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에녹은 육십오 세에 므두셀라를 낳았고 22므두셀라를 낳은 후 삼백 년을 하나님과 동행하며 자녀들을 낳았으며 23그는 삼백육십오 세를 살았더라 24에녹이 하나님과 동행하더니 하나님이 그를 데려가시므로 세상에 있지 아니하였더라 (창5:21-24)
에녹(Enoch)은 아담(사람, man)부터 시작, 일곱 번째 태고교회(太古, the most ancient church)입니다. 태고교회 첫 번째 교회인 아담부터 셋, 에노스까지, 이 세 교회는 비유하자면, 태고교회라는 방 전체를 한 가운데서 환히 비추는 등과 같습니다. 물론 그 중에서도 핵은 첫 번째 교회인 아담이지요.
비록 등이 한 가운데서 방을 비추지만 둘레로, 주변으로 갈수록 흐릿, 어두워지는 것처럼 태고교회도 후대로 갈수록 그렇게 어두워지다가 끝에 가서는 홍수로 종말을 고합니다. 노아는 태고교회와 홍수, 그리고 고대교회(古代, the ancient church)를 잇는 아주 특별한 교회이지만, 그러나 태고교회에 포함시키지는 않습니다. 이들은 더이상 퍼셉션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하지 않는 첫 교회이기 때문입니다. 이 노아에 대해서는 나중에 좀 더 자세히 살피겠습니다.
오늘은 점점 어두워져 가던 중 끝에서 두 번째인 이 에녹에 대하여, 평소 우리가 알던 그 경건해(?) 보이는 겉뜻과는 많이 다른, 그 속뜻을 좀 들여다보고자 합니다. 그러니까 천사들이 읽는 에녹에 대하여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태고교회는 지금은 사라진 ‘퍼셉션’(perception)이라는, 지금은 거의 이해 불가한 내적 커뮤니케이션이 있던 때였으므로, 그리고 주님은 인류를 이런 방식으로 자신과 연결되게 하셨으므로, 태고교회가 어두워져 간다는 건, 점점 그 퍼셉션이 희미해져 간다는, 그러므로 서서히 무언가로 그걸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우리가 주님을 아는 것, 곧 주님의 신성인 선과 진리를 아는 것은 두 가지, 그러니까 주님 음성을 직접 듣는 방법과, 잘 정돈된 교리를 학습하여 듣는 간접 방법이 있는데, 얼핏 느껴지시는 대로, 이 둘은 그 근본이 아주 다른 것입니다. 전자는 퍼셉션, 내적 음성으로 아는 것이고, 후자는 학습을 통해 지식으로 아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전자는 천적(天的, celestial)이라 하여 삼층천을 이루고, 후자는 영적(靈的, spiritual)이라 이층천을 이룹니다.
그러니까 태고교회 일곱 번째 후손인 에녹 정도 되자, 아직 주님 음성 듣는 퍼셉션이 사라지지는 않았으나 너무 희미해져서, 두루뭉술 일반적으로는 그럭저럭 생활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알쏭달쏭 주님의 뜻을 알 수 없는 그런 상황이 되었고, 이쯤에서 새로운 교회가 일어나 그동안 퍼셉션으로 알던 주님의 신성, 곧 선과 진리를 글로 정돈, 교리화하는, 정말 어처구니없는 엄청난 짓(?)을 하게 됩니다. 그게 바로 이 에녹이라는 교회입니다. 위 본문에 ‘하나님과 동행하며’, ‘하나님과 동행하더니’(To walk with God)라는 표현들의 속뜻이 바로 이겁니다.
나름 필요에 의해 이런 짓을 한 것이겠지만, 그러나 아직은 퍼셉션으로만 사람들은 주님과 연결되어야 하였으므로, 이들이 만든 교리를 주님은 이때는 사용을 금하시고, 나중을 위해 따로 보관하셔야 했는데요, 이것이 바로 ‘하나님이 그를 데려가시므로 세상에 있지 아니하였더라’(he was no more, for God took him)의 속뜻입니다.
인류는 곧 지금 태고교회처럼 하나님과 천사들 간 다이렉트로 하는 퍼셉션 같은 커뮤니케이션을 더 이상 못하게 되고, 홍수 후 주님은 대신 인류로 하여금 새로운 방식인 ‘양심’으로 주님과 연결되게 하셨고, 이후 인류는 퍼셉션이 아닌, 학습을 통해 신앙생활을 하게 된 것입니다. 이때를 위해 이 에녹이라는 교회가 수고하여 만든 교리를 따로 보관하신 것이지요.
어떠신가요? 말씀의 겉뜻과 그 속뜻이 참 다르지요? 저 자신, 스베덴보리의 창세기 주석 번역을 하다가 좀 충격을 받은, 그래서 매우 인상적이었던 말씀이어서 이렇게 나누게 되었습니다.
7헤롯의 관할에 속한 줄을 알고 헤롯에게 보내니 그때에 헤롯이 예루살렘에 있더라 8헤롯이 예수를 보고 매우 기뻐하니 이는 그의 소문을 들었으므로 보고자 한 지 오래였고 또한 무엇이나 이적 행하심을 볼까 바랐던 연고러라 9여러 말로 물으나 아무 말도 대답하지 아니하시니 (눅23:7-9)
이런 상황이 앞서도 있었습니다. 바로 대제사장 가야바의 뜰에서였는데요, 다음은 그 본문입니다.
63지키는 사람들이 예수를 희롱하고 때리며 64그의 눈을 가리고 물어 이르되 선지자 노릇 하라 너를 친 자가 누구냐 하고 65이 외에도 많은 말로 욕하더라 (눅22:63-65)
즉, 헤롯이 ‘이적 행하심을 볼까 바란 거’나 여기, 지키는 사람들이 ‘선지자 노릇 하라 너를 친 자가 누구냐’ 한 거나 같은 건데요, 그러니까 창조주요, 모든 내적인 것(內的,internal, 속)의 주되신 분을 육안으로 뵙는 천재일우의 기회를 그저 내적인 걸 담는, 속을 담는 그릇에 불과한 외적인 거(外的,external, 겉), 여기서는 무슨 마술이나 신통력같이 좀 극단적으로 표현된, 이런 걸 추구하다가 그만 날려버린다는 측면에서 말이지요.
신앙생활에서 주님으로 말미암은 기적의 유익은 분명합니다. 비록 내적 신앙에 대해 잘 모르셔도 그 본 바탕이 선하고 진실하신 분들은 그 구하는 외적인 것들의 기저에 이미 내적인 것들이 깔려있어 이런 주님의 능력이 흘러 들어갈 수 있고, 그것이 기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육체라는 옷을 입고 사는 이 세상 삶에서는 이 정도가 무난한 신앙생활이지 싶습니다.
그러나 참으로 그 내면이 열린 분들, 참으로 주님의 내적 음성을 들을 줄 아는 분들은 보통은 기적을 추구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천사들이 우리처럼 무슨 금식기도나 철야기도, 산기도, 대적기도, 방언기도, 안수기도, 예언기도 및 치유기도 같은 걸 하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그들은 이미 내적 존재들이어서 주님 앞에 늘 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터라 존재 자체가 늘 기도이며, 그래서 늘 능력 가운데 있기 때문입니다. 주님이 그들로 하여금 늘 주님을 향하게, 늘 자기 앞에 있어 주님의 현존을 경험케 하시기 때문입니다.
아직 이런 내적 신앙이 뭔지 모르시면서, 그리고 나는 신앙인이다 하면서도 사실은 자기 사랑, 세상 사랑에 깊게 가라앉아 저런 겉의 것들을 추구하시는 분들한테는 저런 기적과 이적이 오히려 해로울 수 있으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가장 내적이신 주님, 가장 인모스트(inmost)하신 주님 대신 제법 그럴듯하신 주님을 찾게 만들기 때문인데요. 마치 그럴듯한 메시아를 구했던 유대인들처럼 말입니다. 그러므로 혹시 기적과 관련된 우리 기도 중에 그 응답이 무응답이어서 어리둥절하신 분들은 깊이 생각하셔야 합니다.
주님은 속 사람의 주이신 분입니다. 주님의 나라는 속 사람의 나라로, 우리 속 사람의 상태가 주님의 나라, 곧 천국을 받을 수 있는 상태라야 임하는 나라입니다. 주님 말씀,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느니라’(17:22)처럼 말입니다.
1무리가 다 일어나 예수를 빌라도에게 끌고 가서 2고발하여 이르되 우리가 이 사람을 보매 우리 백성을 미혹하고 가이사에게 세금 바치는 것을 금하며 자칭 왕 그리스도라 하더이다 하니 (눅23:1-2)
일단 저들의 고발은 사실이 아닙니다. 주님은 위 제목처럼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고는 하셨지 금하신 적은 없기 때문입니다. 그것도 바리새인들이 놓은 덫 때문에 할 수 없이 하신 말씀이시고요.
저들은 로마 총독 빌라도의 관심을 끌기 위해 소위 가짜 뉴스를 인용하고 있습니다. 평소 같으면 원수처럼 여기는 로마 총독 빌라도에게 지금은 그의 주의를 끌기 위해 저들이 이러고 있는 이유는, 예수를 죽이고는 싶은데 유대가 로마의 식민지인 지금은 자기들한테는 사형집행권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방인이 성전 뜰 안으로 무단침입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말입니다.
마침 이 유명한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가 나왔으니 이 말씀의 속뜻, 그 내적 의미를 잠깐 살피는 것도 좋을 것 같아 적어봅니다.
가이사, 즉 케사르(Caesar, 라틴)는 당시 로마 황제를 일컫는 호칭입니다. 헬라어 카이사르(Καῖσαρ)를 라틴으로 읽은 것이지요. 말씀에서 왕이나 황제는 진리를 뜻합니다. 그러므로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는 세상 진리, 법 따르는 것, 곧 자연적 삶을,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는 하늘 진리, 법 따르는 것, 곧 영적인 삶을 말합니다.
이 세상은 하늘을 담는 그릇입니다. 마치 우리 육체가 영을 담는 그릇인 것처럼, 또는 진리는 선을 담는 그릇인 것처럼 말입니다. 그러므로 주님 하신 이 말씀은 세상에서 세상 법도를 따라 자연적 삶을 살되 그 안에 하늘의 법, 곧 영적인 삶을 담아야 한다는 말씀입니다. 즉 둘의 조화를 말씀하신 것이지, 결코 둘 중 하나를 포기하라는 말씀이 아닙니다. 세상 법도를 따라 살되 반드시 그 안에 하늘의 법을 담으라는 말씀입니다. 어떤 선택, 무슨 행위를 했으면, 그 이유와 동기가 주님 사랑, 이웃 사랑이어야 한다는 말씀이지요. ‘그런즉 너희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 모든 것을 너희에게 더하시리라’(마6:33) 하신 말씀처럼 말입니다.
아, 그리고 참고로, 말씀에서 ‘하나님’은 주님의 신성 중 진리 관련 호칭이고, ‘여호와’는 선 관련 호칭입니다. 주님의 신성은 선과 진리로 되어 있습니다. 이 호칭 관련, 창1과 창2를 유심히 비교해 보세요. 거기 보면 창1에는 ‘하나님’만 나오는 반면, 창2에서는 ‘여호와 하나님’으로 나오는데요, 여기엔 정말 깊은 아르카나(라틴, Arcana, 秘義)가 있습니다. 나중에 기회 되면 나누지요.
1무리가 다 일어나 예수를 빌라도에게 끌고 가서 2고발하여 이르되 우리가 이 사람을 보매 우리 백성을 미혹하고 가이사에게 세금 바치는 것을 금하며 자칭 왕 그리스도라 하더이다 하니 3빌라도가 예수께 물어 이르되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 대답하여 이르시되 네 말이 옳도다 4빌라도가 대제사장들과 무리에게 이르되 내가 보니 이 사람에게 죄가 없도다 하니 5무리가 더욱 강하게 말하되 그가 온 유대에서 가르치고 갈릴리에서부터 시작하여 여기까지 와서 백성을 소동하게 하나이다 6빌라도가 듣고 그가 갈릴리 사람이냐 물어 7헤롯의 관할에 속한 줄을 알고 헤롯에게 보내니 그때에 헤롯이 예루살렘에 있더라 8헤롯이 예수를 보고 매우 기뻐하니 이는 그의 소문을 들었으므로 보고자 한 지 오래였고 또한 무엇이나 이적 행하심을 볼까 바랐던 연고러라 9여러 말로 물으나 아무 말도 대답하지 아니하시니 10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서서 힘써 고발하더라 11헤롯이 그 군인들과 함께 예수를 업신여기며 희롱하고 빛난 옷을 입혀 빌라도에게 도로 보내니 12헤롯과 빌라도가 전에는 원수였으나 당일에 서로 친구가 되니라 (눅23:1-12)
주님은 십자가에 달리시기 직전까지 당신이 메시아라는 사실을 밝히지 않으셨습니다. 병자들에게 치유의 기적을 보이신 후에는 그 일을 아무에게도 말하지 말라 하시기도 하셨고요. 심지어 변화산에서는 제자들이 보는 앞에서 모세와 엘리야와 함께 대화하셨고, 그때 구름 속에서 ‘이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요 내 기뻐하는 자니 너희는 그의 말을 들으라’(마17:5)시는 하나님의 음성이 들렸음에도, 그런데도 주님은 ‘인자가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기 전에는 본 것을 아무에게도 이르지 말라’(마17:9) 제자들에게 당부하기도 하셨습니다. 주님은 왜 그러셨을까요? 만약 주님이 메시아라는 사실이 밝혀지면 당신의 뜻을 이루시기도 전에 유대의 대제사장들의 무리에게 붙잡혀 해를 입으실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유대인들은 주님과 같은 메시아를 원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아시는 것처럼 주님은 세상에 오셔서 당신에 대한 성경의 예언들을 빠짐없이 이루셨습니다. 어떤 것은 문자적인 뜻 그대로 이루셨고, 또 어떤 것은 문자의 뜻 안에 있는 내적 의미로 이루셨습니다. 문자의 뜻 안에 있는 내적 의미로 이루셨다는 건, 예를 들면 이런 것입니다. 이사야 63장 4절에는 ‘만민 가운데 나와 함께 한 자가 없이 내가 홀로 포도즙틀을 밟았는데 내가 노함으로 말미암아 무리를 밟았고 분함으로 말미암아 짓밟았으므로 그들의 선혈이 내 옷에 튀어 내 의복을 다 더럽혔음이니’라고 했는데, 그것은 주님이 지옥과의 치열한 싸움에서 이기신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 ‘만민 가운데 나와 함께 한 자가 없이’는 시험 가운데서 주님 홀로 싸우신 것을 의미합니다. 또 예레미야 46장 10절에는 ‘그 날은 주 만군의 여호와께서 그의 대적에게 원수 갚는 보복일이라 칼이 배부르게 삼키며 그들의 피를 넘치도록 마시리니 주 만군의 여호와께서 북쪽 유브라데 강 가에서 희생제물을 받으실 것임이로다’라고 했는데, 이 말씀은 주님이 세상에 오신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주님이 이루셨다는 구약의 예언들은 대개는 내적, 외적으로 닥치는 수많은 시험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 까닭에 주님은 십자가의 마지막 시험이 있기까지 당신이 메시아이며 왕이라는 사실을 철저히 숨기셨습니다.
그러셨던 주님이 마지막 시험을 앞두고 이제 당신의 존재를 드러내십니다.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그러면 네가 하나님의 아들이냐’(눅22:70)라고 묻자 ‘너희들이 내가 그라고 말하고 있느니라’라고 간접적으로 시인하신 것이지요. 그러자 이들은 ‘어찌 더 증거를 요구하리요 우리가 친히 그 입에서 들었노라’라면서 주님을 죽이기로 마음을 굳힙니다. 그리고 당시 유대를 다스리던 총독 빌라도에게 주님을 데려가 고발합니다.
※ 이들이 주님을 직접 처리하지 못하고, 로마 총독 빌라도에게 데려간 것은, 당시 유대는 로마의 식민지로서 비록 나름의 자치권을 인정받았으나 이방인이 성전 안뜰을 함부로 들어가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형 집행권을 박탈당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때는 마침 유월절이라 평소엔 저쪽 지중해 해안가 가이사랴에서 대왕 헤롯의 궁전을 관저로 삼아 지내지만, 이 기간엔 예루살렘에 와 전반적인 치안 살핀다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로마 총독이 유월절에 예루살렘에 와 지내는 건 유독 이때 참 많은 사건 사고가 일어나기 때문이며, 만에 하나 이때 로마에 대항하는 민란이라도 나는 날이면, 총독의 목이 날아가기 때문입니다.
본문 1, 2절입니다.
1무리가 다 일어나 예수를 빌라도에게 끌고 가서 2고발하여 이르되 우리가 이 사람을 보매 우리 백성을 미혹하고 가이사에게 세금 바치는 것을 금하며 자칭 왕 그리스도라 하더이다 하니
그들은 지금 거짓말을 하고 있습니다. 주님은 한 번도 백성을 속이시거나 미혹하신 적이 없고, 가이사에게 세금 바치는 것을 금하신 적도 없습니다. 오히려 바리새인들이 주님을 시험하기 위해 ‘그러면 당신의 생각에는 어떠한지 우리에게 이르소서 가이사에게 세금을 바치는 것이 옳으니이까 옳지 아니하니이까’(마22:17)라고 물었고, 주님은 그 질문에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대답하셨지요. 가이사는 로마의 왕입니다. 그러므로 가이사를 섬기는 건 세상 법도를 따르는 삶, 즉 자연적 삶입니다. 그에 비해 하나님을 섬기는 건 하늘의 법을 따르는 삶이며, 영적인 삶입니다. 주님께서는 우리에게 이 두 가지가 조화된 삶을 살기를 바라십니다. 다시 말하면 영적 삶을 위해 자연적 삶을 버려서도 안 되고, 자연적 삶을 위해 영적 삶을 버려서도 안 된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자연적 삶은 영적 삶을 담는 그릇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주님은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하신 것이고, ‘그런즉 너희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 모든 것을 너희에게 더하시리라’(마6:33) 하신 것입니다. ‘그의 나라와 그의 의’, 곧 ‘주님의 나라와 주님의 의’가 바로 자연적 삶 속에 담아야 할 영적 생명이라는 것이지요.
3빌라도가 예수께 물어 이르되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 대답하여 이르시되 네 말이 옳도다
빌라도가 주님께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고 물었습니다. 그러자 주님께서는 ‘네 말이 옳도다’라고 대답하십니다. 말씀에서 왕은 진리를 뜻합니다. 그리고 유대는 주님에 대한 사랑, 또는 선에 대한 사랑을 뜻합니다. 주님에 대한 사랑과 선에 대한 사랑이 같은 뜻인 이유는, 주님은 선 그 자체이신 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라고 한 것은 속뜻으로는 ‘네가 선으로부터 빛나는 진리이냐’ 또는 ‘네가 선을 동반한 진리이냐’라고 묻는 것과 같습니다. 그렇습니다! 주님은 사랑과 선 그 자체이신 여호와로부터 잉태된 진리이신 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님은 빌라도의 물음에 ‘네 말이 옳도다’라고 대답하신 것입니다.
4빌라도가 대제사장들과 무리에게 이르되 내가 보니 이 사람에게 죄가 없도다 하니 5무리가 더욱 강하게 말하되 그가 온 유대에서 가르치고 갈릴리에서부터 시작하여 여기까지 와서 백성을 소동하게 하나이다
빌라도가 볼 때 아무리 봐도 주님에게는 잘못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주님을 고발한 자들에게 ‘내가 보니 이 사람에게 죄가 없도다’라고 말한 것입니다. 그러자 무리들이 심하게 소리 지르며, ‘그가 온 유대에서 가르치고 갈릴리에서부터 시작하여 여기까지 와서 백성을 소동하게 하나이다’라고 외쳤습니다.
※ 여기 이 ‘무리’는 두 부류, 곧 하나는 아까 새벽녘 급히 소집된 산헤드린 공의회 사형 의결 정족수인 23명과, 미리 매수해 놓은 시정잡배들일 가능성이 아주 큽니다. 산헤드린의 경우, 총 71명이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귀족 가문 계열인 사두개 제사장 그룹과, 서민, 즉 흑수저 출신인 바리새 그룹의 두 파가 서로 오랜 세월 대립, 원수처럼 지내오던 터라, 그리고 바리새들 중엔 주님께 무척 호의적인 사람들도 여럿 있었던 터라 아무래도 바리새쪽 의원들을 부르기엔 좀 껄끄러웠을 것이기 때문이며, 거리 불량배들이야 뭐 부리기가 손쉬웠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말씀에서 갈릴리는 이방인, 즉 교회 밖의 사람들을, 유대는 여기서는 유대교회 사람들을 뜻합니다. 같은 말이라도 말씀의 맥락에 따라 그 속뜻, 그러니까 내적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그들의 말은 주님이 이방인들은 물론이고, 유대교회 사람들에게까지 잘못된 진리를 가르치고 있다는 뜻입니다. 빌라도는 주님을 재판하는 것이 내심 부담스럽고 불편했습니다. 그가 보기에 주님은 의로운 분이셨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건 무슨 형사 사건이 아니라 단지 무슨 신학적, 철학적인 문제요, 저들의 그저 질투심 어린 문제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던 차에 주님이 갈릴리 사람이라는 말을 듣고는 당시 갈릴리 지역을 다스리던 헤롯 왕에게로 주님을 보내기로 결심합니다.
6빌라도가 듣고 그가 갈릴리 사람이냐 물어 7헤롯의 관할에 속한 줄을 알고 헤롯에게 보내니 그때에 헤롯이 예루살렘에 있더라
※ 이 헤롯은 아버지 대왕 헤롯의 아들로서 헤롯 안티파스를 말합니다. 아버지 대왕 헤롯이 다스리던 유대 땅을 그가 죽은 후, 로마는 삼 분할, 세 아들에게 나눠 주었고, 그중 헤롯 안티파스는 갈릴리 지역을 맡았으나 이 기간 마침 예루살렘에 와 있다는 걸 빌라도는 알고 있습니다. 전에 세례(침례) 요한의 목을 잘라 헤로디아의 딸에게 준 자가 바로 이 헤롯 안티파스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한 가지 의문을 가지게 됩니다. 주님을 심판하는 세 부류의 사람들, 즉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 같은 사람들, 그리고 총독 빌라도, 끝으로 헤롯 왕은 영적으로는 어떤 사람들인가 하는 겁니다. 새 교회 가르침에는 이들이 누군지를 자세히 설명하지 않습니다. 다만 저 개인적으로는 대제사장들 무리와 빌라도, 그리고 헤롯은 세상을 다스리는, 등차(等差, degree)가 다른 세 가지 진리를 나타낸다고 이해합니다. 이를테면 대제사장들의 무리는 교회의 진리, 또는 교리를 뜻하고, 총독 빌라도는 세상을 다스리는 진리, 즉 세상의 법을 뜻하며, 갈릴리의 왕 헤롯은 이방 종교의 진리, 또는 도덕적 진리를 뜻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와 관련해 새 교회 가르침들 중 ‘말씀에 관한 교리’ 27번 글은 이렇게 말합니다.
하나님께서 하시는 모든 일에는 처음과 중간과 마지막이 있다. 처음의 것은 중간의 것을 거쳐 마지막의 것에 이르러 실체가 드러나며 존재한다. 그래서 마지막의 것은 기초이며 그릇이다. (이순철 역) In every Divine work there is a first, a middle, and a last (or ultimate); and the first passes through the middle to the last (or ultimate), and so comes into manifest being and subsists. Hence the last or ultimate is the basis. But the first is in the middle, and through the middle in the ultimate; so that the ultimate is the container. And as the ultimate is the container and the basis, it is also the support. (SS.27)
교회가 영적으로 건강할 때는 교회의 진리가 처음 것이 되고, 도덕적 진리는 중간 것, 그리고 마지막에 세상의 법이 있습니다. 진리의 질서가 그러할 때, 하나님의 진리가 도덕적 진리를 거쳐 세상 법 안으로 흘러 들어가 그것을 통해 세상을 다스립니다. 그리고 그때 우리가 사는 세상은 점차 하나님의 나라로 변합니다. 반대로 교회의 마지막 때에는 그 질서가 반대가 됩니다. 즉 가장 낮은 진리인 세상 법이 처음의 것이 되고, 도덕적 진리가 중간 것, 교회의 진리가 가장 마지막 것이 되지요. 이런 경우에는 교회의 진리가 세상을 이끄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세상의 나쁜 풍조가 교회를 지배하게 됩니다. 참된 진리이신 주님이 대제사장들의 무리와 빌라도, 헤롯에게 차례로 심판받고 모욕을 당하는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 교회의 마지막 때에는 그렇게 참된 진리가 거짓 진리에 의해 박해를 당합니다.
헤롯은 주님에게 궁금한 게 많았습니다. 그래서 주님에게 여러 가지를 묻습니다. 그것에 대해 9절과 11절은 이렇게 말합니다.
8헤롯이 예수를 보고 매우 기뻐하니 이는 그의 소문을 들었으므로 보고자 한 지 오래였고 또한 무엇이나 이적 행하심을 볼까 바랐던 연고러라 9여러 말로 물으나 아무 말도 대답하지 아니하시니 10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서서 힘써 고발하더라 11헤롯이 그 군인들과 함께 예수를 업신여기며 희롱하고 빛난 옷을 입혀 빌라도에게 도로 보내니
교회가 부패하면 사회의 도덕이나 윤리 또한 부패하게 됩니다. 주님에게서 나오는 진리의 빛이 교회를 통해 윤리와 도덕 속으로 흘러 들어가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헤롯이 주님으로부터 아무 대답도 듣지 못하는 것은 어쩌면 그런 것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헤롯은 결국 참된 진리이신 주님을 알아보지 못합니다. 그리고 주님에게 빛나는 옷을 입혀 빌라도에게 다시 보냈습니다. 말씀에서 옷은 진리를 뜻합니다. 그러므로 헤롯이 주님께 빛나는 옷을 입혔다는 것은 얼핏 보면 주님을 인정한 듯 보이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부패한 윤리와 도덕이 그들 앞에 나타난 참된 진리를 업신여기고 조롱하는 모습입니다.
생각해 보면 사람의 생애 동안 참된 진리를 만난다는 건 정말 큰 행운입니다. 그럼에도 진리를 알아보지 못하고 그냥 지나치는 사람이 많습니다. 심지어 업신여기고 비아냥거리는 이들도 있습니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 다음은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님의 에피소드입니다.
오늘 말씀을 준비하면서 문득 서울교회에 처음 발령받았을 때의 일이 생각났습니다. 교회 건축이 시작될 무렵인데 좀처럼 건축 허가가 나지 않았습니다. 알아보니 주변 교회에 다니는 사람들이 여러 가지 이유를 들어 건축을 반대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어떻게 어떻게 문제가 풀리긴 했으나 그로 인해 8개월이면 끝날 공사가 3년을 끌었습니다. 그 일을 겪으면서 진리가 견뎌야 할 것이 참으로 많다는 걸 느꼈습니다. 주님이 당하신 일에 비하면 아무 것도 아니지만 말입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교회나 종교가 어지러워지면 세상의 법이나 풍조 또한 어지러워집니다. 진리의 질서가 거꾸로 되기 때문입니다. 주님으로부터 교회를 통해 세상 곳곳으로 퍼져나가는 진리의 질서가 있습니다. 마치 심장과 폐로부터 흘러나오는 깨끗한 피가 인체의 말단까지 흘러 들어가는 것과 같은 그런 질서가 있는 것입니다. 교회의 마지막 때는 그 질서가 거꾸로 됩니다. 오늘 말씀에서 주님이 대제사장들의 무리와 빌라도, 그리고 헤롯에게 차례로 불려 다니며 심판받고 모욕당하는 것은 진리의 질서가 거꾸로 될 때 생기는 일입니다. 교회 안에서도 그렇고 각자의 삶에서도 그렇습니다. 가장 낮은 진리는 더 높은 진리를 섬겨야 합니다. 일을 하면서 결과만 좋으면 되지 않느냐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러나 결과뿐 아니라 일하는 방법과 목적이 처음부터 끝까지 서로 통해야 합니다. 다시 말하면 일상의 모든 행위는 주님과 이웃을 위한 목적으로부터 시작해 진리를 수단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때 우리는 온전한 진리의 질서 안에 있게 됩니다. 그리고 그때 건강한 교회, 건강한 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주님의 그런 은혜가 이 진리를 사랑하는 모든 이들과 함께하시기를 간절히 기도합니다.
여호와를 대적하는 자는 산산이 깨어질 것이라 하늘에서 우레로 그들을 치시리로다 여호와께서 땅끝까지 심판을 내리시고 자기 왕에게 힘을 주시며 자기의 기름 부음을 받은 자의 뿔을 높이시리로다 하니라 (삼상2:10)
3아담은 백삼십 세에 자기의 모양 곧 자기의 형상과 같은 아들을 낳아 이름을 셋이라 하였고 4아담은 셋을 낳은 후 팔백 년을 지내며 자녀들을 낳았으며 5그는 구백삼십 세를 살고 죽었더라 (창5:3-5)
말씀에 나오는 숫자들은 우리가 알고 있는 그 겉뜻들과는 달리 어떤 속뜻들이 있는데요, 우리가 잘 아는 대로 가령, 3이라는 숫자, 7이라는 숫자, 10이라는 숫자, 12라든지, 40이라든지, 100이라든지, 더 나아가 계시록에 나오는 1,000, 144,000 등... 1에서 9까지의 숫자들의 의미는 두 자릿수, 세 자릿수 등 복합수가 되면서 그 의미가 확장, 예를 들면, 책 한 권 분량의 의미가 어떤 큰 숫자 하나로 표현될 정도로 깊은 의미들을 지니게 됩니다. 천사들한테는 말이죠.
그리고 여기 우리가 사는 이 시공간의 나라와는 달리 천국은 상태와 그 상태변화의 나라이기 때문에, 천국에서는 저 숫자들 역시 어떤 상태와 그 변화를 나타내는 쓰임새를 가지며, 그래서 말씀 역시 천사들은 그렇게 이해하며 읽는데요,
그러니까 이 ‘그는 구백삼십 세를 살고 죽었더라’의 의미는, 아담이라는 첫 번째 태고교회에 ‘구백삼십’(930)으로 표현되는 어떤 수많은 상태와 그 변화가 있었으며, 그후 이 교회의 퍼셉션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는 의미로 읽으시면 되겠습니다. 이 퍼셉션으로 늘 주님과 연결된 상태가 살아있는 상태인데, 그러므로 교회에 이 퍼셉션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건 곧 그 교회는 죽었다, 그 교회의 쓰임새가 다했다는 말이 되겠습니다.
참고로, ‘퍼셉션’(perception)이란 천국에서 주님과 천사들 간에 있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으로, 주님으로부터 오는 어떤 내적 음성(an internal dictate)을 지각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동산에 거니시는 여호와 하나님의 소리를 듣고’(창3:8) 같은 것이지요. 이런 방식의 커뮤니케이션이 아직까진 그래도 존재했던 시기를 태고교회(the most ancient church)라 하며, 더 이상 존재하지 않고 새로운 방식이 시작된 때를 고대교회(the ancient church)라 합니다. 새로운 방식은 ‘양심’(conscience)입니다. 즉 노아의 홍수를 기점으로 그 이후 사람들은 이전 선조들이 누렸던 방식을 잃어버리고, 새로운, 하지만 본질적으로는 저급한 방식으로 주님과 연결되어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도 그 내면이 열린 사람들, 즉 삶이 받쳐주는 신앙인들은 이 퍼셉션으로 주님과 커뮤니케이션을 합니다. 그리고 주님과 커뮤니케이션을 한다는 것은, 특별히 어디 가서 누구에게 학습하지 않고도 지금 이 선과 진리가 주님으로 말미암았는지 여부를 주님으로 말미암아 안다는 것입니다. 주님 말씀하신, ‘내 양은 내 음성을 들으며 나는 그들을 알며 그들은 나를 따르느니라’(요10:27)처럼 말입니다.
이 ‘구백삼십’을 비롯, 노아의 홍수 전까지 존재했던 태고교회 전체 기간이 실제로, 그러니까 지구 나이로 얼마만큼 존속했는지는 모릅니다. 지구의 나이가 45, 6억 년이나 되고, 그 사이 오늘날 고고학으로는 도저히 설명 불가한 소위 오파츠(Out-of-place artifacts, OOPARTS)라는 것들이 발견되는 걸 보면, 우리가 알 수 없는, 그리고 주님도 굳이 우리에게 자세히 알려주시지는 않는, 그런 어떤 장구한 세월이지 않을까 추측만 할 뿐입니다.
첫 번째 태고교회인 아담은 그동안 지상에 존재했던 모든 교회 중 주님이가장 사랑하신 교회였습니다. 그러니까 천적(celestial) 교회, 천적 인간이었기 때문이지요. 창세기 2장 3절에 나오는 ‘일곱째 날’이 바로 이 교회입니다. 반면, 창5에 쭉 나열되는, 셋, 에노스, 게난, 마할랄렐, 야렛, 에녹 및 므두셀라 등 이후 노아로 연결되는 교회들은, 그러나 후대로 갈수록 점점 황폐해져서 결국 대홍수, 노아의 홍수로 표현되는 첫 번째 종말을 맞이하게 되는 교회들입니다. 교회가 황폐해진다는 건, 교회 안에 주님의 신성, 곧 주님으로 말미암은 선과 진리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은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여호와께서 그에게 이르시되 그렇지 아니하다 가인을 죽이는 자는 벌을 칠 배나 받으리라 하시고 가인에게 표를 주사 그를 만나는 모든 사람에게서 죽임을 면하게 하시니라 (창4:15)
창세기 4장을 보면 가인은 자기 제사를 여호와께서 받지 않으시자 몹시 분하여 안색이 변합니다. 여호와께서 가인에게 그 이유를 말씀하셨으나 결국 그는 들에 있을 때 아우 아벨을 쳐죽이지요. 이 정도로도 그의 악은 충분한데 심지어 ‘네가 무엇을 하였느냐?’ 하시는 여호와 앞에 ‘내가 내 아우를 지키는 자니이까?’라 대답하는 등 정말 뻔뻔하기까지 합니다.
그랬던 그가, 여호와의 설명, 곧 그가 자초한, 앞으로 전개될 삶의 무게 앞에 절망하며, ‘무릇 나를 만나는 자마다 나를 죽이겠나이다’ 하자 여호와께서는 ‘네가 그러고도 살기를 바라느냐?’ 하시는 대신, 오히려 그에게 표를 주시며, 사람들이 그를 건드리지 못하도록 보호하십니다.
여러분, 이 부분이 이해가 되십니까?
다음은 말씀을 속뜻, 즉 내적 의미로 읽는 천사들이 이해하는 내용입니다. 천사들은 내적 존재여서 이렇게 밖에는 이해를 할 수가 없습니다.
여기서 아벨은 체어리티(charity, 仁愛, 이웃 사랑) 신앙, 가인은 체어리티 없는 신앙(faith without charity)을 말합니다. 가인의 제사는 체어리티 없는 신앙으로 드리는 예배를 말하며, 그래서 주님이 결코 받으실 수 없으셨던 겁니다.
하지만 주님은 인류의 역사는 결국 이 가인의 역사로 흐를 걸 아시고는 이 가인이라는 신앙을 통해서 아벨이라는 신앙을 일으키실 것을 섭리하셨으며, 그래서 이 가인 신앙을 보호하기로 하시고, 그래서 ‘가인을 죽이는 자는 벌을 칠 배나 받으리라’, 즉 이 신앙을 건드리면 그걸 신성모독(神性冒瀆, sacrilege)으로 보겠다 하신 것입니다.
타인의 신앙이 나와 다르다 하여 함부로 말로, 행동으로 그의 신앙에 폭행을 가하면 안 되겠습니다. 그 역시 주님이 공을 들이시는 사람이며, 나만 가만히 있으면, 즉 훼방을 놓지 않으면, 그는 어쩌면 주님의 인도대로 체어리티의 사람, 아벨 신앙의 후손이 될 수도, 그러니까 지금은 신앙 따로, 사랑 따로의 신앙인이지만, 그의 안에 신앙심이라는 게 남아있기만 하면 주님은 그걸 가지고 일을 하실 수 있으시기 때문입니다.
아, 그리고 한 가지 더!
창세기 1장부터 쭉 읽다 보면, 아직 지상에 사람은 가인까지 셋뿐인데, 아벨은 죽었으므로, 갑자기 가인의 입에서 ‘무릇 나를 만나는 자마다 나를 죽이겠나이다’ 하는 말이 나옵니다. 나중엔 놋 땅에 거주하며 아내까지 얻고 말입니다. 그러면, 이 사람들은 어디서 온 사람들인가요?
천사들은 창세기 11장 아브람 전까지는 그 등장인물들을 한 개인으로 보지 않고, 그 이름으로 부르던 교회로 봅니다. 다른 말로는 그 이름으로 부르던 신앙이나 교리로 보지요. 참고로 아브람 전까지는 실제 역사가 아니며, 그 전까지의 장구한 역사(※ 참고로, 저는 지질학적 지구 나이인 45, 6억 년을 받아들입니다)를 일종의 스토리처럼 엮은 것입니다.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그러므로 아담, 가인, 아벨 등은 모두 교회를 말합니다. 즉 아담이라는 태고교회(太古, the most ancient church)에서 두 종류의 신앙이 일어났는데, 그 하나가 가인이라는 신앙을 가진 교회, 다른 하나는 아벨이라는 신앙을 가진 교회라는 말입니다. 앞으로도 특별히 에벨(창11) 전까지 등장하는 인명(人名)들은 이렇게 이해하시면 됩니다.
63지키는 사람들이 예수를 희롱하고 때리며 64그의 눈을 가리고 물어 이르되 선지자 노릇 하라 너를 친 자가 누구냐 하고 65이 외에도 많은 말로 욕하더라 (눅22:63-65)
영어 성경에는 주님의 눈을 가리는 게 아니라 얼굴을 가리고 때렸다고 되어 있습니다. 말씀에서 주님의 얼굴은 주님의 사랑과 자비를 나타냅니다. 그래서 민수기 6장에는 주님께서 아론에게 명하시길, 이스라엘 백성들을 축복할 때는 다음과 같이 말하라고 하십니다. 즉
24여호와는 네게 복을 주시고 너를 지키시기를 원하며 25여호와는 그의 얼굴을 네게 비추사 은혜 베푸시기를 원하며 26여호와는 그 얼굴을 네게로 향하여 드사 평강 주시기를 원하노라 (민6:24-26)
라고 말입니다. 주님께서 그렇게 명령하신 이유는, 주님에게서 나오는 사랑과 자비는 모든 악과 거짓을 이기는 힘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이들이 주님의 얼굴을 가리고 때리는 것은, 타락한 교회들이 말씀을 왜곡, 말씀의 생명인 사랑을 죽이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생겨난 교리가 바로 사랑 없는 믿음만의 교리, 오직 믿음의 교리입니다. (이상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님 설교에서 인용)
이 ‘오직 믿음’(Faith Alone) 교리는 대단히 위험합니다. 주님은 스베덴보리를 통해 계시록에 나오는 모든 심판의 대상이 모두 이 ‘오직 믿음’ 교리에 함몰된 교회임을 밝히고 계십니다. 저는 이 교리가 왜 이토록 위험한 교리일까 좀 생각해 봤는데요, 그것은... 천국은 속 사람의 상태로 가는 곳인데, 이 ‘오직 믿음’ 교리로는 이런 사실을 가볍게 여기게 되기 때문이 아닐까, 즉 평소 속 사람의 상태 관리에 소홀, 결국 구원받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 아닐까 한 적이 있습니다.
주님은 누가복음에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의 나라는 볼 수 있게 임하는 것이 아니요 또 여기 있다 저기 있다고도 못하리니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느니라 (17:21, 22)
즉, 우리 속 사람의 상태가 천국을 받을 수 있는 상태여야 한다는 것이며, 그러므로 살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이 ‘속 사람의 상태 관리’라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오직 믿음’ 교리에 취해 속 사람의 상태에 소홀히 하면, 하나님의 나라를 받을 수 없어 구원받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무서운 얘깁니다.
참고로, 이 ‘오직 믿음’ 교리, 다른 말로 ‘이신칭의’(以信稱義)라 해도 될까요?, 이 교리의 출처는 로마서, 고린도후서, 갈라디아서, 빌립보서, 디모데전서 등 주로 사도들, 특히 바울의 서신들입니다만, 그러나 이들은 사실은 ‘말씀’(The Word)이 아닙니다. ‘말씀’은 오직 주님, 그러니까 사람이 아닌 신(神, The Divine)으로 말미암아 그 안에 속뜻, 그러니까 내적 의미(다른 말로는 아르카나 Arcana 라틴)가 있어야만 말씀이기 때문이며, 신이 아닌 사람이 쓴 글에는 이게 없기 때문입니다. 자세한 건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63지키는 사람들이 예수를 희롱하고 때리며 64그의 눈을 가리고 물어 이르되 선지자 노릇 하라 너를 친 자가 누구냐 하고 65이 외에도 많은 말로 욕하더라 (눅22:63-65)
아타나시우스 신조(the Athanasian Faith)라는 것이 있습니다. 그 제작 연대는 분명하지 않지만, 사도신경, 니케아 신조와 함께 초대교회 3대 신경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 신조의 주된 내용은 삼위일체와 성육신입니다. 스베덴보리(Emanuel Swendenborg, 1688-1772, 스웨덴)는 그의 유작, ‘계시록 해설’(Apocalypse Explained, 첫 라틴 출간 1785-1789, 쓰기는 1757, 계19:10에서 멈춤)에서 이 신조를 다루고 있는데, 아래 내용은 그중 어떤 게 ‘말씀을 더럽히는 것’인지 당시 종교, 특히 교황 교회(the papal church, 스베덴보리식 표현, the papal religion이라고도 함)의 부패상을 아래와 같이 적고 있습니다.
심지어 죽은 자의 뼈와 무덤에 거룩함이 있다는 것, 시체가 기적을 행한다는 것, 사람이 자신의 부를 우상이나 수도원에 성별(聖別)하지 않으면 나중에 연옥에서 고통을 당한다는 것, 천국과 지옥의 권세를 가졌으므로 사람이 신이라는 것even that there is holiness in the bones of the dead and in sepulchers, that carcasses perform miracles, that man will be tormented in purgatory if he does not consecrate his wealth to idols or to monasteries, that men are gods because heaven and hell are in their power
위 하나하나의 사례는 우리가 교회사를 통해 자세히 알 수 있듯 당시 아주 지독하게 부패한 교황 교회의 폐단들이며, 결국 종교개혁의 도화선이 된 사례들입니다.
위 본문은 또한 교회의 마지막 때, 타락한 교회의 사람들을 의미하기도 하는데요, 그러니까 말씀을 앞세우는 목적이 주님 사랑이 아닌, 저들 교황 교회들처럼 말씀을 그저 자기 사랑, 세상 사랑을 위한 수단과 도구로 삼는 일체의 종교적 행위가 곧 말씀을 더럽히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기독교 전체가 이런 건 아닙니다. 기독교 안에 정교회, 카톨릭, 개신교 (발생순) 등 여러 기독 신앙이 있는데, 그중 삶은 소홀히 하고, ‘오직 믿음’에 치우친 나머지 그 사고와 언행이 매우 세속화된 모든 교회를 말씀드리고 있는 것입니다.
이 ‘오직 믿음’의 뿌리는 의외로 그 기원이 태초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표현만 마틴 루터 때 생겨났을 뿐, 그 본질은 아벨을 죽인 가인한테까지 올라갑니다. 아벨의 속뜻이 사랑과 신앙이 하나 된 교회, 곧 신앙고백이라면, 가인은 사랑 따로 신앙 따로의 교회요, 신앙고백이기 때문입니다.
63지키는 사람들이 예수를 희롱하고 때리며64그의 눈을 가리고 물어 이르되 선지자 노릇 하라 너를 친 자가 누구냐 하고65이 외에도 많은 말로 욕하더라(눅22:63-65)
위 본문은, 겉뜻으로는 기록된 대로 이들이 주님을 괴롭히며 욕보이고 있는 것이지만, 속뜻으로는 말세에 타락한 교회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더럽히는 것입니다. 주님은 ‘말씀’(The WORD)이시기 때문입니다. (이상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님 설교에서 인용)
이 ‘하나님의 말씀을 더럽힘’이라는 건 말씀에 손을 댄다는 것으로, 주님의 말씀에 사람이 무엇을 섞는 것, 곧 자의적으로 해석, 곡해, 왜곡하는 걸 말합니다. 말씀은 오직 말씀하신 분만이 푸실 수 있으며, 이를 계시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계시받은 자만이 풀 수 있으며, 이때에도 푼다고 하지 않고, 전달한다고 해야 합니다. 사람은 오직 전달만 할 수 있을 뿐입니다.
그러므로 전달자는 자신의 상태를 순도 100%로 유지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절대로 결코 뭘 섞으면 안 됩니다.
63지키는 사람들이 예수를 희롱하고 때리며 64그의 눈을 가리고 물어 이르되 선지자 노릇 하라 너를 친 자가 누구냐 하고 65이 외에도 많은 말로 욕하더라 66날이 새매 백성의 장로들 곧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모여서 예수를 그 공회로 끌어들여 67이르되 네가 그리스도이거든 우리에게 말하라 대답하시되 내가 말할지라도 너희가 믿지 아니할 것이요 68내가 물어도 너희가 대답하지 아니할 것이니라 69그러나 이제부터는 인자가 하나님의 권능의 우편에 앉아 있으리라 하시니 70다 이르되 그러면 네가 하나님의 아들이냐 대답하시되 너희들이 내가 그라고 말하고 있느니라 71그들이 이르되 어찌 더 증거를 요구하리요 우리가 친히 그 입에서 들었노라 하더라 (눅22:63-71)
“인자”는 주님에게서 나오는 신적 진리를 뜻하고, “권능의 우편에 앉는 것”은 주님의 전능하심을 뜻한다. 신적 선은 신적 진리를 통해 전능한 힘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제부터 그들이 보리라”고 말한 것은 주님이 세상에서 지옥을 완전히 이기시고 지옥의 모든 것과 천국의 모든 것을 당신의 질서 안에 두신 후, 신적 진리는 자체로 전능한 힘이 있음을 뜻한다. (천국의 비밀 9807:6, 이순철 역) I say unto you, Henceforth ye shall see the son of man sitting at the right hand of power, and coming upon the clouds of heaven (Matt. 26:64).From henceforth shall the son of man be sitting at the right hand of the power of God (Luke 22:69). “The son of man” denotes the Divine truth that proceeds from the Lord; “sitting at the right hand of power” denotes that he has omnipotence, for Divine good has omnipotence by means of Divine truth; its being said that “from henceforth they shall see it” signifies that Divine truth was in its omnipotence after the Lord in the world had conquered the hells, and had reduced all things therein and in the heavens into order, and that in this way those could be saved who would receive him in faith and love (see n. 9715). (AC.9807:6, 출28:1, ‘그의 아들들’에 관한 주석에서)
오늘 말씀에는 주님께서 ‘지키는 사람들’에게 어떤 수모를 겪으셨으며, 주님은 어떻게 그 모든 일을 견디셨는지를 자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말씀의 문자적 의미로 보면, 이 ‘지키는 사람들’이 주님을 괴롭히며 욕보이고 있지만, 속뜻으로는 말세에 타락한 교회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더럽히는 것이고, 그리하여 그들 스스로 지옥으로 떨어지는 모습이라고 하겠습니다. 이제 그것에 대해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 이 ‘하나님의 말씀을 더럽힌다’는 건 말씀에 손을 댄다는 것으로, 주님의 말씀에 사람이 무엇을 섞는 것, 곧 자의적으로 해석, 곡해, 왜곡하는 걸 말합니다. 말씀은 오직 말씀하신 분만이 푸실 수 있으며, 이를 계시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계시받은 자만이 풀 수 있으며, 이때에도 푼다고 하지 않고, 전달한다고 해야 합니다. 사람은 오직 전달만 할 수 있을 뿐입니다.
먼저 본문 63절입니다.
63지키는 사람들이 예수를 희롱하고 때리며
여기서 지키는 사람들은 주님 당시 유대교회 사람들이고요,
※ 당시 예루살렘에는 두 종류의 군인들이 있었습니다. 하나는 본래 성전 경비대, 다른 하나는 식민지를 관할, 통치하는 로마 군인들이었습니다. 지금 장면은 아직 빌라도를 만나기 전이므로 유대인들로 구성된 성전 경비대이지 싶습니다.
또한 교회의 마지막 때, 타락한 교회의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교회의 마지막 때에는 유대교회 사람들이 주님을 함부로 대한 것처럼 교회들이 신성한 말씀을 마음대로 해석하여 더럽힙니다. 그것이 군사들이 예수를 희롱하고 때리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말씀은 곧 주님이시기 때문입니다. 그들이 말씀을 더럽히는 이유는, 말씀을 통해 주님을 만나려고 하지 않고, 세상 욕심을 채우려 하기 때문입니다. 그 욕심 때문에 말씀이 오염되고 변질되는 것입니다.
※ 아타나시우스 신조(the Athanasian Faith)라는 것이 있습니다. 그 제작 연대는 분명하지 않지만, 사도신경, 니케아 신조와 함께 초대교회 3대 신경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 신조의 주된 내용은 삼위일체와 성육신입니다. 스베덴보리는 그의 유작, ‘계시록 해설’에서 이 신조를 다루고 있는데, 아래 내용은 그중 어떤 게 ‘말씀을 더럽히는 것’인지 당시 종교, 특히 교황 교회의 부패상을 배경으로 아래와 같이 적고 있습니다.
심지어 죽은 자의 뼈와 무덤에 거룩함이 있다는 것, 시체가 기적을 행한다는 것, 사람이 자신의 부를 우상이나 수도원에 성별(聖別)하지 않으면 나중에 연옥에서 고통을 당한다는 것, 천국과 지옥의 권세를 가졌으므로 사람이 신이라는 것even that there is holiness in the bones of the dead and in sepulchers, that carcasses perform miracles, that man will be tormented in purgatory if he does not consecrate his wealth to idols or to monasteries, that men are gods because heaven and hell are in their power
그러니까 말씀을 가까이하는 목적이 주님 사랑이 아닌, 말씀을 그저 자기 사랑, 세상 사랑을 위한 수단과 도구로 삼는 일체의 종교적 행위가 곧 말씀을 더럽히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계속해서 그들이 말씀을 어떻게 더럽히는지 하는 내용입니다. 64절, 65절입니다.
64그의 눈을 가리고 물어 이르되 선지자 노릇 하라 너를 친 자가 누구냐 하고 65이 외에도 많은 말로 욕하더라
영어 성경에는 주님의 눈을 가리는 게 아니라 얼굴을 가리고 때렸다고 되어 있습니다. 말씀에서 주님의 얼굴은 주님의 사랑과 자비를 나타냅니다. 그래서 민수기 6장에는 주님께서 아론에게 명하시길, 이스라엘 백성들을 축복할 때는 다음과 같이 말하라고 하십니다. 즉
24여호와는 네게 복을 주시고 너를 지키시기를 원하며 25여호와는 그의 얼굴을 네게 비추사 은혜 베푸시기를 원하며 26여호와는 그 얼굴을 네게로 향하여 드사 평강 주시기를 원하노라 (민6:24-26)
라고 말입니다. 주님께서 그렇게 명령하신 이유는, 주님에게서 나오는 사랑과 자비는 모든 악과 거짓을 이기는 힘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볼 때, 군사들이 주님의 얼굴을 가리고 때리는 것은, 타락한 교회들이 말씀을 왜곡함으로써 말씀의 생명인 사랑을 죽이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 생겨난 교리가 바로 사랑 없는 믿음만의 교리, 오직 믿음의 교리입니다.
※ 이 ‘오직 믿음’(Faith Alone) 교리는 대단히 위험합니다. 주님은 스베덴보리를 통해 계시록에 나오는 모든 심판의 대상이 모두 이 ‘오직 믿음’의 교회임을 밝히고 계십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천국은 속 사람의 상태로 들어가는 곳인데, 이 교리로는 이런 사실을 가볍게 여기게 되기 때문이 아닐까, 즉 평소 속 사람의 상태 관리에 소홀, 결국 구원받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마27에도 비슷한 말씀이 있습니다. 유대인들이 주님을 십자가에 매달고 조롱하기를,
그가 남은 구원하였으되 자기는 구원할 수 없도다 그가 이스라엘의 왕이로다 지금 십자가에서 내려올지어다 그리하면 우리가 믿겠노라 (마27:42)
라고 합니다. 사실 나를 버리고 다른 사람을 살린다는 것은 역설 중에서도 역설입니다. 내가 있어야 남도 있지 않나 그렇게 모두 생각하기 때문인데요, 그런데도 주님은 인류를 위해 기꺼이 목숨을 버리심으로써, 이웃을 위해 나를 죽이는 것이 사랑이요 구원이라는 것을 증명해 보이셨습니다. 그러나 사랑 없는 믿음 안에 있는 자들은 주님의 그 사랑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십자가 위에 계신 주님을 향해 “거기서 내려와 먼저 너 자신을 구원하라”고 조롱했습니다. 앞에서 주님의 얼굴을 가리고 때리면서 누가 때렸는지 말하라고 하는 자들도 같은 자들입니다. 그들은 말씀 안에 신성이 있음을 믿지 않았고, 그러므로 말씀의 능력을 믿지 않는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래서 말씀을 자기 입맛대로 곡해했고, 내심 말씀의 능력이 어디 있는가 하고 비웃었습니다. 그것이 주님의 얼굴을 가리고 때리면서 누가 때렸는지 말하라고 조롱하는 것입니다. 만약 기적이 나타났다면 그들은 말씀이신 주님을 믿었을까요? 잠시는 믿는 것같이 했겠지만, 계속 믿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기적에 대해 ‘천국의 비밀’ 7290:2번 글은 이렇게 말합니다.
기적은 믿음을 강제하며 강제된 믿음은 사람 안에 남지 않고 흩어져 없어진다. 그러므로 예배의 내적인 것인 믿음과 인애는 사람의 자유 안에 심어져야 한다. 왜냐하면 그때 그것은 그의 것이 되고 그의 것이 되면 그에게 영원히 남기 때문이다.But miracles are not done among those who are in internal worship, that is, in charity and faith, because to these they are hurtful, for miracles compel belief, and what is compelled does not remain, but is dissipated. The inward things of worship, which are faith and charity, must be implanted in freedom, for then they are appropriated, and what is so appropriated remains; whereas that which is implanted in compulsion, remains outside the internal man in the external, because nothing enters into the internal man except by means of intellectual ideas, which are reasons; for the ground which there receives is an enlightened rational.
그래서 주님은 기적을 보이라고 하는 자들에게 아무 대꾸도 하지 않으셨습니다.
군사들이 밤새 주님을 욕보이는 동안 날이 밝았습니다. 66절입니다.
66날이 새매 백성의 장로들 곧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모여서 예수를 그 공회로 끌어들여
말씀에서 날이 밝았다는 건 교회가 주님과 연결된 상태, 즉 가르침을 받는 상태를 말합니다. 그러나 여기서는 반대로 교회가 주님에게 등을 돌린 상태입니다. 주님에게 등을 돌렸다는 것은 주님이 주시는 선과 진리를 거부하고, 지옥의 악과 거짓에 깊이 빠져 있다는 뜻입니다. 그 상태에서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주님을 공회로 끌고 갔습니다.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은 어떤 사람들입니까? 그들은 지옥적인 사랑에 빠진 사람들이며, 그리하여 진리를 핍박하는 사람들입니다. 이를테면 대제사장들은 말씀 안에 있는 선을 자아의 악과 섞는 사람들이고, 서기관들은 말씀 안에 있는 진리를 자아의 거짓과 섞는 사람들입니다. 말세에 교회들은 그런 방법으로 말씀을 더럽히고, 더럽혀진 말씀을 가지고 교인들을 잘못된 길로 끌고 갑니다. 그러므로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주님을 공회로 끌고 가는 건 말세에 타락한 교회들이 거짓 교리를 가지고 진리를 심판하려고 하는 걸 의미합니다. 지금 시대도 마찬가지입니다. 기존 교회의 지도자들은 새 교회의 진리로 다시 오신 주님을 불법자요 이단이라고 마음대로 심판합니다.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주님께 묻습니다. 67절, 68절입니다.
67이르되 네가 그리스도이거든 우리에게 말하라 대답하시되 내가 말할지라도 너희가 믿지 아니할 것이요 68내가 물어도 너희가 대답하지 아니할 것이니라
말씀에서 그리스도라는 말은 기름 부음 받은 자, 또는 왕이란 뜻입니다. 그리고 왕은 속뜻으로 진리를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그들이 네가 그리스도이거든 우리에게 말하라 하는 것은 악의적인 거짓 안에 있는 자들이 진리를 심판하는 것입니다. 악의적인 거짓 안에 있는 사람이 있고, 선의의 거짓 안에 있는 사람이 있습니다. 후자의 사람은 언젠가는 진리를 이해합니다. 그들에게 아직 선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전자의 사람, 즉 악의적인 거짓 안에 있는 사람은 영원히 진리를 이해하지 못합니다. 악과 진리는 물과 기름처럼 섞일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주님은 내가 말할지라도 너희가 믿지 아니할 것이요 내가 물어도 너희가 대답하지 아니할 것이다 하신 것입니다. 계속해서 주님께서 말씀하십니다. 69절입니다.
69그러나 이제부터는 인자가 하나님의 권능의 우편에 앉아 있으리라 하시니
여기서 인자는 진리의 측면에서 주님을 뜻합니다. 인자로 표현되는 진리는 지옥과 싸우는 진리이고, 그러므로 아직 완전한 진리가 아닙니다. 왜냐하면 완전한 진리라면 지옥이 감히 공격하지 못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주님은 시험을 받으실 때마다 당신 자신을 인자라고 하셨습니다. 그렇다면 하나님의 우편에 앉으리라고 한 인자는 누굴까요? 지옥의 시험을 완전히 이기시고 전능한 힘을 갖게 된 진리, 바로 주님이십니다. 따라서 ‘이제부터는 인자가 하나님의 권능의 우편에 앉아 있으리라’ 하신 것은, 이제부터의 말씀은 지옥의 어떤 어둠도 훼손할 수 없는 완전한 말씀이며 진리라는 뜻입니다. 주님은 지옥의 모든 시험을 이기시고, 완전한 진리로 부활하셨습니다. 그리고 그 진리를 가지고, 낡고 타락한 교회를 대신, 새 교회의 문을 여십니다. 그 완전하고 전능한 진리이시며 주님이신 이가 바로 하나님 우편에 앉으신 인자이십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주님이 오셔서 지옥을 완전히 이기시기 전의 말씀은 완전한 말씀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에 대해 ‘천국의 비밀’ 6373번 글은 이렇게 말합니다.
주님으로부터 오는 신성한 진리는 천국을 통해 인간에게로 흘러들어온다. 그러나 인간이 선으로부터 멀어졌을 때, 그 신성은 충분한 것이 아니었다. 그래서 주님은 세상에 오셔서 당신 안의 인성을 거룩하게 만드셨고, 그리하여 그때 주님의 신적 인성은 신성한 진리의 근원이 되었다. 그리고 그로 말미암아 진리를 통해 선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구원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것에 대해 욥기 15장 15절은 ‘하나님은 거룩한 자들을 믿지 아니하시나니 하늘이라도 그가 보시기에 부정하거든’이라고 말한다.
욥기에 ‘하늘이라도 그가 보시기에 부정하거든’이라고 한 것은 주님이 보시기에 그동안 천국을 통해 지상으로 내려오는 진리는 인간을 거듭나게 할 정도로 완전한 진리가 아니었다는 뜻입니다. 그런가 하면 ‘천국의 비밀’ 9807:6번 글은
주님이 세상에서 지옥을 완전히 이기시고 천국과 지옥의 모든 것을 당신의 질서 안에 두신 후, 신적 진리는 자체로 전능한 힘을 가진다.
라고 합니다. 이상으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주님 오시기 전의 말씀이 인간에 의해 훼손될 수 있는 말씀이라면, 주님이 오신 후의 말씀은 아무도 훼손할 수 없는 능력의 말씀이라는 것입니다. 그것에 대해 오늘 본문 70절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70다 이르되 그러면 네가 하나님의 아들이냐 대답하시되 너희들이 내가 그라고 말하고 있느니라
여기서 하나님의 아들은 지옥을 이기고 영화롭게 되신 주님의 신적 인성을 뜻하고, 또한 그때 선으로 충만하게 된 능력의 말씀을 뜻합니다. 그러므로 주님께서 대제사장에게 ‘너희들이 내가 그라고 말하고 있느니라’ 하신 것은, 이제부터의 말씀은 누군가 더럽히려고 할 때, 그들의 추악함이 드러날 뿐 결코 더럽힐 수 없는 말씀임을 뜻합니다. 그러니까 말씀을 더럽히려 할수록 오히려 그들 스스로 진리를 증거하게 될 것이라는 뜻입니다. 지금 우리가 믿는 이 진리가 바로 그런 전능하신 진리입니다. 새 교회의 모든 성도가 이 진리의 힘을 의심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또한 진리의 전능하신 힘에 의지해 매일 같이 새로워지시길 기도합니다.
아버지여 창세 전에 내가 아버지와 함께 가졌던 영화로써 지금도 아버지와 함께 나를 영화롭게 하옵소서 (요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