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스베덴보리 해석의 핵심 중 하나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스베덴보리는 ‘노아의 홍수’를 실제 지구상에서 일어난 물리적 사건으로 보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가장 옛 교회(The Most Ancient Church)”의 영적 멸망을 묘사한 상징적(혹은 내적) 이야기라고 설명합니다.


1️⃣ 스베덴보리의 기본 입장: 성경은 “내적 의미”로 쓰였다

그는 Arcana Coelestia 전체를 통해 반복해서 말합니다:

“The Word is written in correspondences, and by means of representatives.”
(AC 1405)

즉, 성경의 모든 사건·이야기는 ‘상응(correspondence)’, 즉 영적 실체를 표현하는 상징적 형식으로 기록되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홍수”도, “방주”도, “비가 40일 내린 것”도,
물리적 사건이 아니라 영적 상태의 묘사입니다.


2️⃣ 홍수의 “내적 의미” (AC 705, 739, 778 등 요약)

스베덴보리는 이렇게 풀이합니다:

성경의 겉뜻 내적 의미

물(물결, 큰 물) falsities (거짓들)
홍수(flood) 거짓과 악이 인간의 내면을 덮은 상태
방주(ark) 남은 선(remains) — 신앙의 씨앗
노아(Noah) 새로운 교회의 사람
비가 40일 내림 시험(temptation)과 정화 과정

즉, “홍수로 세상이 멸망했다”는 말은 곧

“인류의 내적 교회가, 진리와 선을 잃고 거짓과 악에 잠겨 멸망했다”
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3️⃣ 그러나 “상징만은 아니다” — 상응적 역사로서의 실재

흥미롭게도 스베덴보리는,
이 사건이 “완전히 허구”라고는 하지 않습니다.
그는 이렇게 말하죠:

“That there was no universal flood which covered the whole earth,
but that the story represents the vastation of the Most Ancient Church.” (AC 705)

즉, 지구 전체를 덮는 물리적 대홍수는 없었지만,
당시의 교회(영적 인류) 가 실제로 “붕괴”한 역사적 시점은 있었다는 뜻이에요.

이 점에서 “홍수 이야기”는 단순한 신화도, 단순한 은유도 아닌,

“영적 사건의 상응적 서술(correspondential history)”
실제로 일어난 인류의 영적 변화를 ‘자연의 언어로 표현한’ 이야기라는 것입니다.


4️⃣ 요약하자면

구분 일반적 해석 스베덴보리 해석

노아의 홍수 실제 지구의 대홍수, 인류 심판 사건 “가장 옛 교회”의 영적 붕괴를 묘사한 상징
방주 배, 생존 수단 신앙의 잔여물(remains)을 보호하는 상징
홍수의 물 실제 물 거짓과 악의 범람
노아의 가족 물리적 인류의 조상 새 교회의 영적 씨앗

💡 요약 문장

스베덴보리에게 ‘노아의 홍수’는 역사적 물난리가 아니라,
인류의 첫 번째 교회가 거짓과 악에 잠겨 붕괴된 영적 대재앙의 상징이며,
노아와 방주는 그 가운데 보호된 신앙의 남은 것(remnant) 을 뜻합니다.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