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LBORO'(말보로)

 

미국의 유수 공대에 다니는 어느 가난한 고학생이 우아하고 총명하게 생긴 지역 유지의 딸과 사랑에 빠졌다.

 

여자 측 집안에선 둘을 갈라놓기 위해 여학생을 아주 먼 친척 집에 보내 버렸다.

 

남자는 그녀를 찾기 위해 몇 달을 헤매다녔다.

 

그러다 비가 내리는 어느 날 그녀 집 앞에서 해후를 하게 된다.

 

여자가 힘없이 말했다.

 

"나 내일 결혼해."

 

남자는 절망하여 말없이 있다가

 

"그럼 내가 담배 한 대를 피우는 동안만 내 곁에 있어 줄래?"

 

여자는 고개를 끄덕였다.

 

종이에 말아 피는 담배라서 몇 모금을 피니까 금새 다 타 버렸다.

 

짧은 시간이 흐르고... 여자는 눈인사로 집으로 돌아갔고 둘은 그것으로 끝이었다.

 

그 후에 그는 졸업하고 취직하여 세계 최초로 필터가 있는 담배를 개발하여 백만장자가 되었다.

 

세월이 흘렀다.

 

그 여자가 병든 몸으로 빈민가에서 혼자 살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남자는 함박눈이 내리는 어느 날, 검정색 벤츠를 타고 그녀를 찾아가 말했다.

 

"나 아직도 널 사랑해. 나와 결혼해 주겠어?"

 

여자는 망설이다 생각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했고, 남자는 다음날 다시 오겠다고 하고 집으로 돌아갔다.

 

다음 날이다.

 

남자가 그녀를 찾아갔을 때 깜짝 놀란 건 목을 매단 채 죽어 있는 그녀의 싸늘한 시신뿐이었다.

 

유서 지에는 아무 내용이 없었는데 아랫 쪽 우측 하단에 조그마한 글씨로 '그동안 너무 보고 싶었어! 고마워'라고 적혀 있었다.

 

그 후에 남자는 자기가 경영하는 담배회사의 필터담배에 'MARLBORO'(말보로)란 브랜드를 붙였다.

 

날개 달린 듯 팔리기 시작했다.

 

억만장자가 된 후에도 그녀를 잊지 못해 눈이 오는 날에는 하얀 꽃을 들고 그녀의 산소를 보살핀다.

 

'MARLBORO

 

'Man Always Remember Love Because Of Romance Over.'(남자는 흘러간 로맨스 때문에 사랑을 기억한다)의 이니셜이다.

 

 

[ 오늘의 한마디 ]

 

멀리 있다 해서 잊어버리지 말고 가까이 있다 해서 소홀하지 마세요.

 

 

정득재목사.2021-04-16(D6), ''MARLBORO'(말보로)'

Posted by bygracetistory
,

넬슨 만델라의 ‘Azwie’(아즈위, 희망)

 

 

🌺 1964년, 종신형을 선고받고, 절해의 고도 루벤(Lubben) 섬 감옥으로 투옥된 사람이 있었다. 감옥은 두 다리 뻗고 제대로 누울 수도 없었다. 찌그러진 양동이 하나를 감방 구석에 변기로 던져 주었다. 면회와 편지는 6개월에 한 번 정도 허락되었다. 간수들은 걸핏하면 끌어다가 고문하고 짓밟고 폭력을 가했다. 이미 사람으로서의 품격과 지위는 상실되었고, 견딜 수 없는 모욕과 고통은 말로 표현할 수 없었다.

 

🌺 그가 감옥에 끌려간 후 그의 아내와 자녀들은 살던 집을 빼앗기고, 흑인들이 모여 사는 변두리 땅으로 쫓겨났다. 감옥살이 4년 되던 해 어머니가 돌아가셨고, 그 이듬해 큰아들이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들었지만, 장례식에 참석할 수 없었다. 감옥살이 14년이 되던 해에 큰딸이 결혼해서, 아기를 데리고 할아버지에게 면회를 왔다. 큰딸이 말했다. “아버지! 아기 이름을 지어주세요.”

 

🌺 아버지는 말없이 땟물이 찌든 윗주머니에서 꼬깃꼬깃 꾸겨진 종잇조각을 꺼내 딸에게 건네주었다. 딸은 종잇조각에 쓰인 글자를 보는 순간 눈물을 쏟기 시작했다. 만델라 고향의 언어로, "아즈위!"(Azwie, 희망) 그는 그 후 온갖 치욕을 다 당하면서 13년간이나 옥살이를 더 했다. 1964년부터 1990년까지 무려 27년간 감옥살이를 하고 풀려났다. 44세에 억울한 감옥살이를 시작해서 71세에 풀려난 것이다.

 

🌺 그는 남아공 흑백 분리 정책을 철폐하고, 남아프리카공화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에 당선됐다. 대통령에 당선되어 자기를 박해하고 치욕을 주었던 정적들을, 다 용서하고 사랑하는 인간의 고고한 삶의 방식을 보여주었다. 그가 세상을 떠났을 때, 세계 언론은 인간의 품격을 한 계단 올려놓은 사람이라고 존경했다. 이가 바로 넬슨 만델라(Nelson Mandela, 1918-2013. 95세)다. 그 오랜 절망의 세월 어떻게 견디어 냈을까?

 

🌺 만델라는 대답했다. "나는 위대한 변화가 반드시 일어나리라는, 아즈위(희망, 希望)를 한순간도 포기한 적이 없습니다. 사람이 죽는 것은 힘이 들어서가 아니라, 희망이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희망의 힘으로 세상을 살아갑니다.” 희망을 노래하고, 희망을 주는 사람이 지도자며, 희망을 주는 사람이 리더입니다. 오늘도 아즈위!(Azwie, 희망!)

 

 

✅ “주 여호와여 주는 나의 소망이시요 내가 어릴 때부터 신뢰한 이시라” (시편 71:5)

 

 

정득재목사.2021-04-15(D5), '넬슨 만델라의 ‘Azwie’(아즈위, 희망)'

 

Posted by bygracetistory
,

Happy Wife, Happy Life

 

 

며칠 전 커피숍에 갔는데, ‘Happy Wife, Happy Life’라는 말이 담겨져 있는 액자가 걸려 있었다.

 

얼핏 보기에 커피숍에 생뚱맞게 무슨 wife라는 말이 적혀있는가 의아했는데 가만히 생각해보니 아주 멋진 뜻이었다.

 

해석해 본즉, ‘아내가 행복해야 인생이 행복하다.’는 것이다.

 

옆에 있던 친구가 그러면 한국말로 인명재처(人命在妻)네? 라며, 절묘하게 거들어 주었다.

 

맞다.

 

아내가 행복해야 삶이 행복하고 남편이 편하다.

 

남편의 운명은 아내의 손에 달려 있다.

 

특히 나이 들어가면서 이러한 진리는 두드러진다.

 

칸트는 ‘남편 된 사람은 아내의 행복이 자신의 전부라는 것을 행동으로 보여주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중국 고사에서도 아내의 역할은 출중했다.

 

위나라 문후는 ‘가난한 사람은 좋은 아내를 얻고 싶어 하고, 나라가 혼란스러우면 좋은 재상이 있었으면 하는 법이다.’라고 했다.

 

북송의 구양수는 ‘내가 재력이나 지위 때문에 마음고생 하지 않고 지낸 것은 내 아내의 덕이다.’라고 말했다.

 

아내를 칭송하는 아름다운 말들이 많다.

 

아내는 남편의 영원한 누님이다. (팔만대장경)

 

좋은 아내를 갖는 것은 제2의 어머니를 갖는 것과 같다.

 

좋은 아내는 남편이 탄 배의 돛이 되어 그 남편을 항해시킨다. (영국속담)

 

이 세상에 아내라는 말처럼 정답고 마음이 놓이고 아늑하고 편안한 이름이 또 있을까?

 

천 년 전 영국에서는 아내를 ‘Peace Weaver’(평화를 짜는 사람)이라고 불렀다,

 

아내는 행복의 제조자 겸 인도자이다. (피천득)

 

아내를 괴롭히지 마라. 하느님은 아내의 눈물방울을 세고 계신다. (탈무드)

 

아내는 젊은이에게는 연인이고, 중년 남자에게는 반려자이고, 늙은이에게는 간호사다. (베이컨)

 

아들은 아내를 맞을 때까지는 자식이다. 그러나 딸은 어머니에게 있어 평생의 딸이다. (토마스 플러)

 

오늘부터 아내의 존재를 황금같이 보면 삶이 달라진다. (호)

 

 

정득재목사.2021-04-13(D3), 'Happy Wife, Happy Life'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