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거

즐겨찾기/블로그 2025. 9. 18. 09:39

휴거 (2025/9/18)

 

그가 큰 나팔 소리와 함께 천사들을 보내리니 그들이 그의 택하신 자들을 하늘 이 끝에서 저 끝까지 사방에서 모으리라 (24:31)

 

AC.4060 글을 보면, 이 말씀은 새 교회의 일어남을 의미합니다. ‘택하신 자들’은 사랑의 선, 신앙의 선 안에 있는 사람들을, ‘사방에서’는 선과 진리의 모든 상태를, ‘하늘 이 끝에서 저 끝까지’는 교회의 내적인 것과 외적인 것들을 의미합니다.

 

즉, 휴거란, 종말의 때임에도 불구, 여전히 사랑과 신앙의 선 가운데 있는 사람들을 일으켜 주님의 새 교회 세우시는 걸 의미하지 우리가 아는 것처럼 사람들이 갑자기 공중으로 막 들림 받고 하는 게 아니라는 말씀입니다. 태고교회 종말의 때에 그런 암흑과도 같은 상황에서도 노아라는 신앙을 가진 사람들을 통해 주님 신앙을 이어가셨던 것처럼 말입니다. 즉, 그들을 리메인스처럼 보관하셨다가 나중에 쓰신 것입니다.

'즐겨찾기 >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씀에 나오는 숫자들  (0) 2025.09.17
겉 사람의 변화  (0) 2025.09.16
자연적, 영적, 천적  (0) 2025.09.15
‘선악과’의 속뜻  (2) 2025.09.12
부모, 특히 아버지를 부끄러워한다는 건...  (0) 2025.09.10
Posted by bygracetistory
,

말씀에 나오는 숫자들 (2025/9/17)

 

2하나님이 그가 하시던 일을 일곱째 날에 마치시니 그가 하시던 모든 일을 그치고 일곱째 날에 안식하시니라 3하나님이 그 일곱째 날을 복되게 하사 거룩하게 하셨으니 이는 하나님이 그 창조하시며 만드시던 모든 일을 마치시고 그날에 안식하셨음이니라 (2:2, 3)

 

위 구절들에 ‘일곱(7)이라는 숫자가 나오는 것처럼 말씀 전반에 의외로 숫자가 참 많이 나옵니다. 예를 들면,

 

여호와께서 이틀 후에 우리를 살리시며 셋째 날에 우리를 일으키시리니 우리가 그의 앞에서 살리라 (6:2)

 

이 호세아 말씀에는 ‘이틀(2), ‘셋째(3)라는 숫자들이 나오며, 무엇보다 창세기 1장엔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 날이니라 (1:5)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둘째 날이니라 (1:8)

 

식으로 ‘여섯(6)째 날까지 계속 숫자들이 나옵니다. 계속해서

 

때가 제육시쯤 되어 해가 빛을 잃고 온 땅에 어둠이 임하여 제구시까지 계속하며 (23:44)

 

이 구절에는 ‘(6) 시와 ‘(9) 시가 나옵니다.

 

이렇게 단순 숫자들이 있는가 하면 ‘십일조(10), ‘열두 지파, 열두 제자, 열두 문, 열두 돌(12), ‘40일 정탐, 40년 광야 생활, 40일 금식(40), ‘측량한 성곽 규빗수(144), ‘일천 번제, 천 년(1000), ‘지파별 인침 받은 자의 수(144000) 등이 나오고, 그리고 창5 아담의 계보 장엔 아담, ‘구백삼십(930) 세, 셋, ‘구백십이(912) 세... 가장 오래 산 므두셀라의 경우, ‘구백육십구(969) 세 등 복합 숫자들과 큰 숫자들이 나옵니다.

 

이 숫자들은 그냥 등장하는 게 아닙니다. 말씀은 모두 천국과의 상응으로 기록된 것으로 이 숫자들 역시 그 안에 형언할 수 없는 아르카나가 담겨 있습니다.

 

참고로, 저 창5 아담 계보의 경우, 저마다 누렸다는 저 향년은 그 어느 특정 개인이 저 나이 되도록 살다 갔다는 뜻이 아니라 저 이름으로 일컫던 교회가 저 숫자에 담긴 ‘상태와 그 변화’를 겪었다는 뜻입니다. 그러니까 969세라 해서 실제 969년 동안 존재했다, 살았다는 뜻이 아니라 ‘므두셀라’라는 교회, 또는 교리나 어떤 신학적 입장이 969라는 숫자로 표현해야만 하는 어떤 장구한 상태변화가 있었다는 말입니다.

 

저 숫자가 실제 역사로 얼마나 되는 기간을 말하는 건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지질학적 지구의 나이, 그리고 오파츠(Out-of-place artifacts, OOPARTS)들의 발견 등을 고려할 때, 아주 장구한 세월일 거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노아는 오백 세 된 후에 셈과 함과 야벳을 낳았더라 (5:32)

 

이 역시 ‘노아’라는 교회에서 ‘오백(500)이라는 어떤 상태변화 후에, ‘셈, 함, 야벳’이라는 세 종류의 교회가 나왔다는 뜻입니다.

'즐겨찾기 >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거  (0) 2025.09.18
겉 사람의 변화  (0) 2025.09.16
자연적, 영적, 천적  (0) 2025.09.15
‘선악과’의 속뜻  (2) 2025.09.12
부모, 특히 아버지를 부끄러워한다는 건...  (0) 2025.09.10
Posted by bygracetistory
,

겉 사람의 변화 (2025/9/16)

 

사람이 영적 상태에 있는 동안은 겉 사람은 아직 속 사람에게 기꺼이 복종하려 하거나 섬기려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때는 아직 일종의 싸움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가 천적 상태가 되면, 그때는 겉 사람은 속 사람에게 복종하고 섬기기 시작합니다. 자연히 싸움도 그치고, 평온함이 시작되지요. (AC.91)

 

지난날 국민 드라마 ‘허준(1999) 생각이 납니다. 거기 보면 주인공 허준과 그가 처음 몸담았던 경남 산청 유의태, 그리고 그의 아들 유도지와 유의태가 걷어 딸처럼 키운 아름다운 예진 아씨가 나옵니다. 도지는 준의 걸출, 범상치 않은 등장 및 연모하던 예진의 마음이 준에게로 향하는 데 앙심을 품고, 오랜 세월, 심지어 궁궐 내의원에 들어가서까지도 준을 시기, 질투하며, 내의원으로서 함께 임금을 모시는 입장이면서도 사사건건 준을 모함, 대적합니다. 그러나 세월이 흐른 후, 그러니까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함께 노인이 된 후에는 사람이 변해 진심으로 준을 아끼고 존경하며 따르지요.

 

AC.91번 글을 읽으며, 겉 사람, 속 사람 관계가 꼭 저들, 특히 저 유도지의 변화와도 같구나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즐겨찾기 >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거  (0) 2025.09.18
말씀에 나오는 숫자들  (0) 2025.09.17
자연적, 영적, 천적  (0) 2025.09.15
‘선악과’의 속뜻  (2) 2025.09.12
부모, 특히 아버지를 부끄러워한다는 건...  (0) 2025.09.10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