬 장소를 준비하라는 게 아닙니다. 이제까지의 타성(惰性, 오래되어 굳어진 좋지 않은 버릇)을 버리고, 주님을 따라 애굽을 떠날 마음의 준비를 하라는 것입니다. 주님을 따라나서는 데 무슨 준비가 필요한가 할 수 있지만, 신앙인들 가운데는 말로만 주님을 따를 뿐, 주님이 아무리 끌어당겨도 전혀 꿈쩍도 않는 사람이 의외로 많습니다. 안락한 애굽을 떠나 광야로 나가려면, 어린아이와 같은 순진함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주님이 이끄실 때, 의심하지 않고 바로 늘 주님을 따라나설 수 있습니다. 주님의 제자들이 그랬던 것처럼 말입니다. 바로 그런 마음이 되는 것, 그것이 유월절을 준비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주님은 왜 베드로와 요한에게 준비를 맡기셨을까요? 그 두 사람이 신앙인의 영적 특성을 대표하기 때문입니다. 말씀에서 베드로는 진리를 뜻하고, 요한은 사랑과 인애, 그러니까 체어리티(charity)를 뜻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베드로로 표상되는 신앙인은 진리로 사는 사람이고, 요한으로 표상되는 신앙인은 사랑과 체어리티로 사는 사람입니다. 진리, 또는 질서를 중시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사랑과 체어리티, 그러니까 관용, 너그러움을 중시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영적으로 보면 진리보다는 사랑과 체어리티가 더 내적이지요. 그러나 주님의 교회가 서려면 그 두 성향 사람들이 모두 필요합니다. 그래서 주님은 그 둘과 함께 유월절을 준비하십니다.

 

9여짜오되 어디서 준비하기를 원하시나이까 10이르시되 보라 너희가 성내로 들어가면 물 한 동이를 가지고 가는 사람을 만나리니 그가 들어가는 집으로 따라 들어가서 11그 집 주인에게 이르되 선생님이 네게 하는 말씀이 내가 내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을 먹을 객실이 어디 있느냐 하시더라 하라

 

유월절 준비는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그것에 대해 주님께서 말씀하시길 먼저 성내(城內)로 들어가면 물 한 동이를 가지고 가는 사람을 만나게 될 것이라고 하십니다. 말씀에서 성(城)은 교회의 교리를 뜻합니다.

 

※ 성과 촌락의 구분은, 울타리, 그러니까 성벽의 유무입니다.

 

그러므로 성내로 들어가라는 건, 유월절을 위한 첫 번째 준비는 교리를 배우고 익히는 것이라는 뜻입니다. 배운다는 건 교리 관련 지식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고, 익히는 건 그것에 따라 사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래야 배운 교리가 몸에 붙기 때문에, 곧 내 것이 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그렇게 노력할 때 물 한 동이를 가지고 가는 사람을 만날 수 있습니다. 물 한 동이를 가지고 가는 사람은 누굴까요? 각자의 내면에서 말씀의 진리를 가지고 역사하시는 주님이십니다. 왜냐하면 물을 담은 물동이는 진리의 그릇으로서 말씀의 문자적인 지식을 의미하고, 속에 담긴 물은 그 문자적 지식 안에 있는 내적 진리를 의미하며, 그것을 가지고 가는 사람은 곧 주님 자신이시기 때문입니다.

 

계속해서 주님은 그 사람이 들어가는 집으로 따라 들어가라고 하십니다. 집은 신앙인의 의지를 뜻합니다. 어떤 신앙인의 의지 안에 주님이 계시고, 그 주님이 물동이, 곧 그 안에 속뜻이 담긴 기록된 말씀을 붙들고 계신 모습이 상상이 되시지요?

 

주님께서 그 집주인에게 유월절을 먹을 방이 어디냐고 물어보라고 말씀하십니다. 집이 신앙인의 의지라면, 당연히 집주인은 신앙인인 우리 자신이지요. 그 사람이 보인 행동은 무엇이었나요? 12절입니다.

 

12그리하면 그가 자리를 마련한 큰 다락방을 보이리니 거기서 준비하라 하시니

 

한글 성경에는 다락방이라고 번역하고 있지만, 영어 성경에는 어퍼 룸(upper room), 즉 윗방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윗방은 어떤 곳일까요? 집을 의지라 했을 때, 의지 안에 윗방, 아랫방이 있네요? 사람의 의지는 이른바 합리적 인간(rational man)이라고 하는, 영적 마음에 속한 내적 의지가 있고, 또 하나 겉 사람이라고 하는 자연적 인간(natural man)에 속한 외적 의지가 있는데, 이때 이 윗방은 바로 이 내적 의지를 뜻합니다. 겉 사람에 속한 외적 의지 안에는 눈과 귀 같은 감각을 통해 들어오는 불결한 욕망들이 가득하며, 그래서 만약 주님께서 진리를 가지고 그곳으로 가셔서 가르치신다면 그들이 받아들일까요? 받아들이지 않겠죠. 그래서 주님은 윗방, 즉 영적인 걸 추구하는 내적 의지 안으로 들어가십니다. 그리고 그곳에 당신의 생명인 순진함의 선과 거짓 없는 진리를 심어주십니다. 그것이 주님께서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 음식을 드시는 것입니다.

 

주님의 생명이 심어진 후에 우리의 의지가 변화되는 모습을 ‘천국의 비밀’ 4884번 글은 이렇게 말합니다.

 

사람의 의지는 그의 생명이다. 사람이 진리를 즐거워할 때, 진리는 그의 생명의 문턱에 있으며, 진리를 자발적으로 행할 때, 온전히 그 사람 안에 있다. 그리고 사람이 진리를 자주 행동으로 옮길 때, 습관과 애정으로부터 진리가 반복해 소환되고, 그리하여 자유로부터 반복해 소환된다. (이순철 역) man’s will is his life. But when man wills the truth, it is then on the threshold of his life; and when from willing he does it, then the truth is in the whole man; and when he does it frequently, it not only recurs from habit, but also from affection, thus from freedom. (창38:19, ‘과부의 의복을 도로 입으니라’ 주석 중)

 

사람의 의지가 곧 그의 생명이라는 것입니다. 의지가 가만히 있으면, 사람은 죽은 듯이 가만히 있을 겁니다. 그러나 의지가 어떤 것에 관심을 가지고 움직이기 시작하면, 그때 비로소 사람도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그러므로 사람의 의지는 그의 생명입니다. 그런데 세상 것들을 좋아하던 의지가 이제는 진리를 즐거워하기 시작합니다. 그때 진리는 의지의 문턱에 있습니다. 그리고 의지가 자발적으로 진리를 행동으로 옮길 때, 문턱에 있던 진리가 그의 의지 안에 자리를 잡습니다. 진리가 온전히 사람 안에 있다는 것은 그런 의미입니다. 다음에는 진리를 자주 행동으로 옮깁니다. 한두 번 하고 마는 것이 아니고, 자주 행동으로 옮깁니다. 그때 진리가 사람의 이성과 의지, 그리고 삶 가운데로 반복해서 소환되는데, 습관과 애정으로부터 소환된다고 합니다. 습관으로부터 소환된다는 건 진리가 몸에 배어가는 것을 말하고, 애정으로부터 소환된다는 건 진리에 기쁨을 느끼는 것입니다. 자유로부터 소환되는 건 어떤 억압도 없는 자발적인 상태를 말합니다. 진리는 그렇게 점진적으로 신앙인의 생명인 의지 안에 확고하게 자리를 잡게 됩니다. 그것이 주님과 함께 유월절 음식을 나눠 먹은 다음 우리 내면에서 생기는 변화들입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주님은 당신의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 음식 드시기를 원하십니다. 주님은 왜 그들과 함께 음식을 드시려고 하실까요? 그 이유를 ‘천국의 비밀’ 5114번 글 4항은 이렇게 말합니다.

 

사람은 신성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람의 깊은 내면은 신성을 받아들일 뿐 아니라 신성을 인정하고 사랑하여 자기 소유로 만들려는 성질이 있다. 그런 상호성으로 인해 사람은 신성 안에 심어진다. (이순철 역) as with man there is a connection with the Divine, and his inmost is of such a nature that he can receive the Divine, and not only receive it, but also make it his own by acknowledgment and affection, thus by reciprocation, he therefore can never die, because he has thus been implanted in the Divine, (창40:10, ‘그 나무에 세 가지가 있고’ 주석 중)

 

한 마디로, 주님이 사람 안에 계시고, 사람이 주님 안에 있는 것은 주님과 인간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성(相互性, reciprocality) 때문이라는 겁니다. 이 상호성은 자연계의 모든 것 가운데 사람에게만 있는 특성으로, 주님으로부터 받은 것을 다시 주님께 돌려드리는 특성입니다. 어떻게 돌려드릴까요? 주님의 생명을 받아 그 힘으로 주님이 우리를 사랑하듯 우리도 주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주님이 주신 것을 다시 주님께 되돌려 드리는 것입니다. 그런 상호성 때문에 주님은 유월절 음식을 제자들과 함께 드시기를 원하십니다. 그런데 개중(個中)에는 상호성이 부족한 사람이 있습니다. 주님이 주시는 것을 받으려 하지 않거나, 받은 다음에는 돌려드리지 않는 사람입니다. 주님은 그런 사람들과는 유월절 음식을 함께 드실 수 없으십니다. 그렇기 때문에 준비가 필요합니다.

 

유월절을 준비하는 방법으로 주님께서는 다음 몇 가지를 권하십니다. 첫째는 새 교회의 교리인 말씀의 속뜻을 배우고 익히는 것입니다. 본문에서 제자들에게 성내로 들어가라는 것은 그런 뜻입니다. 둘째는 주님께서 말씀의 진리를 가지고 우리의 내적 의지 안으로 들어오실 때, 주님 앞에 서지 않고 주님의 뒤를 따르는 것입니다. 인간의 의지가 행여 주님을 가로막을까 염려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말씀에는 베드로와 요한이 물동이를 든 사람의 뒤를 따라 집으로 들어갔다 기록하고 있습니다. 셋째는 주님과 함께 유월절의 떡과 포도주를 맛있게 먹는 것입니다. 그것은 주님의 생명인 선과 진리를 우리의 생명인 의지로 만드는 것입니다.

 

그런 방법으로 우리는 주님과 함께 유월절을 지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때 비로소 주님을 따라 애굽에서 영원히 벗어날 수 있습니다. 주님이 주신 상호성으로 이웃과도 잘 지내야 합니다. 받기만 하고 베풀지 않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주기만 하고 받지 않으려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래서는 이웃과 하나 될 수 없습니다. 소중한 것을 주기도 하고 받기도 해야 합니다. 주고받을 때는 거짓이 있으면 안 됩니다. 어린 양의 고기와 무교병을 나누어 먹는 것처럼 신앙인들끼리 순진하고 담백한 마음을 서로 나눠야 합니다. 유월절을 준비하는 주님의 은혜가 성도들과 이 진리를 사랑하는 모든 이들에게 함께하시길 기도합니다.

 

 

너희는 이레 동안 무교병을 먹을지니 그 첫날에 누룩을 너희 집에서 제하라 무릇 첫날부터 일곱째 날까지 유교병을 먹는 자는 이스라엘에서 끊어지리라 (출12:15)

 

아멘

 

2022-10-16(D1)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

 

2024-09-08(D1)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2024-09-08(D1)-주일예배(2560, 눅22,7-13), '말씀대로 유월절을 준비하니라'.pdf
0.43MB
축도.2024-09-08(D1)-주일예배(2560, 눅22,7-13), '말씀대로 유월절을 준비하니라'.pdf
0.21MB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