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 사람, 즉 영적 사람과 겉 사람, 즉 자연적 사람 간의 상응에 대해서는 이만 줄이고, 이제 천국 전체와 사람의 각 부분과의 상응을 다루겠다.

 

12

천국의 모든 것과 사람의 모든 것 간에는 어떤 상응이 존재한다

There Is a Correspondence of All Things of Heaven with All Things of Man

 

93

속 사람, 즉 영적 사람과 겉 사람, 즉 자연적 사람 간의 상응에 대해서는 이만 줄이고, 이제 천국 전체와 사람의 각 부분과의 상응을 다루겠다. This much has been said about the correspondence of man’s internal or spiritual with his external or natural; now the correspondence of the whole heaven with everything pertaining to man shall be treated of.

Posted by bygracetistory
,

이러한 관찰로 속 사람(the internal man) 겉 사람(the external)이 무엇인지도 확실히 알 수 있다.

 

12

천국의 모든 것과 사람의 모든 것 간에는 어떤 상응이 존재한다

There Is a Correspondence of All Things of Heaven with All Things of Man

 

92

이러한 관찰로 ‘속 사람(the internal man)과 ‘겉 사람(the external)이 무엇인지도 확실히 알 수 있다. 속 사람은 영적이고, 겉 사람은 자연적이다. 또한 양쪽은 천국이 이 세상과 다른 것처럼 서로 구별된다. 나아가서 겉 사람, 즉 자연적 사람 안에 형성되고 지속되는(take place and come forth) 모든 것은 속 사람, 즉 영적 사람으로부터 나온다. All this shows also what the internal man is and what the external, namely, that the internal is what is called the spiritual man, and the external what is called the natural man; also that the one is distinct from the other as heaven is from the world; also that all things that take place and come forth in the external or natural man take place and come forth from the internal or spiritual man.

Posted by bygracetistory
,

사람의 얼굴을 보면 상응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

천국의 모든 것과 사람의 모든 것 간에는 어떤 상응이 존재한다

There Is a Correspondence of All Things of Heaven with All Things of Man

 

91

사람의 얼굴을 보면 상응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꾸밈없는 얼굴에는 그 마음의 모든 성정(all the affections of the mind)이 눈에 보이는 물질적 형태로 나타난다. 그래서 얼굴을 마음의 표지(the index of the mind)라 부른다. 즉 얼굴은 자연계에 드러난, 사람의 영계인 것이다. 같은 방법으로, 사람의 사고력에 속한 것(what pertains to the understanding)은 그의 말에 나타나고, 의지에 속한 것은 몸의 행동에 나타난다. 따라서 얼굴이건 말이나 행동이건 몸으로 행하는 모든 것은 상응이다. From the human face it can be seen what correspondence is. In a face that has not been taught to dissemble, all the affections of the mind present themselves to view in a natural form, as in their type. This is why the face is called the index of the mind; that is, it is man’s spiritual world presented in his natural world. So, too, what pertains to the understanding is presented in speech, and what pertains to the will is presented in the movements of the body. So whatever effects are produced in the body, whether in the face, in speech, or in bodily movements, are called correspondences.

 

※ 즉 그가 하는 말을 듣고 그가 어떤 understanding의 사람인지, 그가 하는 행동을 보고 그가 어떤 will의 사람인지를 안다는 것입니다. 말은 understanding과, 행동은 will과 상응하기 때문이며, 사람의 겉과 속은 이렇게 상응합니다.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