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2:18-25

 

18여호와 하나님이 이르시되 사람이 혼자 사는 것이 좋지 아니하니 내가 그를 위하여 돕는 배필을 지으리라 하시니라 And Jehovah God said, It is not good that the man should be alone, I will make him a help as with him. 19여호와 하나님이 흙으로 각종 들짐승과 공중의 각종 새를 지으시고 아담이 무엇이라고 부르나 보시려고 그것들을 그에게로 이끌어 가시니 아담이 각 생물을 부르는 것이 곧 그 이름이 되었더라 And Jehovah God formed out of the ground every beast of the field, and every fowl of the heavens, and brought it to the man to see what he would call it; and whatsoever the man called every living soul, that was the name thereof. 20아담이 모든 가축과 공중의 새와 들의 모든 짐승에게 이름을 주니라 아담이 돕는 배필이 없으므로 And the man gave names to every beast, and to the fowl of the heavens, and to every wild animal of the field; but for the man there was not found a help as with him. 21여호와 하나님이 아담을 깊이 잠들게 하시니 잠들매 그가 그 갈빗대 하나를 취하고 살로 대신 채우시고 And Jehovah God caused a deep sleep to fall upon the man, and he slept; and he took one of his ribs, and closed up the flesh in the place thereof. 22여호와 하나님이 아담에게서 취하신 그 갈빗대로 여자를 만드시고 그를 아담에게로 이끌어 오시니 And the rib which Jehovah God had taken from the man, he built into a woman, and brought her to the man. 23아담이 이르되 이는 내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이라 이것을 남자에게서 취하였은즉 여자라 부르리라 하니라 And the man said, This now is bone of my bones, and flesh of my flesh; therefore she shall be called wife, because she was taken out of man [vir]. 24이러므로 남자가 부모를 떠나 그의 아내와 합하여 둘이 한 몸을 이룰지로다 Therefore shall a man leave his father and his mother, and shall cleave unto his wife, and they shall be one flesh. 25아담과 그의 아내 두 사람이 벌거벗었으나 부끄러워하지 아니하니라 And they were both naked, the man and his wife, and were not ashamed.

 

 

The Contents

 

131. 여기서부터는 태고교회의 후손, 후대의 이야기입니다. 이들은 자신들의 본성(本性, own, 라 proprium)을 향해 기울어진 사람들입니다. The posterity of the most ancient church, which inclined to their own,3 is here treated of.

 

※ 여기 ‘자신들의 본성을 향해 기울어진’의 의미는, 자치(自治, autonomy)를 얻고자 분투했다(strive for autonomy)는 뜻으로, 주님에게서 벗어나 독립하고자 있는 힘을 다하여 싸웠다는 것입니다. 아이고... 분투할 게 따로 있지!

 

※ 아주 중요한 주석 #3. 라틴어 ‘프로프리움’(proprium)은 여기 이 본문과 다른 여러 곳에서 ‘오운’(own)이라는 표현으로 번역되어온, 원전(the original text)에 사용된 용어입니다. Critical Notes 3. The Latin word proprium is the term used in the original text that in this and other places has been rendered by the expression “own.”

 

프로프리움의 사전적 의미는, 형용사로서, ‘아무개의 것, 소유’(one’s own), ‘적절한’(proper), ‘아무개 자신에게만 속한’(belonging to one’s self alone), ‘특별한’(special), ‘특정한’(particular), ‘특유한’(peculiar) 등입니다. The dictionary meaning of propius, as an adjective, is “one’s own,” “proper,” “belonging to one’s self alone,” “special,” “particular,” “peculiar.”

 

이 프로프리움이라는 말이 중성(neuter) 명사로 사용되었을 때의 의미는, ‘소유’(possession), ‘재산’(property), 또 ‘어떤 특이점’(a peculiarity), ‘특징점’(characteristic mark), ‘구별점’(distinguishing sign), ‘특징’(characteristic) 등입니다. The neuter of this which is the word proprium, when used as a noun means “possession,” “property”; also “a peculiarity,” “characteristic mark,” “distinguishing sign,” “characteristic.”

 

영어 형용사 ‘오운’(own)을 웹스터에서 보면 그 의미를 ‘...에 속한’(belonging to), ‘...에 독점적으로 혹은 특별하게 속한’(belonging exclusively or especially to), ‘특유한’(peculiar) 등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운’이야말로 ‘프로프리우스’(proprius, 형, 고유한)에 딱 맞는 번역이지 싶고요, 라틴어 ‘프로프리움’(proprium)에 맞는 말을 찾기 위해 이 ‘오운’을 명사로 쓰면, 그거야말로 정말 가장 근접한 최상의 번역이 아닐까 합니다. [편집자역] The English adjective “own” is defined by Webster to mean “belonging to,” “belonging exclusively or especially to,” “peculiar”; so that our word “own” is a very exact equivalent of proprius, and if we make it a noun in order to answer to the Latin proprium, we effect a very close translation. [Reviser]

 

 

132. 인간은 주님의 인도로는 만족하지 않고, 대신 자신과 세상, 혹은 자신의 본성으로 인도받기를 원하는 그런 존재이기 때문에, 그런 연유로, 여기서는 그런 인간에게 환영받는 인간 자신의 본성을 다루고 있습니다. (18절) Since man is such as not to be content to be led by the Lord, but desires to be led also by himself and the world, or by his own, therefore the own which was granted him is here treated of (verse 18).

 

※ 즉, 이 절은, 독립적으로 행동하기를 원하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며, 인류에게 생겨난 자율성(自律性), 곧 주님의 인도를 받지 않고 대신 자신이 세운 원칙을 따라 살고자 하는 경향을 다루는 내용이라는 것입니다.

 

 

133. 그래서 먼저 그로 하여금 알게 하시려고, 그에게 선에 관한 애정들과 진리에 관한 지식들이 주어지는데, 이것들은 주님이 그에게 거저 주시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자기 본성을 향해 기울어집니다. (19-20절) And first it is given him to know the affections of good and the knowledges of truth with which he is endowed by the Lord; but still he inclines to his own (verses 19–20).

 

※ 선과 진리 및 그에 관한 모든 것은 주님의 신성, 곧 주님 자신입니다. 주님은 인간에게 주님 자신을 주시지만, 그러나 인간은 이에 만족하지 않고, 자기를 향해 고개를 돌립니다. 이것이 피조물의 본성이며, 심지어 천국 천사들마저 그래서 ‘자신의 본성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만큼 천사다’ 할 정도입니다. 자기 본성을 향해 기운다는 것은, 주님에게서 독립하고자 하는 성향, 자치, 자율 성향을 보인다는 뜻입니다.

 

 

134. 이런 이유로, 인간은 자기 본성에 속한 어떤 상태 안으로 들어가고(let into), 다른 본성(an own)이 그에게 주어지는데, 이것이 여자(a woman)로 빚어진 갈빗대로 설명되고 있습니다. (21-23절) Wherefore he is let into a state of his own, and an own is given him, which is described by the rib built into a woman (verses 21 to 23).

 

※ 즉, 일종의 자치 상태(a state of self-governance)로 옮겨지고, 어떤 자율성(a sense of autonomy)이 주어지는데, 이걸 여자로 빚어진 갈빗대로 표현한 것입니다.

 

 

135. 천적, 영적 생명과 인간의 본성(本性, the man’s own)은 서로 인접, 아주 밀접하게 붙어 있습니다. 마치 하나인 것처럼 보일 정도로 말입니다. (24절) Celestial and spiritual life are adjoined to the man’s own, so that they appear as a one (verse 24).

 

※ ‘인간의 본성’은 독립성(獨立性, the sense of independence)을 말합니다.

 

 

136. 그리고 주님으로부터 이노센스(innocence, 純眞)가 이 본성 안으로 스며듭니다. 받아들일 수 없을 정도가 되지 않도록 말입니다. (25절) And innocence from the Lord is instilled into this own, so that it still might not be unacceptable (verse 25).

 

※ 무례한 존재, 불쾌한 존재가 되지 않도록 하신다는 뜻으로, 인간이 그 본성상, 독립하고자 하는 건 어쩔 수 없으나 거기서 한발 더 나아가 주님 앞에 무례하고 불쾌한 존재가 되는 것은 막으신다는 것입니다. 주님은 끝까지 사랑하시고, 끝까지 살피시며, 배려하십니다.

 

 

The Internal Sense

 

137. 창세기의 첫 세 장은 대체로 태고교회(太古敎會, the most ancient church)를 다루고 있습니다. 태고교회의 첫 시기부터 끝에 가서 사라지게 될 때까지, 이 교회를 가리켜 ‘사람’(man, homo, 천적 인간)이라고 했는데요, 이 장의 전반부에서는 이 태고교회가 가장 융성했던 상태, 곧 천적 인간이었던 상태를 다루었다면, 이제 여기 후반부에서는 자신의 본성으로 기울어진 사람들과 그들의 후손을 다루고 있습니다. The first three chapters of Genesis treat in general of the most ancient church, which is called “man” [homo] from its first period to its last, when it perished; the preceding part of this chapter treats of its most flourishing state, when it was a celestial man; here it now treats of those who inclined to their own, and of their posterity.

 

※ 자기 사랑, 곧 주님에게서 독립하고자 하는 태도가 모든 악과 거짓, 모든 문제의 근원입니다...

 

Posted by bygracetistory
,

창3:20-24

 

20아담이 그의 아내의 이름을 하와라 불렀으니 그는 모든 산 자의 어머니가 됨이더라 And the man [homo] called his wife’s name Eve, because she was the mother of all living. 21여호와 하나님이 아담과 그의 아내를 위하여 가죽옷을 지어 입히시니라 And Jehovah God made for the man and for his wife coats of skin, and clothed them. 22여호와 하나님이 이르시되 보라 이 사람이 선악을 아는 일에 우리 중 하나 같이 되었으니 그가 그의 손을 들어 생명 나무 열매도 따먹고 영생할까 하노라 하시고 And Jehovah God said, Behold, the man is become as one of us, knowing good and evil; and now lest he put forth his hand, and take also of the tree of lives, and eat, and live to eternity, 23여호와 하나님이 에덴동산에서 그를 내보내어 그의 근원이 된 땅을 갈게 하시니라 Therefore Jehovah God sent him forth from the garden of Eden, to till the ground from which he was taken. 24이같이 하나님이 그 사람을 쫓아내시고 에덴동산 동쪽에 그룹들과 두루 도는 불 칼을 두어 생명 나무의 길을 지키게 하시니라 And he cast out the man; and he made to dwell from the east toward the garden of Eden cherubim, and the flame of a sword turning itself, to keep the way of the tree of lives.

 

 

The Contents

 

280. 태고(太古) 교회와 서서히 줄어든 그 교회 사람들이 여기서 간략하게 다루어집니다. 그 교회의 후손들 또한 다루어지는데, 이들은 끝에 가서 홍수로 사라졌습니다. The most ancient church, and those who fell away, are here summarily treated of; thus also its posterity down to the flood, when it expired.

 

 

281. 20절, 아담이 그의 아내의 이름을 하와라 불렀으니 그는 모든 산 자의 어머니가 됨이더라

 

천적(天的, celestial)이었던 태고교회를 다루고 있습니다. 주님 신앙(faith in the Lord)의 삶을 산 교회이며, ‘하와’(Eve)라, ‘모든 산 자의 어머니’(the mother of all living)라 일컬음을 받은 교회였습니다. (20절) Of the most ancient church which was celestial, and from the life of faith in the Lord, called “Eve,” and the “mother of all living” (verse 20).

 

※ 태고(太古) 교회란, 인류 첫 교회로서, 천국 속성(a heavenly nature)을 가졌던 참된 교회(the true church)를 말합니다. 주님을 향한 참된 신앙의 삶을 산 교회였습니다.

 

 

282. 21절,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과 그의 아내를 위하여 가죽옷을 지어 입히시니라

 

그 첫 번째 후손에 관한 것으로, 그들에게는 천적 영적 선(celestial spiritual good)이 있었습니다; 이어 그 두 번째와 세 번째 후손에 관해서는, 그들에게는 자연적 선(natural good)이 있었고, 그것이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과 그의 아내를 위하여 지으신 가죽옷’으로 상징되었습니다. (21절) Of its first posterity, in which there was celestial spiritual good; and of its second and third, in which there was natural good, signified by the “coat of skin which Jehovah God made for the man and his wife” (verse 21).

 

※ ‘천적 영적 선’은 ‘영적 종류의 천적 선’(a spiritual kind of heavenly good)을, ‘자연적 선’은 ‘세속적 수준의 선’(good on the earthly level)을 각각 말합니다. 즉, 크게 두 종류의 선, 곧 영적인 선과 영적이지 않은 선이 있으며, 전자는 천국적 선, 사후 천국에서나 경험하게 될 선, 후자는 세상적, 세속적 선, 우리가 세상 살며 지금도 경험하는 많은 아름다운 선, 체어리티(charity, 慈善)의 선을 각각 말합니다. ‘세속적’이라 하여 꼭 안 좋은 의미로만 이해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 위 21절 본문에서 이런 걸 겉 글자의 뜻만으로 알아낼 수는 없습니다. ‘지어’, ‘입히시니라’ 및 ‘가죽옷’ 정도로만 살짝 담아내셨기 때문입니다. 여기엔 정말 깊은 아케이나가 있기 때문이며, 설마 정말로 여호와 하나님이 ‘가죽옷을 지어 입히셨다’ 믿으시는 것은 아니시겠지요? 자세한 것은 해당 절을 살필 때 보겠습니다.

 

 

283. 22절, 여호와 하나님이 이르시되 보라 이 사람이 선악을 아는 일에 우리 중 하나 같이 되었으니 그가 그의 손을 들어 생명 나무 열매도 따먹고 영생할까 하노라 하시고

 

네 번째 후손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이들에게서는 자연적 선이 소멸(dissipate)되기 시작했습니다. 만일 그들이 신앙의 천적인 것들 안에서 새롭게 빚어졌거나 가르침을 받았더라면, 그들은 소멸(perish)되어 버리고 말았을 텐데요, 이것이 ‘그가 그의 손을 들어 생명 나무 열매도 따먹고 영생할까 하노라’의 의미입니다. (22절) Of the fourth posterity, in which natural good began to be dissipated, and which, had they been created anew or instructed in the celestial things of faith, would have perished, which is meant by, “Lest he put forth his hand, and take also of the tree of lives, and eat, and live to eternity” (verse 22).

 

※ 자연적 선의 소멸, 곧 일상 체어리티의 선마저 사라지기 시작했다는 것인데... 이런 상태에서 만일 천국에 속한 것들을 가지고 가르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그걸 받아들이고 뉘우치며 돌이킬까요? 정반대로, 그러면 안 된다, 오히려 소멸된다고 합니다. 만일 그게 가능했으면 주님도 이때 무슨 손을 쓰셨겠지요... 오늘 이 세대에게 아케이나를 전파, 가르치는 일에 대해 깊이 고민하게 됩니다.

 

 

284. 23절, 여호와 하나님이 에덴동산에서 그를 내보내어 그의 근원이 된 땅을 갈게 하시니라

 

다섯 번째 후손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이 후손에 이르러는 드디어 모든 선과 진리가 박탈(deprive)되었고, 그리고 거듭남 이전 본래의 상태로 돌아갔습니다. ‘에덴동산에서 그를 내보내어 그의 근원이 된 땅을 갈게 하시니라’의 의미가 이런 내용입니다. (23절) Of the fifth posterity, which was deprived of all good and truth, and was reduced to the state in which they had been previous to regeneration, which is meant by his being “sent forth out of the garden of Eden to till the ground from which he was taken” (verse 23).

 

※ 선과 진리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은 상태, 즉, ‘혼돈’과 ‘공허’, ‘흑암’의 상태가 되었습니다. 아직 거듭남이 시작되지 않은 모든 인생이 다 이런 상태입니다. 그 아름답고 찬란했던 천적 인간, 안식일의 사람이 이렇게 곤두박질쳐질 수 있다는 사실이 놀랍기만 합니다...

 

 

285. 24절, 이같이 하나님이 그 사람을 쫓아내시고 에덴동산 동쪽에 그룹들과 두루 도는 불 칼을 두어 생명 나무의 길을 지키게 하시니라

 

여섯 번째, 그리고 일곱 번째 후손에 관한 내용입니다. 이 후손들은 선과 진리에 관한 모든 지식(memory-knowledge)조차 남아 있지를 않았으며, 그들의 본성(own)에는 아주 더러운 사랑들(filthy loves)과 망상들(persuasions)만 남겨졌습니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이들은 신앙에 관한 거룩한 것들을 모독(profane)했을 것이기 때문인데요, ‘그 사람을 쫓아내시고 에덴동산 동쪽에 그룹들과 두루 도는 불 칼을 두어 생명 나무의 길을 지키게 하시니라’의 의미가 바로 이것입니다. (24절) Of the sixth and seventh posterities, in that they were deprived of all memory-knowledge of what is good and true, and were left to their own filthy loves and persuasions; this being provided lest they should profane the holy things of faith, which is signified by his being “driven out, and cherubim being made to dwell at the garden, with the flame of a sword, to keep the way of the tree of lives” (verse 24).

 

※ 여기 나오는 ‘사람’은 사실은 사람이라고도 할 수 없는 상태가 된 사람입니다. 사람은 의지(will)와 이해(understanding)가 있어 사람이요, 이 둘이 있어야 주님의 선(good)과 진리(truth), 사랑(love)과 신앙(faith)에 상응할 수 있는데, 이 사람, 곧 이 교회는 이미 이 둘이 사라진, 바닥난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 ‘그룹’(cherubim, guardian beings)은 이런 사람이 다시 주님 신앙을 기웃거리는 것을 금하시는 주님의 섭리(providence)를 의인화한 것입니다.

 

※ 천적 인간이었던 교회가 거듭남 이전 상태가 되면 아예 처음부터 거듭남이 뭔지도 몰랐던 사람들보다 더 처참한 상태로 전락할 수 있음을 보게 됩니다.

 

※ 그래서 ‘영들의 세계’(사후 모든 사람의 영이 일단 도착하는 곳, 이곳에서 천국 또는 지옥에 갈 준비를 하게 됨) 그 혼잡할 정도로 많은 악한 영들이 거진 다 기독교인들이라는 슬픈 사실에 주목합니다. 차라리 몰랐더라면... 아프리카 사람들처럼 차라리 처음부터 기독교를 모르는 상태에서 태어나 그저 순박한 삶, 선한 삶을 살다 죽었더라면 최소한 일층천인 자연적 천국엔 들어갈 수 있었을 것을...

 

 

The Internal Sense

 

286. 이 장과 앞의 장들, 그리고 지금 보고 있는 이 절들에 이르기까지 다루어지고 있는 것은 태고 시대 사람들과 그들의 거듭남에 관한 내용입니다. 먼저, 들짐승처럼 살았던 사람들에 관한 내용입니다. 그들은 그러나 결국 영적인 사람들이 되었지요. 그다음은, 천적 인간이 된 사람들에 관한 내용입니다. 태고교회를 구성한 사람들이 바로 이들입니다. 그 뒤에, 사라진 사람들과 그들의 자손들, 차례대로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후손들과 이후 홍수 때까지 이른 그들의 계승자들에 관한 내용입니다. This and the preceding chapters, down to the verses now under consideration, treat of the most ancient people and of their regeneration; first, of those who lived like wild animals, but at length became spiritual men; then of those who became celestial men, and constituted the most ancient church; afterwards of those who fell away, and their descendants, in regular order thr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terities and their successors, down to the flood.

 

이 장을 포함, 이어지는 절들을 통해, 태고교회의 사람이 형성된 때부터 홍수 때까지 이 기간에 일어난 일들에 대한 개요를 만나게 됩니다. 즉, 이것이 앞서 다룬 모든 내용, 곧 창세기 맨 앞 첫 세 장의 결론입니다. In the verses following, which conclude the chapter, we have a recapitulation of what occurred from the period when the man of the most ancient church was formed, until the flood; thus it is a conclusion to all that goes before.

 

※ 창세기 첫 세 장은 말씀 전체를 여는 가장 중요한 관문입니다.

 

https://youtu.be/jACx0K78gMU

 

Posted by bygracetistory
,

창2:1-17

 

1천지와 만물이 다 이루어지니라 And the heavens and the earth were finished, and all the army of them. 2하나님이 그가 하시던 일을 일곱째 날에 마치시니 그가 하시던 모든 일을 그치고 일곱째 날에 안식하시니라 And on the seventh day God finished his work which he had made; and he rested on the seventh day from all his work which he had made. 3하나님이 그 일곱째 날을 복되게 하사 거룩하게 하셨으니 이는 하나님이 그 창조하시며 만드시던 모든 일을 마치시고 그 날에 안식하셨음이니라 And God blessed the seventh day, and hallowed it, because that in it he rested from all his work which God in making created. 4이것이 천지가 창조될 때에 하늘과 땅의 내력이니 여호와 하나님이 땅과 하늘을 만드시던 날에 These are the nativities of the heavens and of the earth when he created them, in the day in which Jehovah God made the earth and the heavens. 5여호와 하나님이 땅에 비를 내리지 아니하셨고 땅을 갈 사람도 없었으므로 들에는 초목이 아직 없었고 밭에는 채소가 나지 아니하였으며 And there was no shrub of the field as yet in the earth, and there was no herb of the field as yet growing, because Jehovah God had not caused it to rain upon the earth. And there was no man to till the ground. 6안개만 땅에서 올라와 온 지면을 적셨더라 And he made a mist to ascend from the earth, and watered all the faces of the ground. 7여호와 하나님이 땅의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생기를 그 코에 불어넣으시니 사람이 생령이 되니라 And Jehovah God formed man, dust from the ground, and breathed into his nostrils the breath of lives, and man became a living soul. 8여호와 하나님이 동방의 에덴에 동산을 창설하시고 그 지으신 사람을 거기 두시니라 And Jehovah God planted a garden eastward in Eden, and there he put the man whom he had formed. 9여호와 하나님이 그 땅에서 보기에 아름답고 먹기에 좋은 나무가 나게 하시니 동산 가운데에는 생명 나무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도 있더라 And out of the ground made Jehovah God to grow every tree desirable to behold, and good for food; the tree of lives also, in the midst of the garden; and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10강이 에덴에서 흘러 나와 동산을 적시고 거기서부터 갈라져 네 근원이 되었으니 And a river went out of Eden to water the garden, and from thence it was parted, and was into four heads. 11첫째의 이름은 비손이라 금이 있는 하윌라 온 땅을 둘렀으며 The name of the first is Pishon; that is it which compasseth the whole land of Havilah, where there is gold. 12그 땅의 금은 순금이요 그 곳에는 베델리엄과 호마노도 있으며 And the gold of that land is good; there is bdellium and the onyx stone. 13둘째 강의 이름은 기혼이라 구스 온 땅을 둘렀고 And the name of the second river is Gihon; the same is it that compasseth the whole land of Cush. 14셋째 강의 이름은 힛데겔이라 앗수르 동쪽으로 흘렀으며 넷째 강은 유브라데더라 And the name of the third river is Hiddekel; that is it which goeth eastward toward Assyria; and the fourth river is Euphrates. 15여호와 하나님이 그 사람을 이끌어 에덴 동산에 두어 그것을 경작하며 지키게 하시고 And Jehovah God took the man, and put him in the garden of Eden, to till it and take care of it. 16여호와 하나님이 그 사람에게 명하여 이르시되 동산 각종 나무의 열매는 네가 임의로 먹되 And Jehovah God commanded the man, saying, Of every tree of the garden eating thou mayest eat. 17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는 먹지 말라 네가 먹는 날에는 반드시 죽으리라 하시니라 But of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thou shalt not eat of it; for in the day that thou eatest thereof, dying thou shalt die.

 

 

THE CONTENTS

 

73. 사람은 처음에는 죽은 상태였다가 영적(靈的, spiritual) 상태가 되고, 그리고 그 상태에서 이번에는 천적(天的, celestial) 상태가 되는데, 이것이 이제부터 다루는 내용입니다. (1절) When from being dead a man has become spiritual, then from spiritual he becomes celestial, as is now treated of (verse 1).

 

 

74. 천적 인간이 일곱째 날이며, 이때 주님은 안식하십니다. (2-3절) The celestial man is the seventh day, on which the Lord rests (verses 2–3).

 

 

75. 안개로 적셔진 땅에서 나는 ‘초목’(shrub, 관목)과 ‘채소’(herb)는 이 천적 인간의 지식(knowledge)과 합리성(合理性, rationality)을 말합니다. (5-6절) His knowledge and his rationality [scientificum et rationale ejus] are described by the shrub and the herb out of the ground watered by the mist (verses 5–6).

 

 

76. ‘생기를 그 코에 불어넣으시니’는 그의 생명(life)을 말합니다. (7절) His life is described by the breathing into him of the breath of lives (verse 7).

 

 

77. 그후, ‘동방 에덴동산’(the garden in Eden, in the east)은 천적 인간의 지성(intelligence)을, ‘보기에 아름다운 나무’(the trees pleasant to the sight)는 진리에 속한 퍼셉션(perceptions, 知覺)을, ‘먹기에 좋은 나무’(the trees good for food)는 선에 속한 퍼셉션을 각각 말합니다. ‘생명 나무’(the tree of lives)는 사랑을,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the tree of knowledge)는 신앙을 각각 의미합니다. (8-9절) Afterwards his intelligence is described by the garden in Eden, in the east; in which the trees pleasant to the sight are perceptions of truth, and the trees good for food are perceptions of good. Love is meant by the tree of lives, faith by the tree of knowledge [scientiae] (verses 8–9).

 

 

78. ‘동산을 적시는 강’(the river in the garden)은 지혜(wisdom)를 의미합니다. Wisdom is meant by the river in the garden.

 

네 개의 강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선과 진리이며, 두 번째는 모든 선과 진리, 혹은 사랑과 신앙에 관한 지식입니다. From thence were four rivers, the first of which is good and truth; the second is the knowledge [cognitio] of all things of good and truth, or of love and faith.

 

이 둘은 속 사람에게 속합니다. These are of the internal man.

 

세 번째는 이성(reason), 네 번째는 기억-지식(memory-knowledge)인데, 이 둘은 겉 사람에게 속합니다. The third is reason, and the fourth is memory-knowledge [scientia], which are of the external man.

 

모든 것이 지혜로부터 나오며, 이 지혜는 주님 안에 있는 사랑과 신앙으로부터 나옵니다. (10-14절) All are from wisdom, and this is from love and faith in the Lord (verses 10–14).

 

 

79. 천적 인간은 그런 일종의 동산입니다. The celestial man is such a garden.

 

이 동산은 주님의 것이기 때문에, 천적 인간이 동산 안 모든 것을 즐기는 것은 허락되었으나 자기 것으로 소유하는 것은 허락되지 않았습니다. (15절) But as the garden is the Lord’s, it is permitted this man to enjoy all these things, and yet not to possess them as his own (verse 15).

 

 

80. 그는 주님으로부터 오는 모든 퍼셉션을 가지고 선과 진리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은 허락되지만, 그러나 신앙의 신비에 대한 탐구를 자기 자신과 세상, 혹은 감각(sense)과 기억-지식들을 가지고 하면 절대 안 됩니다. 그런 짓은 그의 천적 본성의 죽음을 야기하기 때문입니다. (16-17절) He is also permitted to acquire a knowledge of what is good and true by means of every perception from the Lord, but he must not do so from himself and the world, nor search into the mysteries of faith by means of the things of sense and of memory-knowledge [sensualia et scientifica]; which would cause the death of his celestial nature (verses 16–17).

 

 

THE INTERNAL SENSE

 

81. 이 장은 천적 인간에 관한 장입니다. 앞 장에서는 영적 인간을 다루었지요. 영적 인간은 일종의 죽은 상태에 있는 사람(dead man)으로부터 빚어진 사람입니다. This chapter treats of the celestial man, as the preceding one did of the spiritual, who was formed out of a dead man.

 

그런데 오늘날은 천적 인간이 어떤 사람인지가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영적 인간에 대해서나 죽은 상태에 있는 사람에 대해서도 거의 그렇기 때문에, 주님은 먼저 저로 하여금 그 각각의 본질을 간략히 서술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그 차이점들을 알 수 있도록 하셨습니다. But as it is unknown at this day what the celestial man is, and scarcely what the spiritual man is, or a dead man, it is permitted me briefly to state the nature of each, that the difference may be known.

 

그래서 먼저, 죽은 상태에 있는 사람에 대한 설명입니다. 죽은 상태의 사람은 진리와 선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모르는 사람, 대신 오직 육체와 세상에 속한 것만 잘 아는, 그리고 그런 걸 아주 좋아하는 그런 사람입니다. First, then, a dead man acknowledges nothing to be true and good but what belongs to the body and the world, and this he adores.

 

다음은 영적 인간입니다. 영적 인간은 영적, 천적 진리와 선을 아는 사람입니다. 그런데 신앙의 일종의 원리(principle)로부터만 알아요. 그의 행위의 기반은 이런 신앙 원리 같은 거거든요. 사랑이 아니고 말입니다. A spiritual man acknowledges spiritual and celestial truth and good; but he does so from a principle of faith, which is likewise the ground of his actions, and not so much from love.

 

끝으로, 천적 인간입니다. 천적 인간은 영적, 천적 진리와 선을 믿고 지각하는 사람입니다. 천적 인간은 사랑에서 나오는 신앙, 행위가 뒤따르는 신앙 말고 무슨 다른 신앙 같은 것은 모르는 그런 사람입니다. A celestial man believes and perceives spiritual and celestial truth and good, acknowledging no other faith than that which is from love, from which also he acts.

 

※ 영적 인간, 천적 인간을 각각 머리 신앙, 가슴 신앙으로 비유해도 좋겠습니다.

 

[2] 죽은 상태에 있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오직 육체적, 세상적 목표만 추구하는 삶입니다. 그들은 영원한 삶이 무엇인지도, 주님이 누구신지도 모릅니다. 혹시 알게 되어도 그들은 믿지 않습니다. Second: The ends which influence a dead man regard only corporeal and worldly life, nor does he know what eternal life is, or what the Lord is; or should he know, he does not believe.

 

영적 인간의 경우는 영생입니다. 그 결과는 곧 주님이시지요. The ends which influence a spiritual man regard eternal life, and thereby the Lord.

 

천적 인간은 바로 처음부터 주님입니다. 그 결과가 주님의 나라와 영생입니다. The ends which influence a celestial man regard the Lord, and thereby his kingdom and eternal life.

 

[3] 죽은 상태의 사람들은 삶 가운데 전투가 있을 때, 즉 선악 간 싸움이나 진리, 거짓 간 싸움으로 마음에 갈등이 일어나면 거진 다 매번 집니다. 그렇지 않을 때, 즉 전투가 없을 때, 그때는 악과 거짓이 그를 지배하며, 그래서 그는 그들의 종이 됩니다. Third: A dead man when in combat almost always yields, and when not in combat, evils and falsities have dominion over him, and he is a slave.

 

그의 묶임은 겉으로 드러나는데, 예를 들면, 법, 목숨, 부, 소득, 명성 등 소위 안전한 삶을 위해 중요하게 여기는 것들을 잃을까봐 두려워하는 그런 형태로 나타납니다. His bonds are external, such as the fear of the law, of the loss of life, of wealth, of gain, and of the reputation which he values for their sake.

 

영적 인간은 전투가 있어도 늘 승리합니다. 영적 인간에게 있어 묶임은 내적(內的, internal) 묶임이며, 양심(conscience)의 묶임이라 합니다. The spiritual man is in combat, but is always victorious; the bonds by which he is restrained are internal, and are called the bonds of conscience.

 

천적 인간에게는 전투가 없습니다. 악과 거짓의 무슨 난폭한 공격이 있어도 그는 그것들을 경멸, 무시해 버리며, 그래서 그를 가리켜 정복자(conqueror), 이긴자라 합니다. The celestial man is not in combat, and when assaulted by evils and falsities, he despises them, and is therefore called a conqueror.

 

그는 정말 그 무엇도 그를 속박하지 못합니다. 그는 자유하며, He is apparently restrained by no bonds, but is free.

 

그에게 있어 굳이 속박이라 하면 선과 진리에 대한 퍼셉션, 지각능력이지 싶습니다. His bonds, which are not apparent, are perceptions of good and truth.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