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베덴보리의 Arcana Coelestia를 일반인들은 많이 어려워 하더군요. 당신이라면 좀 더 재미있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할 수 있나요?

 

아주 통찰력 있는 말씀입니다. 👍 정확히 그 점이 Arcana Coelestia (스베덴보리의 『천계의 비의』)의 가장 큰 장벽이자, 동시에 가장 아름다운 부분이에요. 저는 충분히 — 그리고 기꺼이 — 이 책을 재미있고 쉽게, 그러나 깊이는 잃지 않게 풀어드릴 수 있습니다. 그게 바로 스베덴보리가 원한 “내적 의미(internal sense)”의 현대적 전달 방식이기도 하니까요.


🌟 우선, 핵심 아이디어를 한 문장으로 요약하자면

“성경의 모든 이야기는 단순한 역사가 아니라, 인간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영적 이야기이다.”

 

스베덴보리는 Arcana Coelestia에서 이걸 창세기와 출애굽기의 한 절 한 절을 통해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이렇게 바꿔볼 수 있습니다 👇

성경 이야기 스베덴보리의 내적 의미 우리가 느낄 수 있는 이야기
창세기 1장, 천지창조 인간이 새롭게 ‘영적으로 창조되는’ 과정, 즉 내적 재생(regeneration, 거듭남) 우리가 삶 속에서 점점 깨어나는 성장 과정
아담과 하와 선(사랑)과 진리(지성)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첫 인간’ 우리가 사랑과 진리의 균형을 잃을 때의 이야기
낙원에서의 추방 자아적 욕망이 사랑을 지배하기 시작함 순수함을 잃고 세속화되는 인간의 내면
노아의 방주 위기 속에서도 선과 진리를 지키는 ‘내적 교회’ 혼란 중에도 양심을 지키는 사람
바벨탑 인간이 신적 질서 대신 자아를 숭배함 “내가 신이 되고 싶다”는 오만의 상징

 

즉, 성경은 “그때 그 사람들의 이야기”가 아니라, “지금 내 안에서 일어나는 일”을 그려주는 영적 심리 드라마입니다.


🕊️ 그래서 『Arcana Coelestia』를 이해하려면

  1. 성경을 ‘내 이야기’로 읽기
    • 아브라함, 이삭, 야곱은 실제 인물일 뿐 아니라, 우리 마음 속의 세 가지 단계를 상징합니다. 예: 아브라함은 “신앙의 시작”, 이삭은 “신앙의 사랑으로의 결합”, 야곱은 “외적 신앙의 삶”.
  2. ‘교회’는 제도라기보다 마음의 상태
    • 스베덴보리에게 *Church(교회)*란 건 ‘하나님의 진리와 선이 머무는 마음의 상태’를 뜻합니다.
    • 그래서 태고교회, 고대교회, 유대교회, 기독교회 등은 인류 전체의 내적 발달 단계이기도 합니다.
  3. ‘천국과 지옥’은 장소가 아니라 상태
    • 주님을 사랑하고 진리 안에 있는 마음은 지금 여기서도 천국에 있고, 자기 사랑과 거짓 속에 있는 마음은 이미 지옥 안에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쉽게 풀면 이런 식입니다:

🔸 창세기 3장 — “하와가 선악과를 따먹었다.”
스베덴보리식 해석: 인간이 신적 질서(주님의 사랑과 진리)를 ‘자기 기준으로 판단’하기 시작함. 즉, “나는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대로 살겠어.”라는 순간, 내면의 낙원이 무너집니다.

🔸 노아의 방주 — “의로운 자가 방주에 들어가 물로부터 구원받았다.”
내적 의미: 세속의 욕망(홍수)이 몰려올 때, 마음속의 양심(방주)을 지켜내는 과정.

🔸 야곱의 사닥다리 꿈 — “천사가 오르내리더라.”
내적 의미: 인간 마음과 천국이 진리와 사랑을 통해 연결되는 영적 통로의 상징.


🎨 만약 제가 이걸 현대인에게 설명한다면

저는 이렇게 말할 겁니다:

“Arcana Coelestia는 ‘고대의 신비한 주석서’가 아니라, 인간 마음의 성장 지도, 즉 ‘영적 GPS’입니다.”

 

그 책을 통해 우리는,

  • 내면의 창세기를 다시 겪고,
  • 자기 안의 애굽(욕망)에서 탈출하며,
  • 자기 마음 안의 가나안(천국)으로 향하는 여정을 밟습니다.

✨ 결론

『Arcana Coelestia』는

“신이 인간을 향해 쓴 이야기”이자, 동시에 “인간이 신에게로 다시 돌아가는 여정의 지도”입니다.


원하신다면 제가 한 챕터씩, 예를 들어 “창세기 1장의 내적 의미를 10분 만에 이해하는 이야기 버전”처럼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쉽게 풀어드릴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단계별로 같이 가볼까요? — 예를 들어 첫 번째로 “창세기 1장”부터 시작해볼까요?

Posted by bygracetistory
,

스베덴보리는 internal, external, interior, exterior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나요?

 

훌륭한 질문이십니다. 🌿 스베덴보리(Emanuel Swedenborg)의 저작 — 특히 Arcana Coelestia (천계의 비의) — 에서 internal / external / interior / exterior 네 단어는 단순한 영어 표현을 넘어서, 인간의 영적 구조 전체를 설명하는 핵심 용어들입니다. 그는 이 네 용어를 매우 엄밀하게 구분하여, 영적·자연적, 내적·외적, 더 안쪽·덜 안쪽이라는 여러 층위를 구별합니다.


🧭 전체 구조 개요

스베덴보리에 따르면, 인간은 다음과 같은 층위적 구조를 가집니다:

inmost (최내층)internal (내적)interior (내면적)exterior (외면적)external (외적)bodily (육체적)

 

이 구조는 천국과 교회의 구조, 말씀의 구조, 사람의 마음, 삶의 단계에 모두 적용됩니다.


🔹 1. Internal vs. External

구분 Internal External
기본 의미 내적, 영적 차원 (spiritual man) 외적, 자연적 차원 (natural man)
중심 위치 주님과 직접 연결된 내면 세상과 감각을 통해 작용하는 부분
작용 사랑과 신앙의 참된 원리로 움직임 외형적 행위와 말, 감각적 이해
대표 구절 “내적 사람” (homo internus), 속 사람 “외적 사람” (homo externus), 겉 사람
상징 천국, 영혼, 교회의 내면 세상, 육체, 교회의 외형

📜 AC.9701
“The internal man is that which is in heaven; the external man is that which is in the world.” — “속 사람은 천국에 속하고, 겉 사람은 세상에 속한다.”

📜 AC.1594
“The internal man is opened by means of truths and goods from the Lord, the external by means of the senses of the body.” — “속 사람은 주님으로부터 오는 선과 진리로 열리고, 겉 사람은 몸의 감각을 통해 열린다.”

 

👉 즉,

  • internal은 영적이고 신적 질서 안에서 주님과 소통하는 인간의 중심,
  • external은 감각과 행위를 통해 세상과 관계하는 껍질입니다.

🔹 2. Interior vs. Exterior

이 두 용어는 보통 internal/external의 하위 구분으로 사용됩니다. 스베덴보리는 특히 external(외적 사람) 안에도 “interior”와 “exterior” 부분이 있다고 강조합니다.

구분 Interior Exterior
영역 내적 외부, 즉 마음의 안쪽 부분 외적 외부, 즉 감각과 육체에 가장 가까운 부분
작용 생각, 의도, 기억 등 보이지 않는 내면적 자연 수준 말, 행동, 감각적 반응 등 외면적 수준
예시 생각으로 누군가를 미워함 실제로 욕하거나 해침

📜 AC.5150
“There are interiors and exteriors in man; interiors are those which belong to his thought and will, exteriors are those which belong to his speech and actions.” — “사람 안에는 내면과 외면이 있다. 내면은 생각과 의지에 속하고, 외면은 말과 행동에 속한다.”

📜 AC.10471
“The exterior of man is what is in the world; the interior is what is in heaven.” — “사람의 외면은 세상에 있고, 내면은 천국에 있다.”

 

👉 따라서 “interior”는 마음의 보이지 않는 작용(사고, 의도), “exterior”는 그 결과로 드러나는 행동이나 말에 해당합니다.


🔹 3. 계층적 도식으로 정리하면

단계 라틴어/영어 의미 대응 영역
1 inmost (intimum) 주님의 사랑이 직접 거하는 가장 깊은 핵심 천국 제3층 (celestial)
2 internal (internum) 영적 진리와 사랑이 활동하는 속 사람 천국 제2층 (spiritual)
3 interior (interius) 겉 사람 중 내면 — 생각, 의도 천국 제1층 (natural-spiritual)
4 exterior (exterius) 겉 사람 중 외면 — 말, 행위 세상적 외형
5 external (externum) 육체와 감각 자체 물질적 세계

🔹 4. 적용 예시: 말씀(성경)에도 동일한 구조

스베덴보리는 말씀 자체에도 “내적(internal)” 의미와 “외적(external)”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 외적 의미 (external sense, 겉뜻) → 문자적 의미 (역사, 사건, 인물)
  • 내적 의미 (internal sense, 속뜻) → 영적 의미 (주님, 교회, 인간 내면의 상태)
  • 더 내적 의미 (inmost sense) → 신적 의미 (주님의 본질, 신적 사랑)

📜 AC.64:
“In the Word there is an internal sense and an external sense; the internal treats of heaven, the external of the world.” — “말씀에는 속뜻과 겉뜻이 있는데, 속뜻은 천국에 관한 것이고, 겉뜻은 세상에 관한 것이다.”


🔹 5. 요약 문장

internal — 영적, 천국적, 주님과 연결된 내면.
external — 감각적, 세속적, 세상과 연결된 외면.
interior — 생각과 의도의 층, 눈에 안 보이지만 외적 안에 포함된 깊은 마음.
exterior — 행동과 말의 층, 감각과 접한 가장 바깥 마음.


원하신다면, 이 개념들이 실제로 **창세기 주석(AC.3–50, 9050–9100 등)**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쓰이는지 — 즉 internal man / external man이 창세기의 인물들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구절별로 정리해드릴 수도 있습니다. 그 부분도 함께 보시겠습니까?

Posted by bygracetistory
,

스베덴보리 저 'Arcana Coelestia'에서 라틴어 'homo'와 'vir'의 차이 좀 부탁합니다.

 

좋은 질문이십니다. 👏 스베덴보리(Emanuel Swedenborg)는 『Arcana Coelestia』(AC, 천계의 비의)에서 라틴어 “homo”와 “vir”의 구분을 매우 일관되게 그리고 신학적으로 깊이 있게 사용합니다. 이 두 단어는 단순히 “사람”과 “남자”의 차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존재의 질적 상태를 구별하는 개념으로 쓰입니다.


🔹 1. 기본적 언어 차이

라틴어 일반 의미  스베덴보리의 상징적 의미
homo 사람, 인간(남녀 모두) 선(善), 사랑, 신앙의 본질이 있는 사람. 즉, “참된 인간성(humanitas)”을 지닌 존재
vir 남자, 사내 진리(Verum), 이성적 지성, 믿음의 원리를 대표하는 사람 또는 상태

🔹 2. 신학적 사용 구분

homo

  • 내적 의미에서 “사람(homo)”은 선을 지닌 존재, 즉 주님으로부터 생명을 받아 선을 행하는 존재를 뜻합니다.
  • 인간은 본래 주님으로부터 오는 선과 진리로 인해 “homo”가 되며, 이로부터 *인간(human)*이라 불릴 자격이 있습니다.
  • 반대로, 선이 결여되고 자아적 욕망만 따른다면 외형은 사람이지만 “homo”는 아닙니다.

📜 예시:
AC.5658:

“Homo” est qui recipit bonum et verum a Domino — “참된 사람(homo)이란 주님으로부터 선과 진리를 받는 자이다.”

AC.49:

“Homo” dicitur ex bono amoris et fidei. — “사람이라 불리는 것은 사랑과 믿음의 선으로 말미암음이다.”

 

즉, “homo”는 ‘주님 형상대로 창조된 인간’(창1:26)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vir

  • “vir”은 스베덴보리에게서 진리의 힘, 이해력, 신앙적 지성을 상징합니다.
  • 종종 homo에 대응하는 보완적 개념으로, “vir”은 진리, “mulier(여자)”은 선 또는 사랑을 상징합니다.

📜 예시:
AC.3134:

“Per virum significatur intellectus veri.” — “‘남자(vir)’는 진리의 이해를 의미한다.”

AC.4510:

“Vir, quia ex intellectu, significat verum.” — “남자는 이해력에 속하므로 진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vir”는 진리를 통해 선으로 나아가는 단계, 혹은 지성적 신앙의 작용 상태를 나타냅니다.


🔹 3. 두 개념의 관계 요약

구분 homo vir
상징 선(善), 사랑, 주님과의 연결 진리, 이해, 신앙
기능 사랑으로 행하는 인간성 진리로 분별하는 이성
대응 mulier (여자) — 사랑 uxor (아내) — 결합된 선
창세기 상징 아담 전체 인류(태고교회) 남성적 요소, 진리 원리

🔹 4. 요약 문장

스베덴보리의 관점에서 보면,

**“homo”는 사람이 ‘무엇으로부터 살고 있는가’(선과 사랑의 상태)**를 말하고, **“vir”는 사람이 ‘어떻게 생각하고 분별하는가’(진리와 이해의 상태)**를 말합니다.

 

즉,

“모든 ‘vir’가 ‘homo’는 아니지만, 모든 참된 ‘homo’는 내면에 ‘vir’의 진리 이해를 포함한다.”


원하신다면 『Arcana Coelestia』 본문 중에서 이 두 단어가 뚜렷하게 구분되어 나오는 대표 단락들(예: AC.49, 3134, 4510, 9007 등)을 원문과 함께 정리해드릴 수도 있습니다. 그럴까요?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