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천국 신앙, 새 교회 신앙

The Faith of the New Heaven and of the New Church

 

1

이 신앙(faith)이라는 것은 범 우주적, 즉 보편적 형태(a universal form)와 어떤 특정한, 즉 구체적 형태(a particular form)로 먼저 전개되는데요, 그 맡은 역할이라 하면, 어떤 작품에 있어 그 뒤에 이어지는 내용들에 앞서 등장하는 서문(a preface)이라든지, 어떤 성전에 들어갈 수 있는 입구(a gate), 혹은 그 뒤따르는 내용물이 그 나름의 어떤 식으로 들어있는 요약(a summary) 같은 게 있겠습니다. 이 신앙을 일컬어 새 천국 신앙, 새 교회 신앙이라고 하는데요, 그 이유는, 천사들이 지내는 천국과 사람들로 구성되는 교회가 마치 사람 안의 속 사람, 겉 사람처럼 하나로 움직이기 때문이며, 그 결과, 교회에 속하여 신앙의 진리로 말미암아 사랑의 선 가운데 있으면서, 그리고 사랑의 선으로 말미암아 신앙의 진리 가운데 있는 사람은 그 마음의 내면에 있어서는 천국에 속한 천사이며, 그러다가 사후, 천국에 들어가 그 사랑과 신앙의 하나 된 상태에 따라 그곳에서 행복을 누리기 때문입니다. 주님이 지금 세우고 계시는 새 천국에서는 이 신앙이 그 서문이요, 입구이고 요약이라는 사실을 이제 밝히고자 합니다. This faith is first set forth in a universal and in a particular form, that it may serve as a preface set before the work that follows, also as a gate giving entrance to a temple, and as a summary, containing in their own mode the particulars that succeed. It is called the faith of the new heaven and of the new church because heaven which is the abode of angels, and the church which is made up of men, act as a one, like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man; consequently the man of the church who is in the good of love from the truths of faith and in the truths of faith from the good of love, is, in respect to the interiors of his mind, an angel of heaven; and being such he after death enters heaven and there enjoys happiness in proportion to the state of conjunction of his love and faith. Let it be known that in the new heaven, which the Lord is now establishing, this faith is its preface, gate, and summary.

 

 

2

새 천국 신앙, 새 교회 신앙의 보편적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The faith of the new heaven and of the new church in its universal form is as follows:

 

영원부터 여호와이신 주님은 지옥을 정복하시고, 그의 인성(human)을 영화롭게 하시기 위해 세상에 오셨습니다. 이 일이 없었으면 사람은 그 누구도 구원받을 수 없었을 것입니다. 그를 믿는 사람은 구원을 받습니다. The Lord from eternity, who is Jehovah, came into the world to subjugate the hells and to glorify his human; and without this no mortal could have been saved; and those are saved who believe in him.

 

[2] 이것을 신앙의 보편적 형태라고 하는 이유는, 이것이 신앙의 보편적 원리이기 때문입니다. 이 신앙의 보편적 원리는 신앙의 모든 개별적인 것과 전체 안에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하나님은 그 본질(essence)에 있어, 그리고 그 인격(person), 그러니까 그 안에 신적 삼위일체(a Divine trinity)가 있으신 인격에 있어 한 분이시라는 사실과, 바로 그분이 주 하나님 구주 예수 그리스도(the Lord God the savior Jesus Christ)시라는 사실은 신앙의 보편적 원리입니다. 주님이 세상에 오시지 않았으면, 아무도 구원을 받을 수 없었을 것이라는 사실은 신앙의 보편적 원리입니다. 주님은 인간한테서 지옥을 떼어놓으시기 위해 세상에 오셨다는 사실과, 주님은 그걸 지옥과 싸워 이기심을 통해, 그리고 그렇게 해서 지옥을 진압, 질서 회복 및 주님께 복종하게 하심을 통해 해내셨다는 사실은 신앙의 보편적 원리입니다. 주님은 자신의 인성을 영화롭게 하시려고 세상에 오셨다는 사실 또한 신앙의 보편적 원리입니다. 이 인성은 주님이 세상에서 옷처럼 입고 계셨던 것인데요, 이 '영화롭게 하신다'는 건, 그러니까 그 인성과 모든 것의 근원 되신 신성(the Divine)을 하나 되게 하셔서, 그 결과, 주님이 지옥을 영원히 질서 안에 있게, 그리고 주님에 대한 복종 가운데 있게 하심을 말합니다. 이 일은 오직 주님의 인성에게 허락된 시험들을 통해서만 성취될 수 있었기 때문에 주님은 심지어 그 마저도 견디셨는데요, 바로 십자가의 고난이라고도 하는 마지막 시험 말입니다. 이와 같은 사실들이 주님 편에서 본, 신앙의 보편적 원리들입니다. This is called the faith in its universal form, because this is the universal principle of faith; and the universal principle of faith must be in each thing and in all things of it. It is a universal principle of faith that God is one in essence and in person, in whom is a Divine trinity, and that he is the Lord God the savior Jesus Christ. It is a universal principle of faith that no mortal could have been saved unless the Lord had come into the world. It is a universal principle of faith that he came into the world to remove hell from man, and that he did remove it by means of contests with it and victories over it, and thereby he subdued it and reduced it to order and made it obedient to himself. It is a universal principle of faith that he came into the world to glorify his human which he took on in the world, that is, to unite it with the Divine from which [are all things], and thereby he eternally holds hell in order and under obedience to himself. As this could be accomplished only by means of temptations admitted into his human, even to the last of them, which was the passion of the cross, he endured even that. These are the universal principles of faith relating to the Lord.

 

[3] 사람 편에서 본 신앙의 보편적 원리는 사람은 주님을 믿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주님을 믿음으로써 주님과 결합하게 되고, 그래야 구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님을 믿는다는 건, 주님이 구원하신다는 걸 신뢰, 확신하는 건데요, 그런데 올바른 삶을 사는 사람들이라야 이 확신 또한 가질 수 있기에, 올바르게 산다는 건, 곧 주님을 믿는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주님이 요한복음에서 가르치신 것이 바로 이것입니다. The universal principle of faith on man’s part is that he should believe in the Lord; for by believing in him there is conjunction with him and thereby salvation. To believe in the Lord is to have confidence that he saves; and as only those who live rightly can have this confidence, this, too, is meant by believing in him. And this the Lord teaches in John:

 

내 아버지의 뜻은 아들을 보고 믿는 자마다 영생을 얻는 이것이니 마지막 날에 내가 이를 다시 살리리라 하시니라 (요6:40) This is the Father’s will, that everyone that believeth in the son may have eternal life; (John 6:40)

 

아들을 믿는 자에게는 영생이 있고 아들에게 순종하지 아니하는 자는 영생을 보지 못하고 도리어 하나님의 진노가 그 위에 머물러 있느니라 (요3:36) He that believeth in the son hath eternal life; but he that believeth not in the son shall not see life, but the wrath of God abideth on him. (John 3:36)

 

 

3

새 천국 신앙, 새 교회 신앙의 구체적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The faith of the new heaven and of the new church in a particular form is as follows:

 

여호와 하나님은 사랑 그 자체, 지혜 그 자체, 즉 선 그 자체, 진리 그 자체이신 분입니다. 여호와 하나님은 말씀(the Word)이신 신적 진리(Divine truth), 곧 전에 하나님과 함께 계셨던 하나님이신 신적 진리와 관련, 천국의 모든 것과 지옥의 모든 것, 그리고 교회의 모든 것을 그 처음 질서로 환원키 위해 세상에 오셔서 인성을 입으셨습니다. 왜냐하면, 그 당시 지옥의 권세가 천국의 권세보다 우세했고, 지상에서는 악의 권세가 선의 권세보다 우월했으며, 그 결과, 완전한 지옥살이(damnation), 즉 끔찍한 저주가 바로 문 앞에 위협적으로 서 있었기 때문이지요. 여호와 하나님은 신적 진리셨던 자신의 이 인성을 가지고 이 임박한 저주를 해결하셨는데요(removed), 그렇게 해서 천사들과 사람들을 구하셨고(redeemed), 그렇게 해서 자신의 인성 안에서 신적 진리와 신적 선, 즉 신적 지혜와 신적 사랑을 결합하셨으며(united), 그렇게 해서 그분의 영화롭게 되신 인성으로(with), 그리고 그 인성 안에서(in) 본래 영원부터 계셨던 신성으로 다시 돌아가신 것입니다. Jehovah God is love itself and wisdom itself, or is good itself and truth itself; and in respect to Divine truth, which is the Word, and which was God with God, he came down and took on the human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o order all things that were in heaven, and all things in hell, and all things in the church; because at that time the power of hell prevailed over the power of heaven, and upon the earth the power of evil over the power of good, and in consequence a total damnation stood threatening at the door. This impending damnation Jehovah God removed by means of his human, which was Divine truth, and thus he redeemed angels and men, and thereupon he united, in his human, Divine truth with Divine good or Divine wisdom with Divine love; and so, with and in his glorified human, he returned into his Divine in which he was from eternity.

 

요한복음의 다음 말씀은 이 모든 걸 의미합니다.  All this is meant by these words in John:

 

1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니라, 14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의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 (요1:1, 14) The Word was with God, and God was the Word. And the Word became flesh; (John 1:1, 14)

 

내가 아버지에게서 나와 세상에 왔고 다시 세상을 떠나 아버지께로 가노라 하시니 (요16:28) I came out from the Father and am come into the world; again I leave the world and go unto the Father; (John 16:28)

 

그리고 또 다음 말씀도 and also by these words:

 

또 아는 것은 하나님의 아들이 이르러 우리에게 지각을 주사 우리로 참된 자를 알게 하신 것과 또한 우리가 참된 자 곧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이니 그는 참 하나님이시요 영생이시라 (요일5:20) We know that the son of God is come, and has given us understanding that we may know the true; and we are in the true, in his son Jesus Christ. He is the true God and life eternal. (1 John 5:20)

 

이들 말씀들을 통해 분명한 것은, 주님이 세상에 오시지 않았으면 아무도 구원받을 수 없었다는 사실입니다. 이 사실은 오늘날에도 동일한데요, 그래서 주님의 재림이 이번에도 말씀이신 신적 진리로 오시는 게 아니면 역시 아무도 구원받을 수 없는 것입니다. From these words it is clear that without the Lord’s coming into the world no one could have been saved. It is the same today; and therefore without the Lord’s coming again into the world in Divine truth, which is the Word, no one can be saved.

 

[2] 사람 편에서 본, 신앙의 구체적인 원리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The particulars of faith on man’s part are:

 

(1) 하나님은 한 분이시며, 신적 삼위일체가 그 안에 계신 분입니다. 주 하나님 구주 예수 그리스도가 바로 그분입니다. God is one, in whom is a Divine trinity, and the Lord God the savior Jesus Christ is that one.

 

(2) 구원하는 신앙은 그분을 믿는 것입니다. Saving faith is to believe in him.

 

(3) 악을 행하면 절대로 안 됩니다. 악은 마귀의 일이며, 마귀로부터 말미암기 때문입니다. Evils should not be done, because they are of the devil and from the devil.

 

(4) 선은 반드시 행해야 합니다. 선은 하나님의 일이며, 하나님으로 말미암기 때문입니다. Goods should be done, because they are of God and from God.

 

(5) 선은 겉으로 봐서는 사람이 자기 힘으로 행하는 것 같지만, 그러나 사실은 그 사람 안에 계신 주님에 의해서, 그리고 주님이 그 사람을 통해서 행하심이라는 사실을 반드시 믿어야 합니다. These should be done by man as if by himself; but it should be believed that they are done by the Lord in man and through man.

 

처음 둘은 신앙, 그 다음 둘은 체어리티(charity), 그리고 마지막 다섯 번째는 체어리티와 신앙 간 결합과, 그렇게 해서 주님과 사람 간 결합에 관한 것입니다. The first two are matters of faith, the next two of charity, and the fifth of the conjunction of charity and faith, thus of the conjunction of the Lord and man.

Posted by bygracetistory
,

 

창2,1-17, AC.73-81, '창2,1-17 본문, Contents, Internal Sense'.hwp
0.08MB

https://youtu.be/fdrv98MX3PE

 

 

축도

 

이제는 우리 주 여호와 하나님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빛과 도우심의 그 은혜와 사랑이 오늘, 말씀을 듣고 자기 마음에

 

오, 거룩하신 사랑의 주님, 오늘은 창세기 2장 앞부분, 1절로 17절 본문의 개요와 속뜻을 살폈습니다.

 

영적 인간의 여섯 단계 중 마지막 단계에서 사람은 이제 매사에 주님 향한 애정과 사랑으로 선을 행하고 진리를 말하게 된다는 것, 이 상태가 되면 더 이상 가망이 없으므로 악한 영들은 포기하고 떠나며, 더 이상 싸울 상대가 없으므로 비로소 주님은 쉬신다는 것, 이 일곱째 날 안식일의 상태가 천적 인간의 상태이며, 모든 거듭남의 최종 목표라는 것, 오늘 본문은 이런 천적 인간의 어떠함을 에덴동산 및 네 개의 강으로 스토리텔링을 하신 것이며, 단, 특별히 조심해야 할 것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주님의 신비를 세속적인 것으로 접근하는 거라는 것, 이런 짓이 치명적인 이유는, 이것이 천적 본성을 죽음에 이르게 하기 때문이라는, 이런 내용이었습니다. 오, 주님, 저로 하여금 이 일련의 순서를 잘 밟아 직진하게 하시며, 세월을 아껴 주님의 사람, 주님의 기쁨 되게 하여 주시옵소서...

 

간절히 기도하는, 이 자리 모인 모든 주의 자녀들의 심령 가운데, 생활과 삶 가운데 이제부터 영원토록 함께 하시기를 간절히, 간절히 축원하옵나이다. 아멘!

 

 

Posted by bygracetistory
,

2022-03-13(D1)-제10권11호통446호.hwp
1.01MB

Posted by bygracetistory
,

1

주님의 섭리는 주님의 사랑과 지혜로 다스리시는 것입니다

Divine Providence Is Government by the Lord’s Divine Love and Wisdom

 

※ ‘divine’이라는 단어는 ‘신(神)의’, ‘신성(神性)한’(holy) 등의 의미이므로 ‘divine providence’를 ‘신의 섭리’, ‘하나님의 섭리’ 등으로 번역하는 것이 자연스럽지만... 저는 ‘’은 오직 주님 한 분뿐이므로 그냥 ‘주님의 섭리’로 번역합니다. 나중에 더 좋은 번역이 나오면 그때 바꾸겠습니다.

 

※ 마찬가지로, ‘the Lord’s divine love and wisdom’ 역시 그냥 ‘주님의 사랑과 지혜’로 번역합니다. 대신 따로 영어 표현을 괄호로 병기하겠습니다.

 

1. 주님의 섭리가 무엇인지를 이해하려면, 즉, 주님의 사랑과 지혜로 다스리신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려면, 사람은 먼저 앞서 주님의 사랑과 지혜에 대한 논문에서 이에 대하여 뭐라고 했는지를 알 필요가 있습니다. 즉, ‘주님의 사랑은 주님의 지혜에 속하고, 주님의 지혜는 주님의 사랑에 속한다’(DLW.34-39); ‘주님의 사랑과 지혜는 그것으로 창조된 것을 제외한 다른 모든 것 안에서는 있을 수도, 지배적일 수도 없다’(DLW.47-51); ‘피조세계의 모든 것이 이들 주님의 사랑과 지혜로 창조되었다’(DLW.52, 53, 151-156); ‘만물은 주님의 사랑과 지혜를 담는 그릇이다’(DLW.55-60); ‘주님은 천사들 앞에 하나의 해로 나타나신다. 이 해에서 뿜어져 나오는 열은 사랑이고, 빛은 지혜다’(DLW.83-88, 89-92, 93-98, 296-301); ‘주님에게서 뿜어져 나오는 주님의 사랑과 지혜는 하나를 이룬다’(DLW.99-102); ‘영원부터 계신 주님, 이분이 곧 여호와이신데, 이 피조세계와 그 안의 만유를 주님 자신으로부터 지으셨다. 만유는 무(無, nothing)에서 온 게 아니다’(DLW.282-284, 290-295). To understand what divine providence is—namely, government by the Lord’s divine love and wisdom—one needs to know what was said and shown earlier about divine love and wisdom in the treatise about them: “In the Lord divine love is of divine wisdom, and divine wisdom of divine love” (n. 34–39); “Divine love and wisdom cannot but be in, and be manifested in, all else, created by them” (n. 47–51); “All things in the universe were created by them” (n. 52, 53, 151–156); “All are recipients of that love and wisdom” (n. 55–60); “The Lord appears before the angels as a sun, the heat proceeding from it being love, and the light wisdom” (n. 83–88, 89–92, 93–98, 296–301); “Divine love and wisdom, proceeding from the Lord, make one” (n. 99–102); “The Lord from eternity, who is Jehovah, created the universe and everything in it from himself, and not from nothing” (n. 282–284, 290–295).

 

※ 여기 글 번호들은 ‘Divine Love and Wisdom’에 나오는 글 번호들입니다. 그래서 앞에 DLW라는 약어를 사용합니다. 참고로, 스베덴보리의 여러 저작들은 공식 약어들이 있는데 거기서 가져온 것입니다. 참고로, 스베덴보리의 여러 저작들은 공식 약어들이 정해져 있습니다. 가령, 창세기, 출애굽기 주석인 Arcana CoelestiaAC, 요한계시록 주석인 Apocalypse ExplainedAE, 결혼애(結婚愛)에 관한 Conjugial LoveCL 등입니다.

 

이것은 ‘주님의 사랑과 지혜에 대한 천사의 지혜’라는 제목의 논문에 나옵니다. This is to be found in the treatise entitled Angelic Wisdom about Divine Love and Wisdom.

 

Posted by bygracetistory
,

https://youtu.be/Mm7l_-0DM4M

24.창1,31, AC.60-63, '하나님이 지으신 그 모든 것을 보시니'.hwp
0.07MB
천국과지옥.3.60.576-581.'지옥 영들의 악독함과 입에 담을 수 없는 술책'.pdf
0.36MB

Posted by bygracetistory
,

2022-03-06(D1)-제10권10호통445호.성찬.hwp
1.01MB

Posted by bygracetistory
,

창2:1-17

 

2, 3절, 하나님이 그가 하시던 일을 일곱째 날에 마치시니 그가 하시던 모든 일을 그치고 일곱째 날에 안식하시니라 하나님이 그 일곱째 날을 복되게 하사 거룩하게 하셨으니 이는 하나님이 그 창조하시며 만드시던 모든 일을 마치시고 그날에 안식하셨음이니라 Verse 2, 3. And on the seventh day God finished his work which he had made; and he rested on the seventh day from all his work which he had made. And God blessed the seventh day, and hallowed it; because that in it he rested from all his work which God in making created.

 

※ 2, 3절 속뜻

 

사람을 거듭나게 하는 육 일간의 일은 주님이 일하신 날이며, 거듭남의 완성, 곧 천적 인간의 상태는 주님이 쉬시는 날, 곧 안식일입니다. 거듭난 당사자는 나 자신이지만 나를 대신하여 싸우신 분은 주님이시기 때문에 주님이 쉬시는 것입니다. 주님은 안식일을 성별하사 복되게 하셨습니다. ‘창조하다’, ‘짓다’, ‘만들다’ 하는 표현들은 모두 사람의 거듭남과 관련된 표현들입니다. ‘주님의 일’은 사람을 거듭나게 하시는 일입니다.

 

 

84. 천적(天的, celestial) 인간이 ‘일곱째 날’인데요, 주께서 육 일간 일하셨기 때문에, 이를 일컬어 ‘그의 일’(his work)이라 하며, 이때 모든 전투가 그치기 때문에, 주님을 가리켜 ‘모든 일을 그치고 안식하시니라’ 하는 것입니다. The celestial man is the “seventh day,” which, as the Lord has worked during the six days, is called “his work”; and as all combat then ceases, the Lord is said to “rest from all his work.”

 

이런 이유로, 이 일곱째 날은 성별(聖別, sanctif y)되었고, 히브리어로는 싸바쓰(sabbath)라 하며, 그 뜻은 ‘안식’(rest)입니다. On this account the seventh day was sanctified, and called the sabbath, from a Hebrew word meaning “rest.”

 

이렇게 사람(man)은 창조(create), 형성(form) 및 만들어(make)졌습니다. And thus was man created, formed, and made.

 

이 모든 것이 말씀들로부터 아주 분명합니다. These things are very evident from the words.

 

 

85. 천적 인간이 ‘일곱째 날’이며, 그래서 일곱째 날을 거룩하게 하시고, 안식일이라 하셨다는 사실은 이때까지 한 번도 밝혀진 적이 없는 아케이나(arcana, 秘義)입니다. That the celestial man is the “seventh day,” and that the seventh day was therefore hallowed, and called the sabbath, are arcana which have not hitherto been discovered.

 

천적 인간의 본성을 접해 본 사람은 지금까지 아무도 없었습니다. 영적 인간의 경우는 약간 있었는데, 앞서 81번 글을 보면, 천적 인간과 영적 인간 사이, 실로 엄청난 차이가 존재함에도 불구, 이런 무지의 결과, 그들은 천적 인간 행세를 했습니다. For none have been acquainted with the nature of the celestial man, and few with that of the spiritual man, whom in consequence of this ignorance they have made to be the same as the celestial man, notwithstanding the great difference that exists between them, as may be seen in n. 81.

 

일곱째 날과 관련하여, 그리고 천적 인간이 ‘일곱째 날’ 혹은 ‘안식일’인 것과 관련하여, 이것은 주님 자신, 안식일이시고, 그래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신 사실로 분명합니다. As regards the seventh day, and as regards the celestial man being the “seventh day” or “sabbath,” this is evident from the fact that the Lord himself is the sabbath; and therefore he says:

 

이러므로 인자는 안식일에도 주인이니라 (막2:28) The son of man is Lord also of the sabbath, (Mark 2:27)

 

이 말씀의 의미는 주님이 사람 자체(man himself)이시며, 안식일 자체(the sabbath itself)이시라는 것입니다. which words imply that the Lord is man himself, and the sabbath itself.

 

천국과 지상에 있는 그분의 나라를 일컬어 그분으로 말미암은 일종의 안식일, 혹은 영원한 평화와 쉼이라고 합니다. His kingdom in the heavens and on the earth is called, from him, a sabbath, or eternal peace and rest.

 

[2] 여기서 다뤄지고 있는 태고교회는 이후 이 교회를 계승한 다른 어떤 교회들보다도 더 가장 주님의 안식일이었습니다. The most ancient church, which is here treated of, was the sabbath of the Lord above all that succeeded it.

 

주님의 모든 후속(subsequent) 및 가장 내적(inmost) 교회들 역시 일종의 안식일입니다. 모든 거듭나는 사람 역시 그가 천적이 되면 마찬가지인데요, 그것은 그의 모양이 주님을 닮기 때문입니다. Every subsequent inmost church of the Lord is also a sabbath; and so is every regenerate person when he becomes celestial, because he is a likeness of the Lord.

 

먼저 육 일간의 전투 혹은 수고가 선행합니다. The six days of combat or labor precede.

 

이런 것들이 유대 교회에서 육 일간의 수고와 일곱째 날 안식일로 표현되었습니다. 그 교회에 도입된 어느 것 하나 주님과 주님의 나라에 대한 표상(representative) 아닌 것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These things were represented in the Jewish church by the days of labor, and by the seventh day, which was the sabbath; for in that church there was nothing instituted which was not representative of the Lord and of his kingdom.

 

같은 설명이 궤(the ark, 여호와의 법궤)로도 표현되었습니다. 궤가 나아갈 때와 궤가 쉴 때로 말이지요. 궤가 광야를 이리저리 다니는 것으로는 싸움과 시험(combats and temptations)을, 그리고 궤가 쉬는 것으로는 일종의 평화(peace)의 상태를 표현했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궤가 나아갈 때, 모세는 말하기를 The like was also represented by the ark when it went forward, and when it rested, for by its journeyings in the wilderness were represented combats and temptations, and by its rest a state of peace; and therefore, when it set forward, Moses said:

 

35궤가 떠날 때에는 모세가 말하되 여호와여 일어나사 주의 대적들을 흩으시고 주를 미워하는 자가 주 앞에서 도망하게 하소서 하였고 36궤가 쉴 때에는 말하되 여호와여 이스라엘 종족들에게로 돌아오소서 하였더라 (민10:35-36) Rise up, Jehovah, and let thine enemies be scattered, and let them that hate thee flee before thy faces. And when it rested, he said, Return, Jehovah, unto the ten thousands of the thousands of Israel. (Num. 10:35–36)

 

여호와의 산을 떠난 궤를 일컬어서는 ‘그들의 쉴 곳을 찾았고’라 하였습니다. It is there said of the ark that it went from the Mount of Jehovah “to search out a rest for them” (Num. 10:33).

 

그들이 여호와의 산에서 떠나 삼 일 길을 갈 때에 여호와의 언약궤가 그 삼 일 길에 앞서가며 그들의 쉴 곳을 찾았고 (민10:33)

 

[3] 천적 인간의 쉼을 이사야에서는 안식일을 가지고 이렇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The rest of the celestial man is described by the sabbath in Isaiah:

 

13만일 안식일에 네 발을 금하여 내 성일에 오락을 행하지 아니하고 안식일을 일컬어 즐거운 날이라, 여호와의 성일을 존귀한 날이라 하여 이를 존귀하게 여기고 네 길로 행하지 아니하며 네 오락을 구하지 아니하며 사사로운 말을 하지 아니하면 14네가 여호와 안에서 즐거움을 얻을 것이라 내가 너를 땅의 높은 곳에 올리고 네 조상 야곱의 기업으로 기르리라 여호와의 입의 말씀이니라 (사58:13-14) If thou bring back thy foot from the sabbath, so that thou doest not thy desire in the day of my holiness, and callest the things of the sabbath delights to the holy of Jehovah, honorable; and shalt honor it, not doing thine own ways, nor finding thine own desire, nor speaking a word; then shalt thou be delightful to Jehovah, and I will cause thee to be borne over the lofty things of the earth, and will feed thee with the heritage of Jacob. (Isa. 58:13–14)

 

이것이 천적 인간의 질(質, quality)입니다. 그는 자신의 본성적 욕구(his own desire)가 아닌, 주님의 선하신 즐거움(the good pleasure of the Lord)을 따릅니다. 이것이 그의 ‘즐거움’(desire)입니다. Such is the quality of the celestial man that he acts not according to his own desire, but according to the good pleasure of the Lord, which is his “desire.”

 

그 결과, 그는 내적 평화와 행복을 누립니다. 이것이 위 말씀, ‘땅의 높은 곳에 올리고’로 표현된 의미이며, 동시에 그는 겉으로도 평온과 큰 기쁨을 누리는데, 이것이 바로 ‘네 조상 야곱의 기업으로 기르리라’의 의미입니다. Thus he enjoys internal peace and happiness—here expressed by “being uplifted over the lofty things of the earth”—and at the same time external tranquility and delight, which is signified by “being fed with the heritage of Jacob.”

 

 

86. ‘여섯째 날’이 된(has become) 영적 인간이 이제 천적 인간이 되려고 하는(is beginning to be) 상태가 여기서 먼저 다뤄지고 있는데요, 이때가 유대 교회에서 말하는 ‘안식일 저녁’입니다. 안식일의 거룩함을 저녁부터 지키는 것으로 표현했지요. When the spiritual man, who has become the “sixth day,” is beginning to be celestial, which state is here first treated of, it is the “eve of the sabbath,” represented in the Jewish church by the keeping holy of the sabbath from the evening.

 

천적 인간은 이제 말씀드릴 ‘아침’입니다. The celestial man is the “morning” to be spoken of presently.

 

이날은 준비일이요 안식일이 거의 되었더라 (눅23:54)

 

 

87. 천적 인간을 가리켜 ‘안식일’ 또는 ‘쉼’이라 하는 또 다른 이유는, 그가 천적이 될 때, 싸움이 그치기 때문입니다. Another reason why the celestial man is the “sabbath,” or “rest,” is that combat ceases when he becomes celestial.

 

악한 영들은 물러가고, 선한 영들과 천적 천사들이 다가옵니다. 이들이 있으면 악한 영들은 도저히 머무를 수가 없어 멀리 달아납니다. The evil spirits retire, and good ones approach, as well as celestial angels; and when these are present, evil spirits cannot possibly remain, but flee far away.

 

전투를 치른 사람이 이 사람 본인이 아니라 홀로 주님이시기 때문에 주님이 ‘안식하시니라’ 하는 것입니다. And since it was not the man himself who carried on the combat, but the Lord alone for the man, it is said that the Lord “rested.”

 

 

88. 영적 인간이 천적 인간이 될 때, 그를 가리켜 ‘하나님의 일’이라 합니다. 주님 홀로 그를 위해 지금까지 싸워오셨고, 지금까지 그를 창조해 오셨으며, 지으시고 만들어 오셨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여기서 ‘하나님이 그가 하시던 일을 일곱째 날에 마치시니’ 하는 것이며, 한 번 더 ‘하나님이 그 모든 일을 마치시고 안식하셨음이니라’ 하는 것입니다. When the spiritual man becomes celestial, he is called the “work of God,” because the Lord alone has fought for him, and has created, formed, and made him; and therefore it is here said, “God finished his work on the seventh day”; and twice, that “he rested from all his work.”

 

인간은 선지자들에 의해 반복적으로 ‘여호와의 손과 손가락으로 한 일’이라 일컬어지고 있습니다. 이사야에, 거듭난 사람을 가리켜 말씀하시기를 By the prophets man is repeatedly called the “work of the hands and of the fingers of Jehovah”; as in Isaiah, speaking of the regenerate man:

 

11이스라엘의 거룩하신 이 곧 이스라엘을 지으신 여호와께서 이같이 이르시되 너희가 장래 일을 내게 물으며 또 내 아들들과 내 손으로 한 일에 관하여 내게 명령하려느냐 12내가 땅을 만들고 그 위에 사람을 창조하였으며 내가 내 손으로 하늘을 펴고 하늘의 모든 군대에게 명령하였노라 18대저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되 하늘을 창조하신 이 그는 하나님이시니 그가 땅을 지으시고 그것을 만드셨으며 그것을 견고하게 하시되 혼돈하게 창조하지 아니하시고 사람이 거주하게 그것을 지으셨으니 나는 여호와라 나 외에 다른 이가 없느니라 21너희는 알리며 진술하고 또 함께 의논하여 보라 이 일을 옛부터 듣게 한 자가 누구냐 이전부터 그것을 알게 한 자가 누구냐 나 여호와가 아니냐 나 외에 다른 신이 없나니 나는 공의를 행하며 구원을 베푸는 하나님이라 나 외에 다른 이가 없느니라 (사45:11-12, 18, 21) Thus hath said Jehovah the holy one of Israel, and his former, Seek ye signs of me, signs concerning my sons, and concerning the work of my hands command ye me. I have made the earth, and created man upon it; I, even my hands have stretched out the heavens, and all their army have I commanded. For thus hath said Jehovah that createth the heavens, God himself that formeth the earth and maketh it; he establisheth it, he created it not a void, he formed it to be inhabited; I am Jehovah and there is no God else besides me. (Isa. 45:11–12, 18, 21)

 

이 말씀을 보면 분명히 새 창조, 혹은 거듭남은 오직 주님의 일임을 알 수 있습니다. Hence it is evident that the new creation, or regeneration, is the work of the Lord alone.

 

‘창조하다’(create), ‘짓다’(form), ‘만들다’(make)라는 표현들을 다음 두 가지 경우와, 또 창세기 본 장과 앞 장에 아주 특징적으로 사용하고 있는데요, 그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 구절 중, ‘하늘을 창조하신 이, 그가 땅을 지으시고 그것을 만드셨으며’ 하는 부분, 그리고 같은 이사야 다른 구절, 예를 들면, The expressions to “create,” to “form,” and to “make,” are employed quite distinctively, both in the above passage—“creating the heavens, forming the earth, and making it”—and in other places in the same prophet, as:

 

내 이름으로 불려지는 모든 자 곧 내가 내 영광을 위하여 창조한 자를 오게 하라 그를 내가 지었고 그를 내가 만들었느니라 (사43:7) Everyone that is called by my name, I have created him for my glory, I have formed him, yea, I have made him, (Isa. 43:7)

 

또 창세기 1장과 지금 2장, ‘하나님이 그 창조하시며 만드시던 모든 일을 마치시고 그날에 안식하셨음이니라’ 하는 부분들입니다. and also in both the preceding and this chapter of Genesis; as in the passage before us: “he rested from all his work which God in making created.”

 

속뜻을 생각할 때, 이런 용법을 만나면 늘 그 표현을 눈여겨보게 되는데요, 다음 케이스들이 바로 그런 경우들입니다. 주님을 가리켜 ‘창조하시는 분’(creator), ‘빚으시는 분’(former), ‘만드시는 분’(maker)으로 표현하는 경우들이지요. In the internal sense this usage always conveys a distinct idea; and the case is the same where the Lord is called “creator,” “former,” or “maker.”

 

Posted by bygracetistory
,

창2:1-17

 

1절, 천지와 만물이 다 이루어지니라 Verse 1. And the heavens and the earth were finished, and all the army of them.

 

※ 1절 속뜻

 

영적으로 ‘여섯째 날’에 이르게 되었을 정도로 연단을 받은 사람을 의미합니다. 그의 속 사람은 ‘천’(天, heaven),그의 겉 사람이 ‘지’(地, earth)이며, 그의 사랑과 신앙 및 관련 모든 지식이 ‘만물’(萬物, the army of them)입니다.

 

 

82. 이 구절의 의미는, 사람이 그동안 연단을 받아 이제 ‘여섯째 날’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영적인 상태가 되었다(have become)는 것입니다. ‘’(天, heaven)은 그의 속 사람, ‘’(地, earth)는 그의 겉 사람입니다. ‘만물’(萬物, the army of them)은 사랑, 신앙, 그리고 그에 속한 지식이며, 이는 앞서 큰 광명체들과 별들로 상징된 것입니다. By these words is meant that man is now rendered so far spiritual as to have become the “sixth day”; “heaven” is his internal man, and “earth” his external; “the army of them” are love, faith, and the knowledges thereof, which were previously signified by the great luminaries and the stars.

 

속 사람을 ‘하늘’, 겉 사람을 ‘’이라 하는 것은, 앞서 전 장에서 이미 인용된 말씀 구절들을 보면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That the internal man is called “heaven,” and the external “earth,” is evident from the passages of the Word already cited in the preceding chapter,

 

참고로, 그 말씀 중 몇을 다시 인용하면,

 

네 구속자요 모태에서 너를 지은 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나는 만물을 지은 여호와라 홀로 하늘을 폈으며 나와 함께 한 자 없이 땅을 펼쳤고 (사44:24)

 

하늘을 창조하여 펴시고 땅과 그 소산을 내시며 땅 위의 백성에게 호흡을 주시며 땅에 행하는 자에게 영을 주시는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되 (사42:5)

 

이 구절들에 다음 이사야 말씀들을 추가하면,  to which may be added the following from Isaiah:

 

12내가 사람을 순금보다 희소하게 하며 인생을 오빌의 금보다 희귀하게 하리로다 13그러므로 나 만군의 여호와가 맹렬히 노하는 날에 하늘을 진동시키며 땅을 흔들어 그 자리에서 떠나게 하리니 (사13:12-13) I will make a man more rare than solid gold, even a man than the precious gold of Ophir; therefore I will smite the heavens with terror, and the earth shall be shaken out of its place. (Isa. 13:12–13)

 

13하늘을 펴고 땅의 기초를 정하고 너를 지은 자 여호와를 어찌하여 잊어버렸느냐 너를 멸하려고 준비하는 저 학대자의 분노를 어찌하여 항상 종일 두려워하느냐 학대자의 분노가 어디 있느냐 16내가 내 말을 네 입에 두고 내 손 그늘로 너를 덮었나니 이는 내가 하늘을 펴며 땅의 기초를 정하며 시온에게 이르기를 너는 내 백성이라 말하기 위함이니라 (사51:13, 16) Thou forgettest Jehovah thy maker, that stretcheth forth the heavens, and layeth the foundations of the earth; but I will put my words in thy mouth, and I will hide thee in the shadow of my hand, that I may stretch out the heaven, and lay the foundation of the earth. (Isa. 51:13, 16)

 

이들 말씀으로부터, ‘하늘’과 ‘’이 사람(man)에 관한 서술임을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비록 이런 표현들이 주로 태고교회를 가리키고는 있지만, 말씀의 내면들은 다음과 같은 속성, 곧, 교회에 관한 언급은 또한 그 교회의 모든 부분에 관한 언급일 수도 있는, 일단 그 자신, 교회가 아니면 그가 교회의 어떤 부분이 되는 건 절대 불가능한, 마치 자신이 주님의 성전이 아닌 자는 성전, 곧 교회와 천국으로 상징되는 그 무엇이 절대 될 수 없는, 그런 속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From these words it is evident that both “heaven” and “earth” are predicated of man; for although they refer primarily to the most ancient church, yet the interiors of the Word are of such a nature that whatever is said of the church may also be said of every individual member of it, who, unless he were a church, could not possibly be a part of the church, just as he who is not a temple of the Lord cannot be what is signified by the temple, namely, the church and heaven.

 

※ 천사들의 모임을 천국이라 하는데, 그 이유는, 천사 하나하나가 사실은 가장 작은 천국이기 때문이라는 원리와 같습니다. 구성원은 천국이 아닌데, 그걸 다 모으면 천국이 되는 그런 건 불가능하고, 넌센스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로, 태고교회에 대하여 ‘사람’(man)이라는 단수 표현을 하는 것입니다. It is for this reason that the most ancient church is called “man,” in the singular number.

 

 

83. 사람이 ‘여섯째 날’이 되자 ‘천지와 만물’이 ‘다 이루어지니라’라고 합니다. 이때 신앙과 사랑이 하나가 되기 때문입니다. The “heavens and the earth and all the army of them” are said to be “finished,” when man has become the “sixth day,” for then faith and love make a one.

 

이렇게 될 때, 사랑 혹은 천적 원칙(the celestial principle)이 주요 원리(the principal)가 되기 시작합니다. 신앙이나 영적 원칙이 아니고 말이지요. 이것이 바로 한 사람의 천적 인간이 된다는 것입니다. When they do this, love, and not faith, or in other words the celestial principle, and not the spiritual, begins to be the principal, and this is to be a celestial man.

 

※ 즉, 무슨 말을 하고 행동을 해도 사랑으로 한다는 말입니다. 사랑하기 때문에 그렇게 말하고, 사랑하기 때문에 그렇게 행동하는, 그런 사람이 바로 천적 인간이라는 것입니다.

 

※ 이런 사람이 있을까 생각할 때, 거의 영 순위로 떠오르는 사람이 있는데, 그가 바로 성 프란치스코입니다. ‘’(聖)은 관례상 붙여 부른 것입니다. 엄두섭 저, ‘성 프란치스코’(은성출판사)를 꼭 정독하시기 바랍니다.

 

※ 영적 인간은 영생을 추구하다 보니 주님을 만나지만, 천적 인간은 주님을 사랑하다 보니 영생을 얻게 됩니다. 좀 과하게 비유하자면, ‘I love you, because I need you.’와 ‘I need you, because I love you.’의 차이와 흡사합니다.

 
Posted by bygracetistory
,

https://youtu.be/TgUcGWVs2Z4

 

Posted by bygracetistory
,

2022-02-27(D1)-제10권9호통444호.hwp
1.01MB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