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2:1-17

 

94. 7절, 여호와 하나님이 땅의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생기를 그 코에 불어 넣으시니 사람이 생령이 되니라 Verse 7. And Jehovah God formed man, dust from the ground, and breathed into his nostrils the breath [spiraculum] of lives, and man became a living soul.

 

땅의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그의 겉 사람을 지으심입니다. 그의 겉 사람은 전(before)까지는 사람(man)이 아니었습니다. 5절에, ‘땅을 갈 사람도 없었으므로’라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To “form man, dust from the ground” is to form his external man, which before was not man; for it is said (verse 5) that there was “no man to till the ground.

 

생기를 그 코에 불어 넣으시니’, 그에게 신앙과 사랑의 생명을 주시는 것을, ‘사람이 생령이 되니라’, 그의 겉 사람 또한 살아있는(alive) 상태가 되었음을 각각 의미합니다. To “breathe into his nostrils the breath of lives” is to give him the life of faith and love; and by “man became a living soul” is signified that his external man also was made alive.

 

 

95. 겉 사람의 생명, 즉, 앞의 두 구절에서는 신앙 혹은 이해(understanding)의 생명이, 본 절에서는 그의 사랑 혹은 의지(will)의 생명이 여기서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The life of the external man is here treated of—the life of his faith or understanding in the two former verses, and the life of his love or will in this verse.

 

지금까지 겉 사람은 속 사람에게 굴복, 그를 섬기는 걸 내켜 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늘 싸우는 편이었지요. 이런 이유로, 겉 사람은 아직 ‘사람’(man)이 아니었습니다. Hitherto the external man has been unwilling to yield to and serve the internal, being engaged in a continual combat with him, and therefore the external man was not then “man.

 

그러나 이제 천적 인간이 되면서 겉 사람은 속 사람에게 복종, 그를 섬기기 시작합니다. 신앙의 생명, 사랑의 생명으로 변화되어 가면서(being so rendered) 겉 사람은 또한 ‘사람’이 됩니다. Now, however, being made celestial, the external man begins to obey and serve the internal, and it also becomes “man,” being so rendered by the life of faith and the life of love.

 

그를 준비하는 것은 신앙의 생명이지만, 그가 ‘사람’이 되게 하는 것은 사랑의 생명입니다. The life of faith prepares him, but it is the life of love which causes him to be “man.

 

 

96. ‘여호와 하나님이 그 코에 불어 넣으시니’라고 말씀하신 부분인데요, 이 경우는 이렇습니다. As to its being said that “Jehovah God breathed into his nostrils,” the case is this:

 

고대에, 그리고 말씀에서, ‘’(nostrils, 콧구멍)는 그 향기의 결과, 무엇이든 고마운 것(grateful), 감사한 것으로 이해되었는데요, 그게 바로 퍼셉션(perception)입니다. In ancient times, and in the Word, by “nostrils” was understood whatever was grateful in consequence of its odor, which signifies perception.

 

※ 이 퍼셉션은 홍수 이후 사람들은 알 수 없게 된, 오직 홍수 이전인 태고교회 사람들한테만 허용된 영적 통찰력입니다. 내적 호흡이라 할 수도 있는, 또는 입류(入流, influx)의 다른 말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인간으로 하여금 주님과 결합할 수 있게 해주는 그 무엇입니다. 천사들은 지금도 이 퍼셉션으로 주님과 결합하고 있습니다. 이 퍼셉션이 사라져서 인류가 더 이상 주님과 결합할 수 없게 되자 할 수 없이 그 빈자리를 ‘양심’(良心, conscience)이라는 것으로 대신하셔야만 했을 정도로 아주 본질적인 것입니다. 인류는 어떤 식으로든 늘 주님과 연결되어 있어야만 한순간이라도 소위 존재, 존속할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태고교회 사람들에게 허용되었던 퍼셉션이 닫힌 것은 그들의 어두워짐, 타락 때문이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여호와께 관한 다음과 같은 기록들이 반복되는데요, 가령, 번제(the burnt offerings) 및 주님과 주님의 나라를 표현한 것들에게서 주님은 ‘어떤 쉼과 안식의 향기(an odor of rest)를 맡으셨다’ 같은, 그런 기록들입니다. 사랑과 신앙에 관련된 것들은 주님이 가장 기뻐하시는 것, 가장 좋아하시는 것, 가장 고마워하시는(most grateful) 것이기 때문에, 이르기를, ‘여호와 하나님이 생기를 그 코에 불어 넣으셨다’ 하시는 것입니다. On this account it is repeatedly written of Jehovah, that he “smelled an odor of rest” from the burnt offerings, and from those things which represented him and his kingdom; and as the things relating to love and faith are most grateful to him, it is said that “he breathed through his nostrils the breath of lives.

 

※ ‘이는 여호와께 드리는 번제요 이는 향기로운 냄새니’(출29:18)와 같은 표현들은 정말 자주 반복되지요. 또, 이것을 바울은 로마서에서

 

1그러므로 형제들아 내가 하나님의 모든 자비하심으로 너희를 권하노니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물로 드리라 이는 너희가 드릴 영적 예배니라 2너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도록 하라 (롬12:1, 2)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물’이라고 표현했지요.

 

그래서 ‘여호와께서 기름 부으신 자’, 곧 주님을 가리켜 ‘콧김’(애4:20)이라 하신 것입니다. Hence the anointed of Jehovah, that is, of the Lord, is called the “breath of the nostrils” (Lam. 4:20).

 

우리의 콧김 곧 여호와께서 기름 부으신 자가 그들의 함정에 빠졌음이여 우리가 그를 가리키며 전에 이르기를 우리가 그의 그늘 아래에서 이방인들 중에 살겠다 하던 자로다 (애4:20)

 

주님 자신 요한복음에서 ‘그들을 향하여 숨을 내쉬며’라 하심으로써 같은 걸 상징하셨습니다. And the Lord himself signified the same by “breathing on his disciples,” as written in John:

 

이 말씀을 하시고 그들을 향하사 숨을 내쉬며 이르시되 성령을 받으라 (요20:22) He breathed on them and said, Receive ye the Holy Spirit. (John 20:22)

 

 

97. ‘호흡’(breathing)과 ‘’(breath)으로 생명을 묘사하는 이유는, 태고교회의 사람들은 사랑과 신앙의 상태들을 호흡의 상태들로 지각했기 때문인데요, 이 호흡 상태들은 후에 그 후손들로 이어져 내려오면서 변했습니다. The reason why life is described by “breathing” and by “breath” is also that the men of the most ancient church perceived states of love and of faith by states of respiration, which were successively changed in their posterity.

 

이것에 관해서는 아직 아무것도 말할 수 있는 게 없습니다. 오늘날, 이와 관련해서 알려진 게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Of this respiration nothing can as yet be said, because at this day such things are altogether unknown.

 

태고시대 사람들은 이런 것에 매우 친숙했고, 내세의 사람들 역시 그렇습니다만 그러나 이 세상 사람들은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이 땅 위 사람들은 어느 누구도 이런 것에 대해 친숙하지도, 접해본 적도 없습니다. 이것이 사람들이 영 또는 생명을 ‘바람’(wind)에 비유하는 이유입니다. The most ancient people were well acquainted with it, and so are those who are in the other life, but no longer anyone on this earth, and this was the reason why they likened spirit or life to “wind.

 

주님 또한 사람의 거듭남을 이야기 하실 때, 요한복음에서 이것을 말씀하셨습니다. The Lord also does this when speaking of the regeneration of man, in John:

 

바람이 임의로 불매 네가 그 소리는 들어도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알지 못하나니 성령으로 난 사람도 다 그러하니라 (요3:8) The wind bloweth where it listeth, and thou hearest the voice thereof, and knowest not whence it cometh, or whither it goeth; so is everyone that is born of the spirit. (John 3:8)

 

다윗의 시편들에서도 So in David:

 

여호와의 말씀으로 하늘이 지음이 되었으며 그 만상을 그의 입 기운으로 이루었도다 (시33:6) By the word of Jehovah were the heavens made, and all the army of them by the breath of his mouth. (Ps. 33:6)

 

29주께서 낯을 숨기신즉 그들이 떨고 주께서 그들의 호흡을 거두신즉 그들은 죽어 먼지로 돌아가나이다 30주의 영을 보내어 그들을 창조하사 지면을 새롭게 하시나이다 (시104:29-30) Thou gatherest their breath, they expire, and return to their dust; thou sendest forth thy spirit, they are created, and thou renewest the faces of the ground. (Ps. 104:29–30)

 

’을 사용하여 신앙의 생명, 사랑의 생명을 표현하는 것은 욥기서에도 나옵니다. That the “breath” [spiraculum] is used for the life of faith and of love, appears from Job:

 

그러나 사람의 속에는 영이 있고 전능자의 숨결이 사람에게 깨달음을 주시나니 (욥32:8) He is the spirit in man, and the breath of Shaddai giveth them understanding. (Job 32:8)

 

하나님의 영이 나를 지으셨고 전능자의 기운이 나를 살리시느니라 (욥33:4) The spirit of God hath made me, and the breath of Shaddai hath given me life. (Job 33:4)

 

 

※ 이상으로, 오늘 본문 창세기 2장 7절과 그 속뜻은 다음과 같습니다.

 

(본문)

여호와 하나님이 땅의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생기를 그 코에 불어 넣으시니 사람이 생령이 되니라

 

(속뜻)

주님은 천적 인간의 겉 사람을 지으시되 그 안에 주님의 생명, 사랑과 신앙의 생명인 퍼셉션을 불어넣으셨습니다. 영적 인간 중이었을 때는 겉 사람이 여전히 속 사람을 달갑게 여기지 않았으나 이제 천적 인간이 되고 나서는 정말 주님이 기뻐하시는 대로 겉 사람이 속 사람을 사랑하여 자원함으로 순종하고 섬기게 되었습니다. 사랑과 신앙의 생명을 받은 겉 사람은 비로소 생령, 곧 살아있는 사람이 되었습니다.

 

https://youtu.be/11XEbAmyru0

 

Posted by bygracetistory
,

창2:1-17

 

90. 5, 6절, 여호와 하나님이 땅에 비를 내리지 아니하셨고 땅을 갈 사람도 없었으므로 들에는 초목이 아직 없었고 밭에는 채소가 나지 아니하였으며 안개만 땅에서 올라와 온 지면을 적셨더라 Verse 5. 6 And there was no shrub of the field as yet in the earth, and there was no herb of the field as yet growing, because Jehovah God had not caused it to rain upon the earth. And there was no man to till the ground. And he made a mist to ascend from the earth, and watered all the faces of the ground.

 

들의 초목’(the shrub of the field)과 ‘밭의 채소’(the herb of the field)는 보통은 겉 사람한테서 나오는(produce) 모든 걸 의미합니다. By the “shrub of the field” and the “herb of the field” are meant in general all that his external man produces.

 

사람이 아직 영적 인간일 동안은 그의 겉 사람을 가리켜 ‘’이라 하지만, 그가 천적 인간이 되면, 그때는 그의 겉 사람을 가리켜 ‘지면’이라, ‘’이라 합니다. The external man is called “earth” while he remains spiritual, but “ground” and also “field” when he becomes celestial.

 

바로 뒤에 나오는 ‘안개’(mist)라 하는 ‘’는 전투가 그쳤을 때 맛보는 평화의 평온함(tranquility)입니다. Rain,” which is soon after called “mist,” is the tranquility of peace when combat ceases.

 

 

91. 그러나 이들 안에 들어있는 것은, 사람이 영적 인간이 된다, 천적 인간이 된다 하는, 이 인간의 상태라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기 전까지는 절대로 깨달을(perceive) 수 없는 그런 것들입니다. 그만큼 아주 깊이 감추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But what these things involve cannot possibly be perceived unless it is known what man’s state is while from being spiritual he is becoming celestial, for they are deeply hidden.

 

사람이 영적 인간일 동안은, 겉 사람은 아직 속 사람에게 기꺼이 복종하거나 그를 섬기려 하지 않습니다. 그 결과, 거기엔 전투가 있지요. 그러나 그가 천적 인간이 되면, 그때는 겉 사람은 속 사람에게 복종, 섬기기 시작합니다. 자연히 전투도 그치고, 평온함이 뒤따르지요. (cf. 87) While he is spiritual, the external man is not yet willing to yield obedience to and serve the internal, and therefore there is a combat; but when he becomes celestial, then the external man begins to obey and serve the internal, and therefore the combat ceases, and tranquility ensues (see n. 87).

 

’, ‘안개’는 이 평온함을 의미하는데요, 이는 마치 겉 사람이 속 사람으로부터 수분 공급을 받아 촉촉해지는 일종의 증기와도 같기 때문입니다. ‘들의 초목’과 ‘밭의 채소’라 하는 것들이 다 이 평온함, 평화의 샘에서 나오는(produce) 것이며, 이들은 특별히 일종의 천적 영적 기원에서 나오는 합리적 마인드와 기억들(the rational mind and of the memory [rationalia et scientifica])에 속한 것들입니다. This tranquility is signified by “rain” and “mist,” for it is like a vapor with which the external man is watered and bedewed from the internal; and it is this tranquility, the offspring of peace, which produces what are called the “shrub of the field,” and the “herb of the field,” which, specifically, are things of the rational mind and of the memory [rationalia et scientifica] from a celestial spiritual origin.

 

 

92. 전투, 혹은 탐욕과 거짓들로 인해 쉴 수 없는 사람들(the unrest)에게나 해당하는 그런 상태가 그칠 때, 겉 사람한테 찾아오는 평화로운 평온함의 본성은 어떤 평화의 상태(a state of peace)라는 걸 접해본 사람들이라야만 알 수 있습니다. The nature of the tranquility of peace of the external man, on the cessation of combat, or of the unrest caused by cupidities and falsities, can be known only to those who are acquainted with a state of peace.

 

이 상태는 기쁨에 대한 모든 아이디어를 초월하는 그런 건데요, 단순히 전투 종료 정도로 그치는 게 아니라, 내적 평화로부터 시작, 겉 사람을 감동하며 뻗어나가는 그런 생명입니다. 아... 이건 정말 말로 어떻게 표현할 수가 없는데요! 신앙의 진리, 사랑의 선도 다 그 생명이 여기서 비롯되고, 그렇게 태어나는, 그런 것입니다. This state is so delightful that it surpasses every idea of delight: it is not only a cessation of combat, but is life proceeding from interior peace, and affecting the external man in such a manner as cannot be described; the truths of faith, and the goods of love, which derive their life from the delight of peace, are then born.

 

 

93. 천적 인간의 상태는 내리는 비로 리프레쉬된 상태, 평화로운 평온의 상태, 악과 거짓의 매임으로부터 구원을 받은 상태인데요, 이 상태를 가리켜 에스겔서에서 주님은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The state of the celestial man, thus gifted with the tranquility of peace—refreshed by the rain—and delivered from the slavery of what is evil and false, is thus described by the Lord in Ezekiel:

 

25내가 또 그들과 화평의 언약을 맺고 악한 짐승을 그 땅에서 그치게 하리니 그들이 빈 들에 평안히 거하며 수풀 가운데에서 잘지라 26내가 그들에게 복을 내리고 내 산 사방에 복을 내리며 때를 따라 소낙비를 내리되 복된 소낙비를 내리리라 27그리한즉 밭에 나무가 열매를 맺으며 땅이 그 소산을 내리니 그들이 그 땅에서 평안할지라 내가 그들의 멍에의 나무를 꺾고 그들을 종으로 삼은 자의 손에서 그들을 건져낸 후에 내가 여호와인 줄을 그들이 알겠고 31내 양 곧 내 초장의 양 너희는 사람이요 나는 너희 하나님이라 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겔34:25-27, 31) I will make with them a covenant of peace, and will cause the evil wild beast to cease out of the land, and they shall dwell confidently in the wilderness, and sleep in the woods; and I will make them and the places round about my hill a blessing; and I will cause the rain to come down in his season; rains of blessing shall they be. And the tree of the field shall yield its fruit, and the earth shall yield its increase, and they shall be upon their ground in confidence, and shall know that I am Jehovah, when I have broken the reins of their yoke, and delivered them out of the hand of those that make them to serve them; and ye my flock, the flock of my pasture, ye are a man, and I am your God. (Ezek. 34:25–27, 31)

 

그리고 이것을 호세아서에서는 ‘셋째 날’이라 하여 창세기 본문 ‘일곱째 날’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십니다. And that this is effected on the “third day,” which in the Word signifies the same as the “seventh,” is thus declared in Hosea:

 

2여호와께서 이틀 후에 우리를 살리시며 셋째 날에 우리를 일으키시리니 우리가 그의 앞에서 살리라 3그러므로 우리가 여호와를 알자 힘써 여호와를 알자 그의 나타나심은 새벽빛같이 어김없나니 비와 같이, 땅을 적시는 늦은 비와 같이 우리에게 임하시리라 하니라 (호6:2-3) After two days will he vivify us; in the third day he will raise us up, and we shall live before him and we shall know, and shall follow on to know Jehovah: his going forth is prepared as the dawn, and he shall come unto us as the rain, as the late rain watering the earth. (Hos. 6:2–3)

 

에스겔서에서는 이 상태를 ‘들의 성장’, 즉 들 벌판 가득 자라는 풀로 비유하셨는데, 이것은 고대교회를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And that this state is compared to the “growth of the field” is declared by Ezekiel, when speaking of the ancient church:

 

내가 너를 들의 풀같이 많게 하였더니 네가 크게 자라고 심히 아름다우며 유방이 뚜렷하고 네 머리털이 자랐으나 네가 여전히 벌거벗은 알몸이더라 (겔16:7) I have caused thee to multiply as the growth of the field, and thou hast increased and hast grown up, and hast come to excellent ornaments. (Ezek. 16:7)

 

이렇게도 비유하시고요. And it is also compared to:

 

네 백성이 다 의롭게 되어 영원히 땅을 차지하리니 그들은 내가 심은 가지요 내가 손으로 만든 것으로서 나의 영광을 나타낼 것인즉 (사60:21) A shoot of the Lord’s planting, and a work of the hands of Jehovah God. (Isa. 60:21)

 

 

※ 이상으로, 오늘 본문 창세기 2장 5-6절과 그 속뜻은 다음과 같습니다.

 

(본문)

여호와 하나님이 땅에 비를 내리지 아니하셨고 땅을 갈 사람도 없었으므로 들에는 초목이 아직 없었고 밭에는 채소가 나지 아니하였으며 안개만 땅에서 올라와 온 지면을 적셨더라

 

(속뜻)

천적 인간의 상태는 모든 전투가 그친 상태입니다. 이 상태는 마치 대지를 촉촉이 적시는 증기와도 같은 상태로 천국 평화, 평온한 상태입니다. 천적 인간이 되면 겉 사람이 속 사람에게 기꺼이 복종하며, 사랑으로 자원함으로 섬기기 시작합니다. 더 이상 전투가 없기 때문입니다.

 

 

※ 주님의 질서는 주님-천국-속 사람-겉 사람 순이며, 천적 인간이 바로 이 순서, 이 질서대로 자리 잡고 사는 사람입니다. 영적 인간은 속 사람, 겉 사람 간 순위 다툼이 아직 진행 중인 상태에 있는 사람이지요. 이 순서가 정말 중요한 이유는, 이래야 만이 천국 모든 복과 형통, 주님의 모든 걸 누릴 수 있기 때문이며, 이 질서로 살아가야만 그 내면이 열려 주님의 모든 것, 천국의 모든 것이 내 안에 흘러들어오기 때문입니다.

 

https://youtu.be/ezkpqhIPFJ8

 

Posted by bygracetistory
,

창2:1-17

 

89. 4절, 이것이 천지가 창조될 때에 하늘과 땅의 내력이니 여호와 하나님이 땅과 하늘을 만드시던 날에 Verse 4. These are the nativities of the heavens and of the earth, when he created them, in the day in which Jehovah God made the earth and the heavens.

 

하늘과 땅의 내력’(nativities)은 천적 인간의 형성 과정(formations)입니다. The “nativities of the heavens and of the earth” are the formations of the celestial man.

 

※ 위 ‘내력’에 사용된 영어 nativity는 주님의 탄생을 뜻하는 단어인데 여기 사용되었습니다. 천적 인간의 형성 과정 전반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다루고 있는 내용이 바로 천적 인간의 형성 과정이라는 것은, 다음 이어지는 모든 내용을 자세히 관찰하면 분명히 알 수 있는데요, 예를 들면, 5절에, ‘땅을 갈 사람도 없었으므로 들에는 초목이 아직 없었고 밭에는 채소가 나지 아니하였으며’라든지, 7절, ‘여호와 하나님이 사람을 지으시고’와 19절, ‘각종 들짐승과 공중의 각종 새’를 만드시는 장면들 등입니다. 이 내용은 이미 앞장에서 다 다루었는데도 말이지요. 이런 정황으로 보아, ‘아, 여기서는 또 다른 사람을 다루고 계시는구나!’ 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That his formation is here treated of is very evident from all the particulars which follow, as that no herb was as yet growing; that there was no man to till the ground, as well as that Jehovah God formed man, and afterwards, that he made every beast and bird of the heavens, notwithstanding that the formation of these had been treated of in the foregoing chapter; from all which it is manifest that another man is here treated of.

 

다음을 보면 더 분명해집니다. 먼저, 주님을 가리켜 ‘여호와 하나님’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영적 인간을 다룬 앞장에선 간단히 ‘하나님’이라고만 했지요. 그리고 또, 여기선 ‘’과 ‘’을 함께 언급하는데, 앞에선 ‘’만 언급되었습니다. This however is still more evident from the fact that now for the first time the Lord is called “Jehovah God,” whereas in the preceding passages, which treat of the spiritual man, he is called simply “God”; and, further, that now “ground” and “field” are mentioned, while in the preceding passages only “earth” is mentioned.

 

또 오늘 본문 구절인 이 4절에서는 ‘하늘’이 ‘’보다 먼저 언급되다가 나중에는 ‘’이 ‘하늘’보다 먼저 나옵니다. 그 이유는, ‘’은 겉 사람을, ‘하늘’은 속 사람을 각각 상징하며, 그리고 영적 인간의 경우, 개혁(reformation)이 ‘’, 곧 겉 사람에게서 시작하지만, 천적 인간의 경우는, 지금 다루는 사람이 바로 이 사람인데요, 속 사람, 곧 ‘하늘’에서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In this verse also “heaven” is first mentioned before “earth,” and afterwards “earth” before “heaven”; the reason of which is that “earth” signifies the external man, and “heaven” the internal, and in the spiritual man reformation begins from “earth,” that is, from the external man, while in the celestial man, who is here treated of, it begins from the internal man, or from “heaven.

 

 

※ 이상으로, 오늘 본문 창세기 2장 4절과 그 속뜻은 다음과 같습니다.

 

(본문)

이것이 천지가 창조될 때에 하늘과 땅의 내력이니 여호와 하나님이 땅과 하늘을 만드시던 날에

 

(속뜻)

천적 인간의 형성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늘은 속 사랑, 땅은 겉 사람이며, 여호와는 주님의 신성의 속 사람, 하나님은 주님의 신성의 겉 사람입니다. 영적 인간은 그 순서가 겉 사람에서 속 사람이지만, 천적 인간은 속 사람에서 겉 사람입니다.

 

 

※ 주님의 호칭 정리. 주님의 신성(神性)에 대한 호칭은 여호와 하나님, 주님의 인성(人性)에 대한 호칭은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여호와, 예수는 주님의 선과, 하나님, 그리스도는 주님의 진리와 연결됩니다. 주님의 신성 중 선과 관련된 신성을 여호와, 진리와 관련된 신성을 하나님이라 하는 것이며, 역시 주님의 인성 중 선과 관련된 인성을 예수, 진리와 관련된 인성을 그리스도라 하는 것입니다.

 

https://youtu.be/vRRT3bFt5Ag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