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91, 창2:5-6, '여호와 하나님이 땅에 비를 내리지 아니하셨고'(AC.90-93)

 

5, 6절, 5여호와 하나님이 땅에 비를 내리지 아니하셨고 땅을 갈 사람도 없었으므로 들에는 초목이 아직 없었고 밭에는 채소가 나지 아니하였으며 6안개만 땅에서 올라와 온 지면을 적셨더라 And there was no shrub of the field as yet in the earth, and there was no herb of the field as yet growing, because Jehovah God had not caused it to rain upon the earth. And there was no man to till the ground. And he made a mist to ascend from the earth, and watered all the faces of the ground.

 

91

그러나 여기 이런 것들은 사람이 영적 상태에서 천적 상태로 상태가 바뀌어 간다는 게 무엇인지를 먼저 알기 전까지는 절대로 지각할 수조차 없는 내용입니다. 그만큼 아주 깊이 감춰진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이 영적 상태에 있는 동안은 겉 사람은 아직 속 사람에게 기꺼이 복종하려 하거나 섬기려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때는 아직 일종의 싸움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가 천적 상태가 되면, 그때는 겉 사람은 속 사람에게 복종하고 섬기기 시작합니다. 자연히 싸움도 그치고, 평온함이 시작되지요. (cf. 87) But what these things involve cannot possibly be perceived unless it is known what man’s state is while from being spiritual he is becoming celestial, for they are deeply hidden. While he is spiritual, the external man is not yet willing to yield obedience to and serve the internal, and therefore there is a combat; but when he becomes celestial, then the external man begins to obey and serve the internal, and therefore the combat ceases, and tranquility ensues (see n. 87).

 

※ 87번 글입니다.

 

...천적 인간을 가리켜 ‘안식일(the sabbath), 즉 ‘(rest)이라 하는 또 다른 이유는, 그가 천적 인간이 될 때, 싸움이 그치기 때문인데요, 이때  악한 영들은 물러가고, 선한 영들과 천적 천사들이 다가옵니다. 이들이 있으면 악한 영들은 도저히 머무를 수 없어 멀리 달아나기 때문이며, 그래서 더 이상 싸울 일이 없게 되고, 또한 그동안  전투를 치른 장본인은 이 사람 본인이 아니라 홀로 주님이시기 때문에, 그래서 주님이 쉬시는 것, 곧 주님이 ‘안식하시니라(rested) 하는 것입니다...

 

※ 거듭 성 프란치스코나 성 분도 요셉 라브르 같은 경우가 아닐까 합니다. 저 역시 사람에게 ‘성’(聖)이라는 칭호를 붙여 부르는 게 좀 거북하지만 관례라 그저 따르는 것이니 큰 의미는 부여하지 마시고요, 대신 이들의 전기를 꼭 읽으시기를 권합니다. 이들은 스베덴보리를 알지도, 또 스베덴보리처럼 무슨 영계를 수십 년 왕래하며 체험한 바도 없지만, 그리고 지금 이런 아르카나도 접한 적 없지만, 참으로 겉 사람과 속 사람의 하나 됨, 합일에까지 이른 것으로 보이는 그런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rain), ‘안개(mist)가 바로 이 평온함(tranquility)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이것은 일종의 수증기와도 같아서 마치 겉 사람이 속 사람으로부터 수분 공급을 받아 촉촉해지는 것과 같지요. 이 평온함, 곧 평화의 샘(the offspring of peace)에서 들의 초목(the shrub of the field), ‘밭의 채소(the herb of the field)라 하는 것들이 나오는데요, 이 '들의 초목', '밭의 채소'는 특별히 어떤 천적 영적 기원(a celestial spiritual origin)에서 나오는 합리적 마인드와 기억(the rational mind and of the memory [rationalia et scientifica])에 관한 것들입니다. This tranquility is signified by “rain” and “mist,” for it is like a vapor with which the external man is watered and bedewed from the internal; and it is this tranquility, the offspring of peace, which produces what are called the “shrub of the field,” and the “herb of the field,” which, specifically, are things of the rational mind and of the memory [rationalia et scientifica] from a celestial spiritual origin.

 

※ 땅에 비가 내리고 안개로 축축해져야 들의 초목과 밭의 채소가 자라듯 사람도 심령 상태가 평화, 평온해야 하늘에 기반을 둔 학습 능력과 합리적 마인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지금 이 번역의 일만 놓고 보아도 분명합니다. 나랏일과 여타 사적 일로 마음이 힘들면 번역도 잘 안 되지만 심령이 평안하면 주님의 빛도 훨씬 더 환하게 느껴지며, 번역도 참 잘 되기 때문입니다.

Posted by bygracetistory
,

 AC.90, 창2:5-6, '여호와 하나님이 땅에 비를 내리지 아니하셨고'(AC.90-93)

 

5, 6절, 5여호와 하나님이 땅에 비를 내리지 아니하셨고 땅을 갈 사람도 없었으므로 들에는 초목이 아직 없었고 밭에는 채소가 나지 아니하였으며 6안개만 땅에서 올라와 온 지면을 적셨더라 And there was no shrub of the field as yet in the earth, and there was no herb of the field as yet growing, because Jehovah God had not caused it to rain upon the earth. And there was no man to till the ground. And he made a mist to ascend from the earth, and watered all the faces of the ground.

 

90

들의 초목(the shrub of the field)과 ‘밭의 채소(the herb of the field)는 보통은 겉 사람한테서 나오는 모든 걸 의미합니다. 겉 사람은 사람이 아직 영적일 동안은 ‘(earth)이라고 하지만, 천적이 되면 ‘(ground) 및 ‘(field)이라고 합니다. 바로 뒤에 ‘안개(mist)로 언급되는 ‘(Rain)는 싸움이 그친 뒤 오는 평화로운 평온함(the tranquility of peace)입니다. By the “shrub of the field” and the “herb of the field” are meant in general all that his external man produces. The external man is called “earth” while he remains spiritual, but “ground” and also “field” when he becomes celestial. “Rain,” which is soon after called “mist,” is the tranquility of peace when combat ceases.

Posted by bygracetistory
,

 AC.89, 창2:4, '이것이 천지가 창조될 때에 하늘과 땅의 내력이니'

 

4절, 이것이 천지가 창조될 때에 하늘과 땅의 내력이니 여호와 하나님이 땅과 하늘을 만드시던 날에 These are the nativities of the heavens and of the earth when he created them, in the day in which Jehovah God made the earth and the heavens.

 

89

천지창조의 내력(The nativities of the heavens and of the earth)은 천적 인간을 빚으신 내력(the formations of the celestial man)입니다. 여기서 다루는 내용은 그다음 단계인 천적 인간을 빚으심이라는 것은, 다음에 이어지는 내용을 자세히 관찰하면 분명히 알 수 있는데요, 예를 들면, 5절에, ‘땅을 갈 사람도 없었으므로 들에는 초목이 아직 없었고 밭에는 채소가 나지 아니하였으며’라든지, 7절, ‘여호와 하나님이 사람을 지으시고’와 19절, ‘각종 들짐승과 공중의 각종 새’를 만드시는 장면 등등... 이들 내용들은 이미 앞장에서 다 다룬 내용들임에도 또 다루는 것을 보면, ‘아, 여기서는 또 다른 사람을 다루고 계시는구나!’ 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다음을 보면 더 분명해집니다. 먼저, 주님을 가리켜 ‘여호와 하나님(Jehovah God)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영적 인간을 다룬 앞장에선 간단히 ‘하나님(God)이라고만 했지요. 그리고 또, 여기선 ‘(ground)과 ‘(field)을 함께 언급하는데, 앞에선 ‘(earth)만 언급되었습니다. The “nativities of the heavens and of the earth” are the formations of the celestial man. That his formation is here treated of is very evident from all the particulars which follow, as that no herb was as yet growing; that there was no man to till the ground, as well as that Jehovah God formed man, and afterwards, that he made every beast and bird of the heavens, notwithstanding that the formation of these had been treated of in the foregoing chapter; from all which it is manifest that another man is here treated of. This however is still more evident from the fact that now for the first time the Lord is called “Jehovah God,” whereas in the preceding passages, which treat of the spiritual man, he is called simply “God”; and, further, that now “ground” and “field” are mentioned, while in the preceding passages only “earth” is mentioned.

 

※ 참고로, ‘여호와’는 주님의 신성(神性, the Divine)에 대한 천적(天的, celestial) 칭호, ‘하나님’은 주님의 신성에 대한 영적 칭호입니다. 한편, ‘예수’는 주님의 인성(人性, the Divine Human)에 대한 천적 칭호, ‘그리스도’는 주님의 인성에 대한 영적 칭호입니다.

 

또 오늘 본문 구절인 이 4절에서는 ‘하늘’이 ‘’보다 먼저 언급되다가 나중에는 ‘’이 ‘하늘’보다 먼저 나오는데요, 그 이유는, ‘’은 겉 사람을, ‘하늘’은 속 사람을 각각 상징한다는 것, 그리고 개혁, 개선, 다시 빚으심이 영적 인간의 경우는 ‘’, 곧 겉 사람에서 시작하지만, 천적 인간은, 지금 다루는 사람이 바로 이 사람인데요, 천적 인간의 경우에는 속 사람, 곧 ‘하늘’에서 시작한다는 사실 등에 비추어 볼 때도 그렇습니다. 이런 여러 가지 사실들, 정황들을 통해, ‘아, 여기서는 천적 인간을 다루시는구나!’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In this verse also “heaven” is first mentioned before “earth,” and afterwards “earth” before “heaven”; the reason of which is that “earth” signifies the external man, and “heaven” the internal, and in the spiritual man reformation begins from “earth,” that is, from the external man, while in the celestial man, who is here treated of, it begins from the internal man, or from “heaven.”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