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적) 중풍에 걸렸어도 침상에서 일어날 수 있으려면

 

 

17하루는 가르치실 때에 갈릴리의 각 마을과 유대와 예루살렘에서 온 바리새인과 율법 교사들이 앉았는데 병을 고치는 주의 능력이 예수와 함께하더라 18한 중풍 병자를 사람들이 침상에 메고 와서 예수 앞에 들여놓고자 하였으나 19무리 때문에 메고 들어갈 길을 얻지 못한지라 지붕에 올라가 기와를 벗기고 병자를 침상째 무리 가운데로 예수 앞에 달아 내리니 20예수께서 그들의 믿음을 보시고 이르시되 이 사람아 네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 하시니 21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이 생각하여 이르되 이 신성 모독하는 자가 누구냐 오직 하나님 외에 누가 능히 죄를 사하겠느냐 22예수께서 그 생각을 아시고 대답하여 이르시되 너희 마음에 무슨 생각을 하느냐 23네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 하는 말과 일어나 걸어가라 하는 말이 어느 것이 쉽겠느냐 24그러나 인자가 땅에서 죄를 사하는 권세가 있는 줄을 너희로 알게 하리라 하시고 중풍 병자에게 말씀하시되 내가 네게 이르노니 일어나 네 침상을 가지고 집으로 가라 하시매 25그 사람이 그들 앞에서 곧 일어나 그 누웠던 것을 가지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자기 집으로 돌아가니 26모든 사람이 놀라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심히 두려워하여 이르되 오늘 우리가 놀라운 일을 보았다 하니라 (눅5:17-26)

 

 

주님에 의해 치유 받은 병자들의 신앙은 역사적이라 불리는 신앙이었는데 그것은 기적을 바라는 신앙이었다. 이 신앙은 주님이 당신 자신으로부터 기적을 행하실 수 있으며 그러므로 전능하다는 신앙이었다. 그런 까닭에 주님은 구약의 선지자들과는 달리 사람들이 주님을 예배하는 것을 허락하셨다. 그런데 이러한 역사적 신앙(this historical faith)은 구원의 신앙(a saving faith)이 생기기 전에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사람이 말씀으로부터 진리를 배우고 그것에 따라 살아갈 때 역사적 신앙은 비로소 구원의 신앙이 되기 때문이다. (AE.815:4, 이순철 역)

 

※ AE(Apocalypse Explained, 계시록 해설) 위 815번 글 4번 항에 대한 Ager 영역 및 Whitehead 개정본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No other faith than that which is called historical, which at that time was a miraculous faith, was meant by this faith whereby the sick were healed; consequently by this faith many wrought miracles at that time. This faith was, that the Lord was Almighty, because He was able to do miracles of Himself; for this reason He also allowed Himself to be worshiped, which was not the case with the prophets of the Old Testament, who were not worshiped. But there must always be this historical faith before it becomes a saving faith; for a historical faith becomes a saving faith with man by his learning truths from the Word, and living according to them. (AE.815:4, Ager 역)

 

이는 계시록 13장 11절, ‘내가 보매 또 다른 짐승이 땅에서 올라오니 어린 양 같이 두 뿔이 있고 용처럼 말을 하더라’에 관한 주석 중 ‘내가 보매 또 다른 짐승이 땅에서 올라오니’(And I saw another beast coming up out of the earth)에 대한 내용입니다.

 

 

오늘 말씀은 주님께서 중풍 병자를 고치셨다는 내용입니다. 주님이 세상에 계셨을 때 주로 하셨던 일은 말씀을 가르치시고, 병자들을 고치시는 일이었습니다. 주님은 특히 병자들을 불쌍히 여기셔서 맹인의 눈을 뜨게 하시고, 유출 병 걸린 여인을 고치셨으며, 귀신 들린 자를 치유하셨습니다. 주님이 그렇게 병자들과 죄인들과 함께하셨기 때문에 바리새인들은 주님의 제자들에게 ‘어찌하여 너희 선생은 세리와 죄인들과 함께 잡수시느냐’(마9:11) 하기도 했고, 그러면 주님은 ‘건강한 자에게는 의사가 쓸데없고 병든 자에게라야 쓸 데 있느니라’(마9:12) 하시면서 당신의 일을 계속하셨습니다. 바리새인들은 어쩌면 가장 병이 깊은 사람들인지도 모릅니다. 그런데도 그들은 자신이 병자라는 사실을 전혀 알지 못했습니다.

 

주님께서 수많은 병자의 병을 치유하신 것은 역설적으로 보면, 신앙인들이 그토록 다양한 질병을 앓고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오늘 말씀에 나오는 중풍 병자 역시 그런 신앙인들 가운데 한 사람입니다. 그러나 그는 자기가 치유되기 어려운 영적 질병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주님께 의지해서 병을 고치려고 필사적인 노력을 다합니다. 자기 힘으로 고치려고 하는 대신 주님께 의지해서 고치려고 하는 것입니다. 중풍 병자는 어떻게 병을 고쳤을까요? 말씀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17절 말씀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17하루는 가르치실 때에 갈릴리의 각 마을과 유대와 예루살렘에서 온 바리새인과 율법 교사들이 앉았는데 병을 고치는 주의 능력이 예수와 함께 하더라

 

주님께서 말씀을 가르치실 때, 마침 그곳에는 갈릴리에서 온 자들도 있었고요, 유대와 예루살렘에서 온 자들도 있었습니다. 말씀에서 ‘갈릴리’는 교회 밖의 이방인들을 뜻하고, ‘유대’는 타락한 교회를 뜻합니다. 그리고 ‘바리새인’들은 타락한 교회 안의 위선자를 뜻합니다. 여기 바리새인들이 위선자를 뜻하는 이유가 뭘까요? 어느 날 주님께서 그들에게 ‘화 있을진저 외식하는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이여 잔과 대접의 겉은 깨끗이 하되 그 안에는 탐욕과 방탕으로 가득하게 하는도다’(마23:25) 책망하셨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뜻으로 미루어 볼 때, 갈릴리와 유대, 예루살렘에서 많은 사람이 주님께로 나왔다는 말씀은, 참 진리가 나타났을 때, 교회 안과 밖에서 많은 사람이 이 진리를 주시하고 있다는 뜻일 것입니다. 그러면 그들은 왜 나사렛의 목수 출신에 불과한 예수를 그렇게 주목했을까요? 다시 말하면, 기독교회 안에서, 또는 밖에서 왜 많은 사람이 새 진리로 나타나신 주님을 주목하고 있었을까요? 본문에서는 그 이유를, ‘병을 고치는 주의 능력이 예수와 함께 하더라’로 설명합니다. 주님으로 표상되는 새 진리는 능력의 진리입니다. 그냥 진리가 아니고요, 그 속에 주님의 선이 들어 있는 진리입니다. 그래서 원하기만 한다면 누구나 이 진리를 통해서 거듭날 수 있습니다. 물론 말씀의 글자의 뜻만 가지고도 어느 정도는 거듭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주 힘이 듭니다. 왜냐하면 말씀의 글자의 뜻만 가지고는 주님의 온전한 생명을 받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성경에는 말씀의 글자의 뜻을 ‘구름’으로, 그리고 말씀의 속뜻은 구름 속에 빛나는 ‘영광’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그때에 인자의 징조가 하늘에서 보이겠고 그때에 땅의 모든 족속이 통곡하며 그들이 인자가 구름을 타고 능력과 큰 영광으로 오는 것을 보리라 (마24:30)

 

그만큼 글자의 뜻은 어둡고 둔탁한 진리라는 것입니다. 많은 사람이 예수가 진리로 세상에 오신 하나님이신지를 알지 못했지만, 그럼에도 말씀 가운데 능력이 있음을 놀라워했습니다. 오늘 이 시대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람들은 새 교회의 진리가 마지막 때에 주님이 밝혀주신 참 진리라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막연하게 이 진리에 특별한 능력이 있음을 느끼고 주시하고는 있습니다. 주님께서 말씀을 가르치실 때 사람들이 중풍 병자 한 사람을 주님께로 메고 왔습니다. 18, 19절에서는 그것에 대해 이렇게 말합니다.

 

18한 중풍병자를 사람들이 침상에 메고 와서 예수 앞에 들여놓고자 하였으나 19무리 때문에 메고 들어갈 길을 얻지 못한지라 지붕에 올라가 기와를 벗기고 병자를 침상째 무리 가운데로 예수 앞에 달아 내리니

 

중풍 병자가 주님께 가까이 가려 했으나 무리 때문에 그러지 못했다고 합니다. 중풍 병자는 수족이 마비되어 걷지도 못하고, 손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사람입니다.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져 뇌가 손상되어 나타나는 증상으로 뇌졸중이라고도 하는, 우리나라에서는 암 다음으로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지요. 영적 의미로 ‘걷지 못한다’는 것은 진리를 따라 제대로 살지 못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손을 쓰지 못하는’ 것은 진리를 행하려 해도 행할 능력이 없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손은 능력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중풍 병자’는 진리를 따라 살고자 하나 능력이 없는 사람입니다. 다시 말하면 악을 멀리하려 해도 잘되지 않고요, 선을 행하려 해도 뜻대로 되지 않는 사람이 중풍 병자입니다. 주님을 사랑한다는 사람들이 왜 말씀에 따라 살지 못하고, 또 좌절할까요? 그 이유는, 주님과 연결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주님과 연결되지 않으면 그에게 주님으로부터 선이 흘러들어오지 않습니다. 그래서 진리를 행하려고 해도 잘되지 않고, 시험에서 자주 넘어집니다. 지금 중풍 병자의 상태가 바로 그런 상태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중풍 병자와 주님을 가로막고 있는 것은 바로 선이 없는 진리임을 알 수 있습니다. 지식 형태의 진리만 있고, 정작 그걸 실천할 수 있는 선은 없는 진리, 바로 그것이 주님과 중풍 병자를 가로막고 있는 벽인 것입니다. 그것을 오늘 말씀에서는 병자와 주님 사이를 많은 무리가 가로막고 있는 걸로 표현했습니다. 그러니까 여기 무리는 선이 없는 진리를 나타냅니다. 중풍 병자는 주님께 의지해서 병을 고치려 했는데 그것이 뜻대로 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니 얼마나 고민이 많았겠습니까? 그렇지만 고민 끝에 깨닫는 것이 있었는데요, 그건 바로 지붕을 뚫고 주님께 가는 것입니다. 말씀에서 ‘지붕’은 선을 뜻합니다. 그러므로 지붕을 뚫는 것은 선을 행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할 수 있는 작은 선부터 하나씩 실천하는 것입니다. 중풍 병자의 상태는 영적인 어떤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신앙생활이 멈춰 선 상태, 정체된 상태입니다. 그런데 주님께서는 그런 사람에게 지금 지붕을 뚫으라고 하세요. 작은 선이라도 행하라 하십니다. 그 작은 선은 어쩌면 그가 당면하고 있는 영적 질병과는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일일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위장병이 있는 사람이 손을 깨끗이 씻는 것 같은 일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주님은 그런 식으로라도 조그마한 선한 습관들을 하나씩 몸에 붙이라 하십니다. 오랜 습관을 버리고, 새로운 습관을 몸에 붙이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것은 지붕을 뚫는 만큼이나 힘든 일일 것입니다. 그러나 손 씻는 일은 병자일지라도 할 수 있는 일이기에 주님은 그 일을 권고하십니다. 마침내 병자가 지붕을 뚫고 주님께로 내려왔습니다.

 

※ 위 ‘지붕에 올라가 기와를 벗기고 병자를 침상째 달아 내리니’라는 표현은 성서시대 이스라엘 가옥 구조를 좀 아셔야 이해하실 수 있는데요, 다음은 류모세 저, ‘열린다 성경, 생활풍습 이야기 하’ 12장, ‘중풍 병자의 친구들은 어떻게 지붕을 뚫었을까?, 지붕 위의 삶’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성서시대 이스라엘 평민들은 사면의 벽은 돌로 쌓고, 지붕은 진흙으로 발랐다. 조선시대 사대부 양반가는 기와로 지붕을 얹었지만, 평민들은 초가로 지붕을 얹은 것과 같다. 성서시대 이스라엘의 부자들은 기와지붕을 얹은 반면, 평민들은 진흙 지붕을 얹었던 것이다. 지붕은 먼저 수평으로 뽕나무(돌무화과나무) 가지로 만든 대들보를 깔고, 수직으로 갈대 또는 종려나무 가지를 깔았다. 그리고 그 위에 진흙을 발라 최종 처리를 했다... 그래서 그들은 ‘사면이 단단한 돌로 싸인 벽과 달리 진흙으로 살짝 덮은 지붕! 그 지붕에 올라가 손으로 흙을 긁어내서 그 틈새로 중풍 병자 친구를 달아 내리면 되겠다!’ 했던 것이다. //

 

20예수께서 그들의 믿음을 보시고 이르시되 이 사람아 네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 하시니

 

주님께서 병자를 비롯한 그들의 믿음을 보시고, ‘이 사람아 네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 하십니다. 중풍 병자는 그렇게 주님에 의해 치유를 받았습니다. 참으로 고대하고 고대하던 일이었습니다.

 

※ 천국 가는 것이 누가 대신 표를 끊어줘서 가는 게 아니라 결국 본인의 어떠함, 곧 본인의 속 사람의 상태로 가는 것처럼, 병 낫는 것, 곧 주님의 능력이 병자에게 흘러 들어가는 것 역시 병자 본인의 영적 상태의 문제, 그러니까 병자의 내면이 주님을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인지로 결정되는 것 같습니다. 저희 형님 중 한 분이 바로 이 중풍으로 삶을 마치셔야 했는데, 그때 보니 중풍이 깊으면 그 어떤 의사 표시도 하실 수 없더군요. 그럼에도 오늘 본문의 병자는 고침을 받은 걸 볼 때, 그러니까 그를 향해 주님이 말씀하시고, 그걸 또 그가 알아듣는 걸 볼 때, 비록 그 육은 저 정도로 중증이었을지라도 그 영, 곧 그의 속 사람은 주님을 받아들일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21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이 생각하여 이르되 이 신성 모독하는 자가 누구냐 오직 하나님 외에 누가 능히 죄를 사하겠느냐

 

그런데 정작 그 광경을 지켜보던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은 ‘이 신성 모독하는 자가 누구냐 오직 하나님 외에 누가 능히 죄를 사하겠느냐’ 생각하며, 속으로 말했습니다. 바리새인들은 왜 그렇게 말했을까요? 그들은 자연적인 사람들이었고, 그래서 영적인 것에 대해 무지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영적 질병의 치유가 곧 죄 사함을 뜻한다는 사실을 전혀 알지 못했습니다. 만일 그들이 사랑의 사람, 가슴의 신앙인들이었다면 저런 판단하는 말 대신 오히려 하나님이 사람 살리시는 일로 말미암아 크게 기뻐했을 것입니다. 주님께서 다시 말씀하셨습니다. 22절로 24절입니다.

 

22예수께서 그 생각을 아시고 대답하여 이르시되 너희 마음에 무슨 생각을 하느냐 23네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 하는 말과 일어나 걸어가라 하는 말이 어느 것이 쉽겠느냐 24그러나 인자가 땅에서 죄를 사하는 권세가 있는 줄을 너희로 알게 하리라 하시고 중풍병자에게 말씀하시되 내가 네게 이르노니 일어나 네 침상을 가지고 집으로 가라 하시매

 

※ 여기 22절, 23절은 이 설교 원본에도, 그리고 성 문서에도 특별한 언급이 없습니다. 나중에 혹시 주님으로 말미암은 어떤 퍼셉션이 오게 되면 그때 나누겠습니다.

 

주님께서 ‘인자가 땅에서 죄를 사하는 권세가 있는 줄을 너희로 알게 하리라’ 말씀하셨습니다. 여기 ‘인자’는 진리로 세상에 오신 주님을 나타냅니다. 그러니까 인자는 바로 참된 진리입니다. 주님 당시에 바리새인들이 주님을 믿지 않은 것처럼, 감각적인 사람들은 언제나 참된 진리를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인자가 땅에서 죄를 사하는 권세가 있는 줄을 너희로 알게 하리라’ 하신 것은 그런 자연적이고 감각적인 사람들에게 하신 말씀입니다.

 

※ 다음은 주님의 두 호칭, ‘인자’와 ‘하나님의 아들’에 관한 글입니다.

 

주님은 (어머니로부터 받은) 인성(人性, this human)을 벗으셨을 때, 신적 인성(the Divine human)을 입으셨다. 그것 때문에 주님은 신약 성경에 여러 번 언급된 바와 같이 자신을 ‘인자’(the son of man)라 부르시고, 또 ‘하나님의 아들’(the son of God)이라 부르셨다. ‘인자’로서 주님은 진리 자체를 뜻하고, ‘하나님의 아들’로서 주님은 선 자체를 뜻하는데, 그것은 주님의 인간 본질(human essence)이 신성하게 되었을 때, 그 본질에 속한 것이었다. ‘인자’의 상태는 주님의 겸비(謙卑)와 관련이 있고, ‘하나님의 아들’의 상태는 주님의 영화와 관련이 있다. (AC.2159:2, 이순철 역)

 

그래서 주님은 시험받으실 때 ‘인자’로 받으셨습니다. 지옥은 오직 진리만 건드릴 수 있을 뿐, 선은 건드릴 수 없기 때문입니다. //

 

주님은 그런 감각적인 사람들, 즉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져야만 진실, 진리를 인정하는 사람들에게 어떤 방법으로 진리를 증거하실까요? 주님은 마태복음 5장 14절 이하의 말씀을 통해 그것을 알려주십니다.

 

14너희는 세상의 빛이라 산 위에 있는 동네가 숨겨지지 못할 것이요 15사람이 등불을 켜서 말 아래에 두지 아니하고 등경 위에 두나니 이러므로 집 안 모든 사람에게 비치느니라 16이같이 너희 빛이 사람 앞에 비치게 하여 그들로 너희 착한 행실을 보고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라 (마5:14-16)

 

참 좋은 말씀 아닙니까? 이 말씀을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주님은 거듭나는 사람들의 삶을 통해 이 진리를 증거하신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주님께서 병자들을 치료하시는 것은 그의 구원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를 통해 세상을 구원하시려는 것입니다. 그래서 주님께서는 중풍 병자에게 ‘내가 네게 이르노니 일어나 네 침상을 가지고 집으로 가라’ 하셨습니다. 그러자 25절에서는 이렇게 기록합니다.

 

25그 사람이 그들 앞에서 곧 일어나 그 누웠던 것을 가지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자기 집으로 돌아가니

 

병자가 일어나서 자기 침상을 들고 집으로 돌아갔다고 합니다. ‘그 사람이 그들 앞에서 곧 일어나’는 악과 거짓 안에 있던 사람이 영적으로 회복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침상’은 신앙인들 각자가 가지고 있는 교회의 교리를 나타냅니다. 본문에서 주님은 ‘네 침상’이라고 하셨는데 그렇게 말씀하신 이유는, 사람마다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교리가 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계시록의 속뜻’ 137번 글을 보면 이런 말이 있습니다.

 

모든 사람의 침상, 즉 교리는 그의 학식과 지성에 따라 다르다. 그러므로 지혜로운 사람은 고상한 교리를, 어리석은 자는 천박한 교리를, 거짓말쟁이는 불결한 교리를 가진다. (AR.137, 이순철 역)

 

※ AR(Apocalypse Revealed, 계시록 속뜻) 137번 글에 대한 Whitehead 영역본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for there everyone’s bed i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his science and intelligence, magnificent for the wise, mean for the unwise, and filthy for falsifiers. (AR.137, Whitehead 역)

 

이는 계시록 2장 22절, ‘볼지어다 내가 그를 침상에 던질 터이요 또 그와 더불어 간음하는 자들도 만일 그의 행위를 회개하지 아니하면 큰 환난 가운데에 던지고’에 관한 주석 중 ‘볼지어다 내가 그를 침상에 던질 터이요 또 그와 더불어 간음하는 자들도 큰 환난 가운데에 던지고’(Behold I will cast her into a bed, and them that commit adultery with her into great affliction)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

 

그러므로 병자가 자기 침상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가는 것은, 주님에 의해 회복된 교리를 개인의 의지 안에 심는 것을 의미합니다. 왜냐하면 ‘’은 사람의 의지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병자가 그렇게 했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났을까요? 주님께 영광을 돌렸다고 했습니다. 주님께 영광을 돌린다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결혼애’ 9번 글에서는 그것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주님께 영광을 돌리는 일은 사랑의 열매를 맺는 것이다. 즉 자신의 직업과 관련된 일을 성실하고 정직하게, 그리고 근면하게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이 주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결과물이며, 자신이 속한 사회와 연대하는 것이고, 그 자체로 선을 이루는 것이기 때문이다. (CL.9, 이순철 역)

 

※ CL(Conjugial Love, 結婚愛) 9번 글에 대한 Warren 영역본 및 Tafel 개정본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You do not know what is meant by the glorification of God. It means to bring forth the fruits of love; that is, faithfully, sincerely, and diligently to do the work of one’s employment—for this is of love to God and of love to the neighbor. And this is the bond of society and its good. (CL.9, Warren 역) //

 

이 말씀은 제가 새 교회 가르침에서 가장 좋아하는 말씀 가운데 하나입니다.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는 것이 특별한 것이 아닙니다. 특별히 남에게 뭔가를 베풀고 봉사하고 그런 것만이 아니라는 것이죠. 물론 그것도 중요한 일이지만, 자기 직업과 관련된 일을 성실하고 정직하게 하지 않으면서 그런 일을 한다는 것은 선하다고 볼 수 없습니다. 중풍 병자가 그렇게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자, 26절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26모든 사람이 놀라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심히 두려워하여 이르되 오늘 우리가 놀라운 일을 보았다 하니라

 

중풍 병자가 일어나는 모습을 보고, 거기에 모였던 바리새인들과 갈릴리에서 온 사람들도 놀라 하나님께 영광을 돌렸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을 두려워했다고 합니다. 믿지 않는 사람들도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두려워하게 하는 것, 그것이 바로 주님께서 병자를 고치시는 이유입니다. 조금 전 마태복음 5장 16절 말씀, ‘이같이 너희 빛이 사람 앞에 비치게 하여 그들로 너희 착한 행실을 보고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라’가 생각납니다. 네, 이렇게 중풍 병자가 치유되는 모습을 본 사람들은 하나님을 두려워할 뿐 아니라 우리가 놀라운 일을 보았다고 말했습니다. 놀라운 일은 어떤 것입니까. 놀라운 일은 한글 성경의 번역이고요, 영어 성경에는 ‘strange thing’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strange thing, 그러니까 자기 땅에서는 볼 수 없는 이상한 일, 생소한 일이라는 뜻입니다. 자기 종교나 교파에서는 볼 수 없는 기적이 일어났다는 말이지요. 그 기적이란 주님의 능력에 의해 병자가 일어나는 것이며, 다르게 표현하면, 진리의 능력으로 죄 가운데 있던 사람이 거듭나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모두가 놀랐다고 했습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오늘 말씀에서 중풍 병자는 교리의 지식만 붙들고 있을 뿐 거듭나는 삶을 살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좌절 중에 주님께 가서 병을 고치려 했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노력해도 주님께 가까이 갈 수 없었습니다. 그때 주님께서 주신 깨달음은 지붕을 뚫고 내려오라는 것이었습니다. 조금 전에 말씀드린 것처럼, 지붕은 영적 의미로 선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지붕을 뚫는 것은 사소하지만 선한 습관을 몸에 붙이는 일입니다. 주님은 모든 선한 일을 통해서 우리와 결합하시기 때문에 병자에게 그렇게 요구하셨던 것입니다. 그러나 중풍 병자는 선을 행할 능력이 없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주님은 지금 부당한 요구를 하고 계시는 것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중풍 병자라 해서 아무 일도 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물론 일어나 걸을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몸을 뒤척이거나 표정을 지을 수는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술을 끊지 못해 고생하는 사람이라도 자기 일을 정직하게 할 수는 있습니다. 또 만나는 사람에게 환한 웃음을 선사할 수는 있습니다. 이러한 일들은 술을 끊는 것과는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어 보입니다. 그럼에도 주님은 지속적으로 그런 일을 행하라고 하세요. 그러면 주님과 만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그런 식으로 주님을 만날 때 극복할 수 없었던 모든 영적인 문제가 주님에 의해 해결됩니다. 물론 하루 이틀에 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몇 년이 걸릴 수도 있고요, 세상을 떠날 때에야 비로소 해결될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인내심을 갖고 주님을 만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합니다. 그렇게 해서 병이 치유되고 새사람이 될 때, 이를 통해 믿지 않던 주변 많은 사람에게 새 교회 진리가 전해질 것입니다. 주님의 그런 은혜가 새 교회의 진리, 곧 주님이 스베덴보리를 통해 계시하신 진리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함께하시기를 간절히 기도합니다.

 

너희가 열매를 많이 맺으면 내 아버지께서 영광을 받으실 것이요 너희는 내 제자가 되리라 (요15:8)

 

아멘

 

원본

2017-11-19(D1)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

 

설교

2023-03-29(D4)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028. 2023-03-29(D4)-매일예배(2445, 눅5,17-26), '중풍에 걸렸어도 침상에서 일어날 수 있으려면'.pdf
0.52MB

Posted by bygracetistory
,

 

예수를 보고 엎드려 구한 나병환자

 

 

12예수께서 한 동네에 계실 때에 온몸에 나병 들린 사람이 있어 예수를 보고 엎드려 구하여 이르되 주여 원하시면 나를 깨끗하게 하실 수 있나이다 하니 13예수께서 손을 내밀어 그에게 대시며 이르시되 내가 원하노니 깨끗함을 받으라 하신대 나병이 곧 떠나니라 14예수께서 그를 경고하시되 아무에게도 이르지 말고 가서 제사장에게 네 몸을 보이고 또 네가 깨끗하게 됨으로 인하여 모세가 명한 대로 예물을 드려 그들에게 입증하라 하셨더니 15예수의 소문이 더욱 퍼지매 수많은 무리가 말씀도 듣고 자기 병도 고침을 받고자 하여 모여 오되 16예수는 물러가사 한적한 곳에서 기도하시니라 (눅5:12-16)

 

 

주님과 아버지가 합일해 가는 과정을 주님의 겸비의 상태라고 하고, 합일 그 자체를 영화의 상태라고 한다. 주님이 세상에 계실 때 겸비와 영화라 불리는 두 가지 상태에 계셨다는 것은 교회에서 인정하는 일이다. 전자의 상태, 즉 주님의 겸비의 상태는 말씀의 여러 곳에 기록되어 있는데, 이를테면 다윗의 시편과 예언서에 기록되어 있다. 특히 이사야서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는 그가 자기 영혼을 버려 사망에 이르게 하며...’(사53:12)이러한 상태가 아버지 앞에서 주님의 상태, 즉 겸비, 겸손의 상태다. 왜냐하면 그 상태에서 주님은 아버지께 기도하셨고, 또 아버지의 뜻을 행하겠다고 하셨으며, 그가 행하고 말한 모든 것을 아버지께 돌리셨기 때문이다. (TCR.104, 이순철 역)

 

※ TCR(True Christian Religion, 참된 기독교) 위 104번 글에 대한 Ager 영역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8) The progress towards union was his state of exinanition [emptying himself], and the union itself is his state of glorification. It is acknowledged in the church that when the Lord was in the world he was in two states, called the state of exinanition and the state of glorification. The prior state, which was the state of exinanition, is described in the Word in many places, especially in the psalms of David and also in the prophets, and particularly in Isaiah (chapter 53) where it is said:

 

That he emptied his soul even unto death (Isa. 53:12).

 

This same state was his state of humiliation before the Father; for in it he prayed to the Father; and he says that he does the Father’s will, and ascribes to the Father all that he did and said. (TCR.104, Ager 역) //

 

 

오늘 말씀은 주님께서 나병 들린 환자를 치유하셨다는 내용의 말씀입니다. 나병(癩病)은 문둥병이라고 부르는 피부병입니다. 오늘날엔 한센병이라고 하지요. 구약 레위기의 기록에 따르면 나병이 걸리면 먼저 제사장에게 가서 진단을 받았습니다. 제사장이 진찰해 나병인지 아닌지 확인을 하는 것입니다. 나병이 확정되면 환자는 장막 밖으로 격리되어 그곳에서 생활해야 했습니다. 병이 완전히 치유되었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제사장이 먼저 진단을 하고, 완치되었다는 판정을 내리면 하나님 앞에 정결 예식을 드리고, 그다음에 소속된 사회로 복귀했습니다. 아래는 관련 레위기 말씀들입니다. 좀 길지만 함께 읽겠습니다.

 

1여호와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2만일 사람이 그의 피부에 무엇이 돋거나 뾰루지가 나거나 색점이 생겨서 그의 피부에 나병 같은 것이 생기거든 그를 곧 제사장 아론에게나 그의 아들 중 한 제사장에게로 데리고 갈 것이요 3제사장은 그 피부의 병을 진찰할지니 환부의 털이 희어졌고 환부가 피부보다 우묵하여졌으면 이는 나병의 환부라 제사장이 그를 진찰하여 그를 부정하다 할 것이요 4피부에 색점이 희나 우묵하지 아니하고 그 털이 희지 아니하면 제사장은 그 환자를 이레 동안 가두어둘 것이며 5이레 만에 제사장이 그를 진찰할지니 그가 보기에 그 환부가 변하지 아니하고 병색이 피부에 퍼지지 아니하였으면 제사장이 그를 또 이레 동안을 가두어둘 것이며 6이레 만에 제사장이 또 진찰할지니 그 환부가 엷어졌고 병색이 피부에 퍼지지 아니하였으면 피부병이라 제사장이 그를 정하다 할 것이요 그의 옷을 빨 것이라 그리하면 정하리라 7그러나 그가 정결한지를 제사장에게 보인 후에 병이 피부에 퍼지면 제사장에게 다시 보일 것이요 8제사장은 진찰할지니 그 병이 피부에 퍼졌으면 그를 부정하다 할지니라 이는 나병임이니라 (레13:1-8)

 

45나병 환자는 옷을 찢고 머리를 풀며 윗입술을 가리고 외치기를 부정하다 부정하다 할 것이요 46병 있는 날 동안은 늘 부정할 것이라 그가 부정한즉 혼자 살되 진영 밖에서 살지니라 (레13:45-46)

 

1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2나병 환자가 정결하게 되는 날의 규례는 이러하니 곧 그 사람을 제사장에게로 데려갈 것이요 3제사장은 진영에서 나가 진찰할지니 그 환자에게 있던 나병 환부가 나았으면 4제사장은 그 정결함을 받을 자를 위하여 명령하여 살아 있는 정결한 새 두 마리와 백향목과 홍색 실과 우슬초를 가져오게 하고 5제사장은 또 명령하여 그 새 하나는 흐르는 물 위 질그릇 안에서 잡게 하고 6다른 새는 산 채로 가져다가 백향목과 홍색 실과 우슬초와 함께 가져다가 흐르는 물 위에서 잡은 새의 피를 찍어 7나병에서 정결함을 받을 자에게 일곱 번 뿌려 정하다 하고 그 살아 있는 새는 들에 놓을지며 8정결함을 받는 자는 그의 옷을 빨고 모든 털을 밀고 물로 몸을 씻을 것이라 그리하면 정하리니 그 후에 진영에 들어올 것이나 자기 장막 밖에 이레를 머물 것이요 9일곱째 날에 그는 모든 털을 밀되 머리털과 수염과 눈썹을 다 밀고 그의 옷을 빨고 몸을 물에 씻을 것이라 그리하면 정하리라 10여덟째 날에 그는 흠 없는 어린 숫양 두 마리와 일 년 된 흠 없는 어린 암양 한 마리와 또 고운 가루 십분의 삼 에바에 기름 섞은 소제물과 기름 한 록을 취할 것이요 11정결하게 하는 제사장은 정결함을 받을 자와 그 물건들을 회막 문 여호와 앞에 두고 12어린 숫양 한 마리를 가져다가 기름 한 록과 아울러 속건제로 드리되 여호와 앞에 흔들어 요제를 삼고 13그 어린 숫양은 거룩한 장소 곧 속죄제와 번제물 잡는 곳에서 잡을 것이며 속건제물은 속죄제물과 마찬가지로 제사장에게 돌릴지니 이는 지극히 거룩한 것이니라 14제사장은 그 속건제물의 피를 취하여 정결함을 받을 자의 오른쪽 귓부리와 오른쪽 엄지 손가락과 오른쪽 엄지 발가락에 바를 것이요 15제사장은 또 그 한 록의 기름을 취하여 자기 왼쪽 손바닥에 따르고 16오른쪽 손가락으로 왼쪽 손의 기름을 찍어 그 손가락으로 그것을 여호와 앞에 일곱 번 뿌릴 것이요 17손에 남은 기름은 제사장이 정결함을 받을 자의 오른쪽 귓부리와 오른쪽 엄지 손가락과 오른쪽 엄지 발가락 곧 속건제물의 피 위에 바를 것이며 18아직도 그 손에 남은 기름은 제사장이 그 정결함을 받는 자의 머리에 바르고 제사장은 여호와 앞에서 그를 위하여 속죄하고 19또 제사장은 속죄제를 드려 그 부정함으로 말미암아 정결함을 받을 자를 위하여 속죄하고 그 후에 번제물을 잡을 것이요 (레14:1-19)

 

그러면 나병의 영적 의미는 무엇일까요? ‘나병’(癩病, 한센병)의 영적인 의미는 교회의 진리를 모독하는 것, 즉 진리를 더럽히는 것입니다. 신앙인들에게 진리의 모독은 보통 두 가지로 나타납니다. 하나는, 진리가 옳다 인정하고 믿으면서도 진리에 반(反)하는 삶을 사는 경우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진리를 모르는 사람은 진리를 모독할 수 없습니다. 진리를 소유하고 있지 않으니까 진리를 더럽힐 수 없는 것입니다. 진리를 모독하는 또 다른 경우는, 진리를 인정했던 사람이 나중에 진리를 부인하는 것입니다. 진리를 인정했던 사람이 진리를 부정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요. 진리를 인정하는 것이 자신의 이익에 배치되기 때문에 부인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고, 진리에 따라 사는 것이 너무 힘이 들어서 진리를 포기해 버리는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다 귀찮다. 이렇게 나를 속박하는 것이 어떻게 진리가 될 수 있어!’라고 자기 합리화를 하면서 진리를 떠나는 것입니다. 그런데 주님께서는

 

28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사람의 모든 죄와 모든 모독하는 일은 사하심을 얻되 29누구든지 성령을 모독하는 자는 영원히 사하심을 얻지 못하고 영원한 죄가 되느니라 (막3:28-29)

 

고 말씀하셨습니다. 여기서 성령은 진리로 세상에 오신 주님 자신, 또는 주님에게서 나오는 진리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진리를 모독하는 것은 성령을 모독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경우든 알면서 진리를 어기거나, 또 부인하는 일은 진리를 모독하는 일이며 두려운 일입니다. 어떻게 하면 우리는 이 진리를 모독하는 죄, 영적인 나병에서 벗어날 수 있겠습니까? 오늘 본문을 통해서 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2절 말씀은 이렇습니다.

 

12예수께서 한 동네에 계실 때에 온몸에 나병 들린 사람이 있어 예수를 보고 엎드려 구하여 이르되 주여 원하시면 나를 깨끗하게 하실 수 있나이다 하니

 

주님께서 한 동네에 계실 때 온몸에 나병 들린 사람이 주님을 찾아왔다고 합니다. 말씀에서 ‘동네’는 교회의 교리를 뜻합니다. 그러니까 ‘예수께서 한 동네에 계실 때에’라는 말씀은 주님이 우리 내면에서 교회의 교리를 가르치고 계시는 것을 의미합니다. 말씀에서는 주님께서 교회의 교리를 가르치시는 모습을 이처럼 ‘한 동네에 계실 때’라 하기도 하고, 지난 시간 말씀처럼, ‘배에서 무리를 가르치시더니’라 하기도 합니다. 배 역시 교회의 교리를 뜻하기 때문인데요, 그런데 그때 한 나병환자가 찾아와 주님 앞에 엎드렸습니다. 그리고 ‘주여 원하시면 나를 깨끗하게 하실 수 있나이다’ 합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나병환자는 진리를 믿으면서도 진리에 반대되는 삶을 사는 사람, 또는 그런 상태를 의미합니다. 즉 여기 ‘나병환자’라는 상태는 어떤 종류의 계명을 잘 이해하고 믿으면서도 그 계명을 습관적으로 어기는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일부러 주님의 말씀을 어기기야 하겠습니까? 진리에 따라 살고자 하는 마음은 있는데, 몸이 말을 듣지 않아서 그러는 거겠죠. 겟세마네 동산에서 주님의 제자들도 그랬습니다. 주님께서 제자들에게 너희는 깨어 있으라 하셨는데 제자들은 깊은 잠에 빠져 있었습니다. 그때 주님께서 무어라 하셨습니까? ‘마음에는 원이로되 육신이 약하도다’(마26:41) 하셨습니다. 그처럼 몸이 말을 듣지 않아 계명을 어기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때 신실한 사람들이라면 할 수 있는 노력은 다할 것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인간의 힘으로는 이 상태에서 벗어날 수 없고 오직 주님만이 치유하실 수 있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그것이 바로 주님을 찾아온 나병환자의 모습입니다. 말씀에는 나병환자가 주님께 엎드렸다고 했지만, 영어 성경에는 얼굴을 땅에 대고 엎드렸다고 표현합니다. 성(聖) 문서의 기록에 따르면, 얼굴을 땅에 대고 엎드리는 것은 고대교회 때부터 있었던 습관이라고 합니다. 고대교회 사람들은 어떤 경우에 얼굴을 땅에 대고 엎드렸을까요? 상대에 대한 지극한 공경심을 표현할 때 그렇게 얼굴을 땅에 대고 엎드렸습니다. 그러므로 오늘 나병환자가 주님 앞에 얼굴을 땅에 대고 엎드린 것은 자신을 낮추고 주님을 지극히 높이는 행동입니다. 얼굴은 내적인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사람에게는 외적인 부분이 있고, 내적인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얼굴을 땅에 댄다 할 때는 그냥 겉으로만 자기를 낮추는 것이 아니고요, 내적으로도 몸을 낮추는 것입니다. 주님께 내적으로 몸을 낮춘다는 것은, 그냥 생각으로만 겸손한 것이 아니고요, 의지로부터도 나오는 겸손함입니다. 의지로부터 나오는 겸손함이란, 주님의 계명을 머리로만 지켜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고, 계명대로 살기를 원하는 강한 의지가 있는 것입니다. 주님 앞에 겸손한 것이 다른 것이 아닙니다. 굳은 의지를 갖고 주님의 계명을 지키는 것입니다. 그것이 주님을 사랑하는 것이고, 주님 앞에 겸손한 것입니다. 입으로 아무리 주님을 높이고 찬양한다 하더라도 주님의 계명대로 살지 않으면 주님을 사랑하는 것도 아니고 겸손한 것도 아닙니다. 그래서 내적으로 겸손하다 하는 것은 주님의 계명대로 살기를 원하는 강한 애정의 상태를 말합니다. 지금 나병환자가 그런 상태인 것이며, 그 상태에서 병자가 ‘주여 원하시면 나를 깨끗하게 하실 수 있나이다’ 하고 있는 것입니다. 여기 ‘원하시면’이 나오는데요, 이 말을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내가 이렇게 형편없는 죄인인데 과연 주님께서 받아주실까? 라며 자신을 낮추는 것이며, 또한 절실한 간구라고 생각합니다. 주님께서 병자의 말을 들으시고 어떻게 하시나요? 13절입니다.

 

13예수께서 손을 내밀어 그에게 대시며 이르시되 내가 원하노니 깨끗함을 받으라 하신대 나병이 곧 떠나니라

 

주님께서 나병환자의 간절한 마음을 받으셨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내가 원한다 하시며 그의 몸에 손을 대셨습니다. 주님께서 병자를 고치실 때, 병자의 몸에 손을 대시곤 하셨는데요, ‘몸에 손을 대시는 것’은 주님과 우리 사이 접촉이 일어나는 것이며, 그렇게 해서 주님과 우리가 결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때 주님으로부터 능력이 병자에게 흘러 들어갑니다. 그래서 주님께서 손을 대시면서 ‘내가 원하노니 깨끗함을 받으라’ 하셨을 때, 나병이 떠났습니다. 주님으로부터 나오는 진리의 능력이 나병을 치유한 것입니다. 14절에서는 주님께서 나병환자에게 경고를 하셨다고 합니다. 경고라고 하지만 영어 성경의 표현은 명령입니다. 주님의 명령을 본문에서는 이렇게 기록합니다.

 

14예수께서 그를 경고하시되 아무에게도 이르지 말고 가서 제사장에게 네 몸을 보이고 또 네가 깨끗하게 됨으로 인하여 모세가 명한 대로 예물을 드려 그들에게 입증하라 하셨더니

 

여기 주님의 명령은 세 가지입니다. 첫째는 ‘아무에게도 이르지 말고’, 둘째는 ‘가서 제사장에게 네 몸을 보이고’, 셋째는 ‘네가 깨끗하게 됨으로 인하여 모세가 명한 대로 예물을 드려 그들에게 입증하라’ 입니다. 주님에 의해 영적 질병의 치유를 받으면 우리는 그냥 가만히 있어야 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영적 질병에 들렸던 자는 스스로 완치되었음을 입증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병이 완치되었음을 입증하는 것은 어떻게 하는 것입니까? 같은 범죄를 다시는 저지르지 않는 것입니다. 주님께서 질병을 치유하신다는 것은 같은 죄를 다시 저지르지 않도록 능력을 주신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이제는 죄의 유혹이 있을 때 돌아보지 않고 앞만 보고 나아갈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할 때 병은 완치됩니다. 그렇다면 병이 깨끗하게 나았음을 입증하려면 어떤 과정이 필요할까요?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주님께서는 세 가지로 말씀하십니다.

 

첫째, ‘아무에게도 이르지 말고’입니다. ‘이르다’, 즉 말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진리에 대해 깊이 생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아무에게도 이르지 말라’는 것은 어떤 진리도 생각하지 말라는 뜻인데, 주님께서 과연 그런 뜻으로 말씀하셨을까요? 그것이 아니고요, 자신의 자아에서 나오는 생각을 진리처럼 생각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사람이 생각하는 것들 중에는 진리처럼 보이지만 진리 아닌 것이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우리가 이웃에게 선을 베풀 때, 과하게 선을 베푸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옛 성인들의 말씀에 ‘과한 것은 모자람만 못하다’(過猶不及)는 말이 있습니다. 선이나 진리는 그렇게 특별한 것이 아닙니다. 다시 말하면 상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상식적으로 너무 과하다 싶은 것은 보통 진리에서 벗어난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하라고 누가 시킵니까? 우리 내면에 있는 자아가 시킵니다. 나병환자가 그동안 병을 떼어내지 못한 이유는, 진리에 의지하지 않고, 자신의 생각에 의지했기 때문일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주님은 인간의 생각을 멈추고 주님으로부터 오는 진리의 유입을 기다리라고 하십니다. 그것을 주님께서는 아무에게도 말하지 말라는 표현으로 말씀하셨습니다. 또 ‘가라’고 하셨는데, 이 말은 진리를 행동으로 옮기라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주님께서 ‘아무에게도 이르지 말고 가서’라고 말씀하시는 것은 자아에서 오는 생각에 마음을 빼앗기지 말고 주님께서 주시는 진리를 따라 그냥 행하라는 뜻입니다.

 

병의 완치를 입증하기 위한 두 번째 해법은 무엇입니까? 제사장에게 몸을 보이라고 하셨습니다. 제사장은 말씀에서 선을 나타냅니다. 주님에 대해 제사장이라 부를 때가 있고, 왕이라 부를 때가 있는데요, 왕으로서의 주님은 진리이신 주님을, 제사장으로서의 주님은 선이신 주님을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제사장에게 몸을 보인다는 것은, 자신의 삶 전체를 선의 관점에서 돌아보라는 뜻입니다. 우리에게 극복할 수 없는 영적 문제가 있을 때, 그 원인은 대개 진리의 문제라기보다는 삶의 문제일 때가 많기 때문입니다. 삶을 이루는 습관들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밀접하게 연관이 되어 있습니다. 마치 집을 지을 때, 기둥을 세우고 보를 치고, 그 위에 슬라브와 지붕을 얹는 것처럼 그렇게 서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하나가 흔들리면 다른 것도 흔들리는 것입니다. 이처럼 삶의 습관이 하나 잘못되면 다른 것에도 영향을 줘서 치유되기 어려운 영적 질병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영적 문제가 있을 때는 원인을 찾아 해결해야 합니다. 다시 말하면 자신의 삶의 습관들을 선의 관점에서 하나씩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행하는 습관들이 많이 있습니다. 말하는 습관과 행동하는 습관, 일을 처리하는 습관, 이웃에게 선을 베푸는 습관 등 어쩌면 진리처럼 보이는 이러한 모든 것들이 정말 진정한 체어리티이며 사랑인가를 따져 보라는 것입니다. 이런 이유로, 주님은 그에게 너는 ‘가서 제사장에게 네 몸을 보이라’ 하신 것입니다.

 

질병의 완치를 위한 세 번째 해법은, 모세가 명한 예물을 드리는 것입니다. 앞서 읽은 레위기 14장에는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정결 예물의 목록이 있습니다.

 

2나병 환자가 정결하게 되는 날의 규례는 이러하니 곧 그 사람을 제사장에게로 데려갈 것이요 3제사장은 진영에서 나가 진찰할지니 그 환자에게 있던 나병 환부가 나았으면 4제사장은 그 정결함을 받을 자를 위하여 명령하여 살아 있는 정결한 새 두 마리와 백향목과 홍색 실과 우슬초를 가져오게 하고 (레14:2-4)

 

여기 ‘정결한 새 두 마리와 백향목과 홍색 실과 우슬초’가 그것입니다. 여호와께서 이러한 것들을 나병환자의 정결 예물로 드리라 하신 이유는, 이 각각의 것들이 어떤 영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의미를 살펴볼까요? 먼저 ‘정결한 새 두 마리’는 진리와 선의 결합을 의미합니다. 그러니까 진리를 머리로만 생각하지 말고, 행동으로도 옮기라는 뜻입니다. 그다음 ‘백향목과 우슬초’를 드리는 것은 각각 내적 진리와 외적 진리를 함께 드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백향목은 내적인 진리를 나타내고, 우슬초는 외적인 진리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여기 내적 진리와 외적 진리를 함께 주님께 드린다는 것은, 먼저 외적 진리를 드리는 것은 겉으로 보기에 정직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것입니다. 세상의 법도에도 어긋나지 않고, 윤리와 도덕에도 어긋나지 않게 행동하는 것입니다. 그에 비해 내적 진리를 드리는 것은, 겉으로 반듯하고 진실하게 행동할 뿐 아니라 그 동기도 진실하고 선한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행위의 동기가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주님과 이웃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지요. 겉으로는 반듯해 보여도 속을 들여다보면 자기 이익을 챙기는 경우가 얼마나 많습니까? 그런 사람들은 외적 진리만 드릴 뿐 내적 진리를 드리는 것이 아닙니다. 그런데 주님께서는 두 가지를 함께 드리라고 하세요. 따라서 우리가 겉으로 진리에 따라 반듯하게 살 뿐 아니라 내면의 동기에 있어서도 주님과 이웃을 위한 사랑으로 충만하다면 영적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었다고 봐도 될 것입니다. 그러기 전까지는 우리의 영적 질병은, 겉은 깨끗하지만, 속의 뿌리는 아직 남아 있는 종양과 같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영적으로 취약하거나 할 때면 언제든지 다시 살아나는 것입니다. 그래서 여호와께서는 정결 예물로 정결한 새 두 마리와 백향목, 우슬초를 함께 드리라 하시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할 때 주님께서는 나병의 완치를 선언하십니다. 다음 15절 말씀은 다음과 같습니다.

 

15예수의 소문이 더욱 퍼지매 수많은 무리가 말씀도 듣고 자기 병도 고침을 받고자 하여 모여 오되

 

예수의 소문이 더욱 퍼지매’는 주님에 의해 치유된 자들의 모습을 통해 진리이신 주님이 증거 되시는 것입니다. 그때 무슨 일이 일어납니까? 많은 무리가 참 진리가 있는 교회로 모여듭니다. 여기서 ‘무리’란 속뜻으로는 진리 안에만 있는 사람들을 뜻합니다. 그러니까 진리만 있고 선은 없는 사람들이 무리인데, 그들은 선이 없기 때문에 영적 질병에 감염되기 쉬운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참 진리가 있는 교회, 선을 동반한 진리가 있는 교회로 모여들게 됩니다. 그 매개자의 역할을 누가 합니까? 주님으로부터 치유 받은 우리가 할 수 있습니다. 끝으로 16절의 말씀은 이렇습니다.

 

16예수는 물러가사 한적한 곳에서 기도하시니라

 

여기서 ‘한적한 곳’은 영어 성경에는 광야라고 되어 있습니다. ‘광야’는 선도 없고 진리도 없는 상태를 말씀에서는 광야라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님께서 광야에 계신다는 것은 곧 시험을 당하시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스라엘 백성들도 사십 년 동안 광야에서 시험을 받지 않았습니까? 왜 광야에 계시는 것을 시험받으시는 상태라고 하느냐면, 극심한 시험 상태에 있을 때는, 보통 내 안에 선도 없고, 진리도 없는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아마 주님께서도 극심한 시험의 상태에서는 그런 느낌이시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감히 합니다. 주님에게 선도 없고 진리도 없다고 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지만, 그러나 역설적으로 보면 그만큼 주님은 세상에 계실 때 겸손의 상태에 계셨다는 것입니다. 주님의, 세상에서의 생애 전체는 아버지와 합일하는 과정이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주님은 당신 안에 계신 아버지에 대해 일관되게 겸손의 모습을 보이셨습니다. 그것은 시험 중에 아버지께 기도하시는 모습을 통해 알 수 있는데요, 겟세마네 동산에서 주님은 ‘내 아버지여 만일 할 만하시거든 이 잔을 내게서 지나가게 하옵소서’(마26:39)라고 하셨습니다. 아버지와 주님은 한 분이세요. 그러나 주님께서 인성을 거룩하게 만드시기 전, 주님의 인성은 아버지보다 조금 못한 상태였습니다. 그래서 시편 8편에서는 ‘인자가 무엇이기에 주께서 그를 돌보시나이까 그를 하나님보다 조금 못하게 하시고 영화와 존귀로 관을 씌우셨나이다’라고 기록하신 것입니다. 또한 십자가상에서도 주님께서는 ‘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마27:46) 부르짖으셨습니다. 이러한 것이 모두 아버지에 대한 주님의 겸비의 상태를 말하는 것입니다. 또 주님께서 기도하신다고 했는데, 이 말씀은 주님께서 당신 안의 아버지와 대화하시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주님은 그렇게 아버지와 끊임없이 대화하시면서 시험을 이기셨습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오늘 말씀은 주님께서 나병환자를 치유하시는 모습을 그리고 있습니다. 나병은 겉으로 보기에도 흉측하고 치유하기가 어려운 병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나병의 속뜻은 진리를 모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진리를 모르는 사람은 진리를 모독할 수가 없기 때문에 나병은 진리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만 해당되는 질병입니다. 레위기 13장과 14장을 보면 나병의 종류가 아주 많음을 알 수 있습니다. 병이 오랜 것과 오래지 않은 것이 있고요, 외적인 나병과 내적인 나병이 있습니다. 그리고 치유될 수 있는 나병이 있고, 치유될 수 없는 나병이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나병’이라고 하면 진리를 인정하고 믿는다고 하면서 진리에 역행하는 삶을 사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신앙인은 누구나 감염될 수 있는 병입니다. 오늘 말씀에서 나병 들린 환자는 어떻게 치유될 수 있었습니까? 얼굴을 땅에 대고 주님 앞에 엎드렸다고 했습니다. 조금 전에 말씀드린 것처럼, 얼굴을 땅에 대고 엎드리는 것은 내적으로 주님을 공경하는 모습입니다. 다시 말하면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주님을 위해 악을 끊겠다는 결심을 하는 것이 내적으로 주님을 공경하는 것입니다. 나병환자가 그런 마음으로 주님께 매달렸을 때, 주님께서 그의 병을 고쳐 주셨습니다. 주님은 또 병의 완치를 위해 제사장에게 몸을 보이고 예물을 드리라고 하셨습니다. 제사장에게 몸을 보이라는 것이 무슨 뜻입니까? 자신의 삶 전체를 선의 관점에서 돌아보라는 뜻이고요, 즉 삶의 모든 습관들 속에 주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이 있는지를 살펴보라는 뜻입니다. 그런 다음에야 우리는 주님께 진실한 예물을 드릴 수 있고, 다시는 나병에 걸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오늘 주님께서 던져주신 또 하나의 메시지는, 주님은 병자들의 병을 고쳐 주시면서, 한편으로는 광야에서 기도하셨다는 것입니다. 주님은 어떤 종교의 수도자들처럼 세상과 격리된 곳에서 기도만 하시는 분이 아니었습니다. 한편으로는 지옥의 끊임없는 도전을 뿌리치시고, 다른 한편으로는 병자들과 함께 지내셨습니다. 주님은 그렇게 우리 신앙인들에게 모범이 되셨습니다.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겠습니까? 한편으로는 혹시 있을지 모르는 나병과 싸우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진리를 모르는 사람들의 구원을 위해 어떤 형태로든 노력을 해야 할 것입니다. 가정에서, 직장에서, 그밖에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서, 그리고 교회에서 자기가 잘할 수 있는 것을 가지고 봉사해야 할 것입니다. 그것이 주님이 보여주신 모범을 따르는 일이라 생각합니다. 그러한 은혜가 새 교회의 모든 성도와 함께하시기를 기도하겠습니다.

 

 

우슬초로 나를 정결하게 하소서 내가 정하리이다 나의 죄를 씻어 주소서 내가 눈보다 희리이다 (시51:7)

 

아멘

 

원본

2017-10-29(D1)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

 

설교

2023-03-28(D3)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027. 2023-03-28(D3)-매일예배(2444, 눅5,12-16), '예수를 보고 엎드려 구한 나병환자'.pdf
0.52MB

Posted by bygracetistory
,

 

깊은 데로 가서 그물을 내려 고기를 잡으라

 

 

1무리가 몰려와서 하나님의 말씀을 들을새 예수는 게네사렛 호숫가에 서서 2호숫가에 배 두 척이 있는 것을 보시니 어부들은 배에서 나와서 그물을 씻는지라 3예수께서 한 배에 오르시니 그 배는 시몬의 배라 육지에서 조금 떼기를 청하시고 앉으사 배에서 무리를 가르치시더니 4말씀을 마치시고 시몬에게 이르시되 깊은 데로 가서 그물을 내려 고기를 잡으라 5시몬이 대답하여 이르되 선생님 우리들이 밤이 새도록 수고하였으되 잡은 것이 없지마는 말씀에 의지하여 내가 그물을 내리리이다 하고 6그렇게 하니 고기를 잡은 것이 심히 많아 그물이 찢어지는지라 7이에 다른 배에 있는 동무들에게 손짓하여 와서 도와 달라 하니 그들이 와서 두 배에 채우매 잠기게 되었더라 8시몬 베드로가 이를 보고 예수의 무릎 아래에 엎드려 이르되 주여 나를 떠나소서 나는 죄인이로소이다 하니 9이는 자기 및 자기와 함께 있는 모든 사람이 고기 잡힌 것으로 말미암아 놀라고 10세베대의 아들로서 시몬의 동업자인 야고보와 요한도 놀랐음이라 예수께서 시몬에게 이르시되 무서워하지 말라 이제 후로는 네가 사람을 취하리라 하시니 11그들이 배들을 육지에 대고 모든 것을 버려두고 예수를 따르니라 (눅5:1-11)

 

 

물고기는 지혜로워지기 위한 수단으로, 영적 사람을 섬기는 자연적 사람에 속한 지식과 인식을 뜻한다. 그러므로 말씀에서 어부는 단순히 지식 안에만 있는 사람들, 자신을 위해 지식을 획득하는 사람, 또한 지식을 가지고 다른 사람을 가르치고 그들의 의식을 새롭게 하는 사람을 뜻한다. (AE.513:11, 이순철 역)

 

※ AE(Apocalypse Explained, 계시록 해설) 위 513번 글 11항에 대한 Ager 영역 및 Whitehead 개정본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Because “fishes” signify the knowledges and cognitions belonging to the natural man that serve the spiritual man as means for becoming wise, so “fishers” mean in the Word those who are merely in knowledges, also those who are acquiring knowledges for themselves, also those who teach others and by means of knowledges reform them. (AE.513:11, Ager 역)

 

이는 계시록 8장 9절, ‘바다 가운데 생명 가진 피조물들의 삼 분의 일이 죽고 배들의 삼 분의 일이 깨지더라’에 관한 주석 중 ‘바다 가운데 생명 가진 피조물들의 삼 분의 일이 죽고’(And there died the third part of the creatures in the sea having souls,)에 대한 내용입니다.

 

 

오늘날 신약 서신서들 중 가장 많이 읽히는 것은 바울 서신서들입니다. 바울은 유대교회에서 가장 유명한 학파인 힐렐 학파의 가말리엘 문하에서 율법교육을 받은 엘리트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탁월한 설교자이기도 했습니다. 그런 배경 때문인지 바울 서신은 문체가 대단히 유려(流麗)하고 깊이가 있습니다. 많은 사람이 바울 서신에 빠져드는 것은 아마 그런 이유일 것입니다. 반면, 바울에 비해서 오늘 말씀드릴 베드로는 어부였습니다. 그러니까 세상적으로 보면, 바울과 베드로는 하늘과 땅만큼이나 그 학식이나 배경에 있어 차이가 나는 사람들이지요. 그럼에도 베드로 서신 역시 읽어 보면, 바울 서신과는 또 다른 영감으로 가득합니다. 베드로 서신의 몇 구절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베드로 전서 1장 22절로 25절입니다.

 

22너희가 진리를 순종함으로 너희 영혼을 깨끗하게 하여 거짓이 없이 형제를 사랑하기에 이르렀으니 마음으로 뜨겁게 서로 사랑하라 23너희가 거듭난 것은 썩어질 씨로 된 것이 아니요 썩지 아니할 씨로 된 것이니 살아 있고 항상 있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되었느니라 24그러므로 모든 육체는 풀과 같고 그 모든 영광은 풀의 꽃과 같으니 풀은 마르고 꽃은 떨어지되 25오직 주의 말씀은 세세토록 있도다 하였으니 너희에게 전한 복음이 곧 이 말씀이니라 (벧전1:22-25)

 

저는 이 글을 읽으면서 갈릴리 어부에 불과했던 베드로가 이렇게 깊고 명료한, 진솔한 글을 쓸 수 있다는 것에 감동했습니다. 그리고 어부였던 그가 주님의 특별한 섭리 있으셔서 주님의 위대한 사도로 거듭날 수 있었음도 느꼈습니다. 이런 배경에서 먼저 그럼, 주님은 왜 물고기를 잡는 어부 베드로를 당신의 사도로 택하셨을까요? 지금부터 그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문 1절입니다.

 

1무리가 몰려와서 하나님의 말씀을 들을새 예수는 게네사렛 호숫가에 서서

 

말씀에서 ‘바다’나 ‘호수’는 선과 진리에 대한 지식을 의미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지옥을 의미하기도 하는데, 여기서는 선과 진리의 지식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주님께서 게네사렛 호숫가에 서 계시는 것은, 각 사람에게 있는 진리와 선의 지식 안으로 주님께서 임하시는 걸 말합니다. 우리가 학문을 배우거나, 또는 신앙의 교리를 공부하는 것은 주님을 받아들일 그릇을 준비하는 행위입니다. 왜 그렇습니까? 진리의 지식은 곧 주님을 받아들이는 그릇이기 때문입니다. 주님은 진리가 무엇인지, 선이 무엇인지를 모르는 사람에게는 오실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사람은 어릴 때부터 학문을 배우고, 종교의 교리를 배우는 것입니다.

 

※ 여기서 잠깐, ‘종교’라는 용어를 쓰신 이유는, 기독교회 밖의 사람들, 그러니까 타 종교인들까지 포함, 폭넓게 말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온 인류는 오직 주님으로 말미암으며, 누구는 기독교 가정에, 누구는 불교나 이슬람 등, 또는 무교 가정에 태어납니다만, 그러나 그건 그 사람 본인의 선택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나면서 유대인이거나 나면서 기독교 국가 기독교 가정에 태어나 처음부터 말씀 생활, 교회 생활을 할 수 있었던 사람들은 특별히 더 겸손해야 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기독교(유대교 포함)는 그 비율이 30% 정도로 열에 셋 정도이기 때문입니다. 다들 이렇듯 다양한 배경 가운데 태어나며, 그러나 그들 또한 모두 주님으로 말미암았으므로, 그래서 주님은 모든 민족에게 저마다의 종교가 일어나도록 허락하셨고, 저마다의 종교에 주님의 신성이 스며들게 하셨으며, 그래서 자기 종교의 교리 중 선한 교리를 따라 나름의 선과 진리의 하나 됨을 위해 성실하게 사는 걸로 주님 사랑을 표현하도록 배려하신 것입니다. 어떤 종교든 그 종교의 교리를 통해 나름의 선한 삶을 살며, 인애, 곧 체어리티(charity)의 삶을 나름 성실히 살아간다면 그는 그 나름의 방식으로 주님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다만 기독교와 여타 종교와의 차이는 말씀의 유무에 있으며, 그것은 밝은 빛 가운데 사는 것과 주변 희미하고 어슴푸레한 등잔불 빛 아래 사는 것에 비유할 수 있겠습니다. 만일 어느 누가 진리, 곧 살아계신 주님 만나기를 정직한 심령으로 평소 간절히 구했다면 그는 자기가 무슨 종교를 믿느냐와는 상관없이 주님에 관한 가르침을 받을 때, 매우 호의적이며 반갑게 반응할 것입니다.

 

그런데 진리의 지식이 있다고 주님은 아무한테나 오시지 않습니다. 주님은 어떤 사람에게 오십니까? 2절과 3절에서는 그것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2호숫가에 배 두 척이 있는 것을 보시니 어부들은 배에서 나와서 그물을 씻는지라 3예수께서 한 배에 오르시니 그 배는 시몬의 배라 육지에서 조금 떼기를 청하시고 앉으사 배에서 무리를 가르치시더니

 

이 말씀에서는 주께서 교리의 진리를 가르쳐 주실 때 어떤 사람에게 오시는지를 세 가지로 설명합니다. 첫째로 주님은 영적인 어부에게 오십니다. 둘째는 어부 중에서도 자신의 그물을 씻는 사람에게 오십니다. 그리고 셋째는 시몬으로 표상되는 신앙을 가진 사람에게 오십니다. 먼저, 주님이 어부에게 오시는 이유는 ‘어부’는 속뜻으로 말씀으로부터 진리를 낚아 올리는 사람들이며, 그 진리를 통해 거듭나는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것보다 더 높은 차원의 어부가 있습니다. 즉 진리를 가지고 다른 사람들을 가르쳐 그들로 거듭나게 하는 사람입니다. 그러니까 어부는 자신을 구원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구원을 위해 헌신하는 사람입니다. 흔히 자신만 구원받으면 된다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렇지 않습니다. 그런 생각을 가지고 신앙생활을 하면 자칫 구원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자신의 구원만 생각하는 것은 이기적인 생각이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사람은 자신의 구원뿐만 아니라 이웃의 구원을 위해서도 노력해야 합니다. 그러면 이웃이 진리를 원하지 않는데도 그들에게 진리를 가르쳐야 할까요? 새 교회 가르침에서는 이웃의 자유를 간섭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합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이웃이 진리 알기를 원할 때 가르쳐 주는 것입니다. 또 진리에 따라 경건한 삶을 사는 것입니다. 우리가 경건하고 진실한 삶을 살면 그것을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진리의 빛이 전해집니다. 그런 식으로 우리는 보다 높은 차원의 영적 어부가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주님은 어부의 배에 오르셔서 진리를 가르쳐 주십니다.

 

※ 그러나 현실적으로 우리 이웃이 ‘진리 알기를 원할 때’는 쉽지 않습니다. 교회 안 다니는 이웃은 고사하고, 교회를 다니는 사람은 물론 목회자나 사모, 교회 리더십들 역시 게 중에 참으로 ‘진리 알기’를 원하는 사람은 아주 극소수입니다. 대부분 자연적이기 때문인데, 그러니까 말씀의 겉면만, 즉 말씀을 피상적으로만 살펴 그저 지식으로만 소유하기 때문입니다. 말씀의 속, 그러니까 내적 의미에 마음을 쏟으며 실제 생활과 삶, 인격에 적용하고자 하는 사람은 오늘날 아주아주 희귀합니다. 고민입니다. 그러나 복음서 주님 계신 곳에는 항상 사람들이 모여들었던 것처럼 지금도 제 안에, 우리 참된 그리스도인 안에 주님이 계시면 그곳엔 사람들이 모일 줄 믿습니다.

 

두 번째, 주님은 그물을 씻는 사람에게 오셨습니다. 그물을 씻는다는 것이 무엇입니까? 진리를 얻기 위해 내면의 어떤 것을 깨끗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진리를 습득하려면 어떤 것이 있어야 할까요? 우선은 진리에 대한 애정이 있어야 합니다. 그다음은 진리를 이해하는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말하자면 그런 것들이 그물입니다. 그러므로 그물을 씻는 것은 내면의 애정을 순수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래야 진리에 대한 이해력이 밝아지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하면, 진리를 추구할 때, 그 애정이나 동기가 주님과 이웃을 향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그래야 진리를 이해하는 능력이 생깁니다. 왜냐하면, 내면의 동기가 순수하지 않을 때는 우리 내면에 천국과 통하는 문이 닫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항상 내면의 그물을 씻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세 번째, 주님은 시몬의 배로 들어가셨습니다. 주님께서 시몬에게 가신 이유는, ‘시몬’은 속뜻으로는 순종하는 신앙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진리를 믿으면서 순종하지 않는 사람이 많습니다. 우리가 진리에 순종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영적인 것보다 세상적인 것들을 더 사랑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주님의 나라보다 세상을 더 사랑할 때 내면에 천국과 통하는 문이 닫힙니다. 그래서 주님이 오실 수 없는 것입니다.

 

4말씀을 마치시고 시몬에게 이르시되 깊은 데로 가서 그물을 내려 고기를 잡으라

 

시몬의 배에 오르신 주님께서 사람들에게 말씀을 전하신 후, 시몬에게 ‘깊은 데로 가서 그물을 내려 고기를 잡으라’ 하십니다. 시몬은 오래 고기를 잡은 베테랑 어부였을 것입니다. 그래서 주님이 고기 잡는 방법을 가르쳐 주실 때, “주님, 제가 이 부분은 잘 압니다. 그러니 제게 맡기십시오.”라고 말할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만, 그러나 시몬은 그러지 않았습니다. 그러면 깊은 데는 어디입니까? 영적으로 깊은 곳은 높은 곳과 통합니다. 그러니까 가장 깊은 곳(inmost)은 천적인 등차(等差, degree), 단계, 즉 사랑의 단계를 뜻하고, 보통 깊은 곳은 영적인 단계, 즉 진리의 단계를 뜻합니다. 그리고 얕은 곳은 자연적인 단계를 뜻합니다. 따라서 주님께서 깊은 곳에 그물을 내리라 하시는 것은 사랑으로 진리를 구하라는 뜻입니다. 다시 말하면 진리를 구할 때, 자신의 이익을 위해 구하지 말고, 주님과 이웃을 위한 목적으로 구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주님은 요한복음 21장에서도 비슷한 말씀을 하셨는데요, 거기서 주님은 ‘그물을 배 오른편에 던지라 그리하면 잡으리라’(요21:6)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니까 깊은 데로 그물을 던지는 것과 오른편으로 던지는 것은 같은 의미입니다. 오른편도 사랑이요 선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5시몬이 대답하여 이르되 선생님 우리들이 밤이 새도록 수고하였으되 잡은 것이 없지마는 말씀에 의지하여 내가 그물을 내리리이다 하고

 

그러자 시몬이 ‘선생님 우리들이 밤이 새도록 수고하였으되 잡은 것이 없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시몬은 거기서 그치지 않고, ‘그러나 말씀에 의지하여 내가 그물을 내리겠습니다’라고 했습니다. 그것은 우리 신앙인들이 자신의 생각을 내려놓고, 진리에 순종하는 순간입니다. 시몬과 동료들이 밤을 새워 고기를 잡았다고 했는데, 밤은 무슨 뜻입니까? ‘’은 사랑이 없는 때입니다. 늘 말씀드리지만, 신앙인의 영적 상태는 항상 일정하지 않습니다. 사랑의 크기에 따라 아침과 낮, 저녁과 밤으로 수시로 변합니다. 그래서 밤은 주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은 없고 오직 자아에 대한 사랑만 있는 때입니다. 그런 상태에서 진리의 고기를 잡으려 할 때는 고기가 잡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시몬의 일행은 밤새 고기를 잡으려고 했으나 아무 소득이 없었던 것입니다. 주님의 말씀을 들은 시몬이 말씀에 의지하여 그물을 깊은 곳에 던졌습니다.

 

6그렇게 하니 고기를 잡은 것이 심히 많아 그물이 찢어지는지라 7이에 다른 배에 있는 동무들에게 손짓하여 와서 도와 달라 하니 그들이 와서 두 배에 채우매 잠기게 되었더라

 

그러자 그물이 찢어질 정도로 고기가 잡혔습니다. 좀 전에 말씀드린 것처럼 깊은 곳에 그물을 던진 것은 자기 사랑이 아니라 주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으로 진리를 구하는 행동입니다. 그랬더니 주님께서 쏟아붓듯이 진리의 깨달음을 주셨습니다. 그리고 그때 우리 내면에 있던 그물이 찢어집니다. ‘그물이 찢어진다’는 것이 무엇입니까? 그동안의 진리에 대한 불순한 애정이 깨지는 것입니다. 그렇게 불순한 애정이 깨질 때 진리에 대한 새로운 이해력이 생깁니다. 그물이 찢어진다는 것은 그런 것입니다. 따라서 이 말씀은 진리에 대한 순수한 사랑이 아니면 어떤 영적 성취도 이룰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물이 찢어지려고 하자 시몬이 다른 배에 있던 동료들에게 도움을 청했습니다. 동료들이 와서 거들자 두 배에 물고기들이 가득하여 배가 가라앉을 정도가 됐습니다. ‘두 배에 물고기가 가득 찼다’는 것은 교리의 선과 교리의 진리가 하나로 결합하는 것을 뜻합니다. 말씀에서 둘이란 수는 선과 진리의 결합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배우는 교리 중에는 진리도 있고, 선도 있습니다. 그러면 교리의 진리는 무엇이고, 교리의 선은 무엇일까요? 명확하게 구별하기는 어렵지만, 제가 이해하기로는 이렇습니다. 선은 본질에 있어 밖으로 뻗치는 성질이 있습니다. 반대로 진리는 안으로 단속하고 절제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따라서 주님의 계명 가운데 하지 말라고 하는 것은 교리의 진리에 가깝다고 보고요, 적극적으로 행해야 하는 것은 교리의 선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십계명에도 열 가지 계명 중에 아홉 가지는 하지 말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 행해야 하는 것은 네 부모를 공경하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선과 진리의 결합이란, 먼저 계명에 반하는 악을 행하지 말고, 그런 다음 계명에 따라 선을 행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두 배에 물고기가 가득한 상태입니다. 그런데 두 배에 가득 물고기를 채웠더니 배가 가라앉으려 했습니다. 배가 가라앉는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그것은 좀 전에 그물이 찢어지는 것과 비슷한 의미입니다. 즉 주님이 주시는 진리와 선의 결합을 통해서 내면의 교회가 개혁되는 것입니다. 교회가 개혁된다는 것은 이전 낡은 교회가 새로운 교회로 거듭나는 것을 말합니다.

 

주님께서 깊은 데로 그물을 내리라 하셨을 때에 신앙이 깊은 시몬조차 긴가민가했을 것입니다. 그런데 의외로 그물이 찢어질 정도로 고기가 잡혔습니다. 시몬은 놀라 주님 발 앞에 완전히 엎드렸습니다. 8절에서는 그것을 이렇게 표현합니다.

 

8시몬 베드로가 이를 보고 예수의 무릎 아래에 엎드려 이르되 주여 나를 떠나소서 나는 죄인이로소이다 하니 9이는 자기 및 자기와 함께 있는 모든 사람이 고기 잡힌 것으로 말미암아 놀라고 10세베대의 아들로서 시몬의 동업자인 야고보와 요한도 놀랐음이라...

 

자아 사랑이 아닌 주님 사랑으로 참 진리를 얻고, 그것으로 거듭나기 시작할 때, 그때 우리는 비로소 주님 앞에 죄인임을 고백할 수 있습니다. 그 전에 우리가 가지고 있던 진리는 선이 없는 진리였고, 그래서 그것으로는 겸손해질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시몬이 주님 앞에 엎드려 ‘나는 죄인이로소이다’라고 자복한 것은, 주님으로부터 참 진리, 즉 선이 있는 진리를 받았을 때, 비로소 자아 사랑으로 했던 모든 일들이 주님께 큰 죄였다는 것을 깨닫는 것입니다.

 

9...예수께서 시몬에게 이르시되 무서워하지 말라 이제 후로는 네가 사람을 취하리라 하시니

 

주님의 발 앞에 엎드려 있는 시몬에게 주님께서 ‘무서워하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성(聖) 문서에서는 시몬이 느낀 두려움을 ‘거룩한 두려움’이라고 표현합니다. 말씀에는 거룩한 두려움을 느꼈던 사람들이 여럿 있습니다. 다니엘이 주님을 뵈었을 때, 죽은 자처럼 땅에 엎드러졌습니다. 주님으로부터 계시록을 받는 순간, 요한도 극도의 두려움을 느꼈습니다. 이들이 느낀 두려움이 모두 거룩한 두려움입니다. 그것을 거룩한 두려움이라고 말하는 것은, 그것이 주님에 대한 지극한 겸손과 공경에서 나오는 두려움이기 때문입니다. 그때 주님께서 우리에게 ‘두려워하지 말라’고 말씀하십니다. ‘두려워하지 말라’는 말씀은 주님에 의해 죽었던 영혼이 다시 살아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왜냐하면 주님께서 우리의 겸손함을 보시고 두려워하지 말라 하실 때 우리의 죽었던 영성이 소생되기 때문입니다. 두려워하지 말라 하신 주님께서 다시 시몬에게 ‘이제 후로는 네가 사람을 취하리라’ 하셨습니다. 고기를 잡는 어부가 아니라, 이후로는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리라는 것입니다. 사람을 낚는 어부란 어떤 것입니까? 이웃에게 진리를 가르치고 진리로 거듭날 수 있도록 돕는 사람이 바로 사람을 낚는 어부 입니다. 11절에는 시몬 베드로와 동료 야고보와 요한이 주님을 따라나서는 모습을 이렇게 기록합니다.

 

11...그들이 배들을 육지에 대고 모든 것을 버려두고 예수를 따르니라

 

주님께서 시몬에게 ‘이제 후로는 네가 사람을 취하리라’ 말씀하시자 시몬뿐만 아니라, 야고보와 요한도 주님을 따라나섰습니다. 말씀에는 그들이 모든 것을 버려두고 나섰다고 합니다. 대단한 신앙이고 용기가 아닐 수 없습니다.

 

※ 저는 36세이던 젊은 시절, 대학 후 입사하여 잘 다니던 대기업을 퇴사, 어느 교회의 교회 직원으로 들어갔습니다. 어린 두 아들과 아내의 희생을 마다하고 말입니다. 그 결정으로 이후 저희의 삶은 매우 고단하였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그 모든 과정이 너무나 미숙하고 안타깝습니다만,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님은 그 모든 일을 선으로 돌려 오늘의 저와 저희 가정으로 인도하셨습니다. 그래서 특히 제게는 저 표현, ‘모든 것을 버려두고 예수를 따르니라’라는 표현이 정말 가슴에 와닿습니다.

 

주님은 왜 시몬뿐 아니라 야고보와 요한도 함께 제자로 받아들이셨을까요? 그 세 사람을 통해 주님의 제자들이 갖춰야 할 덕목이 어떤 것인지를 말씀하시려는 것입니다. ‘시몬’과 ‘야고보’와 ‘요한’은 각각 신앙과 체어리티, 그리고 체어리티의 삶을 표상합니다. 그러므로 세 가지 중 어느 것 하나도 없어선 안 됩니다. 그래서는 주님의 제자가 될 수 없습니다. 신앙만 있어도 안 되고, 체어리티만 있어도 안 되며, 체어리티의 삶만으로도 안 됩니다. 신앙과 체어리티, 체어리티의 구체적인 삶이 함께 있어야 주님의 제자가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주님께서 ‘이제 후로는 네가 사람을 취하리라’ 말씀하셨을 때, 시몬과 야고보, 요한이 모두 주님을 따라나섰던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시몬과 요한과 야고보는 주님의 첫 번째 제자가 되었습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주님께서 가장 사랑하신 제자인 시몬 베드로와 야고보, 요한은 모두 어부였습니다. ‘어부’는 속뜻으로 진리를 탐구하고 그것을 통해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입니다. 그리고 동시에 다른 사람에게 진리를 가르쳐 그들을 구원으로 이끄는 사람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영적인 어부는 나의 구원과 이웃의 구원을 함께 생각하는 사람이며, 나아가서 이웃의 구원을 위해 자신을 버릴 줄 아는 사람입니다. 그것이 주님께서 어부를 제자로 선택하신 이유입니다. 그러면 주님의 제자가 된 어부들은 어떤 자질들을 가지고 있었을까요? 그들은 첫째, 그물을 씻는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물을 씻는다는 것은 내면의 애정을 살피면서 그 속의 악하고 거짓된 것을 씻어내기 위해 항상 노력한다는 뜻입니다. 둘째, 시몬과 같이 진리에 순종하는 사람입니다. 베테랑 어부였을 시몬은 목수 출신이셨을 주님의 ‘깊은 데로 가서 그물을 내려 고기를 잡으라’는 말씀에 토 달지 않고 순종했습니다. 주님의 제자들에게는 이렇듯 훌륭한 자질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자질은 잠재적인 것이며, 아직 완성된 것은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말씀에 여러 차례 기록된 베드로의 성정(性情)을 보면 알 수 있지요. 그들 역시 보통 사람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주님을 만나기 전에 밤을 새워 고기를 잡았고, 소득 없는 나날을 보내야 했습니다. 다시 말하면, 그들도 처음 진리를 배울 때는 자아 사랑으로 시작했고, 그래서 참 진리를 얻을 수 없었다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주님은 그들을 택하셔서 훗날 주님을 위해 자기를 버릴 수 있는 위대한 사도로 키우셨습니다.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주님께서 우리의 어떤 면을 보시고 우리를 이 진리 가운데로 인도하셨는지 우리는 잘 모릅니다. 다만 분명한 것은, 주님은 우리 각 사람의 약점을 덮으시고, 장점을 키워주신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순진한 마음으로 주님께 순종할 때 주께서 우리를 이 시대에 필요한 어부로 키워주실 것을 믿습니다. 주님의 그런 은혜가 모든 성도님과 함께하시기를 간절히 기도합니다.

 

 

23배들을 바다에 띄우며 큰 물에서 일을 하는 자는 24여호와께서 행하신 일들과 그의 기이한 일들을 깊은 바다에서 보나니 (시107:23-24)

 

아멘

 

원본

2017-09-24(D1)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

 

설교

2023-03-27(D2)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026. 2023-03-27(D2)-매일예배(2443, 눅5,1-11), '깊은 데로 가서 그물을 내려 고기를 잡으라'.pdf
0.48MB
천국과지옥.1.36.318-328.'천국의 비기독교인들'.scan.pdf
0.73MB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