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다는 야발을 낳았으니 그는 장막에 거주하며 가축을 치는 자의 조상이 되었고 And Adah bare Jabal; he was the father of the dweller in tents, and of cattle. (창4:20)

 

 

412. ‘아다’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신앙의 천적, 영적인 것들의 어머니를 상징합니다. By “Adah” is signified, as before, the mother of the celestial and spiritual things of faith;

 

야발, 장막에 거주하며, 가축 치는 자의 조상’은 사랑의 거룩한 것들에 관한 교리와 그 교리에서 나오는 천적 선을 상징합니다. by “Jabal, the father of the dweller in tents, and of cattle,” is signified doctrine concerning the holy things of love, and the goods thence derived, which are celestial.

 

 

413. ‘아다’가 신앙의 천적인 것들의 어머니를 상징한다는 것은 그녀의 첫아들 야발을 ‘장막에 거주하며, 가축 치는 자의 조상’이라 하는 데서 분명합니다. 여기 가축은 천적인데, 가축은 사랑의 거룩한 것들과 여기서 나오는 선을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That by “Adah” is signified the mother of the celestial things of faith, is evident from her firstborn Jabal being called the “father of the dweller in tents, and of cattle,” which are celestial because they signify the holy things of love and the goods thence derived.

 

 

414. ‘장막에 거주하는 것’이 사랑의 거룩한 것을 상징한다는 것은 말씀에서 ‘장막’이 상징하는 것을 보면 분명합니다. That to “dwell in tents” signifies what is holy of love, is evident from the signification of “tents” in the Word.

 

시편에 보면 As in David:

 

1여호와여 주의 장막에 머무를 자 누구오며 주의 성산에 사는 자 누구오니이까 2정직하게 행하며 공의를 실천하며 그의 마음에 진실을 말하며 Jehovah, who shall abide in thy tent? Who shall dwell in the mountain of thy holiness? He that walketh upright, and worketh righteousness, and speaketh the truth in his heart, (시15:1-2)

 

이 말씀에서, ‘장막에 거주하는 것’ 혹은 ‘성산에 사는 것’을 사랑의 거룩한 것들, 즉, ‘정직하게 행하며’, ‘공의를 실천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in which passage, what it is to “dwell in the tent” or “in the mountain of holiness” is described by holy things of love, namely, the walking uprightly, and working righteousness.

 

계속해서 Again:

 

그의 소리가 온 땅에 통하고 그의 말씀이 세상 끝까지 이르도다 하나님이 해를 위하여 하늘에 장막을 베푸셨도다 Their line is gone out through all the earth, and their discourse to the end of the world. In them hath he set a tent for the sun, (시19:4)

 

여기 ‘’는 사랑을 가리킵니다. where the “sun” denotes love.

 

다시 Again:

 

내가 영원히 주의 장막에 머물며 내가 주의 날개 아래로 피하리이다 I will abide in thy tent to eternities, I will trust in the covert of thy wings, (시61:4)

 

여기 ‘장막’은 천적인 것을, ‘날개 아래’는 거기서 나오는 영적인 것을 가리킵니다. where the “tent” denotes what is celestial, and the “covert of wings” what is spiritual thence derived.

 

이사야입니다. In Isaiah:

 

다윗의 장막에 인자함으로 왕위가 굳게 설 것이요 그 위에 앉을 자는 충실함으로 판결하며 정의를 구하며 공의를 신속히 행하리라 By mercy the throne has been made firm, and one hath sat upon it in truth, in the tent of David, judging and seeking judgment, and hasting righteousness, (사16:5)

 

여기 또한 ‘장막’은 사랑의 거룩한 것을 가리킵니다. ‘정의로 판결함’, ‘공의를 신속히 행함’이라는 표현을 보면 아실 수 있는 것처럼 말입니다. where also the “tent” denotes what is holy of love, as may be seen by the mention of “judging judgment,” and “hasting righteousness.

 

다시 Again:

 

우리 절기의 시온 성을 보라 네 눈이 안정된 처소인 예루살렘을 보리니 그것은 옮겨지지 아니할 장막이라 그 말뚝이 영영히 뽑히지 아니할 것이요 Look upon Zion, the city of our appointed feast; thine eyes shall see Jerusalem a quiet habitation, a tent that shall not be moved away, (사33:20)

 

하늘의 예루살렘을 말씀하시면서 speaking of the heavenly Jerusalem.

 

[2] 예레미야입니다. In Jeremiah: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니라 보라 내가 야곱 장막의 포로들을 돌아오게 할 것이고 그 거처들에 사랑을 베풀 것이라 성읍은 그 폐허가 된 언덕 위에 건축될 것이요 Thus said Jehovah, Behold, I bring again the captivity of Jacob’s tents, and will have mercy on his dwelling places, and the city shall be builded upon her own heap; (렘30:18)

 

장막의 포로’는 천적인 것, 혹은 사랑의 거룩한 것들의 황폐함을 상징합니다. the “captivity of tents” signifies the vastation of what is celestial, or of the holy things of love.

 

아모스입니다. In Amos:

 

그 날에 내가 다윗의 무너진 장막을 일으키고 그것들의 틈을 막으며 그 허물어진 것을 일으켜서 옛적과 같이 세우고 In that day will I raise up the tabernacle of David which is fallen; and will fence up the breaches thereof, and I will raise up its ruins, and I will build it as in the days of eternity, (암9:11)

 

여기 ‘장막’(tabernacle)은 마찬가지로 천적인 것과 그것의 거룩한 것들을 가리킵니다. where the “tabernacle” in like manner denotes what is celestial and the holy things thereof.

 

예레미야입니다. In Jeremiah:

 

패망에 패망이 연속하여 온 땅이 탈취를 당하니 나의 장막과 휘장은 갑자기 파멸되도다 The whole land is laid waste, suddenly are my tents laid waste, and my curtains in a moment. (렘4:20)

 

내 장막이 무너지고 나의 모든 줄이 끊어졌으며 내 자녀가 나를 떠나가고 있지 아니하니 내 장막을 세울 자와 내 휘장을 칠 자가 다시 없도다 My tent is laid waste, and all my cords are plucked out, my sons are gone forth from me, and they are not; there is none to stretch my tent anymore, and to set up my curtains, (렘10:20)

 

여기 ‘장막’은 천적인 것들을, 그리고 ‘휘장’과 ‘’은 거기서 나오는 영적인 것들을 상징합니다. where the “tent” signifies celestial things, and “curtains” and “cords” spiritual things thence derived.

 

다시 Again:

 

너희는 그들의 장막과 양 떼를 빼앗으며 휘장과 모든 기구와 낙타를 빼앗아다가 소유로 삼고 Their tents and their flocks shall they take; they shall carry off for themselves their curtains, and all their vessels, and their camels, (렘49:29)

 

게달(아라비아)과 동방 자손들에 관한 말씀입니다. 이들은 천적이거나 거룩한 것을 소유한 사람들을 표현합니다. speaking of Arabia and the sons of the east, by whom are represented those who possess what is celestial or holy.

 

다시 Again:

 

딸 시온의 장막에 그의 노를 불처럼 쏟으셨도다 Into the tent of the daughter of Zion the Lord hath poured out his wrath like fire, (애2:4)

 

신앙의 천적이거나 거룩한 것들의 황폐함에 관한 말씀입니다. speaking of the vastation of the celestial or holy things of faith.

 

[3] 말씀에서 이 ‘장막’이라는 용어를 채택, 천적인 것과 사랑의 거룩한 것들을 표현하는 이유는, 고대에는 예배의 거룩한 의식들을 그들의 장막에서 행했기 때문입니다. The reason why the term “tent” is employed in the Word to represent the celestial and holy things of love is that in ancient times they performed the holy rites of worship in their tents.

 

그러나 그들이 신성모독의 예배를 장막에서 드림으로써 장막을 모독하기 시작하더니 성막이 세워졌고, 나중에는 성전이 세워졌습니다. 이런 이유로, 장막은 먼저 성막이, 그 다음엔 성전이 가리키는 모든 것을 표현하게 되었습니다. But when they began to profane the tents by profane kinds of worship, the tabernacle was built, and afterwards the temple, and therefore tents represented all that was subsequently denoted first by the tabernacle, and afterwards by the temple.

 

같은 이유로, 거룩한 사람을 가리켜 주님의 ‘장막’, ‘성막’, 그리고 ‘성전’이라 합니다. For the same reason a holy man is called a “tent,” a “tabernacle,” and a “temple” of the Lord.

 

장막’, ‘성막’, 그리고 ‘성전’이 같은 걸 상징한다는 것은, 시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That a “tent,” a “tabernacle,” and a “temple” have the same signification, is evident in David:

 

4내가 여호와께 바라는 한 가지 일 그것을 구하리니 곧 내가 내 평생에 여호와의 집에 살면서 여호와의 아름다움을 바라보며 그의 성전에서 사모하는 그것이라 5여호와께서 환난 날에 나를 그의 초막 속에 비밀히 지키시고 그의 장막 은밀한 곳에 나를 숨기시며 높은 바위 위에 두시리로다 6이제 내 머리가 나를 둘러싼 내 원수 위에 들리리니 내가 그의 장막에서 즐거운 제사를 드리겠고 노래하며 여호와를 찬송하리로다 One thing have I asked of Jehovah, that will I seek after, that I may remain in the house of Jehovah all the days of my life, to behold Jehovah in sweetness, and to visit early in his temple; for in the day of evil he shall hide me in his tabernacle; in the secret of his tent shall he hide me; he shall set me up upon a rock. And now shall my head be lifted up against mine enemies round about me, and I will offer in his tent sacrifices of shouting. (시27:4-6)

 

[4] 가장 높은 뜻으로는, 주님은 그의 인성과 관련하여, ‘장막’, ‘성막’, 그리고 ‘성전’이십니다. 그래서 모든 천인(天人, celestial man)을 그렇게 부르며, 그래서 또한 모든 천적이며 거룩한 것들을 그렇게 부릅니다. In the supreme sense, the Lord as to his human essence is the “tent,” the “tabernacle,” and the “temple”; hence every celestial man is so called, and also everything celestial and holy.

 

태고 교회는 주님을 자기 뒤에 일어난 교회들보다 훨씬 더 사랑했으며, 그때는 혼자, 즉, 가족 단위로 살면서 자신의 장막에서 참으로 거룩한 예배를 드렸기 때문에, 이런 이유로, 장막은 성전보다 훨씬 더 거룩하게 여겨졌습니다. 성전은 나중에 신성모독 되었습니다. Now as the most ancient church was better beloved of the Lord than the churches that followed it, and as men at that time lived alone, that is, in their own families, and celebrated so holy a worship in their tents, therefore tents were accounted more holy than the temple, which was profaned.

 

장막 시절의 모든 것을 기념하고, 대신하는 절기가 바로 초막절입니다. 토지 소산을 거둘 때에 그들은 그 절기 동안, 태곳적 사람들처럼 장막에서 지냈습니다. (레23:39-44; 신16:13; 호12:9) In remembrance thereof the feast of tabernacles was instituted, when they gathered in the produce of the earth, during which, like the most ancient people, they dwelt in tents. (Lev. 23:39–44; Deut. 16:13; Hosea 12:9)

 

39너희가 토지 소산 거두기를 마치거든 일곱째 달 열닷샛날부터 이레 동안 여호와의 절기를 지키되 첫 날에도 안식하고 여덟째 날에도 안식할 것이요 40첫 날에는 너희가 아름다운 나무 실과와 종려나무 가지와 무성한 나무 가지와 시내 버들을 취하여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 앞에서 이레 동안 즐거워할 것이라 41너희는 매년 이레 동안 여호와께 이 절기를 지킬지니 너희 대대의 영원한 규례라 너희는 일곱째 달에 이를 지킬지니라 42너희는 이레 동안 초막에 거주하되 이스라엘에서 난 자는 다 초막에 거주할지니 43이는 내가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던 때에 초막에 거주하게 한 줄을 너희 대대로 알게 함이니라 나는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이니라 44모세는 이와 같이 여호와의 절기를 이스라엘 자손에게 공포하였더라 (레23:39-44)

 

너희 타작 마당과 포도주 틀의 소출을 거두어 들인 후에 이레 동안 초막절을 지킬 것이요 (신16:13)

 

네가 애굽 땅에 있을 때부터 나는 네 하나님 여호와니라 내가 너로 다시 장막에 거주하게 하기를 명절날에 하던 것 같게 하리라 (호12:9)

 

 

415. ‘가축 치는 자의 조상’은 사랑의 거룩한 것들에서 나오는 선을 상징합니다. 이것은 위, 이 장 2절에서 보여드린, ‘양 치는 자’는 이웃 사랑의 선을 상징한다는 데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That by the “father of cattle” is signified the good that is derived from the holy things of love, is evident from what was shown above, at verse 2 of this chapter, where it was shown that a “shepherd of the flock” signifies the good of charity.

 

그런데 여기 보면, ‘양 치는 자’ 대신 ‘조상’을, ‘양 떼’ 대신 ‘가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Here however the term “father” is employed instead of “shepherd,” and “cattle” instead of “flock”;

 

그리고 야발을 가리켜 ‘가축을 치는 자의 조상’이라 할 때 사용된 단어 ‘가축’이 ‘장막’ 바로 뒤에 나옵니다. 여기서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은, 이것은 사랑의 거룩한 것에서 나오는 선을 상징한다는 것과, 가축의 주거지나 우리, 혹은 장막과 가축의 우리에 거주하는 자들의 조상이라는 의미가 있다는 것입니다. and the word “cattle,” of which Jabal is said to be the “father,” follows immediately after “tent,” whence it is evident that it signifies the good that comes from the holy of love, and that there is meant a habitation or fold for cattle, or the father of them that dwell in tents and in folds for cattle.

 

그리고 이런 표현들이 사랑의 천적인 것들에서 나오는 선들을 상징한다는 것은 말씀에 나오는 다양한 본문들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And that these expressions signify goods from the celestial things of love, is evident from various passages in the Word.

 

예레미야입니다. As in Jeremiah:

 

내가 내 양 떼의 남은 것을 그 몰려 갔던 모든 지방에서 모아 다시 그 우리로 돌아오게 하리니 그들의 생육이 번성할 것이며 I will gather the remnants of my flock out of all lands whither I have scattered them, and I will bring them again to their folds, that they may be fruitful and multiply. (렘23:3)

 

에스겔입니다. In Ezekiel:

 

좋은 꼴을 먹이고 그 우리를 이스라엘 높은 산에 두리니 그것들이 그 곳에 있는 좋은 우리에 누워 있으며 이스라엘 산에서 살진 꼴을 먹으리라 I will feed them in a good pasture, and upon the mountains of the height of Israel shall their fold be; there shall they lie down in a good fold, and in a fat pasture shall they feed upon the mountains of Israel, (겔34:14)

 

여기 ‘우리’와 ‘’은 ‘살지다’로 서술된 사랑의 선들을 가리킵니다. where “folds” and “pastures” denote the goods of love, of which “fatness” is predicated.

 

이사야입니다. In Isaiah:

 

네가 땅에 뿌린 종자에 주께서 비를 주사 땅이 먹을 것을 내며 곡식이 풍성하고 기름지게 하실 것이며 그 날에 네 가축이 광활한 목장에서 먹을 것이요 He shall give the rain of thy seed wherewith thou shalt sow the ground; and bread of the increase of the ground shall be fat and full of oil; in that day shall he feed thy cattle in a broad meadow, (사30:23)

 

여기 ‘먹을 것’은 천적인 것을, 가축이 그 가운데서 먹게 될 ‘풍성함’은 천적인 것에서 나오는 선들을 상징합니다. where by “bread” is signified what is celestial, and by the “fat” whereon the cattle should feed, the goods thence derived.

 

예레미야입니다. In Jeremiah:

 

11여호와께서 야곱을 구원하시되 12그들이 와서 시온의 높은 곳에서 찬송하며 여호와의 복 곧 곡식과 새 포도주와 기름과 어린 양의 떼와 소의 떼를 얻고 크게 기뻐하리라 그 심령은 물 댄 동산 같겠고 Jehovah hath redeemed Jacob, and they shall come and sing in the height of Zion, and shall flow together to the good of Jehovah, for the wheat, and for the new wine, and for the oil, and for the sons of the flock, and of the herd; and their soul shall be as a watered garden, (렘31:11-12)

 

여기 여호와의 거룩하심이 ‘곡식’과 ‘기름’으로, 그리고 거기서 나오는 선들이 ‘새 포도주’와 ‘어린 양의 떼와 소의 떼’, 혹은 ‘가축’으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where the holy of Jehovah is described by “wheat” and “oil,” and the goods derived from it by “new wine” and the “sons of the flock and of the herd,” or of “cattle.

 

다시 Again:

 

목자들이 그 양 떼를 몰고 와서 주위에 자기 장막을 치고 각기 그 처소에서 먹이리로다 The shepherds and the flocks of their cattle shall come unto the daughter of Zion; they shall pitch their tents toward her round about; they shall feed everyone his own space. (렘6:3)

 

시온의 딸’은 천적 교회를 가리키는데, ‘장막’과 ‘양 떼’로 서술되고 있습니다. The “daughter of Zion” denotes the celestial church, of which “tents” and “flocks of cattle” are predicated.

 

 

416. 사랑의 거룩한 것들과 거기서 나오는 선들을 상징하고 있음은 야발이 ‘장막에 거주하며 가축을 치는’ 최초의 사람이 아니었다는 사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담과 하와의 둘째였던 아벨, 그 역시 ‘양 치는 자’였던 아벨의 경우와 같다 할 수 있으며, 야발은 가인에서 시작, 일곱 번째였기 때문입니다. That the holy things of love and the derivative goods are signified is evident from the fact that Jabal was not the first of those who “dwelt in tents and in folds of cattle,” for it is said likewise of Abel, the second son of Adam and Eve, that he was “a shepherd of the flock,” and Jabal was the seventh in the order of descent from Cain.

2021-06-11(D6)-매일예배(창4,20, AC.412-416), '야발, 장막에 거주하며 가축을 치는 자의 조상'.hwp
0.08MB

https://youtu.be/OXbAnbGnK8Q

 

Posted by bygracetistory
,

https://youtu.be/MlVNZ-9adhU

 

Posted by bygracetistory
,

라멕이 두 아내를 맞이하였으니 하나의 이름은 아다요 하나의 이름은 씰라였더라 And Lamech took unto him two wives; the name of the one was Adah, and the name of the other Zillah. (창4:19)

 

 

408. 하나의 교회가 더 이상 그 어떤 신앙도 남아 있지 않을 정도로 황폐해지면, 전과 다르게 새로움이 시작됩니다. 즉, 새 빛이 발(發)하는데요, 이걸 말씀에서는 ‘아침’이라고 합니다. When a church has been so vastated that there is no longer any faith, then and not before, it begins anew, that is, new light shines forth, which in the Word is called the “morning.

 

이 새 빛 혹은 ‘아침’이 왜 교회가 황폐해질 때까지는 발하지 않는지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동안 신앙과 이웃 사랑의 일들은 모독의 일들과 뒤엉킨 상태로 지내왔습니다. The reason why the new light or “morning” does not shine forth until the church is vastated, is that the things of faith and of charity have been commingled with things profane;

 

그리고 이 일들이 여전히 이런 상태에 있는 한, 무슨 빛이나 이웃 사랑이 시작되기란 불가능합니다. ‘잡초들’이 모든 ‘좋은 씨’를 파괴하기 때문입니다. and so long as they remain in this state it is impossible for anything of light or charity to be insinuated, since the “tares” destroy all the “good seed.

 

그러나 신앙이 전혀 없으면, 신앙은 더 이상 모독 될 수 없습니다. 사람들이 자기들에게 선포된 것을 더 이상 믿지 않기 때문입니다. But when there is no faith, faith can no longer be profaned, because men no longer believe what is declared unto them;

 

그리고 시인도, 믿지도 않고, 대신 알기만 하는 사람들은 위에서 관찰한 것처럼, 모독을 할 수가 없습니다. and those who do not acknowledge and believe, but only know, cannot profane, as was observed above.

 

이것이 바로 오늘날 유대인들의 경우입니다. 유대인들은 그리스도인들 가운데서 더불어 살면서, 그리스도인들이 시인하는 주님이 자기들이 그토록 기다려 왔고, 지금도 기다리고 있는 바로 그 메시아이심을 알아야 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그들은 이 사실을 모독할 수 없습니다. 그들은 시인도, 믿지도 않기 때문입니다. This is the case with the Jews at the present day, who in consequence of living among Christians must be aware that the Lord is acknowledged by Christians to be the messiah whom they themselves have expected, and still continue to expect, but yet they cannot profane this because they do not acknowledge and believe it.

 

그리고 주님에 대하여 들은 모하메드인들과 이방인들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And it is the same with the Mohammedans and gentiles who have heard about the Lord.

 

이것이 바로 유대 교회가 아무것도 시인도, 믿지도 않을 때까지는 주님이 세상에 오실 수 없으셨던 이유였습니다. It was for this reason that the Lord did not come into the world until the Jewish church acknowledged and believed nothing.

 

 

409. ‘가인’이라 하는 이단의 경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 이단 역시 세월이 흘러 황폐해졌는데요, 사랑을 시인했지만, 신앙을 머리 삼고, 사랑보다 앞세웠기 때문입니다. 이 가인이라는 이단에서 유래한 이단들은 점점 더 곁길로 빠지더니, 순서상 여섯 번째인 라멕에 이르러서는 아예 신앙조차 부인했습니다. The case was the same with the heresy called “Cain,” which in process of time was vastated, for although it acknowledged love, yet it made faith the chief and set it before love, and the heresies derived from this one gradually wandered from it, and Lamech, who was the sixth in order, altogether denied even faith.

 

이 지경이 되자 새 빛 혹은 아침이 빛을 발하며, 새 교회가 나왔는데 여기 본문에 보면, 그 이름이 ‘아다와 씰라’이며, 부르기를, ‘라멕의 아내들’이라 하고 있습니다. When this time arrived, a new light, or morning, shone forth, and a new church was made which is here named “Adah and Zillah,” who are called the “wives of Lamech.

 

그들을 일컬어 라멕의 아내들이라 하고 있습니다. 라멕은 아무 신앙도 갖고 있지 않았던 사람인데도 말입니다. 마치 유대인들의 내적, 외적 교회의 경우와 같은데요, 유대인들 역시 아무 신앙도 갖고 있지 않았던 사람들이었습니다. 유대인들의 이 두 교회를, 말씀에 보면 ‘아내들’, 곧 야곱의 두 아내, 레아와 라헬로 표현하고 있는데, 여기서 레아는 외적 교회를, 라헬은 내적 교회를 표현합니다. They are called the wives of Lamech, although he possessed no faith, just as the internal and external church of the Jews, who also had no faith, are also in the Word called “wives,” being represented by Leah and Rachel, the two wives of Jacob—Leah representing the external church and Rachel the internal.

 

이 교회들은 둘로 보이지만 하나입니다. These churches, although they appear like two, are yet only one;

 

내적인 것과 분리된, 외적인 것 혹은 대신하는 것은 단지 무슨 우상을 숭배하는 것이거나 죽은 것인 반면, 외적인 것과 함께 하는 내적인 것은 하나의 교회를 형성하며, 여기 아다와 씰라가 그런 것처럼 심지어 하나 된 교회, 같은 교회를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for the external or representative, separate from the internal, is but as something idolatrous, or dead, whereas the internal together with the external constitute a church, and even one and the same church, as Adah and Zillah do here.

 

하지만 야곱과 그의 후손은 라멕처럼 아무 신앙도 갖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교회는 그들 가운데 있을 수가 없어 대신 이방인들에게로 옮겨졌습니다. 이들은 부정(不貞, infidelity)한 대신 무지하게 살았습니다. As however Jacob and his posterity, like Lamech, had no faith, the church could not remain with them, but was transferred to the gentiles, who lived not in infidelity but in ignorance.

 

교회가 황폐해졌을 때, 그 가운데 진리를 가진 사람들이 남아 있을 경우는, 설령 있다 하더라도 극히 드뭅니다. 교회는 그 경우, 진리에 관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에게로 이동하는데요, 오히려 이 사람들이 저 사람들보다 더 쉽게 신앙을 받아들이기 때문입니다. The church rarely, if ever, remains with those who when vastated have truths among them [apud se] but is transferred to those who know nothing at all of truths, for these embrace the faith much more easily than the former.

 

 

410. 황폐함에는 두 종류가 있습니다. Vastation is of two kinds;

 

먼저, 알면서 알고 싶어 하지 않거나, 보면서 보고 싶어 하지 않는 사람들입니다. 과거 유대인들과 오늘날 기독교인들처럼 말입니다. first, of those who know and do not wish to know, or who see and do not desire to see, like the Jews of old, and the Christians of the present day;

 

두 번째는, 무지의 결과인데요, 뭘 알지도 볼 줄도 모르는 사람들입니다. 고대와 현대 이방인들처럼 말입니다. and secondly, of those who, in consequence of their ignorance, neither know nor see anything, like both the ancient and modern gentiles.

 

황폐함의 마지막 때가, 알면서 알고 싶어 하지 않는, 즉, 보면서 보고 싶어 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이를 때, 하나의 교회가 새롭게 일어나는데요, 이들이 아니고, 이들이 이방인이라 부르는 사람들한테 일어납니다. When the last time of vastation comes upon those who know and do not desire to know, that is, who see and do not desire to see, then a church arises anew, not among them, but with those whom they call gentiles.

 

이런 일이 홍수 전 태고 교회에 일어났고, 또 홍수 후, 고대 교회, 그리고 유대 교회에도 일어났습니다. This occurred with the most ancient church that was before the flood, with the ancient church that was after that event, and also with the Jewish church.

 

새 빛이 그때 빛을 발하고, 전에는 아닌 이유는, 지금까지 말씀드린 것처럼, 그때 그들은 계시된 것들을 더 이상 모독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그것들이 진리임을 시인도, 믿지도 않기 때문입니다. The reason why new light shines forth then and not before is, as has been said, that then they can no longer profane the things revealed, because they do not acknowledge and believe that they are true.

 

 

411. 새 교회가 일어나기 전에 반드시 먼저 마지막 황폐함의 때가 있어야 한다는 것을 주님은 예언서에서 자주 선언하셨는데요, 신앙의 천적인 것들과 관련해서는, ‘황폐함’, 혹은 ‘황폐하게 함’으로, That the last time of vastation must exist before a new church can arise, is frequently declared by the Lord in the prophets, and is there called “vastation” or “laying waste,” in reference to the celestial things of faith;

 

그리고 신앙의 영적인 것들과 관련해서는, ‘황무함’으로 일컬으십니다. and “desolation,” in relation to the spiritual things of faith.

 

또는 ‘종말’, ‘끊음’으로도 말씀하십니다. (※ 다음 본문들 참조 : 사6:9, 11-12, 23:8-끝절, 24장, 42:15-18, 렘25, 단8, 9:24-끝절, 습1, 신32, 계15, 16 및 이어지는 장들) It is also spoken of as “consummation” and “cutting off.” (See Isa. 6:9, 11–12; 23:8 to the end; 24; 42:15–18; Jer. 25; Dan. 8; 9:24 to the end; Zeph. 1; Deut. 32; Rev. 15; 16; and following chapters.)

 

9여호와께서 이르시되 가서 이 백성에게 이르기를 너희가 듣기는 들어도 깨닫지 못할 것이요 보기는 보아도 알지 못하리라 하여 11내가 이르되 주여 어느 때까지니이까 하였더니 주께서 대답하시되 성읍들은 황폐하여 주민이 없으며 가옥들에는 사람이 없고 이 토지는 황폐하게 되며 12여호와께서 사람들을 멀리 옮기셔서 이 땅 가운데에 황폐한 곳이 많을 때까지니라 (사6:9, 11-12)

 

8면류관을 씌우던 자요 그 상인들은 고관들이요 그 무역상들은 세상에 존귀한 자들이었던 두로에 대하여 누가 이 일을 정하였느냐 9만군의 여호와께서 그것을 정하신 것이라 모든 누리던 영화를 욕되게 하시며 세상의 모든 교만하던 자가 멸시를 받게 하려 하심이라 10딸 다시스여 나일 같이 너희 땅에 넘칠지어다 너를 속박함이 다시는 없으리라 11여호와께서 바다 위에 그의 손을 펴사 열방을 흔드시며 여호와께서 가나안에 대하여 명령을 내려 그 견고한 성들을 무너뜨리게 하시고 12이르시되 너 학대 받은 처녀 딸 시돈아 네게 다시는 희락이 없으리니 일어나 깃딤으로 건너가라 거기에서도 네가 평안을 얻지 못하리라 하셨느니라 13갈대아 사람의 땅을 보라 그 백성이 없어졌나니 곧 앗수르 사람이 그 곳을 들짐승이 사는 곳이 되게 하였으되 그들이 망대를 세우고 궁전을 헐어 황무하게 하였느니라 14다시스의 배들아 너희는 슬피 부르짖으라 너희의 견고한 성이 파괴되었느니라 15그 날부터 두로가 한 왕의 연한 같이 칠십 년 동안 잊어버린 바 되었다가 칠십 년이 찬 후에 두로는 기생의 노래 같이 될 것이라 16잊어버린 바 되었던 너 음녀여 수금을 가지고 성읍에 두루 다니며 기묘한 곡조로 많은 노래를 불러서 너를 다시 기억하게 하라 하였느니라 17칠십 년이 찬 후에 여호와께서 두로를 돌보시리니 그가 다시 값을 받고 지면에 있는 열방과 음란을 행할 것이며 18그 무역한 것과 이익을 거룩히 여호와께 돌리고 간직하거나 쌓아 두지 아니하리니 그 무역한 것이 여호와 앞에 사는 자가 배불리 먹을 양식, 잘 입을 옷감이 되리라 (사23:8-18)

 

※ 이하 참조 본문은 성경을 직접 참조하세요.

2021-06-09(D4)-매일예배(창4,19, AC.408-411), '라멕이 두 아내를 맞이하였으니'.hwp
0.07MB

https://youtu.be/3hpseoCgdV4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