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담이 그의 아내 하와와 동침하매 하와가 임신하여 가인을 낳고 이르되 내가 여호와로 말미암아 득남하였다 하니라 And the man knew Eve his wife, and she conceived, and bare Cain, and said, I have gotten a man [vir], Jehovah. (창4:1)

 

 

338. ‘아담과 그의 아내 하와’는 지금까지 알려진 대로 태고 교회를 상징합니다. 그 첫 자식, 처음 난 자녀가 신앙이며, 여기서는 ‘가인’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그녀의 말, ‘내가 여호와로 말미암아 득남하였다’가 상징하는 것은, ‘가인’이라는 사람들로 인해 신앙을, 체어리티(charity, 자선, 기부, 이웃 사랑)와 별개인 어떤 것으로 인식하고 인정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By the “man and Eve his wife” is signified the most ancient church, as has been made known; its first offspring, or firstborn, is faith, which is here called “Cain”; her saying “I have gotten a man, Jehovah,” signifies that with those called “Cain,” faith was recognized and acknowledged as a thing by itself.

 

 

339. 앞선 세 장에서, 지금까지 의심할 여지가 없도록 충분히 보여드렸던 것은, ‘아담과 그의 아내’가 태고 교회를 상징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을 인정하면서 이제 분명한 것은, 이 태고 교회의 영향을 받은 임신 및 출생이 지금까지 우리가 보여온 본성이었다는 사실입니다. In the three foregoing chapters it has been sufficiently shown that by the “man and his wife” is signified the most ancient church, so that it cannot be doubted, and this being admitted, it is evident that the conception and the birth effected by that church were of the nature we have indicated.

 

이름을 주고, 이름을 가지고 사물을 상징하고, 그런 식으로 하나의 계보를 형성하는 것은, 태고인들에게는 하나의 관례였습니다. It was customary with the most ancient people to give names, and by names to signify things, and thus frame a genealogy.

 

태고 교회와 관계된 것들도 이런 식으로 서로 연결이 되었기 때문에, 대대로 하나는 잉태하고, 다른 하나는 해산하고 하였습니다. For the things of the church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this way, one being conceived and born of another, as in generation.

 

그래서 말씀에서 교회와 관계된 것들을 일컬어, ‘잉태’, ‘해산’, ‘자녀’, ‘유아’, ‘어린이’, ‘아들’, ‘’, ‘젊은이’ 등으로 부르는 것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Hence it is common in the Word to call things of the church “conceptions,” “births,” “offspring,” “infants,” “little ones,” “sons,” “daughters,” “young men,” and so on.

 

말씀 중 예언서들에서 이런 표현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The prophetical parts of the Word abound in such expressions.

 

 

340. 본문, ‘내가 여호와로 말미암아 득남하였다’의 상징이, ‘가인’이라고 하는 사람들로 인해 신앙을 체어리티와 별개인 어떤 것으로 인식하고 인정하게 되었음이라는 것은, 이 장을 처음 시작할 때 드린 말씀을 보면 분명합니다. That the words “I have gotten a man, Jehovah” signify that with such as are called “Cain” faith is recognized and acknowledged as a thing by itself, is evident from what was said at the beginning of this chapter.

 

전에, 그들은 신앙이 무엇인지에 관해 무지한 듯 보였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퍼셉션이라는 것으로 신앙의 모든 것을 지각했기 때문입니다. Previously, they had been as it were ignorant of what faith is, because they had a perception of all the things of faith.

 

그러나 그들이 신앙의 교리를 뚜렷이 구분하기 시작했을 때, 그들은 퍼셉션으로 알던 것들을 가져다가 교리화하면서 말하기를, ‘내가 여호와로 말미암아 득남하였다’ 한 것입니다. 마치 자기들이 뭔가 새로운 것을 발견하기라도 한 것처럼 말이지요. 이렇게 해서 전에는 심비(心碑)에 저절로 새겨지던 것들이 이제는 배워야만 알 수 있는 것으로 전락했습니다. But when they began to make a distinct doctrine of faith, they took the things they had a perception of and reduced them into doctrine, calling it “I have gotten a man, Jehovah,” as if they had found out something new; and thus what was before inscribed on the heart became a mere matter of knowing.

 

고대에 그들은 모든 새로운 것에 어떤 이름을 주었고, 이런 식으로 그 이름들에 들어있는 것들을 설명했습니다. In ancient times they gave every new thing a name, and in this way set forth the things involved in the names.

 

이스마엘이라는 이름은 ‘여호와께서 그녀의 고통을 들으셨다’(창16:11)를 상징하며, Thus the signification of the name Ishmael is explained by the saying, “Jehovah hath heard her affliction; (창16:11)

 

여호와의 사자가 또 그에게 이르되 네가 임신하였은즉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이스마엘이라 하라 이는 여호와께서 네 고통을 들으셨음이니라 (창16:11)

 

르우벤은 ‘여호와께서 나의 괴로움을 돌보셨다’(창29:32)를, that of Reuben, by the expression, “Jehovah hath looked upon my affliction; (창29:32)

 

레아가 임신하여 아들을 낳고 그 이름을 르우벤이라 하여 이르되 여호와께서 나의 괴로움을 돌보셨으니 이제는 내 남편이 나를 사랑하리로다 하였더라 (창29:32)

 

시므온은 ‘여호와께서 내가 사랑 받지 못함을 들으셨다’(창29:33), the name Simeon, by the saying, “Jehovah hath heard that I was less dear; (창29:33)

 

그가 다시 임신하여 아들을 낳고 이르되 여호와께서 내가 사랑 받지 못함을 들으셨으므로 내게 이 아들도 주셨도다 하고 그의 이름을 시므온이라 하였으며 (창29:33)

 

유다는 ‘내가 이제는 여호와를 찬송하리로다’(창29:35)를, and that of Judah by, “This time will I praise Jehovah; (창29:35)

 

그가 또 임신하여 아들을 낳고 이르되 내가 이제는 여호와를 찬송하리로다 하고 이로 말미암아 그가 그의 이름을 유다라 하였고 그의 출산이 멈추었더라 (창29:35)

 

그리고 모세가 세운 제단을 가리켜 ‘여호와 닛시’(출17:15), 곧 ‘여호와는 나의 깃발’이라 하였습니다. and an altar built by Moses was called, “Jehovah my banner. (출17:15)

 

모세가 제단을 쌓고 그 이름을 여호와 닛시라 하고 (출17:15)

 

이런 식으로 여기 신앙의 교리도 ‘내가 여호와로 말미암아 득남하였다’, 또는 ‘가인’이라 명명한 것입니다. In like manner the doctrine of faith is here denominated “I have gotten a man, Jehovah,” or “Cain.

 

2021-05-18(D3)-창세기(창4,1, AC.338-340), '내가 여호와로 말미암아 득남하였다'.hwp
0.07MB

https://youtu.be/Vv6vQvx61jU

 

Posted by bygracetistory
,

속뜻

THE INTERNAL SENSE

 

 

337. 이번 장이 태고 교회의 퇴보, 또는 그 교리의 왜곡과, 그 결과 그 이단들과 종파들을 가인과 그 후손들의 이름들 아래 다루고 있는 까닭에, 참된 교회 본성에 대한 바른 이해 없이는 교리가 어떻게 왜곡되었는지, 그 교회의 이단들과 종파들의 본성이 무엇이었는지를 이해한다는 것은 전혀 불가능하다는 걸 분명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 As this chapter treats of the degeneration of the most ancient church, or the falsification of its doctrine, and consequently of its heresies and sects, under the names of Cain and his descendants, it is to be observ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how doctrine was falsified, or what was the nature of the heresies and sects of that church, unless the nature of the true church be rightly understood.

 

태고 교회는 천인(天人, a celestial man)이었으며, 주님 사랑, 이웃 사랑의 신앙 외 다른 신앙은 인정하지 않는 그런 교회였음은 위에서 충분히 말씀드렸습니다. Enough has been said above concerning the most ancient church, showing that it was a celestial man, and that it acknowledged no other faith than that which was of love to the Lord and toward the neighbor.

 

이 사랑으로 그들은 주님으로부터 오는 신앙, 혹은 신앙에 속한 모든 것을 지각하는 퍼셉션(perception, 知覺, 통찰력)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이런 이유로, 그들은 신앙을 언급하는 것조차 내키지 않아 했는데요, 위에서 보여드린 것처럼, 신앙이 사랑으로부터 분리가 되면 안 되기 때문입니다. (200번, 203번 글 참조) Through this love they had faith from the Lord, or a perception of all the things that belonged to faith, and for this reason they were unwilling to mention faith, lest it should be separated from love, as was shown above. (n. 200, 203)

 

[2] 이런 사람이 바로 천인이며, 시편에서는 사람들의 대표자들로 그려지고 있습니다. 즉, 주님을 일컬어 왕이라, 천인을 일컬어 왕의 아들이라 하고 있지요. Such is the celestial man, and such he is described by representatives in David, where the Lord is spoken of as the king, and the celestial man as the king’s son:

 

1하나님이여 주의 판단력을 왕에게 주시고 주의 공의를 왕의 아들에게 주소서 Give the king thy judgments, and thy righteousness to the king’s son. 3의로 말미암아 산들이 백성에게 평강을 주며 작은 산들도 그리하리로다 The mountains shall bring peace to the people, and the hills in righteousness. 5그들이 해가 있을 동안에도 주를 두려워하며 달이 있을 동안에도 대대로 그리하리로다 They shall fear thee with the sun, and toward the faces of the moon, generation of generations. 7그의 날에 의인이 흥왕하여 평강의 풍성함이 달이 다할 때까지 이르리로다 In his days shall the righteous flourish, and abundance of peace, until there be no moon. (시72:1, 3, 5, 7)

 

여기서 ‘’는 사랑을 상징하며, ‘’은 신앙을, ‘산들’과 ‘작은 산들’은 태고 교회를, ‘대대로’는 홍수 후에 일어난 교회들을 각각 상징합니다. ‘달이 다할 때까지’라고 한 것은 신앙이 사랑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사야에서 말씀하시는 것도 보면,) By the “sun” is signified love; by the “moon,” faith; by “mountains” and “hills,” the most ancient church; by “generation of generations,” the churches after the flood; “until there be no moon” is said because faith shall be love. (See also what is said in Isaiah 30:26.)

 

여호와께서 자기 백성의 상처를 싸매시며 그들의 맞은 자리를 고치시는 날에는 달빛은 햇빛 같겠고 햇빛은 일곱 배가 되어 일곱 날의 빛과 같으리라 (사30:26)

 

[3] 이런 교회가 태고 교회였고, 이런 교회가 그들의 교리였습니다. Such was the most ancient church, and such was its doctrine.

 

그러나 이것은 지금하고는 많이 다릅니다. 지금은 신앙을 체어리티보다 우선시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체어리티는 신앙을 통해서 주님이 주시는 것이며, 그래서 체어리티가 주(主)가 되는 것입니다. But the case is far different at this day, for now faith takes precedence over charity, but still through faith charity is given by the Lord, and then charity becomes the principal.

 

고대 교리 왜곡의 시작은, 그들이 자기들의 신앙고백과 함께 신앙을 사랑에서 분리해 냈을 때부터라는 것을 이런 사실, 곧 태고 교회의 본래 모습을 보고 아는 것입니다. It follows from this that in the most ancient time doctrine was falsified when they made confession of faith, and thus separated it from love.

 

이런 식으로 교리를 왜곡하거나, 사랑으로부터 신앙을 떼어내거나, 그냥 신앙만 고백하는 사람들을 이름하여 ‘가인’이라고 부른 것이며, 아주 극악무도한 범죄행위 같은 것으로 여겼습니다. Those who falsified doctrine in this way, or separated faith from love, or made confession of faith alone, were then called “Cain”; and such a thing was then regarded as an enormity.

 

2021-05-17(D2)-창세기(창4, AC.337), '창4 이해를 위한 배경, 참된 교회란'.hwp
0.07MB

https://youtu.be/sQ__1bxAhKI

 

Posted by bygracetistory
,

2021-05-16(D1)-제9권20호통403호.hwp
1.01MB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