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1

 

56. 29절, 하나님이 이르시되 내가 온 지면의 씨 맺는 모든 채소와 씨 가진 열매 맺는 모든 나무를 너희에게 주노니 너희의 먹을거리가 되리라 Verse 29. And God said, Behold, I give you every herb bearing seed which is upon the faces of all the earth, and every tree in which is fruit; the tree yielding seed, to you it shall be for food.

 

천적 인간은 천적인 걸로만 아주 기뻐합니다. 그것이 그의 생명과 맞기 때문인데, 이를 일컬어 천적 양식이라 합니다. The celestial man is delighted with celestial things alone, which being in agreement with his life are called celestial food.

 

영적 인간은 영적인 것으로 아주 기뻐합니다. 그 이유 역시, 그것이 그의 생명과 맞기 때문이며, 이를 일컬어 영적 양식이라 합니다. The spiritual man is delighted with spiritual things, and as these are in agreement with his life they are called spiritual food.

 

마찬가지로, 자연적 인간은 자연적인 것을 아주 기뻐합니다. 그에게는 자연적인 것이 맞기 때문인데, 이것이 그에게는 양식입니다. 이 양식은 주로 기억-지식으로 구성됩니다. The natural man in like manner is delighted with natural things, which, being of his life, are called food, and consist chiefly of memory-knowledges.

 

※ 기억-지식은 그 출처가 세상, 세속인 지식으로 학습을 통해서 습득하는 지식입니다.

 

여기서는 영적 인간을 다루고 있으며, 그래서 영적 인간의 영적 양식을 무슨 표상들(表象, representatives)을 가지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바로 ‘씨 맺는 채소’(herb bearing seed), ‘열매 맺는 나무’(tree in which is fruit) 등인데요, 이걸 보통은 ‘씨 가진 나무’(tree yielding seed)라 하지요. As the spiritual man is here treated of, his spiritual food is described by representatives, as by the “herb bearing seed,” and by the “tree in which is fruit,” which are called, in general, the “tree yielding seed.

 

그의 자연적 양식은 다음 절에서 설명합니다. His natural food is described in the following verse.

 

※ 사람은 영과 육의 존재이므로 영적 양식과 자연적 양식, 둘 다 필요합니다.

 

 

57. ‘씨 맺는 채소’는 쓰임새에 관한 모든 진리, ‘열매 맺는 나무’는 신앙에 속한 선, ‘열매’는 주께서 천적 인간에게 주시는 것, ‘열매 맺는 씨’는 영적 인간에게 주시는 것, 그래서 ‘씨 가진 나무를 너희에게 주노니 너희의 먹을거리가 되리라’ 하신 것입니다. The “herb bearing seed” is every truth which regards use; the “tree in which is fruit” is the good of faith; “fruit” is what the Lord gives to the celestial man, but “seed producing fruit” is what he gives to the spiritual man; and therefore it is said, the “tree yielding seed, to you it shall be for food.

 

천적 양식을 나무로 말미암는 열매라 하는 건 다음 장을 보면 분명한데요, 다음 장은 천적 인간을 다루는 장이기 때문입니다. That celestial food is called fruit from a tree, is evident from the following chapter, where the celestial man is treated of.

 

이걸 확인하기 위해 우리는 여기서 주님이 에스겔에서 하신 말씀들만 인용하는데요, In confirmation of this we will here cite only these words of the Lord from Ezekiel:

 

강 좌우 가에는 각종 먹을 과실 나무가 자라서 그 잎이 시들지 아니하며 열매가 끊이지 아니하고 달마다 새 열매를 맺으리니 그 물이 성소를 통하여 나옴이라 그 열매는 먹을 만하고 그 잎사귀는 약재료가 되리라 (겔47:12) By the river, upon the bank thereof, on this side and on that side, there cometh up every tree of food, whose leaf shall not fade, neither shall the fruit thereof be consumed; it is born again in its month; because these its waters issue out of the sanctuary; and the fruit thereof shall be for food, and the leaf thereof for medicine. (Ezek. 47:12)

 

그 물이 성소를 통하여 나옴이라’는 ‘성소’이신 주님의 생명과 자비를, Waters issuing out of the sanctuary,” signify the life and mercy of the Lord, who is the “sanctuary.

 

열매’는 그들의 양식이 될 지혜를, ‘’은 그들의 쓰임새, 곧 ‘약재료’라 하는 쓰임새를 위한 지성을 각각 의미합니다. Fruit” is wisdom, which shall be food for them; the “leaf” is intelligence, which shall be for their use, and this use is called “medicine.

 

한편, 영적 양식을 ‘’이라고 하는 건 다윗의 시편을 보면 나옵니다. But that spiritual food is called “herb,” appears from David:

 

1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내게 부족함이 없으리로다 2그가 나를 푸른 풀밭에 누이시며 쉴 만한 물가로 인도하시는도다 (시23:1-2) My shepherd, I shall not want; thou makest me to lie down in pastures of herb. (Ps. 23:1–2)

 

 

※ 이상으로, 오늘 본문 창세기 1장 28절과 그 속뜻은 다음과 같습니다.

 

(본문)

하나님이 이르시되 내가 온 지면의 씨 맺는 모든 채소와 씨 가진 열매 맺는 모든 나무를 너희에게 주노니 너희의 먹을거리가 되리라

 

(속뜻)

천적 인간은 천적 양식을, 영적 인간은 영적 양식을, 각각 자신의 생명에 맞는 것을 자신의 양식으로 삼습니다. 주님은 거듭남의 완성 단계에 이른 사람에게 이처럼 천적, 영적 양식을 주시는데, 곧 모든 선과 진리이며, 이 진리로 말미암아 사람은 자신의 쓰임새를 발견하는 영적 지혜를, 이 선으로 말미암아 사람은 천적 열매를 각각 발견하며, 맺게 되는 것입니다. 거듭남이 마무리되어 가는 사람에게 주님은 그에 합당한 양식을 풍족히 주십니다.

 

Posted by bygracetistory
,

창1

 

55. 28절,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하나님이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 하시니라 Verse 28. And God blessed them, and God said unto them, Be fruitful, and multiply, and replenish the earth, and subdue it; and have dominion over the fish of the sea, and over the fowl of the heavens, and over every living thing that creepeth upon the earth.

 

태고인들(太古, the most ancient people)은 이해(understanding)와 의지(will), 또는 신앙과 사랑 간 결합을 일종의 결혼(a marriage)이라 했는데요, 그래서 그들은 이 결혼의 결과, 태어나는 모든 선을 가리켜서는 ‘생육’(fruitfulness)이라, 모든 진리를 가리켜서는 ‘번성’(multiplications)이라 하였습니다. As the most ancient people called the conjunction of the understanding and the will, or of faith and love, a marriage, everything of good produced from that marriage they called “fruitfulness,” and everything of truth, “multiplications.

 

그래서 선지서들, 예를 들면, 에스겔에 그렇게 언급되고 있는 것입니다. Hence they are so called in the prophets, as for instance in Ezekiel:

 

11내가 너희 위에 사람과 짐승을 많게 하되 그들의 수가 많고 번성하게 할 것이라 너희 전 지위대로 사람이 거주하게 하여 너희를 처음보다 낫게 대우하리니 내가 여호와인 줄을 너희가 알리라 12내가 사람을 너희 위에 다니게 하리니 그들은 내 백성 이스라엘이라 그들은 너를 얻고 너는 그 기업이 되어 다시는 그들이 자식들을 잃어버리지 않게 하리라 (겔36:11-12) I will multiply upon you man and beast, and they shall multiply and be fruitful, and I will cause you to dwell as in your ancient times, and will do better unto you than at your beginnings, and ye shall know that I am Jehovah, yea, I will cause man to walk upon you, even my people Israel. (Ezek. 36:11–12)

 

여기 ‘사람’은 이스라엘이라 하는 영적인 사람을, ‘전 지위’는 태고교회(太古, the most ancient church)를, ‘처음’은 홍수 후 고대교회(古代, the ancient church)를 말합니다. By “man” is here meant the spiritual man who is called Israel; by “ancient times,” the most ancient church; by “beginnings,” the ancient church after the flood.

 

먼저 진리에 속한, ‘수가 많고’(multiplication)가 언급되고, 그 다음에 선에 속한, ‘번성하게’(fruitfulness)가 언급되는 이유는, 이 구절이 이미 거듭난 사람이 아닌, 앞으로 거듭나게 될 사람을 다루고 있기 때문입니다. The reason why “multiplication,” which is of truth, is first mentioned, and “fruitfulness,” which is of good, afterwards, is that the passage treats of one who is to become regenerated, and not of one who is already regenerated.

 

[2] 이해가 의지와, 또는 신앙이 사랑과 하나가 될 때, 주님은 이 사람을 일컬어 ‘결혼한 땅’이라 하십니다. 이사야입니다. When the understanding is united with the will, or faith with love, the man is called by the Lord “a married land,” as in Isaiah:

 

다시는 너를 버림받은 자라 부르지 아니하며 다시는 네 땅을 황무지라 부르지 아니하고 오직 너를 헵시바라 하며 네 땅을 쁄라라 하리니 이는 여호와께서 너를 기뻐하실 것이며 네 땅이 결혼한 것처럼 될 것임이라 (사62:4) Thy land shall be no more termed waste, but thou shalt be called Hephzibah [my delight is in her], and thy land Beulah [married], for Jehovah delighteth in thee, and thy land shall be married. (Isa. 62:4)

 

이때 달리는 열매들, 이 열매들이 진리에 속하였으면 ‘아들들’이라 하고, 선에 속하였으면 ‘딸들’이라 합니다. 이런 표현은 말씀에 아주 자주 나옵니다. The fruits thence issuing, which are of truth, are called “sons,” and those which are of good are called “daughters,” and this very frequently in the Word.

 

[3] 많은 진리와 선의 존재로 땅은 다시 ‘충만한’(replenished) 상태, 가득 채워진 상태가 됩니다. 주께서 사람에게 복을 주시며 말씀하실 때는, 즉, 사람을 돌보실 때는 선과 진리가 어마어마하게 증가하게 됩니다. 마태복음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말입니다. The earth is “replenished,” or filled, when there are many truths and goods; for when the Lord blesses and speaks to man, that is, works upon him, there is an immense increase of good and truth, as the Lord says in Matthew:

 

31또 비유를 들어 이르시되 천국은 마치 사람이 자기 밭에 갖다 심은 겨자씨 한 알 같으니 32이는 모든 씨보다 작은 것이로되 자란 후에는 풀보다 커서 나무가 되매 공중의 새들이 와서 그 가지에 깃들이느니라 (마13:31-32) The kingdom of the heavens is like to a grain of mustard seed, which a man took and sowed in his field, which indeed is the least of all seeds, but when it is grown, it is the greatest among herbs, and becometh a tree, so that the birds of the heavens come and build their nests in the branches thereof. (Matt. 13:31–32)

 

겨자씨 한 알’은 영적인 사람이 되기 전 갖고 있던 선을 말하는데, 이것은 ‘모든 씨보다 작은 것’입니다. 그 이유는, 그때는 사람이 선을 행하면서도 자기 것을 가지고 행하는 줄로 알기 때문인데요, 그러나 미안하지만, 무엇이든 사람에게 속한 것은 악 외에 아무것도 아닙니다. A “grain of mustard seed” is man’s good before he becomes spiritual, which is “the least of all seeds,” because he thinks that he does good of himself, and what is of himself is nothing but evil.

 

그러나 이제는 거듭남의 어떤 상태에 있습니다. 그 결과, 그의 안에 뭔가 선한 게 있게 되는데, 하지만 그것은 아직은 모든 것 중에 가장 작은 것입니다. But as he is in a state of regeneration, there is something of good in him, but it is the least of all.

 

[4] 시간이 흘러 마침내 신앙이 사랑과 결합하면서, 처음엔 ‘모든 것 중에 가장 작았던’ 이것이 점점 자라 ‘’(herb)이 되며, 끝에 가서는, 즉. 이 결합이 완성이 되면, 그때는 ‘나무’가 되어 ‘공중의 새들’이 ‘그 가지에 깃들이게’ 됩니다. ‘공중의 새들’은 진리, 지성적인 것들을, ‘그 가지에 깃들인다’는 것은 기억-지식을 각각 말합니다. At length as faith is joined with love it grows larger, and becomes an “herb”; and lastly, when the conjunction is completed, it becomes a “tree,” and then the “birds of the heavens” (in this passage also denoting truths, or things intellectual) “build their nests in its branches,” which are memory- knowledges.

 

사람이 영적일 때, 그리고 뿐만 아니라, 영적인 사람이 되는 동안은 그는 일종의 전투 상태에 있는 것이며, 그래서 말씀하시기를, ‘땅을 정복하라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 하신 것입니다. When man is spiritual, as well as during the time of his becoming spiritual, he is in a state of combat, and therefore it is said, “subdue the earth and have dominion.

 

 

※ 이상으로, 오늘 본문 창세기 1장 28절과 그 속뜻은 다음과 같습니다.

 

(본문)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하나님이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 하시니라

 

(속뜻)

태고인들은 이해와 의지, 신앙과 사랑의 결합을 일종의 결혼이라 여겼고, 그 결과, 태어나는 모든 선을 ‘생육’, 모든 진리를 ‘번성’이라 하였습니다. 사람이 이런 상태에 있을 때, 이를 가리켜 ‘결혼한 땅’이라 하였고, 이때 열리는 진리를 ‘아들’, 선을 ‘’이라 합니다. 주님이 사람에게 복을 주시며, 그를 케어하실 때, 그의 안에는 어마어마한 선과 진리가 부어져 ‘충만’한 상태가 되며, 주님의 이런 사역으로 ‘겨자씨 한 알’에 지나지 않았던 인생이 변화되어 ‘공중의 새들’이 그 가지에 깃드는 큰 나무가 됩니다. 사람이 이런 영적 인간이 될 때, 그의 안에서는 영적 전투가 일어나는데, 그래서 ‘땅을 정복하라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 하신 것입니다.

 

Posted by bygracetistory
,

2021-12-26(D1)-제9권52호통435호.성탄절.hwp
1.17MB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