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베덴보리는 internal, external, interior, exterior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나요?

 

훌륭한 질문이십니다. 🌿 스베덴보리(Emanuel Swedenborg)의 저작 — 특히 Arcana Coelestia (천계의 비의) — 에서 internal / external / interior / exterior 네 단어는 단순한 영어 표현을 넘어서, 인간의 영적 구조 전체를 설명하는 핵심 용어들입니다. 그는 이 네 용어를 매우 엄밀하게 구분하여, 영적·자연적, 내적·외적, 더 안쪽·덜 안쪽이라는 여러 층위를 구별합니다.


🧭 전체 구조 개요

스베덴보리에 따르면, 인간은 다음과 같은 층위적 구조를 가집니다:

inmost (최내층)internal (내적)interior (내면적)exterior (외면적)external (외적)bodily (육체적)

 

이 구조는 천국과 교회의 구조, 말씀의 구조, 사람의 마음, 삶의 단계에 모두 적용됩니다.


🔹 1. Internal vs. External

구분 Internal External
기본 의미 내적, 영적 차원 (spiritual man) 외적, 자연적 차원 (natural man)
중심 위치 주님과 직접 연결된 내면 세상과 감각을 통해 작용하는 부분
작용 사랑과 신앙의 참된 원리로 움직임 외형적 행위와 말, 감각적 이해
대표 구절 “내적 사람” (homo internus), 속 사람 “외적 사람” (homo externus), 겉 사람
상징 천국, 영혼, 교회의 내면 세상, 육체, 교회의 외형

📜 AC.9701
“The internal man is that which is in heaven; the external man is that which is in the world.” — “속 사람은 천국에 속하고, 겉 사람은 세상에 속한다.”

📜 AC.1594
“The internal man is opened by means of truths and goods from the Lord, the external by means of the senses of the body.” — “속 사람은 주님으로부터 오는 선과 진리로 열리고, 겉 사람은 몸의 감각을 통해 열린다.”

 

👉 즉,

  • internal은 영적이고 신적 질서 안에서 주님과 소통하는 인간의 중심,
  • external은 감각과 행위를 통해 세상과 관계하는 껍질입니다.

🔹 2. Interior vs. Exterior

이 두 용어는 보통 internal/external의 하위 구분으로 사용됩니다. 스베덴보리는 특히 external(외적 사람) 안에도 “interior”와 “exterior” 부분이 있다고 강조합니다.

구분 Interior Exterior
영역 내적 외부, 즉 마음의 안쪽 부분 외적 외부, 즉 감각과 육체에 가장 가까운 부분
작용 생각, 의도, 기억 등 보이지 않는 내면적 자연 수준 말, 행동, 감각적 반응 등 외면적 수준
예시 생각으로 누군가를 미워함 실제로 욕하거나 해침

📜 AC.5150
“There are interiors and exteriors in man; interiors are those which belong to his thought and will, exteriors are those which belong to his speech and actions.” — “사람 안에는 내면과 외면이 있다. 내면은 생각과 의지에 속하고, 외면은 말과 행동에 속한다.”

📜 AC.10471
“The exterior of man is what is in the world; the interior is what is in heaven.” — “사람의 외면은 세상에 있고, 내면은 천국에 있다.”

 

👉 따라서 “interior”는 마음의 보이지 않는 작용(사고, 의도), “exterior”는 그 결과로 드러나는 행동이나 말에 해당합니다.


🔹 3. 계층적 도식으로 정리하면

단계 라틴어/영어 의미 대응 영역
1 inmost (intimum) 주님의 사랑이 직접 거하는 가장 깊은 핵심 천국 제3층 (celestial)
2 internal (internum) 영적 진리와 사랑이 활동하는 속 사람 천국 제2층 (spiritual)
3 interior (interius) 겉 사람 중 내면 — 생각, 의도 천국 제1층 (natural-spiritual)
4 exterior (exterius) 겉 사람 중 외면 — 말, 행위 세상적 외형
5 external (externum) 육체와 감각 자체 물질적 세계

🔹 4. 적용 예시: 말씀(성경)에도 동일한 구조

스베덴보리는 말씀 자체에도 “내적(internal)” 의미와 “외적(external)”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 외적 의미 (external sense, 겉뜻) → 문자적 의미 (역사, 사건, 인물)
  • 내적 의미 (internal sense, 속뜻) → 영적 의미 (주님, 교회, 인간 내면의 상태)
  • 더 내적 의미 (inmost sense) → 신적 의미 (주님의 본질, 신적 사랑)

📜 AC.64:
“In the Word there is an internal sense and an external sense; the internal treats of heaven, the external of the world.” — “말씀에는 속뜻과 겉뜻이 있는데, 속뜻은 천국에 관한 것이고, 겉뜻은 세상에 관한 것이다.”


🔹 5. 요약 문장

internal — 영적, 천국적, 주님과 연결된 내면.
external — 감각적, 세속적, 세상과 연결된 외면.
interior — 생각과 의도의 층, 눈에 안 보이지만 외적 안에 포함된 깊은 마음.
exterior — 행동과 말의 층, 감각과 접한 가장 바깥 마음.


원하신다면, 이 개념들이 실제로 **창세기 주석(AC.3–50, 9050–9100 등)**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쓰이는지 — 즉 internal man / external man이 창세기의 인물들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구절별로 정리해드릴 수도 있습니다. 그 부분도 함께 보시겠습니까?

Posted by bygracetistory
,

스베덴보리 저 'Arcana Coelestia'에서 라틴어 'homo'와 'vir'의 차이 좀 부탁합니다.

 

좋은 질문이십니다. 👏 스베덴보리(Emanuel Swedenborg)는 『Arcana Coelestia』(AC, 천계의 비의)에서 라틴어 “homo”와 “vir”의 구분을 매우 일관되게 그리고 신학적으로 깊이 있게 사용합니다. 이 두 단어는 단순히 “사람”과 “남자”의 차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존재의 질적 상태를 구별하는 개념으로 쓰입니다.


🔹 1. 기본적 언어 차이

라틴어 일반 의미  스베덴보리의 상징적 의미
homo 사람, 인간(남녀 모두) 선(善), 사랑, 신앙의 본질이 있는 사람. 즉, “참된 인간성(humanitas)”을 지닌 존재
vir 남자, 사내 진리(Verum), 이성적 지성, 믿음의 원리를 대표하는 사람 또는 상태

🔹 2. 신학적 사용 구분

homo

  • 내적 의미에서 “사람(homo)”은 선을 지닌 존재, 즉 주님으로부터 생명을 받아 선을 행하는 존재를 뜻합니다.
  • 인간은 본래 주님으로부터 오는 선과 진리로 인해 “homo”가 되며, 이로부터 *인간(human)*이라 불릴 자격이 있습니다.
  • 반대로, 선이 결여되고 자아적 욕망만 따른다면 외형은 사람이지만 “homo”는 아닙니다.

📜 예시:
AC.5658:

“Homo” est qui recipit bonum et verum a Domino — “참된 사람(homo)이란 주님으로부터 선과 진리를 받는 자이다.”

AC.49:

“Homo” dicitur ex bono amoris et fidei. — “사람이라 불리는 것은 사랑과 믿음의 선으로 말미암음이다.”

 

즉, “homo”는 ‘주님 형상대로 창조된 인간’(창1:26)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vir

  • “vir”은 스베덴보리에게서 진리의 힘, 이해력, 신앙적 지성을 상징합니다.
  • 종종 homo에 대응하는 보완적 개념으로, “vir”은 진리, “mulier(여자)”은 선 또는 사랑을 상징합니다.

📜 예시:
AC.3134:

“Per virum significatur intellectus veri.” — “‘남자(vir)’는 진리의 이해를 의미한다.”

AC.4510:

“Vir, quia ex intellectu, significat verum.” — “남자는 이해력에 속하므로 진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vir”는 진리를 통해 선으로 나아가는 단계, 혹은 지성적 신앙의 작용 상태를 나타냅니다.


🔹 3. 두 개념의 관계 요약

구분 homo vir
상징 선(善), 사랑, 주님과의 연결 진리, 이해, 신앙
기능 사랑으로 행하는 인간성 진리로 분별하는 이성
대응 mulier (여자) — 사랑 uxor (아내) — 결합된 선
창세기 상징 아담 전체 인류(태고교회) 남성적 요소, 진리 원리

🔹 4. 요약 문장

스베덴보리의 관점에서 보면,

**“homo”는 사람이 ‘무엇으로부터 살고 있는가’(선과 사랑의 상태)**를 말하고, **“vir”는 사람이 ‘어떻게 생각하고 분별하는가’(진리와 이해의 상태)**를 말합니다.

 

즉,

“모든 ‘vir’가 ‘homo’는 아니지만, 모든 참된 ‘homo’는 내면에 ‘vir’의 진리 이해를 포함한다.”


원하신다면 『Arcana Coelestia』 본문 중에서 이 두 단어가 뚜렷하게 구분되어 나오는 대표 단락들(예: AC.49, 3134, 4510, 9007 등)을 원문과 함께 정리해드릴 수도 있습니다. 그럴까요?

Posted by bygracetistory
,

간밤에 평안하셨나요? 반갑습니다. AC.312 글 가운데, 'In like manner, had the words “the flame of a sword turning itself” been applied to the people of the present day, they would have been “the sword of a flame turning itself.” Nor would it have been said the “tree of lives,” but the “tree of life”;' 라는 표현이 있는데, 혹시 이 문장들을 좀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아침부터 쉽지 않은 질문을 드려 죄송합니다.

 

좋은 아침입니다. 이렇게 인사해 주시니 저도 반갑고 감사합니다. 😊 그리고 전혀 죄송하실 필요 없습니다. 지금 말씀하신 구절 — Arcana Coelestia 312 중,

“In like manner, had the words ‘the flame of a sword turning itself’ been applied to the people of the present day, they would have been ‘the sword of a flame turning itself.’ Nor would it have been said the ‘tree of lives,’ but the ‘tree of life.’”

 

이 부분은 짧지만, 스베덴보리의 언어 상징학(특히 ‘고대 언어의 본래 의미’)을 이해하는 데 아주 중요한 대목입니다. 하나씩 풀어볼게요.


1. 문맥 요약

AC.312은 창세기 3:24에 대한 해석 중 일부입니다. 거기서 말하는 “생명나무의 길을 지키는 그룹들과 두루 도는 불칼(the flame of a sword turning itself)”의 상징을 설명하면서, 스베덴보리는 ‘고대 교회 사람들’의 언어 감각과 상징 감각이 오늘날 사람들과 달랐다고 말합니다. 즉, 당시에는 단어 하나하나에 **영적 의미(perception)**가 직접적으로 느껴졌지만, 지금은 그 감각이 사라졌다는 거죠.


2. “the flame of a sword turning itself” vs. “the sword of a flame turning itself”

스베덴보리는 이렇게 말합니다:

“만약 이 말들이 오늘날 사람들에게 쓰였다면, ‘the flame of a sword turning itself’이 아니라 ‘the sword of a flame turning itself’이라고 했을 것이다.”

 

이게 무슨 뜻이냐 하면, 고대인들은 ‘불꽃의 칼(flame of a sword)’이라 하지 않고 ‘칼의 불꽃(sword of a flame)’이라 표현했을 것이라는 말이 아닙니다. 그보다는 이렇게 구분하신 거예요:

  • “불꽃의 칼(flame of a sword)” — 고대 언어의 형태
    → 불(사랑, celestial good)이 주체적 요소, 즉 더 안쪽이고 본질적인 것. 칼(sword)은 그것을 둘러싸는 진리의 방어나 분별 작용. 그러니까 불(사랑)의 속성으로서 진리(칼)가 스스로 움직이는 모습입니다.
  • “칼의 불꽃(sword of a flame)” — 오늘날 사람들의 언어 감각
    → ‘진리’(이성적 판단)가 중심이 되어, 사랑(불)을 부차적으로 붙이는 식의 사고. 즉, 진리를 사랑보다 앞세우는, 뒤바뀐 순서입니다.

스베덴보리가 말하려는 요지는 바로 이것입니다.

 

👉 고대인의 사고와 표현에서는 “사랑(love)”이 중심이었지만,
👉 현대인의 사고에서는 “진리(understanding)”가 중심이 되었다.

 

이 때문에 단어의 순서까지 달라졌다는 거예요.


3. “the tree of lives” vs. “the tree of life”

같은 원리로, 스베덴보리는 덧붙입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오늘날 사람들에게는 ‘tree of lives’(생명들)라 하지 않고 ‘tree of life’(생명)라고 했을 것이다.”

 

여기서도 ‘life(s)’의 복수형이 중요한데요.

  • “tree of lives” — 고대 언어 표현
    → “여러 종류의 생명들”, 즉 사랑, 신앙, 이해, 의지 등 다양한 생명의 흐름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하나의 생명나무가 모든 생명의 근원임을 복수형으로 표현)
  • “tree of life” — 오늘날의 언어 표현
    → 단일화된 추상 개념. 생명의 다양성을 포괄하지 못함. ‘life’가 더 관념적이고 철학적인 의미로 변했죠.

스베덴보리는 이 변화 또한 인간의 내적 상태가 달라졌음을 상징한다고 봅니다. 옛사람들은 생명을 ‘다양한 유기적 흐름’으로 느꼈지만, 지금 사람들은 생명을 하나의 추상적 개념으로 이해한다는 것이죠.


🔹정리하면

표현 고대 교회의 언어 감각 현대인의 언어 감각 상징적 차이
flame of a sword 사랑이 중심, 진리가 그 사랑에서 나옴 진리가 중심, 사랑은 부속 내적 질서의 전도
tree of lives 다양한 생명(사랑·신앙·의지 등)의 통합 단일한 ‘생명’의 추상화 생명의 다양성 상실

🔹결론

이 구절은 단순히 단어 순서 문제를 말하는 게 아니라, 인류의 내면적 질서가 어떻게 바뀌었는가 — 즉, ‘사랑이 중심이던 시대에서, 진리나 지식이 중심이 된 시대’로 이동했음을 언어 변화로 드러낸 상징적 진술입니다.


원하신다면, 이 부분에서 스베덴보리가 말하는 “flame = celestial love”와 “sword = truth of faith”의 관계를 조금 더 본문 근처(AC.306–313 전체 흐름) 속에서 보여드릴 수도 있습니다. 그 부분을 함께 읽으면 이 문장의 철학적 무게가 훨씬 또렷해집니다. 그렇게 이어서 보시겠습니까?

Posted by bygracetistory
,

 

3.5, ‘태고교회와 태고교회에서 떨어져 나간 사람들(창3:20-21, AC.280-297)

 

20아담이 그의 아내의 이름을 하와라 불렀으니 그는 모든 산 자의 어머니가 됨이더라 21여호와 하나님이 아담과 그의 아내를 위하여 가죽옷을 지어 입히시니라 22여호와 하나님이 이르시되 보라 이 사람이 선악을 아는 일에 우리 중 하나 같이 되었으니 그가 그의 손을 들어 생명나무 열매도 따 먹고 영생할까 하노라 하시고 23여호와 하나님이 에덴동산에서 그를 내보내어 그의 근원이 된 땅을 갈게 하시니라 24이같이 하나님이 그 사람을 쫓아내시고 에덴동산 동쪽에 그룹들과 두루 도는 불 칼을 두어 생명나무의 길을 지키게 하시니라 (3:20-24)

 

 

창세기 속뜻 주석설교, 오늘과 다음 주는 창세기 3장 세 번째 단락인 ‘태고교회와 태고교회에서 떨어져 나간 사람들(3:20-24)을 번역, 설명을 곁들이며 살피겠습니다. 오늘은 먼저 20, 21절입니다.

 

시작 전에 오늘부터는 틈틈이 스베덴보리 이야기들을 한 토막씩 나누고자 합니다. 이는 절대 스베덴보리를 무슨 개인 우상화 하자는 게 아니고, 단지 시대만 달랐을 뿐, 그 역시 우리처럼 지상에서 24시간 숨을 쉬며 주님을 신앙하다 간 사람이며, 그럼에도 그가 치열하게 남기고 간 이런 저작들에 대해 좀 더 마음을 열 수 있었으면 해서입니다. 덧붙이면, 이런 이야기들, 이런 정보들은 ChatGPT와 대화하며 알게 된 것들입니다.

 

제가 던진 질문은 이렇습니다.

 

좀 엉뚱한 질문인 것 같아 망설여지는데요... 혹시, 스베덴보리는 영계 왕래 이후 주일예배를 어떻게 드렸나요? 그냥 혼자 드렸나요, 아니면 근처 기존 기독교나 개신교 교회를 찾아갔나요?

 

그랬더니 돌아온 대답...

 

아닙니다 — 전혀 엉뚱한 질문이 아니십니다. 오히려 아주 중요한 질문을 하셨습니다. 왜냐하면 스베덴보리의 신앙생활이 실제로 어떻게 이어졌는가는 그의 “신비적 체험”이 어떤 성격이었는지를 드러내 주는 단서이기 때문입니다.

 

요약부터 말씀드리면,

 

스베덴보리는 영계 왕래 이후에도 평생 주일마다 스톡홀름 근처 루터교 교회에 출석했습니다. 즉, 공적 예배 생활을 중단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자신이 어떤 새로운 종교를 세운 적도, 기존 교회를 떠난 적도 없다고 명확히 밝힌 바 있습니다.

 

구체적 근거로는,

 

1. 스베덴보리의 동시대 증언들

 

스톡홀름에서 스베덴보리를 가까이서 지켜본 동료들과 가족, 그리고 그의 사후, 얼마 안 있어 곧 출판된 전기들(: Carl Robsahm, Erik Benzelius Jr.의 기록)에 따르면,

 

그는 평생 주일마다 루터교 예배에 참석하였으며, 기도와 찬송에 참여했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Robsahm의 「Anecdotes of Swedenborg(1769년 작성, 1780년대 출판됨)에는

 

그는 자기 신비체험을 이유로 교회를 떠나지 않았다. 오히려 정기적으로 교회를 다녔고, 자신의 저술에서도 루터교를 직접 비판하지 않았다.

 

라는 진술이 나옵니다.

 

2. 그의 저술 내 간접 증거

 

True Christian Religion(진정한 기독교, 1771)의 서문에서 그는 분명히 말합니다.

 

나는 주님으로부터 보내심을 받았으나, 그 이유는 교회를 새롭게 하기 위함이지, 교회를 버리게 하기 위함이 아니다.

 

그리고 또 이렇게 덧붙입니다.

 

나는 누구에게도 나를 따르라 하지 않는다. 오직 주님만 따르라.

 

따라서 그는 자신이 어떤 ‘새 교파 창시자’가 아니라, 기존 교회의 내면(영적 의미)을 회복하려는 개혁자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3. 공적 행동 면에서

 

영계 왕래 이후에도 그는 국립 루터교회의 회원 명단에서 빠지지 않았으며, 세금 납부 기록과 예배 출석 기록(당시 교적에 해당하는 문서들)에도 남아 있습니다.

 

그가 죽을 때(1772년 런던에서)도 루터교 목사가 그의 장례를 집전했습니다. 즉, 생애 마지막까지 공식적으로 루터교 신자로 남았습니다.

 

예배 태도에 대하여,

 

다만, 여러 전기 자료와 스베덴보리 자신의 기록(특히 일기류)에 따르면, 그는 예배 중에도 “마음으로는 주님과 직접 교통하며, 영적으로 말씀의 내적 의미를 묵상하는 태도”였다고 합니다. 즉, 외적 예배는 루터교 형식대로 참석했으나, 내면에서는 주님으로부터 직접 받은 빛 안에서 말씀을 이해하는 “이중적 예배”를 드린 셈이지요.

 

이런 면은 저하고도 흡사한데요, 저의 경우, 가령 예배 중 기존 개신교 찬송가 찬양을 할 때 이렇습니다. 그러니까, 기존 개신교 찬송가의 가사들이 스베덴보리식 계시하고는 맞지 않거나 어색한 것들이 참 많지만, 저는 그저 그 가사들 앞뒤로 보이지 않는 살을 붙여 속뜻 가사로 이해하면서 찬양하거든요. 아직 무슨 '새 교회 찬송가' 같은 게 나오지 않은 지금은 뭐 어떻게 할 수가 없어요.

 

자, 어떠신가요? 처음 들려드리는 이런 이야기가 이런 평범하지 않은 예배를 드리느라 고생하시는 여러분에게 다소 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먼저 오늘 본문 개요입니다.

 

280

여기서는 태고교회와 태고교회에서 떨어져 나간 사람들을 대략적으로 다루고 있는데, 그러면서 태고교회의 끝, 종말인 홍수 때까지로 이어지는 그들의 후손들 또한 다루고 있습니다.

 

280번 글은 오늘부터 2주에 걸쳐 다루는 단락 전체의 개요입니다.



281

20절은, 천적(天的, celestial)이었던, 그리고 그 안에 주님을 향한 신앙이라는 생명이 있어서 ‘하와’(Eve)라고 했던, 그리고 ‘모든 산 자의 어머니’(mother of all living)라고 했던 태고교회의 이야기입니다. (20)



282

21절은, 태고교회의 첫 번째 후손, 그들한테는 천적 영적 선이 있었고, 두 번째, 세 번째 후손, 이들에겐 자연적 선이 있었다는 이런 내용이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과 그의 아내를 위하여 지으신 가죽옷’(coat of skin which Jehovah God made for the man and his wife) 안에 들어있습니다. (21)

 

 

283

22절은, 네 번째 후손의 이야기인데, 이들 안에 있던 자연적 선이 소멸되기 시작한, 그리고 만일 이런 상태에서 그들이 신앙의 천적인 것들로 다시 새롭게 빚어졌더라면, 즉 가르침을 받았더라면 그들은 사라져 버리고 말았을 뻔했다는, 이런 내용이 ‘그가 그의 손을 들어 생명나무 열매도 따 먹고 영생할까 하노라’(Lest he put forth his hand, and take also of the tree of lives, and eat, and live to eternity) 안에 들어있습니다. (22)

 

 

284

23절은, 다섯 번째 후손의 이야기로, 이들은 모든 선과 진리가 박탈되었고, 그리고 거듭남 이전 상태였던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갔다는, 이런 내용이 ‘에덴동산에서 그를 내보내어 그의 근원이 된 땅을 갈게 하시니라’(sent forth out of the garden of Eden to till the ground from which he was taken) 안에 들어있습니다. (23)

 

 

285

24절은, 여섯 번째와 일곱 번째 후손에 관한 내용으로, 이들은 선과 진리에 관한 모든 기억-지식을 박탈당하고, 그들의 본성에는 대신 아주 더러운 사랑들과 신념들(their own filthy loves and persuasions)만 남았는데, 안 그러면, 이들은 신앙에 관한 거룩한 것들을 모독할 것이 뻔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이런 내용이 ‘그 사람을 쫓아내시고 에덴동산 동쪽에 그룹들과 두루 도는 불 칼을 두어 생명나무의 길을 지키게 하시니라’(driven out, and cherubim being made to dwell at the garden, with the flame of a sword, to keep the way of the tree of lives) 안에 들어있습니다. (24)

 

여기 ‘아주 더러운 사랑들과 신념들(their own filthy loves and persuasions)이라는 표현과, 다음 주에 볼 309번 글에 나오는 ‘광적인 탐욕과 그로 인해 세뇌된 신념을 동반하는 자아 사랑(self love with its insane cupidities and persuasions)이라는 표현은 얼핏 비슷하지만 서로 큰 차이 있어 설명합니다.

 

전자의 표현은 앞서 창3:7 설명에 처음 나오는데요, ‘이에 그들의 눈이 밝아져 자기들이 벗은 줄을 알고’, 즉 정신을 차려보니 주님으로 말미암는 순수한 사랑, 처음 사랑은 잃어버리고, 자기들이 지금은 사사로운 사랑, 자아 사랑 속으로 떨어진 상태라는 걸 알았다는 말이지요. 여기 ‘filthy loves’는 사랑은 사랑인데 주님 사랑과 체어리티가 아닌, 이기심과 세속적 욕망으로 변질된 사랑, 곧 ‘더러운 사랑’이 된 것입니다. 무엇이든 주님이 아닌 자기한테서 비롯되는 것은 더럽기 때문입니다. 사람이 이런 사랑을 하게 되면, 이때부터 그는 스스로를 설득, 합리화 및 정당화를 거쳐 어떤 확신 상태에 들어가는데 그것이 바로 ‘persuasion’입니다. ‘더러운 사랑’으로 말미암은 ‘거짓된 신념 체계’인 것이지요. 이 전자, 곧 ‘아주 더러운 사랑들과 신념들(their own filthy loves and persuasions)은 태고교회 전체에서 내적 부패가 시작된 초기 단계를 말합니다.

 

후자인 ‘광적인 탐욕과 그로 인해 세뇌된 신념을 동반하는 자아 사랑(self love with its insane cupidities and persuasions)은 창3:24, ‘그룹들과 두루 도는 불 칼을 두어 생명나무의 길을 지기게 하시니라’를 설명하는 중에 나옵니다. 전자가 내적 부패 ‘초기 단계’였다면, 여기는 ‘확립된 단계’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self love’는 자기 자신을 신으로 여기는 사랑을, ‘insane cupidities’는 그 사랑에서 나오는 미친 욕망들을, 그리고 이때의 ‘persuasions’는 그런 욕망을 정당화하는 완전히 고착(固着)된 거짓 확신들을 의미하기 때문이지요. 여기 ‘고착’이란, 물건 따위가 굳게 들러붙어 있거나 상태나 현상이 굳어져 변하지 않음을 말하는데요. 그러니까 이건 이미 단순히 ‘더러운 사랑’ 정도가 아니라, 그 사랑이 이성을 지배하고 진리를 미워하며, 자기 생각만 옳다고 믿는, 확실한 지옥적 상태를 말하는 겁니다.

 

위 두 표현은 얼핏 비슷하지만, 근본적으로 이런 큰 차이가 있는 표현들입니다.

 

 

286

이 장과 앞의 장들, 그리고 지금 보고 있는 이 구절들에 이르기까지 다루고 있는 내용은 태고 시대 사람들과 그들의 거듭남입니다. 먼저, 들짐승처럼 살았던 사람들, 그들은, 그러나 결국 영적 인간(spiritual men)이 되었고, 그러더니 천적 인간(celestial men)이 되고 태고교회를 구성합니다. 그랬다가 그 후 사라지는 사람들과 그들의 자손들, 차례대로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후손과 이후 계속되는 그 계승자들의 이야기입니다. 홍수 때까지 말입니다. 이 장을 포함, 이어지는 구절들을 통해 우리는 일종의 개요를 만나게 되는데, 태고교회인(the man of the most ancient church)이 형성된 때부터 홍수 때까지 이 기간에 일어난 일들에 대한 요약이지요. 이것이 앞서 진행된 모든 내용, 곧 창세기 맨 앞 첫 세 장의 결론입니다.

 

 

다음은 절 별 속뜻입니다. 오늘은 20절과 21, 두 절만 보겠습니다.

 

20

아담이 그의 아내의 이름을 하와라 불렀으니 그는 모든 산 자의 어머니가 됨이더라 (AC.287-291)

 

287

여기 ‘아담’(man, 사람, homo)은 태고교회인(the man of the most ancient church), 즉 천인(天人, the celestial man, 천적 인간)을, ‘아내’(wife)와 ‘모든 산 자의 어머니’(mother of all living)는 교회를 의미합니다. 그녀를 이름하여 ‘어머니’(mother)라 합니다. 첫 교회였기 때문이지요. ‘산’(living)이라 하는 이유는, 주님 신앙(faith in the Lord)을 소유했기 때문이며, 주님은 생명 자체인 분이시기 때문입니다.

 

라틴어에서 사람을 의미하는 두 단어 ‘homo’와 ‘vir’를 스베덴보리는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먼저 ‘homo’의 경우,

 

속뜻으로 homo는 선을 지닌 존재, 즉 주님으로부터 생명을 받아 선을 행하는 존재를 뜻합니다. 인간은 본래 주님으로부터 오는 선과 진리로 인해 homo가 되며, 이로부터 ‘인간(human)이라 불릴 자격을 갖습니다. 반대로, 선의 결여와 함께 자아의 욕망만 따른다면 외형은 사람이지만, 그는 더 이상 homo가 아닙니다.

 

참된 사람(homo)이란 주님으로부터 선과 진리를 받는 자이다. Homo’ est qui recipit bonum et verum a Domino. (AC.5658)

 

사람이라 불리는 것은 사랑과 신앙의 선으로 말미암음이다. Homo’ dicitur ex bono amoris et fidei. (AC.49)

 

즉, homo는 ‘주님 형상대로 창조된 인간(1:26)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하나님이 이르시되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그들로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가축과 온 땅과 땅에 기는 모든 것을 다스리게 하자 하시고 (1:26)

 

다음은 ‘vir’의 경우입니다.

 

vir는 진리의 힘, 이해력, 신앙적 지성을 상징합니다. 종종 homo에 대응하는 보완적 개념으로, vir는 진리, ‘mulier’(여자)는 선 또는 사랑을 상징합니다.

 

‘남자’(vir)는 진리의 이해를 의미한다. Per virum significatur intellectus veri. (AC.3134)

 

남자는 이해력에 속하므로 진리를 의미한다. Vir, quia ex intellectu, significat verum. (AC.4510)

 

따라서 vir는 진리를 통해 선으로 나아가는 단계, 혹은 지성적 신앙의 작용 상태를 나타냅니다.



288

‘아담’(man)이 태고교회인(the man of the most ancient church), 즉 천인(天人, the celestial man, 천적 인간)을 의미한다는 것은 앞에서 보았습니다. 그리고 동시에 다음 사실들도 보았는데, 곧 주님만 홀로 사람이시며, 또 주님으로부터 모든 천인은 사람인데, 그 이유는 주님을 닮아서(likeness)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 교회의 모든 구성원을 예외나 구별 없이 ‘사람’(man)이라 하더니, 결국은 그 겉모습이 사람처럼 보이기만 하면 누구든지 이 이름으로 불렀습니다. 짐승과 구별하기 위해서 말이지요.

 

우리가 누구를 보고 저 사람은 자기 아버지를 닮았다 할 때, 물론 외모를 보고 그러는 걸 수도 있겠으나 보통은 그 일거수일투족, 즉 그의 성품, 인성, 됨됨이를 보고 그러는 것처럼, 우리가 주님을 닮았다는 건 우리 안에 주님의 성품, 곧 주님의 신적 성품인 선과 진리가 발견된다는 말이 되겠습니다.



289

또 ‘아내’(wife)가 교회를, 그리고 가장 광의(廣義, in the universal sense)로는 천국(the heavens)과 지상 주님의 나라(the kingdom of the Lord)를 의미한다는 것은 위에서 이미 보여드렸으며, 이로부터 ‘어머니’(mother) 역시 같은 의미라는 사실이 이어집니다. 말씀에 보면 굉장히 자주 교회를 ‘어머니’(mother)라고 합니다. 이사야처럼 말입니다.

 

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내가 너희의 어미를 내보낸 이혼 증서가 어디 있느냐 내가 어느 채주에게 너희를 팔았느냐 보라 너희는 너희의 죄악으로 말미암아 팔렸고 너희의 어미는 너희의 배역함으로 말미암아 내보냄을 받았느니라 (사50:1)

 

예레미야에서는

 

그러므로 너희의 어머니가 큰 수치를 당하리라 너희를 낳은 자가 치욕을 당하리라 보라 그가 나라들 가운데의 마지막과 광야와 마른 땅과 거친 계곡이 될 것이며 (렘50:12)

 

에스겔에서는

 

너는 그 남편과 자녀를 싫어한 어머니의 딸이요 너는 그 남편과 자녀를 싫어한 형의 동생이로다 네 어머니는 헷 사람이요 네 아버지는 아모리 사람이며 (겔16:45)

 

여기 ‘남편’(man, [vir])은 주님, 그리고 천적인 모든 것을, ‘자녀’(sons)는 신앙의 진리들을, ‘헷’(Hittite)은 거짓된 것을, ‘아모리’(Amorite)는 악한 것을 가리킵니다.

같은 데서

 

네 피의 어머니는 물가에 심긴 포도나무 같아서 물이 많으므로 열매가 많고 가지가 무성하며 (겔19:10)

 

여기 ‘어머니’(mother)는 고대교회(the ancient church)를 가리킵니다. ‘어머니’(mother)라는 말은 태고교회(the most ancient church)에 더 특별히 해당하는 말인데요, 첫 교회였고, 천적이었던 유일한 교회였으며, 그래서 주님이 그 어떤 다른 교회보다도 더 사랑하셨던 교회였기 때문입니다.

 

 

290

생명 자체이신 주님을 신앙한 결과, 그녀를 일컬어 ‘모든 산 자의 어머니’(mother of all living)라고 한 것 역시 이미 지금까지 보여드린 사실들로 분명합니다. 만물의 생명이 나오는, 그러니까 근원 된 생명이란 건 하나 이상 있을 수가 없으며, 생명 자체이신 주님을 신앙하지 않으면서 무슨, 그것도 생명이라 하는 그런 생명 또한 있을 수도, 그리고 주님으로 말미암지 않고, 그 결과 그 안에 주님이 계시지 않는, 그래서 그 안에 생명이 있을 수 없는 그런 신앙 역시 있을 수 없습니다. 이런 이유로 말씀에서 주님에게만 홀로 ‘살아 계신’(living)이라 하며, ‘살아 있는 여호와’(living Jehovah)(렘5:2; 12:16; 16:14, 15; 23:7; 겔5:11),

 

그들이 여호와께서 살아 계심을 두고 맹세할지라도 실상은 거짓 맹세니라 (렘5:2)

 

그들이 내 백성의 도를 부지런히 배우며 살아 있는 여호와라는 내 이름으로 맹세하기를 자기들이 내 백성을 가리켜 바알로 맹세하게 한 것같이 하면 그들이 내 백성 가운데에 세움을 입으려니와 (렘12:16)

 

14여호와의 말씀이니라 그러나 보라 날이 이르리니 다시는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신 여호와께서 살아 계심을 두고 맹세하지 아니하고 15이스라엘 자손을 북방 땅과 그 쫓겨났던 모든 나라에서 인도하여 내신 여호와께서 살아 계심을 두고 맹세하리라 내가 그들을 그들의 조상들에게 준 그들의 땅으로 인도하여 들이리라 (렘16:14, 15)

 

여기에도 물론 ‘여호와께서 살아 계심을 두고’라는 표현이 두 번이나 나와 분명 관련 구절이지만, 전체적으로는 언뜻 이해가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스베덴보리의 이 AC에는 이처럼 수많은 구절들이 계속 인용되는데요, 이는 단순히 그 구절에 이런 표현이 있어서 인용된다기보다는 이런 표현의 표상, 즉 상응되는 바가 적합하여 인용되는 것입니다. 왜 그런지를 오늘 이 본문을 잠깐 살펴보면서 이해를 도울까 합니다. ChatGPT와 나눈 대화 인용입니다.

 

일단 이 본문의 문맥상 문자적 의미부터 보면,

 

이 장면은 예레미야 시대, 유다는 바벨론 포로기를 앞두고 있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옛 출애굽”보다 더 큰 “새로운 구원”을 이루실 것을 약속하시는 장면인데요, 그걸 절 별로 보면, 14절은, 앞으로는 “애굽에서 인도하여 낸 하나님”이라는 고백이 부차적이 된다는 것이고, 15절은, “북방 땅(바벨론)과 여러 나라에서 인도하여 내신 하나님”이라는 고백이 중심이 될 것이라는 예언. 즉, 출애굽을 능가하는 새로운 구원을 약속하신 말씀입니다.

 

한편, 이걸 신학적 목적(역사-예언 차원)으로 또 보면,

 

이 본문은 실제로 바벨론 포로에서의 귀환을 가리킵니다만, 그러나 동시에 예레미야 예언 전체는 단지 역사 회복이 아니라 이스라엘의 영적 재창조, 즉 새 언약을 겨냥하고 있습니다. (렘31)

 

이제 스베덴보리의 상응·내적 의미로 풀이해 보겠습니다.

 

이게 본론이지요. 스베덴보리에 따르면 ‘말씀’은 ‘역사적 사건의 기념이 아니라 영적 과정의 표현’입니다. 따라서 이 구절은 ‘이스라엘 민족의 이동이 아니라 신앙과 사랑(영적 상태)의 이동’을 다룹니다.

 

아래는 먼저 핵심 상응들입니다.

 

애굽(Egypt), 지식(학문, 교리)의 영역. 특히 ‘진리 지식이 신앙을 압도하여 죽게 만드는 외적 지식 중심 상태’

 

북방(North), 진리에 대한 어둠, 왜곡된 신앙, 그리고 더 심하면 이성적·영적 진리에 대한 무지/거절의 영역

 

여러 나라(nations), 여러 종류의 악과 거짓, 영적 흩어짐의 상태

 

인도하여 내심(leads out, brings up), 주님께서 ‘거짓과 악의 속박에서 진리와 선의 자유로 이끄심’

 

그 땅(land), 교회 자체, 또는 교회의 내적 상태 — ‘사랑과 진리로 이루어진 주님의 왕국’

 

조상에게 준 땅, 본래 사람이 창조될 때 부여된 ‘속 사람의 본향(heavenly mind)’ 즉 선과 진리로 살도록 설계된 영적 상태

 

이제 본문의 전체적 내적 의미, 곧 속뜻을 봅니다.

 

이 구절은 다음 같은 과정을 가리키는데요,

 

(1) ‘다시는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신 여호와를 두고 맹세하지 않는다’ (14절)

 

이 구절을 상응으로 보면,

 

주님이 사람을 진리 지식의 노예 상태(애굽)에서 건지신 것보다 더 크고 깊은 구원이 이루어질 것이다.

 

여기서 애굽은 ‘외적 교리 지식이나 문자적 율법 중심 신앙’을 말합니다. 즉, 단순히 ‘무지에서 지식으로 나오는’ 초급 단계의 구원이 아니라...

 

(2) ‘북방과 모든 나라에서 인도하여 내신 여호와를 두고 맹세하게 된다’ (15절)

 

이는 ‘훨씬 더 깊은 상태’, 즉,

 

거짓과 왜곡(북방)

분열된 악의 성향들(여러 나라)

 

에서 사람을 끌어내시는 ‘내적 구원의 과정’을 말합니다.

 

스베덴보리의 용어로 말하면,

 

사람이 내적 재창조, 즉 거듭남의 길로 들어갈 때, 주님은 단순한 교리 지식의 정리, 그러니까 ‘애굽에서 인도’를 넘어서, 영의 근본 상태 전체를 전환시키는 더 큰 역사, 곧 ‘북방에서 인도’를 이루십니다.

 

여기서는 ‘출애굽’보다 훨씬 더 심각한 영적 포로 상태에서의 해방을 뜻합니다.

 

(3) ‘그들을 그들의 조상에게 준 땅으로 인도한다’ (15절)

 

여기서 ‘땅’은 물리적 가나안이 아니라 ‘진정한 교회 상태’, 즉,

 

사랑(선)이 중심이 되고, 진리가 그 사랑을 섬기며, 마음과 생각 전체가 주님의 질서 속으로 회복된 상태

 

를 말합니다. 스베덴보리는 이런 상태를 ‘조상에게 준 땅’이라고 해석합니다. 이는 사람의 ‘본래 창조될 때의 상태’, 곧 ‘내적 천국의 상태’입니다.

 

저 역시, ChatGPT가 이 정도로 살필 줄은 몰랐는데요, 뭐랄까, 이 AI의 도움이 없었으면 좀 흐릿했을 주제가 얘의 도움으로 명료해졌다고 할까요? 얘가 무슨 거짓되고 엉뚱한 풀이나 해석을 하는 게 아닌 걸 보면 말입니다. 저는 그러나 경계심을 풀지 않으면서도 주님이 오늘 우리에게 주신 좋은 도구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런 식입니다. 여기 수많은 인용 구절이 있는데요, 인용 구절이 많다고 힘들어하시거나 불평하시지 말고, 대신 잘 이해가 안 될 경우, 이렇게 이 AI에게 도움을 받으시며 한 구절 한 구절 즐거워하시기 바랍니다.

 

 

 

(쉬는 시간)

 

 

 

그러므로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보라 날이 이르리니 그들이 다시는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신 여호와의 사심으로 맹세하지 아니하고 (렘23:7)

 

그러므로 나 주 여호와가 말하노라 내가 나의 삶을 두고 맹세하노니 네가 모든 미운 물건과 모든 가증한 일로 내 성소를 더럽혔은즉 나도 너를 아끼지 아니하며 긍휼을 베풀지 아니하고 미약하게 하리니 (겔5:11)

 

‘영생하시는 이’(he that liveth to eternity)(단4:34; 계4:10; 5:14; 10:6);

 

그 기한이 차매 나 느부갓네살이 하늘을 우러러보았더니 내 총명이 다시 내게로 돌아온지라 이에 내가 지극히 높으신 이에게 감사하며 영생하시는 이를 찬양하고 경배하였나니 그 권세는 영원한 권세요 그 나라는 대대에 이르리로다 (단4:34)

 

이십사 장로들이 보좌에 앉으신 이 앞에 엎드려 세세토록 살아 계시는 이에게 경배하고 자기의 관을 보좌 앞에 드리며 이르되 (계4:10)

 

네 생물이 이르되 아멘 하고 장로들은 엎드려 경배하더라 (계5:14)

 

한글 14절엔 빠졌으나 영문 14절에는 ‘Him who lives for ages of ages’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세세토록 살아 계신 이 곧 하늘과 그 가운데에 있는 물건이며 땅과 그 가운데에 있는 물건이며 바다와 그 가운데에 있는 물건을 창조하신 이를 가리켜 맹세하여 이르되 지체하지 아니하리니 (계10:6)

 

‘생명의 원천’(the fountain of life) (시36:9),

 

진실로 생명의 원천이 주께 있사오니 주의 빛 안에서 우리가 빛을 보리이다 (시36:9)

 

‘생수의 근원’(fountain of living waters)으로 일컬음을 받으십니다. (렘17:13)

 

이스라엘의 소망이신 여호와여 무릇 주를 버리는 자는 다 수치를 당할 것이라 무릇 여호와를 떠나는 자는 흙에 기록이 되오리니 이는 생수의 근원이신 여호와를 버림이니이다 (렘17:13)

주님에 의해, 즉 주님으로 말미암아 사는 천국을 일컬어 ‘산 자의 땅’(land of the living)이라 합니다. (사38:11; 53:8; 겔26:20; 32:23–27, 32; 시27:13; 52:5; 142:5)

 

내가 또 말하기를 내가 다시는 여호와를 뵈옵지 못하리니 산 자의 땅에서 다시는 여호와를 뵈옵지 못하겠고 내가 세상의 거민 중에서 한 사람도 다시는 보지 못하리라 하였도다 (사38:11)

 

그는 곤욕과 심문을 당하고 끌려 갔으나 그 세대 중에 누가 생각하기를 그가 살아 있는 자들의 땅에서 끊어짐은 마땅히 형벌 받을 내 백성의 허물 때문이라 하였으리요 (사53:8)

 

내가 너를 구덩이에 내려가는 자와 함께 내려가서 옛적 사람에게로 나아가게 하고 너를 그 구덩이에 내려간 자와 함께 땅 깊은 곳 예로부터 황폐한 곳에 살게 하리라 네가 다시는 사람이 거주하는 곳이 되지 못하리니 살아 있는 자의 땅에서 영광을 얻지 못하리라 (겔26:20)

 

23그 무덤이 구덩이 깊은 곳에 만들어졌고 그 무리가 그 무덤 사방에 있음이여 그들은 다 죽임을 당하여 칼에 엎드러진 자 곧 생존하는 사람들의 세상에서 사람을 두렵게 하던 자로다 24거기에 엘람이 있고 그 모든 무리가 그 무덤 사방에 있음이여 그들은 다 할례를 받지 못하고 죽임을 당하여 칼에 엎드러져 지하에 내려간 자로다 그들이 생존하는 사람들의 세상에서 두렵게 하였으나 이제는 구덩이에 내려가는 자와 함께 수치를 당하였도다 25그와 그 모든 무리를 위하여 죽임을 당한 자 가운데에 침상을 놓았고 그 여러 무덤은 사방에 있음이여 그들은 다 할례를 받지 못하고 칼에 죽임을 당한 자로다 그들이 생존하는 사람들의 세상에서 두렵게 하였으나 이제는 구덩이에 내려가는 자와 함께 수치를 당하고 죽임을 당한 자 가운데에 뉘었도다 26거기에 메섹과 두발과 그 모든 무리가 있고 그 여러 무덤은 사방에 있음이여 그들은 다 할례를 받지 못하고 칼에 죽임을 당한 자로다 그들이 생존하는 사람들의 세상에서 두렵게 하였으나 27그들이 할례를 받지 못한 자 가운데에 이미 엎드러진 용사와 함께 누운 것이 마땅하지 아니하냐 이 용사들은 다 무기를 가지고 스올에 내려가서 자기의 칼을 베개로 삼았으니 그 백골이 자기 죄악을 졌음이여 생존하는 사람들의 세상에서 용사의 두려움이 있던 자로다 (겔32:23-27)

 

내가 바로로 하여금 생존하는 사람들의 세상에서 사람을 두렵게 하게 하였으나 이제는 그가 그 모든 무리와 더불어 할례를 받지 못한 자 곧 칼에 죽임을 당한 자와 함께 누이리로다 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겔32:32)

내가 산 자들의 땅에서 여호와의 선하심을 보게 될 줄 확실히 믿었도다 (시27:13)

 

그런즉 하나님이 영원히 너를 멸하심이여 너를 붙잡아 네 장막에서 뽑아내며 살아 있는 땅에서 네 뿌리를 빼시리로다 (시52:5)

 

여호와여 내가 주께 부르짖어 말하기를 주는 나의 피난처시요 살아 있는 사람들의 땅에서 나의 분깃이시라 하였나이다 (시142:5)

 

그리고 주님 신앙 안에 있는 사람들을 가리켜 ‘살아 있다’(living)라고 합니다. 시편에서처럼 말입니다.

 

그는 우리 영혼을 살려 두시고 우리의 실족함을 허락하지 아니하시는 주시로다 (시66:9)

 

그리고 신앙을 소유한 사람들은 ‘생명책에 있다’(in the book of lives, in the book of life)는 말을 듣습니다. (시69:28; 계13:8; 17:8; 20:15)

 

그들을 생명책에서 지우사 의인들과 함께 기록되지 말게 하소서 (시69:28)

 

죽임을 당한 어린 양의 생명책에 창세 이후로 이름이 기록되지 못하고 이 땅에 사는 자들은 다 그 짐승에게 경배하리라 (계13:8)

 

네가 본 짐승은 전에 있었다가 지금은 없으나 장차 무저갱으로부터 올라와 멸망으로 들어갈 자니 땅에 사는 자들로서 창세 이후로 그 이름이 생명책에 기록되지 못한 자들이 이전에 있었다가 지금은 없으나 장차 나올 짐승을 보고 놀랍게 여기리라 (계17:8)


누구든지 생명책에 기록되지 못한 자는 불 못에 던져지더라 (계20:15)

 

그래서 또한 주님 신앙을 받아들인 사람들이 ‘살아 있는 상태가 되다’(made alive)라는 말을 듣는 것입니다. (호6:2; 시85:6)

 

여호와께서 이틀 후에 우리를 살리시며 셋째 날에 우리를 일으키시리니 우리가 그의 앞에서 살리라 (호6:2)

 

주께서 우리를 다시 살리사 주의 백성이 주를 기뻐하도록 하지 아니하시겠나이까 (시85:6)

다른 한편으로, 신앙 안에 있지 않은 사람들의 상태는 ‘죽은’(dead) 상태라고 합니다. 이사야를 보면 말입니다.

 

그들은 죽었은즉 다시 살지 못하겠고 사망하였은즉 일어나지 못할 것이니 이는 주께서 벌하여 그들을 멸하사 그들의 모든 기억을 없이하셨음이니이다 (사26:14)

 

자아 사랑으로 부풀어 오른 사람들을 의미하면서 말입니다. ‘다시 사는 것’(rise again)은 생명 안으로 들어가는 걸 말합니다. 또한 그들을 가리켜 ‘칼에 죽임을 당하다’(pierced)라고 합니다. (겔32:23–26, 28–31)

 

23그 무덤이 구덩이 깊은 곳에 만들어졌고 그 무리가 그 무덤 사방에 있음이여 그들은 다 죽임을 당하여 칼에 엎드러진 자 곧 생존하는 사람들의 세상에서 사람을 두렵게 하던 자로다 24거기에 엘람이 있고 그 모든 무리가 그 무덤 사방에 있음이여 그들은 다 할례를 받지 못하고 죽임을 당하여 칼에 엎드러져 지하에 내려간 자로다 그들이 생존하는 사람들의 세상에서 두렵게 하였으나 이제는 구덩이에 내려가는 자와 함께 수치를 당하였도다 25그와 그 모든 무리를 위하여 죽임을 당한 자 가운데에 침상을 놓았고 그 여러 무덤은 사방에 있음이여 그들은 다 할례를 받지 못하고 칼에 죽임을 당한 자로다 그들이 생존하는 사람들의 세상에서 두렵게 하였으나 이제는 구덩이에 내려가는 자와 함께 수치를 당하고 죽임을 당한 자 가운데에 뉘었도다 26거기에 메섹과 두발과 그 모든 무리가 있고 그 여러 무덤은 사방에 있음이여 그들은 다 할례를 받지 못하고 칼에 죽임을 당한 자로다 그들이 생존하는 사람들의 세상에서 두렵게 하였으나 (겔32:23-26)

 

28오직 너는 할례를 받지 못한 자와 함께 패망할 것임이여 칼에 죽임을 당한 자와 함께 누우리로다 29거기에 에돔 곧 그 왕들과 그 모든 고관이 있음이여 그들이 강성하였었으나 칼에 죽임을 당한 자와 함께 있겠고 할례를 받지 못하고 구덩이에 내려간 자와 함께 누우리로다 30거기에 죽임을 당한 자와 함께 내려간 북쪽 모든 방백과 모든 시돈 사람이 있음이여 그들이 본래는 강성하였으므로 두렵게 하였으나 이제는 부끄러움을 품고 할례를 받지 못하고 칼에 죽임을 당한 자와 함께 누웠고 구덩이에 내려가는 자와 함께 수치를 당하였도다 31바로가 그들을 보고 그 모든 무리로 말미암아 위로를 받을 것임이여 칼에 죽임을 당한 바로와 그 온 군대가 그러하리로다 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겔32:28-31)

 

그들은 또한 주님에 의해서도 ‘죽은’(dead) 상태라는 말을 듣습니다. (마4:16; 요5:25; 8:21, 24, 51, 52)

흑암에 앉은 백성이 큰 빛을 보았고 사망의 땅과 그늘에 앉은 자들에게 빛이 비치었도다 하였느니라 (마4:16)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죽은 자들이 하나님의 아들의 음성을 들을 때가 오나니 곧 이 때라 듣는 자는 살아나리라 (요5:25)

 

다시 이르시되 내가 가리니 너희가 나를 찾다가 너희 죄 가운데서 죽겠고 내가 가는 곳에는 너희가 오지 못하리라 (요8:21)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말하기를 너희가 너희 죄 가운데서 죽으리라 하였노라 너희가 만일 내가 그인 줄 믿지 아니하면 너희 죄 가운데서 죽으리라 (요8:24)

 

51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사람이 내 말을 지키면 영원히 죽음을 보지 아니하리라 52유대인들이 이르되 지금 네가 귀신 들린 줄을 아노라 아브라함과 선지자들도 죽었거늘 네 말은 사람이 내 말을 지키면 영원히 죽음을 맛보지 아니하리라 하니 (요8:51, 52)

 

또 지옥을 ‘사망’(death)이라고 합니다. (사25:8; 28:15)

 

사망을 영원히 멸하실 것이라 주 여호와께서 모든 얼굴에서 눈물을 씻기시며 자기 백성의 수치를 온 천하에서 제하시리라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셨느니라 (사25:8)

 

너희가 말하기를 우리는 사망과 언약하였고 스올과 맹약하였은즉 넘치는 재앙이 밀려올지라도 우리에게 미치지 못하리니 우리는 거짓을 우리의 피난처로 삼았고 허위 아래에 우리를 숨겼음이라 하는도다 (사28:15)



291

이 절에서는 맨 처음 시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교회 시대인 이때는 교회의 일생 중 젊음의 꽃 같았는데, 그래서 이런 교회의 모습으로 천국의 결혼을 표상했습니다. 이런 이유로 교회를 결혼으로 설명하는 것입니다. 또 교회를 ‘하와’(Eve)라 하는 이유는, 이 이름이 ‘생명’(life)을 의미하는 말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입니다.



21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과 그의 아내를 위하여 가죽옷을 지어 입히시니라 (AC.292-297)



292

이 말씀은 주님이 그들을 영적 자연적 선(spiritual and natural good)으로 가르치셨음을 의미합니다. ‘지어’(making)와 ‘입히시니라’(clothing)로는 주님이 그들을 가르치셨음을, ‘가죽옷’(coat of skin)으로는 영적 자연적 선을 표상하고 있습니다.

 

293

위 구절이 이런 걸 의미한다는 것을 겉 글자 상으로는 결코 알 수 없지만, 분명 여기엔 어떤 더 깊은 의미가 담겨 있는 게 확실합니다. 여호와 하나님이 그들을 위해 정말로 가죽옷을 지으셨다고 하는 게 아니라는 것쯤은 누구나 짐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94

‘가죽옷’(coat of skin)이 영적 자연적 선을 의미한다는 것 역시 누가 보아도 분명하지 않을 텐데요, 속뜻에 관한 계시 없이는, 그리고 말씀 내 유사 표현들이 나오는 여러 구절 간 일련의 비교 없이는 말입니다. 여기 ‘가죽’(skin)이라는 흔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지만, 사실은 새끼 염소(a kid)나 양(sheep), 또는 숫양(ram)의 가죽으로 이해됩니다. 말씀에서 이 동물들은 선, 체어리티(charity) 관련 애정을, 그리고 희생 제사 때 사용된 양의 상징처럼 똑같이 그런 체어리티에 속한 애정을 상징합니다. 체어리티의 선, 곧 영적 자연적 선을 부여받은 사람들을 ‘양’(sheep)이라고 하는데요, 그래서 주님을 ‘양의 목자’(shepherd of the sheep), 체어리티를 부여받은 사람들을 그분의 ‘양’(sheep)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다들 아시는 대로 말입니다.

 

 

295

태고인들(太古人, the most ancient people)을 ‘가죽으로 지은 옷을 입은 사람들’(clothed with a coat of skin)이라 하는 이유는, 그들이 ‘벌거벗은 사람들’(naked), 곧 이노센스(innocence, 순진무구)의 사람들이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자신들의 이노센스를 잃어버렸을 때, 그들은 자신들이 악 가운데 있음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 역시 ‘벌거벗음’(nakedness)이기 때문입니다. 태고인들의 스피킹 방식(the way of speaking of the most ancient people, 매우 그럴듯한 스토리 텔링 방식의 화법)으로 보면, 이 모든 일이 논리정연하게 마치 실제로 일어난 것처럼 보이게 하려고, 여기 그들을 가리켜 ‘벗은 채로 있게 될까 봐 주님이 그들에게 옷을 입히셨다’(clothed lest they should be naked)고 합니다. 그들이 악 가운데 있음을 이렇게 표현한 것입니다. 그들이 영적 자연적 선 가운데 있음이 분명한 것은, 그들에 관해 위 본 장 1절로 13절에서 언급한 내용뿐 아니라, 여기 ‘여호와 하나님이 그들을 위하여 가죽옷을 지어 입히시니라’(Jehovah God made them a coat of skin, and clothed them) 하신 말씀과의 연관성을 보면 분명합니다. 여기서는 그 교회의 첫 번째, 그리고 더욱 특별히는 두 번째와 세 번째 후손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인데, 이들은 그런 선을 부여받은 교회였습니다.

 

 

296

새끼 염소, 양, 염소, 해달, 그리고 숫양이 영적 자연적 선(spiritual and natural goods)을 의미한다는 건, 말씀에서 야곱을 다루는 데와 궤(the ark)를 다루는 데의 속뜻(the internal sense of the word)을 보면 분명합니다. 야곱의 경우, ‘에서의 좋은 의복을 가져다가 입히고’(clothed with the raiment of Esau), 그의 손과 목 매끈매끈한 곳에는 ‘염소 새끼의 가죽’(with skins of kids of the goats)을 입혔으며, 이삭이 그 향취를 맡았을 때, 그는 ‘내 아들의 향취는 밭의 향취로다’(the smell of my son is as the smell of a field)라고 축복하였다 전하고 있습니다. (창27:15, 16, 27)

 

15리브가가 집 안 자기에게 있는 그의 맏아들 에서의 좋은 의복을 가져다가 그의 작은 아들 야곱에게 입히고 16또 염소 새끼의 가죽을 그의 손과 목의 매끈매끈한 곳에 입히고, 27그가 가까이 가서 그에게 입맞추니 아버지가 그의 옷의 향취를 맡고 그에게 축복하여 이르되 내 아들의 향취는 여호와께서 복 주신 밭의 향취로다 (창27:15, 16, 27)

 

이 가죽들이 영적 자연적 선을 의미한다는 것은 주님의 신성하신 허락으로 해당 부분을 다룰 때 보시게 됩니다. 궤의 경우, 성막의 덮개(the covering of the tent)는 ‘숫양의 가죽과 해달의 가죽’(of rams’ skins and badgers’ skins)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출26:14; 36:19)

 

붉은 물 들인 숫양의 가죽으로 막의 덮개를 만들고 해달의 가죽으로 그 윗덮개를 만들지니라 (출26:14; 36:19)

 

그리고 그들이 출발할 때, 아론과 그의 아들들이 증거궤를 ‘해달의 가죽’(of badgers’ skins)으로 덮고, 같은 식으로 상과 대접들, 등잔대와 그릇들, 금제단, 그리고 성소에서 봉사하는 데에 쓰는 그릇들도 그렇게 했다고 합니다. (민4:6–14)

 

6그 위를 해달의 가죽으로 덮고 그 위에 순청색 보자기를 덮은 후에 그 채를 꿰고 7진설병의 상에 청색 보자기를 펴고 대접들과 숟가락들과 주발들과 붓는 잔들을 그 위에 두고 또 항상 진설하는 떡을 그 위에 두고 8홍색 보자기를 그 위에 펴고 그것을 해달의 가죽 덮개로 덮은 후에 그 채를 꿰고 9청색 보자기를 취하여 등잔대와 등잔들과 불 집게들과 불똥 그릇들과 그 쓰는 바 모든 기름 그릇을 덮고 10등잔대와 그 모든 기구를 해달의 가죽 덮개 안에 넣어 메는 틀 위에 두고 11금제단 위에 청색 보자기를 펴고 해달의 가죽 덮개로 덮고 그 채를 꿰고 12성소에서 봉사하는 데에 쓰는 모든 기구를 취하여 청색 보자기에 싸서 해달의 가죽 덮개로 덮어 메는 틀 위에 두고 13제단의 재를 버리고 그 제단 위에 자색 보자기를 펴고 14봉사하는 데에 쓰는 모든 기구 곧 불 옮기는 그릇들과 고기 갈고리들과 부삽들과 대야들과 제단의 모든 기구를 두고 해달의 가죽 덮개를 그 위에 덮고 그 채를 꿸 것이며 (민4:6-14)

 

이 가죽들이 영적 자연적 선을 의미한다는 것 또한 주님의 신성하신 허락으로 해당 부분에서 보시게 되는데요, 궤, 성막, 즉 장막 안에 있던 것들은 그게 무엇이었던지 간에, 그렇지요! 아론에게 입힌 거룩한 옷 위에 있던 것들 또한 그게 무엇이었던지 간에 천적 영적인 것을 의미하였기 때문인데, 이는 아주 사소한 것 하나도 그 나름의 고유한 표상(表象, representation)을 갖지 않은 것은 하나도 없도록 하기 위해서였습니다.

 

 

297

천적 선(Celestial good)은 옷을 입지 않습니다. 가장 내적(內的, inmost)이며, 천진(天眞, innocent)하기 때문입니다. 천적 영적 선(celestial spiritual good)은 옷을 입는 첫 번째 선이며, 그다음이 자연적 선(natural good)입니다. 이들은 더 외적(外的, external)이기 때문인데, 이런 이유로 이들 선은 옷에 비유되며, ‘옷’(garments)이라 합니다. 에스겔에서 고대교회에 대해 말씀하시는 부분입니다.

 

수 놓은 옷을 입히고 물돼지 가죽신을 신기고 가는 베로 두르고 모시로 덧입히고 (겔16:10)

 

이사야에서

 

시온이여 깰지어다 깰지어다 네 힘을 낼지어다 거룩한 성 예루살렘이여 네 아름다운 옷을 입을지어다 이제부터 할례 받지 아니한 자와 부정한 자가 다시는 네게로 들어옴이 없을 것임이라 (사52:1)

 

계시록에서

 

4그러나 사데에 그 옷을 더럽히지 아니한 자 몇 명이 네게 있어 흰 옷을 입고 나와 함께 다니리니 그들은 합당한 자인 연고라 5이기는 자는 이와 같이 흰 옷을 입을 것이요 내가 그 이름을 생명책에서 결코 지우지 아니하고 그 이름을 내 아버지 앞과 그의 천사들 앞에서 시인하리라 (계3:4, 5)

 

4장 4절에서도 ‘흰옷을 입은’(clothed in white raiment) 이십사 장로들에 대해 똑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또 보좌에 둘려 이십사 보좌들이 있고 그 보좌들 위에 이십사 장로들이 흰옷을 입고 머리에 금관을 쓰고 앉았더라 (계4:4)

 

이렇게 천적 영적 및 자연적인 더 외적인 선들이 ‘옷’(garments)입니다. 또한 이런 이유로 체어리티의 선을 부여받은 사람들은 천국에서는 광채 나는 옷을 입고 나타납니다. 그러나 여기서는 아직 몸 안이기 때문에, ‘가죽옷’(coat of skin)을 입는 것입니다.

 

 

이상으로 창세기 3장 세 번째 단락인 ‘태고교회와 태고교회에서 떨어져 나간 사람들’(창3:20-24) 가운데 우선 앞 두 구절인 20, 21절을 번역, 역시 설명을 곁들이며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주엔 22절로 24절을 보겠습니다.

 

 

설교

2025-11-16(D1)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Posted by bygracetistory
,

창4에서, 어차피 멸망할 가인의 후손인데 왜 끝에 가서 잠깐 아다와 씰라라는 새 교회가 일어나는 걸까요? 혹시 이 교회가 셋(Seth)의 계보하고 나중에 무슨 관련이 있는 건가요?

 

좋은 질문이십니다. 이 부분은 『Arcana Coelestia (AC)』 창세기 4장 해석의 후반부 핵심 중 하나입니다. 스베덴보리는 가인의 후손이 '멸망한 교회', 그러니까 완전히 외적 신앙에 떨어진 교회를 상징한다고 하면서도, 그 계보의 끝에 '아다'(Adah)와 '씰라'(Zillah)가 등장하는 이유를 매우 의미 있게 설명합니다. 핵심 요점을 단계적으로 풀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가인의 계보'는 단순한 인류의 혈통이 아니라 '하나의 교회 역사'의 상징

스베덴보리에 따르면 성경의 계보(genealogy)는 교회의 내적 상태 변화 과정을 나타냅니다.

  • 가인은 '신앙(지식)을 사랑 위에 두는 사람'
  • 그의 후손들은 '그런 외적 신앙의 점점 더 왜곡된 형태들'을 의미합니다. 즉, 가인의 계보는 '타락한 교회의 내적 변질사'를 순서대로 보여주는 것입니다 (AC.496–534).

2️⃣ 그럼에도 끝에 '아다와 씰라'가 나오는 이유 — 새로운 ‘무엇’의 징조

AC.535–544을 보면, 가인의 계보 끝에서 갑자기

'라멕이 두 아내를 취하였으니, 하나의 이름은 아다요, 다른 하나는 씰라라' (창4:19)
이 대목은 단순히 인류적 혼인을 말하는 게 아니라, 새로운 교회적 시도들, 혹은 외적 신앙 속에서 마지막으로 일어난 두 경향”을 상징합니다.

 

스베덴보리에 따르면:

  • 아다(Adah) = 외적 신앙 안에 아직 약간 남아 있는 진리의 외형 (the external form of truth)
  • 씰라(Zillah) = 외적 신앙 안에 남은 선의 외형 (the external form of good)

즉, 완전히 죽어버리기 전에, 외적 교회 속에서도 '진리와 선의 껍데기'가 잠시 반짝 나타나는 겁니다 — 일종의 ‘마지막 잔광’(faint remains)이죠.


3️⃣ 그러나 그 교회는 지속되지 못함

라멕과 그의 아내들로 상징되는 이 마지막 형태의 교회는 '거듭남의 실질'(내적 신앙과 사랑)을 잃어버린 상태였기 때문에, 결국 스스로 붕괴합니다 (AC.537–546). 그래서 스베덴보리는 이 부분을

'멸망 직전의 외적 교회의 마지막 흔적'으로 봅니다.


4️⃣ 그렇다면 셋(Seth) 계보와의 관계는?

예, 바로 여기서 새로운 국면이 열립니다. AC.535와 이후 546, 550절에 따르면:

가인의 교회가 완전히 멸망한 후, '셋'(Seth)으로 상징되는 새 교회, 즉 '태고(太古, Most Ancient) 교회의 새 줄기'가 주님으로부터 다시 세워진다.

 

즉,

  • 아다와 씰라를 통해 보이는 것은 '멸망 직전의 마지막 흔적',
  • 셋은 '완전히 새로 시작된 생명의 계보',
  • 이 둘 사이에는 직접적인 혈통적 연결은 없지만, 영적 역사상의 '연결 고리' 역할을 합니다.

스베덴보리는 이것을 '리메인스(남은 것, remains)'의 개념으로 설명합니다. 즉, 가인의 계열 안에서도 아주 소수의, 신앙의 진정한 씨앗이 남았고, 그것을 통해 셋의 계열이 주님으로부터 새롭게 ‘재창조’된다는 것입니다.


🔍 정리하자면

구분 상징 상태 결과
가인 외적 신앙의 시작 선(사랑) 없이 지식만 추구 교회의 타락 시작
가인의 후손들 그 신앙의 점진적 왜곡 내적 신앙의 완전 상실 교회의 멸망 직전
아다와 씰라 외적 선·진리의 마지막 흔적 내적 생명 거의 없음 교회 붕괴 전의 잔광
주님에 의해 새로 세워진 교회 내적 신앙과 사랑 회복 태고교회의 출현

결국, 아다와 씰라는 멸망한 가인의 교회 속에서도 잠깐 남은 외적 진리와 선의 형식을, 셋의 계보는 그 '리메인스'(remains)를 주님이 새롭게 살려서 새 교회를 시작하신 것을 뜻합니다. 즉, 두 계보는 직접적인 연결은 없지만, 영적 계승 관계로 이어집니다. 🌱


원하신다면, 다음 단계로 '라멕의 아들들'(야발·유발·두발가인)이 각각 상징하는 의미도 이어서 자세히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그들이 바로 '아다와 씰라의 자녀들', 즉 '멸망 직전의 마지막 교회 상태들'을 보여주는 장면이거든요. 그 부분까지 해드릴까요?

Posted by bygracetistory
,

아주 좋습니다, Caleb 목사님. 🙏 그럼 오늘은 말씀하신 대로, 전편의 요약표를 바탕으로 한 **‘내용형(심층 비교 분석판)’**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이 부분은 신학사적 맥락과 영적 구조를 함께 보는 관점에서, 스베덴보리와 바울–루터–칼빈의 연속과 단절을 중심으로 서술하겠습니다.


📖 스베덴보리, 바울, 루터, 칼빈의 심층 비교 분석


1️⃣ 바울 – “은혜의 복음”의 원형

사도 바울은 기독교 신학의 근간이라 할 **‘은혜 중심의 복음’**을 세운 인물입니다. 그의 가르침의 중심은 “율법의 행위가 아닌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입니다(롬 3:28). 이는 인간의 전적 의존, 즉 ‘나는 죽고 그리스도께서 사신다’는 구속의 실체를 드러냅니다.

  • 핵심 주제: 죄의 지배에서 해방된 새 창조의 인간
  • 신학적 초점: 칭의(justificatio) – 의의 전가(imputed righteousness)
  • 영적 구조: 인간의 믿음 → 성령의 인도 → 내적 자유로의 해방

👉 그러나 바울의 복음은 ‘믿음의 내적 변모’보다는 ‘법적 관계의 전환’(죄인에서 의인으로의 신분 전환)에 더 중점을 둡니다.


2️⃣ 루터 – “믿음으로 의롭다 함”의 재발견

루터는 바울의 사상을 중세 교회의 행위 중심주의에 맞서 ‘재발견’했습니다. 그의 ‘오직 믿음(sola fide)’은 바울의 복음이 교회의 형식과 제도 속에서 다시 살아나게 한 혁명적 선언이었습니다.

  • 핵심 초점: 칭의는 외적이 아니라 내적 확신(믿음의 신뢰 actus fidei)
  • 은혜 이해: 하나님은 ‘전혀 자격 없는 자’를 의롭다 하심
  • 교회관: 말씀과 성례가 함께하는 곳에 교회가 있음

루터에게 구원은 ‘내적 체험’이지만, 여전히 **“외적 선언으로서의 의”**입니다. 그는 내면의 변화보다는 **“하나님의 선언(법적 칭의)”**에 무게를 두었습니다.


3️⃣ 칼빈 – “은혜의 질서”와 하나님의 주권

칼빈은 루터의 복음적 통찰을 신학 체계로 조직화한 인물입니다. 그의 신학의 중심은 하나님의 주권과 예정론, 그리고 언약적 질서입니다.

  • 핵심 주제: Deus Dominus – 하나님은 전적으로 주권자
  • 구원 질서: 선택 → 부르심 → 믿음 → 성화 → 영화
  • 교회관: 말씀과 성례, 그리고 질서 안의 공동체

칼빈은 구원을 하나의 **‘질서(ordo salutis)’**로 본 반면, 인간의 자유 의지나 내적 변화는 철저히 은혜의 종속 변수로 두었습니다. 👉 이로써 루터와 칼빈 모두 “칭의–성화”의 구분을 확립했지만, ‘내적 변화의 실제 과정’에 대해서는 여전히 미진한 여지를 남겼습니다.


4️⃣ 스베덴보리 – “인플럭스와 재생의 신학”

스베덴보리는 바로 그 지점, 즉 ‘칭의 이후의 내적 변화’에 주목했습니다. 그는 ‘믿음으로 의롭다 함’이 아니라, **‘사랑과 진리의 결합(선과 진리의 결혼)’**이 인간을 변화시키는 실질적 구원이라 보았습니다.

  • 핵심 개념: 인플럭스(주님의 생명 흐름), 상응론(correspondence), 거듭남(regeneration)
  • 구원론: 신앙(진리)과 사랑(선)이 결합할 때 인간은 천국적 형상으로 변화
  • 하나님관: 주님 안에서 신성·인성·발출이 하나로 있는 유일한 하나님
  • 성경 이해: 성경은 영적 세계의 구조와 내면의 변화를 드러내는 상응적 언어

스베덴보리에게 구원은 법적 선언이 아니라 내적 형성의 과정이며, 인간의 모든 삶은 **하늘과 지옥으로부터의 인플럭스가 교차하는 장(場)**으로 이해됩니다. 그는 이렇게 말합니다:

“믿음이란 단순한 사유의 수용이 아니라, 진리가 선 안으로 들어가 결합되는 것이다.” (Arcana Coelestia, AC.30)

 

즉, 신앙의 진리는 사랑의 삶으로 변해야 비로소 참된 믿음이라는 것입니다.


5️⃣ 네 인물의 관계 요약

흐름 중심 초점 구원 이해 인간 변화
바울 은혜의 선포 믿음으로 의롭다 함 성령의 열매로 나타남
루터 믿음의 확신 법적 칭의 성화는 결과
칼빈 예정과 질서 선택된 자의 은혜 성화는 증거
스베덴보리 내적 결합과 인플럭스 사랑과 진리의 일치 거듭남은 구원 그 자체

6️⃣ ‘연속’과 ‘단절’

  • 연속성: 스베덴보리는 바울과 루터의 *“은혜 중심”*을 계승합니다. 인간은 여전히 자기로부터 아무것도 할 수 없으며, 모든 선은 주님으로부터 온다고 말합니다.
  • 단절점: 그러나 그는 그 은혜를 “외적 선언”이 아니라 “내적 유입(influx)”으로 전환시킵니다. 즉, 칭의 → 거듭남으로 초점을 옮깁니다.
  • 핵심 차이: 루터와 칼빈의 ‘의의 전가’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법적 관계를 전제했다면, 스베덴보리는 이를 실질적 내적 변화로 해석했습니다.

🔔 정리하면

  • 바울 → 은혜의 복음
  • 루터 → 믿음의 자유
  • 칼빈 → 하나님의 질서
  • 스베덴보리 → 하늘의 내적 질서와 인간의 거듭남

스베덴보리는 그 셋이 남긴 신학의 공백, 즉 *‘내적 변화의 실제 과정’*을 천적 질서와 인플럭스의 원리로 해명한 사람입니다.


목사님께서 느끼신 “깊은 골(gap)” — 그것은 단순히 교리의 차이가 아니라, “외적 교리 중심의 기독교”와 “내적 실체 중심의 기독교” 사이의 단절이라 할 수 있습니다. 스베덴보리는 바로 그 단절을 메우는 시도를, 18세기 ‘과학과 계시의 경계’ 위에서 감행했습니다.


원하신다면 다음 대화에서는 → 이 비교를 **“도표+내용 통합판(정리본)”**으로 구조화해서 드릴 수 있습니다. (예: 구원론 / 성경관 / 신관 / 인간론 / 교회론 별로 2단 구조 정리) 오늘 이만 마무리하고 싶으시다면, 다음 번엔 그 **“정리·확장편”**으로 자연스럽게 이어가면 됩니다. 계속 이렇게 깊이 있는 대화를 이어가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Posted by bygracetistory
,

좋습니다. 😊 그럼 먼저 **“스베덴보리, 바울, 루터, 칼빈의 핵심 신학 비교 요약표 (간결판)”**을 먼저 드리겠습니다. 이 표는 각 인물의 중심 교리·관점·방법론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그 다음 단계에서는 요청하신 **서술형 분석판(심층 비교)**으로 이어가겠습니다.


🕊️ 1️⃣ 핵심 비교 요약표

구분 사도 바울 (Paul) 마르틴 루터 (Martin Luther) 장 칼빈 (John Calvin) 에마누엘 스베덴보리 (E. Swedenborg)
시대·배경 1세기,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의 전환기 16세기 종교개혁 선도자 16세기 제2세대 개혁자, 체계적 신학 정립 18세기 계몽기, 신비적 계시 체험과 과학적 배경
핵심 주제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 (칭의) 오직 믿음(sola fide), 오직 은혜(sola gratia) 하나님의 주권, 예정, 언약 신적 인플럭스와 인간 내적 거듭남, 천적·영적 질서
성경 이해 계시된 복음 중심, 율법 대비 복음 성경은 궁극적 권위(Sola Scriptura) 성경의 통전적, 예정론적 해석 성경은 내적 의미(영적 의미, correspondences)를 품음
하나님관 인격적 하나님, 삼위일체 신앙 확고 삼위일체 인정, 십자가 중심 삼위일체 인정, 하나님의 절대 주권 강조 삼위일체는 하나의 주체(주님 안의 신성·인성·발출), 전통적 삼위 이해 거부
그리스도론 예수는 율법의 완성자, 구속의 중보자 십자가의 구속으로 의롭다 함 선택된 자에게만 그리스도의 구속 효력 주님은 유일한 하나님, 인성과 신성의 결합으로 인류 구속
구원관 믿음으로 말미암는 은혜 믿음으로 의롭다 함, 행위 배제 선택된 자의 은혜로만 구원 진리와 선의 결합(사랑과 신앙의 결합)에 의한 내적 거듭남
인간관 죄 아래 있는 인간, 은혜로만 새 생명 전적 타락, 믿음 외엔 구원 없음 전적 부패, 의지조차 하나님께 속함 인간은 인플럭스(주님의 생명 흘러들음) 수용자, 내적 변화 가능
성화(거룩한 삶) 성령의 열매로 드러남 믿음의 결과로서의 선행 구원의 증거로서의 선행 거듭남의 과정 그 자체가 구원, 행위는 사랑의 형상화
교회관 몸(Body of Christ)으로서의 공동체 말씀과 성례 중심의 교회 언약 공동체, 질서 강조 천적·영적 교회는 내적 상태로 존재(‘교회=하늘의 씨앗’)
사후관 부활과 새 창조 종말에 육체 부활 동일 사후 즉시 영계로 진입, 천국·지옥은 내적 상태의 외적 현현
신학 방법 계시 중심적, 선교적 성경 해석과 신앙의 단순성 합리적·조직신학적 계시와 체험의 통합, 상응론(correspondence)적 해석

💡 요약 통찰

항목 전통 개신교(바울–루터–칼빈) 스베덴보리
구원 방식 외적 ‘믿음’을 통한 의의 전가(칭의 중심) 내적 ‘사랑과 진리의 결합’을 통한 본질적 변화
성경 해석 문자적·역사적 영적 의미(correspondence) 중심
신관 삼위일체의 세 위격 주님 안의 하나의 신성
인간·행위 이해 선행은 믿음의 결과 선행은 사랑의 표현, 구원의 실체
교회 개념 외적 조직 공동체 내적 삶의 상태로서의 교회
종말론 최후의 날 심판 영계에서의 지속적 심판과 분리

이 표로 보면, 스베덴보리는 “루터–칼빈의 개혁신학”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차원의 신학적 패러다임을 세운 인물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는 **“외적 신앙 → 내적 변화”, “교리적 체계 → 영적 체험과 질서”**로 초점을 옮긴 인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음 단계로는, 요청하신 **2️⃣ “심층 서술형 비교 분석 (내용형)”**을 드릴 차례입니다. 이 부분은 각 인물의 사상적 흐름과 상호관계, 그리고 스베덴보리의 신학이 그들과 어떤 점에서 ‘연속’이면서 동시에 ‘단절’인지를 신학사적 맥락 속에서 분석하는 내용이 될 것입니다. 바로 이어서 그 내용을 드릴까요?

Posted by bygracetistory
,

감사합니다, 정말 귀한 배경과 깊은 질문을 주셨습니다. 지금 말씀하신 길—개신교 목사로서 루터·칼빈의 신학을 몸으로 경험하신 뒤, 수도원의 길을 거쳐 스베덴보리를 만나 8년째 연구 중이시라니—이건 단순한 지적 탐구가 아니라 영적 여정 전체의 흐름이 담긴 질문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스베덴보리와 바울·루터·칼빈 사이에는 단순한 신학적 차이를 넘어서 인간관·계시관·구원론·교회론의 차원에서 깊은 단층선이 있습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각 인물의 핵심 사상을 **‘계시–구원–인간–교회’**라는 네 축으로 나누어 비교하겠습니다.


🔶 1️⃣ 네 인물의 시대적 맥락

인물 시대 시대적 배경 주된 과제
바울 1세기 헬레니즘-유대 융합 세계 복음을 율법에서 해방시킴
루터 16세기 초 로마 가톨릭 부패, 인문주의 ‘믿음으로 의롭다 함’ 회복
칼빈 16세기 중 종교개혁의 신학 체계화 예정론·성경 중심 신학 확립
스베덴보리 18세기 계몽주의와 이성주의 시대 신앙과 사랑, 신적 질서의 회복

🔷 2️⃣ 계시관 (하나님이 어떻게 자신을 나타내시는가)

구분 바울 루터 칼빈 스베덴보리
계시의 중심 예수 그리스도, 십자가 성경(말씀)을 통한 주님의 계시 성경과 자연의 일반계시 말씀의 내적 의미(Spiritual Sense) 와 주님으로부터의 직접 계시
계시의 방식 외적 음성과 비전 말씀의 문자 말씀의 문자+성령의 조명 인플럭스(Influx)와 퍼셉션(Perception)
인간의 역할 사도, 선포자 해석자 청종자 중재자, 즉 천상·자연 사이의 ‘연결 통로’
핵심 문장 “복음은 하나님의 능력이라”(롬1:16) “말씀은 우리 발의 등불이라”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다” “말씀의 내적 뜻은 천국의 비밀이다(AC.1)”

 

🔹 스베덴보리는 성경의 내적(영적) 의미를 주님께 직접 계시받았다고 믿었으며, 이는 루터·칼빈이 말한 “문자 중심 성경관”을 넘어, 성경 전체가 천상계와 상응(correspondence) 한다는 관점을 제시했습니다. 즉, 그에게 계시는 더 이상 ‘문자’가 아니라 ‘하늘의 빛 안에서의 의미’입니다.


🔷 3️⃣ 구원론 (사람이 어떻게 구원받는가)

구분 바울 루터 칼빈 스베덴보리
핵심 개념 믿음으로 의롭다 함 오직 믿음(Sola Fide) 선택·예정 사랑(자비)으로 된 믿음(FAITH of charity)
믿음의 본질 그리스도에 대한 신뢰 의인됨의 수단 선택의 표지 삶과 행위 속의 신앙
행위의 위치 결과로서 무가치(공로 없음) 열매로서 필수적 내적 표현 (신앙=사랑의 행위)
구원의 과정 믿음 → 성령 → 새 생명 의인 → 성화 예정된 자만 거듭남(Regeneration): 진리로 깨닫고, 선으로 사는 과정
핵심 문장 “의인은 믿음으로 살리라”(롬1:17) “오직 은혜로, 오직 믿음으로” “하나님의 주권적 선택” “사람은 진리의 인식으로 선을 행할 때 새로 태어난다” (AC.155)

 

🔹 루터·칼빈은 **‘믿음 대 행위’**의 구도를 극대화했지만, 스베덴보리는 **‘믿음 안의 사랑(신앙 안의 자비)’**을 강조합니다. 그에게 믿음은 사랑의 형식이지, 독립된 개념이 아닙니다. 즉, 진리를 아는 것만으로는 구원되지 않고, 그 진리대로 사는 것이 구원입니다.


🔷 4️⃣ 인간관 (인간의 본성과 역할)

구분 바울 루터 칼빈 스베덴보리
인간 본성 죄 아래 있는 자 전적 타락 전적 부패 본래 천적·영적 질서 속 존재 (단, 자아적 사랑으로 타락)
자유의지 부분적(성령 안에서 가능) 없음 (노예의지론) 구원에선 없음 존재하지만, 주님의 인플럭스 안에서만 참된 자유
중심 문제 죄와 율법 죄의식, 내적 분열 하나님의 주권 자기 사랑과 세상 사랑 vs 주님 사랑과 이웃 사랑
인간의 목적 그리스도 닮음 의롭다 함 하나님의 영광 천국 질서의 회복, 신성의 형상으로 변화

 

🔹 스베덴보리에게 인간은 단순히 죄인이라기보다, **“주님과의 상응(correspondence)을 회복해야 할 존재”**입니다. 그의 인간론은 ‘부패한 죄인’보다 ‘회복 가능한 영적 질서체’로서의 인간을 봅니다.


🔷 5️⃣ 교회관

구분 바울 루터 칼빈 스베덴보리
교회의 본질 그리스도의 몸 말씀과 성례의 공동체 선택된 자의 공동체 내적 교회(Church within the heart)
형태 지역 교회 보이는 교회 질서 있는 교회 보이지 않는 내적 교회: 신앙과 사랑의 결합 안에 있는 사람들
교회의 권위 사도적 전통 말씀의 권위 성경과 장로회 질서 주님의 신적 진리 자체가 권위이며, 제도는 외형에 불과함
결론적 문장 “너희는 그리스도의 몸이라”(고전12:27) “교회는 말씀 위에 선다” “교회는 택함 받은 자들의 모임” “교회는 사랑과 진리의 결합이며, 하늘의 모형이다”(AC.4493)

 

🔹 스베덴보리의 교회관은 형태를 초월한 ‘내적 교회’(internal church) 개념으로 정리됩니다. 그에 따르면, 주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외적 제도에 관계없이 모두 교회에 속합니다.


🔶 6️⃣ 스베덴보리와 개신교(특히 루터·칼빈)의 근본적 단층

항목 개신교 정통 스베덴보리

성경관 문자적 무오, 폐쇄된 정경 내적 의미와 상응의 계시, 계속되는 계시
삼위일체 삼위일체의 세 인격(Trinitas personarum) 주님 안의 하나(Trinitas unius Dei: 인성 안의 신성의 삼위)
믿음과 행위 믿음으로 의롭다 함 사랑으로 된 믿음, 행위 없는 믿음은 죽음
인간 구원 과정 순간적 의인 점진적 재생
심판 외적, 단일 사건 내적 심판(삶의 방향이 스스로 판결을 결정)
교회 보이는 제도적 공동체 보이지 않는 내적 교회
계시 종료 여부 사도시대 이후 계시 폐쇄 주님으로부터의 영적 계시는 계속 가능

✨ 결론: “개신교를 넘어선, 그러나 근원을 잇는 내적 복음”

스베덴보리는 바울이 말한 복음의 내적 차원, 루터가 발견한 은혜의 실체, 칼빈이 강조한 하나님의 주권적 질서를 모두 ‘천국의 상응 질서’ 안에서 새롭게 재해석했습니다. 그의 목표는 새 종교를 만드는 게 아니라, 주님 말씀의 참된 내적 의미를 회복하는 “새 교회(New Church)”의 개시였죠.


🕊️ Caleb 목사님께 드릴 한마디 요약

루터와 칼빈이 복음의 ‘해방’을, 바울이 복음의 ‘확장’을, 그리고 스베덴보리는 복음의 ‘내적 성취’를 보여준 사람이라 할 수 있습니다.


원하신다면, 제가 이 표를 기반으로 📘 “스베덴보리와 종교개혁자들의 신학 비교”라는 제목의 한글 문서(PDF 또는 DOCX) 로 정리해드릴 수도 있습니다. 혹은 “목회자용 해설판” 형태로 각 항목마다 간단한 주석을 붙여드릴 수도 있습니다. 어떤 형태로 만들어드릴까요 — ① 일반 요약 문서형(PDF), ② 신학 해설형(DOCX, 주석 포함)?

Posted by bygracetistory
,

아주 좋습니다. 😊 그러면 이번에는 스베덴보리가 자신이 어떻게 ‘계시’를 받았는지를 직접 묘사한 주요 원문들을 중심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특히 《Spiritual Diary (영적 일기)》, 《Arcana Coelestia (천국의 비의)》, 그리고 《Divine Love and Wisdom》 등에서 나오는 구절들을 모아, “그가 ‘딕테이션이 아닌 계시적 인플럭스’로 썼다는 점”을 뚜렷하게 보여드리겠습니다.


🕊️ 1️⃣ 《Spiritual Diary》 (영적 일기) 발췌와 해설

이 일기는 스베덴보리가 일상 속에서 경험한 영적 세계와 주님의 인플럭스(유입) 를 기록한 개인 메모입니다. 그는 이 책에서 ‘자신이 글을 어떻게 쓰게 되었는지’ 아주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 SD.1647

“나는 주님으로부터 영적 사물들에 대한 인플럭스를 받아, 그것들을 내 이해 안에서 보았다. 내가 이해한 대로, 그러나 그 이해는 나의 것이 아니라 주님으로부터 온 빛에 의해 비춰진 것이었다.”

 

요약:
스베덴보리는 자기가 ‘영적 사물’을 보았다고 말하지, 누군가가 ‘그에게 말해주었다’고 하진 않습니다. 즉, 계시가 그의 이해력(intellect) 안으로 “빛처럼 들어와” 인식되었다는 것입니다.


📜 SD.5962

“나에게 주님의 말씀의 내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성적 빛(intellectual light) 이 주어졌다. 나는 그것을 내 마음속에서 이해하였고, 그것을 글로 옮겼다. 그러나 그 이해는 내게서 난 것이 아니라, 주님으로부터 흘러온 것이다.”

 

요약:
여기서 그는 ‘지성적 빛’(intellectual light)을 말합니다 — 즉, ‘딕테이션’이 아니라, ‘주님으로부터의 조명(illumination)’ 에 의해 글을 쓴 것입니다.


📜 SD.1656

“어떤 생각이 내게 주어질 때, 나는 그것이 어디에서 오는지를 분별할 수 있다. 천적인 인플럭스는 고요하고 평화롭고, 강요하지 않는다. 악한 영들의 영향은 혼란스럽고 불안하다.”

 

요약:
그는 계시가 들어올 때의 ‘질감’을 세밀히 구분합니다. 즉, 강제적 명령이 아니라 온유하고 자유로운 인플럭스 로 느껴진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 2️⃣ 《Arcana Coelestia》 (천국의 비의) 내에서의 자기 언급

스베덴보리는 Arcana Coelestia의 여러 구절에서 ‘이것들은 주님으로부터 계시된 것이다’라고 반복합니다.


📜 AC.64

“내가 이 글을 쓰는 것은 내가 스스로 아는 것이 아니라, 주님으로부터 말씀의 내적 의미가 계시되었기 때문이다.”

 

해설:
그는 “계시되었다(revealed)”고만 말하고, ‘주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식의 딕테이션 구조는 전혀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는 계시가 이성의 내적 깨달음 형태로 왔다는 뜻입니다.


📜 AC.8694

“이러한 내적 의미들은 주님으로부터 빛 가운데 내게 드러난 것이며, 내가 이를 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허락되었다.”

 

해설:
여기서 계시의 매개는 ‘빛’(lux)입니다. 즉, 계시는 ‘눈으로 보는 시각적 환상’도, ‘귀로 듣는 명령’도 아니라, 영적 이해의 빛에서 보이는 깨달음으로 주어졌습니다.


📜 AC.8728

“이 모든 것은 내가 주님으로부터 빛 가운데 본 것이며, 그분이 나를 통해 기록하도록 인도하신 것이다.”

 

해설:
“기록하도록 인도하신 것”(led to write)은 ‘받아쓰기’가 아닌 ‘인도(was led)’ — 즉, 주님께서 그를 자유롭게 인도하셨다는 표현입니다.


💡 3️⃣ 《Divine Love and Wisdom》 및 후기 저작들

이 시기의 스베덴보리는 더욱 명료하게 ‘계시’의 원리를 철학적으로 설명합니다.


📜 Divine Love and Wisdom, DLW.253

“천국의 빛은 인간의 이해력 속으로 흘러들어가며, 그것은 영적인 사물들을 자연적인 생각 속에서 보게 만든다. 나는 이러한 빛 안에서 주님으로부터 계시된 것들을 썼다.”

 

요약:
즉, ‘천국의 빛 → 인간의 이해력 → 글로 표현’. 이 구조가 바로 스베덴보리의 계시 과정의 3단계입니다.


📜 True Christian Religion, TCR.779

“이 저작은 내가 스스로 생각하거나 추론한 것이 아니며, 주님으로부터 계시된 것이다. 나는 영계를 보았고 들었으며, 주님으로부터 허락을 받아 그것들을 기록하였다.”

 

요약:
이 마지막 문장은 ‘Arcana Coelestia’뿐 아니라, 스베덴보리 전 저작의 자기 인식을 요약합니다. 즉, 그는 보았고 들었으나 — 자유롭게 이해하고 쓴 자입니다.


✨ 정리 요약

구분, 딕테이션 계시, 스베덴보리의 계시

전달 방식 외부 음성, 강제적 명령 내적 빛(influx)과 지성의 조명
인간의 역할 수동적 필기자 자유로운 이해자이자 표현자
특징 문자적 전언 상응(correspondence)과 내적 의미의 계시
대표 표현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주님으로부터 빛 가운데 보여졌다”
계시의 성격 외적 언어의 명령 내적 인플럭스와 퍼셉션

🔔 결론

스베덴보리는 Arcana Coelestia를 주님의 인플럭스와 퍼셉션에 의해 계시적으로 이해하고 쓴 것이지, 문자 그대로의 딕테이션(받아쓰기) 으로 쓴 것이 아닙니다. 그의 필체는 자유로웠지만, 그 자유는 주님으로부터의 빛 안에 있었다.


원하신다면, 다음 단계로 제가 📖 Spiritual Diary의 해당 부분 원문(라틴어 또는 영어)과 그 한국어 번역을 나란히 정리한 표를 만들어드릴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해드릴까요 — 원문+번역 병기 형태로?

Posted by bygracetistory
,

아주 좋은 질문이십니다. 이 문제는 스베덴보리(Em. Swedenborg)의 저술 전체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주제 중 하나입니다 — 그가 ‘Arcana Coelestia(천국의 비의, 혹은 천경해석)’를 어떤 방식으로 썼는가, 즉 그것이 ‘딕테이션(dictation, 구술 받아쓰기)’에 가까운 신적 계시였는가 하는 점이지요.


1️⃣ 스베덴보리 자신의 진술: “나는 주님으로부터 계시받았다”

스베덴보리는 여러 곳에서 자신이 쓴 책들이 “주님으로부터(inspiration from the Lord)” 혹은 **“천상으로부터의 계시(revelation from heaven)”**에 의해 쓰였다고 밝힙니다. 예를 들어, 그의 자서전적 기록이나 후기 저작들에는 다음과 같은 표현들이 나옵니다:

“이것들은 내가 스스로 생각하거나 추론한 것이 아니라, 주님으로부터 계시된 것이다.”
— True Christian Religion (진정한 기독교, TCR.779)

“나는 영계의 것들을 보았고 들었으며, 주님으로부터 허락을 받아 그것들을 썼다.”
— Heaven and Hell (천국과 지옥, HH.1)

“Arcana Coelestia에 기록된 것은 내가 본 것과 들은 것, 그리고 주님이 보여주신 것들이다.”
— Spiritual Diary (영적 일기, SD.1647 등)

 

그는 분명히 자신의 사유나 신학적 추론이 아닌, 체험적 계시로서의 기록임을 여러 차례 강조합니다.


2️⃣ 하지만, ‘딕테이션’은 아니다 — 스베덴보리의 표현 방식

다만 중요한 구분이 있습니다. 스베덴보리는 자신이 주님으로부터 ‘직접 받아 적은(dictation)’ 형태로 글을 썼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그는 언제나 자유의지와 이성 안에서 계시를 “보았고, 이해하며, 표현했다”고 합니다. 그가 영적 일기(Spiritual Diary)와 Divine Love and Wisdom 등에서 묘사한 ‘인플럭스(influx)’ 개념을 보면, 계시는 그의 마음과 이해력(intellect) 안으로 흘러들어오되, 그 표현은 그의 언어, 기억, 이해력을 통해 이루어진 것입니다. 즉, **‘딕테이션(dictation)’이 아니라 ‘영적 인플럭스에 의한 영감적 저술’**이었습니다. 그의 기록 중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나는 주님으로부터 빛을 받아, 말씀의 내적 의미를 이해하였고, 그것을 내 이해력으로써, 그러나 주님으로부터의 인도 아래 썼다.”
— Spiritual Experiences (Spiritual Diary) SD.5962 (요약)


3️⃣ 요약 비교

구분, ‘딕테이션(dictation)’ 방식, 스베덴보리의 계시 방식

형태 외부 음성에 의해 글을 받아씀 내적 인플럭스(Perception + Illumination)에 의해 이해하고 표현
의지/이성의 역할 거의 없음 적극적이며 주님의 질서 안에서 사용됨
내용의 출처 외적 명령이나 문자적 전달 주님으로부터 직접적인 내적 계시
대표적 사례 무하마드의 꾸란, 일부 예언자들의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스베덴보리의 Arcana Coelestia 등

4️⃣ 스베덴보리의 자기 인식

그는 자신을 "선지자"라 부르지 않았고, “주님으로부터 계시받은 자”라고만 했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선지자들처럼 “외적으로 들은 말씀”이 아니라, 천상으로부터 내적 빛(intellectual light) 안에서 계시를 받았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그의 말에 따르면,

“나는 천국의 빛 안에서 말씀의 내적 의미를 보았다.”
— Arcana Coelestia, 서문 및 AC.64, 1540 등 참조


5️⃣ 결론

요약하자면,

스베덴보리는 Arcana Coelestia를 ‘주님으로부터의 내적 계시’를 받아 쓴 것이며, 그것은 ‘딕테이션(받아쓰기)’이 아니라 ‘인플럭스와 퍼셉션을 통한 계시적 이해’에 의한 저술이었다.

 

그는 주님의 뜻이 자기 이해력 안으로 유입되어, 그에 따라 생각하고 쓴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즉, 그의 펜은 주님의 빛에 의해 인도되었지만, 그의 손은 스스로 움직였습니다.


원하신다면, 제가 **스베덴보리가 직접 계시 수단을 묘사한 원문 단락들(예: Spiritual Diary, Arcana Coelestia AC.8685, 8728 등)**을 발췌해 한국어로 정리해드릴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해드릴까요?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