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277, 창3:19, '네가 흙으로 돌아갈 때까지 얼굴에 땀을 흘려야'(AC.275-279) - '사람, 흙, 먹을 것, 동산'의 속뜻

 

19절, 네가 흙으로 돌아갈 때까지 얼굴에 땀을 흘려야 먹을 것을 먹으리니 네가 그것에서 취함을 입었음이라 너는 흙이니 흙으로 돌아갈 것이니라 하시니라 In the sweat of thy face shalt thou eat bread, till thou return unto the ground; for out of it wast thou taken; for dust thou art, and unto dust shalt thou return.

 

277

이것은 속뜻입니다. 글자의 뜻, 겉뜻에만 집중하는 사람은 얼굴에 땀을 흘려야 먹을 것을 먹으리니’라는 표현을 사람은 자기가 먹을 걸 땅을 갈아 힘들게 구해야 한다는 의미로만 이해합니다만, 그러나 여기서 사람은 어떤 한 사람이 아닌, 태고교회를 말하는 것입니다. ‘(ground)도 흙을, ‘먹을 것(bread)도 먹을 것을, ‘동산(garden)도 동산을 말하는 게 아니라 천적, 영적인 것들을 말하는 것이고요. 지금까지 충분히 말씀드린 대로 말입니다. This is the internal sense. He who keeps close to the letter, understands no other than that man must procure bread for himself out of the ground by labor, or by the sweat of his face. “Man” however does not here mean any one man, but the most ancient church; nor does “ground” mean ground, nor “bread” bread, nor “garden” garden, but celestial and spiritual things, as has been sufficiently shown.

Posted by bygracetistory
,

 AC.276, 창3:19, '네가 흙으로 돌아갈 때까지 얼굴에 땀을 흘려야'(AC.275-279) - '얼굴에 땀을 흘려야 먹을 것을 먹으리니'의 속뜻

 

19절, 네가 흙으로 돌아갈 때까지 얼굴에 땀을 흘려야 먹을 것을 먹으리니 네가 그것에서 취함을 입었음이라 너는 흙이니 흙으로 돌아갈 것이니라 하시니라 In the sweat of thy face shalt thou eat bread, till thou return unto the ground; for out of it wast thou taken; for dust thou art, and unto dust shalt thou return.

 

276

얼굴에 땀을 흘려야 먹을 것을 먹으리니(to eat bread in the sweat of the face)의 의미가 천적(天的)인 걸 싫어하는 것(to be averse to what is celestial)은, ‘먹을 것(bread)이 상징하는 걸 보면 분명한데요, 먹을 것은 영적, 천적인 모든 것, 곧 천사들의 양식을 의미합니다. 만일 이것이 없으면, 즉 박탈되면 천사들은 삶을 영위할 수 없는 것이, 사람들의 경우도 마찬가지임을 보면 알 수 있지요. 이렇게 천국의 천적, 영적인 것이 지상의 먹을 것과 상응한다는 사실은 말씀 여러 구절에서 볼 수 있습니다. 주님은 '먹을 것', 곧 ''(bread)이신데요, 주님으로부터 천적, 영적인 모든 것이 나오기 때문임을 주님은 친히 요한복음에서 가르치고 계십니다. That to “eat bread in the sweat of the face” signifies to be averse to what is celestial is evident from the signification of “bread.” By “bread” is meant everything spiritual and celestial, which is the food of the angels, on the deprivation of which they would cease to live as certainly as men deprived of bread or food. That which is celestial and spiritual in heaven also corresponds to bread on earth, by which moreover they are represented, as is shown by many passages in the Word. That the Lord is “bread,” because from him proceeds whatever is celestial and spiritual, he himself teaches in John:

 

이것은 하늘에서 내려온 떡이니 조상들이 먹고도 죽은 그것과 같지 아니하여 이 떡을 먹는 자는 영원히 살리라 (요6:58) This is the bread that cometh down from heaven; he that eateth of this bread shall live to eternity. (John 6:58)

 

그래서 또한  빵과 포도주가 성찬(聖餐, the holy supper) 심볼들로 정해진 것이며, 만나 또한 이 천적인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천사들의 양식이 천적, 영적인 것으로 되어 있다는 사실은 주님의 말씀으로부터, Wherefore also bread and wine are the symbols employed in the holy supper. This celestial is also represented by the manna. That what is celestial and spiritual constitutes the food of angels is manifest from the Lord’s words: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기록되었으되 사람이 떡으로만 살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입으로부터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살 것이라 하였느니라 하시니 (마4:4) Man shall not live by bread alone, but by every word that proceedeth out of the mouth of God, (Matt. 4:4)

 

주님의 생명, 즉 모든 천적, 영적인 것이 주님의 생명으로부터 나오는 걸 볼 때 분명합니다. that is, from the life of the Lord, from which comes everything celestial and spiritual.

 

[2] 태고 교회의 마지막 후손이지요, 홍수 직전까지 존재했고, 지금 다루고 있는, 이들 후손은 신앙의 진리가 무엇인지, 주님은 어떤 분이신지, 혹은 주님이 오셔서 그들을 구원하실 것이라는 사실 등에 관해 더 이상 일체 귀 기울여 들으려고도 하지 않을 정도로 감각 및 육체의 일에 너무나도 철저히 잠겨 길을 잃었으며, 이런 주제들이 언급될 때면 고개를 돌려버리는, 그런 후손이었는데요, 이런 혐오를 얼굴에 땀을 흘려야 먹을 것을 먹으리니’로 표현한 것입니다. 유대인들 또한 그랬는데요, 그들은 천적인 것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인정하지 않고, 대신 오직 세속적 메시아만을 원하는 그런 캐릭터들이 되어버린 결과, 만나를 보고 혐오를 느끼지 않을 수 없었던 것입니다. 만나는 주님에 대한 표상이었기 때문이었는데, 그들은 이것을 하찮은 음식(vile bread)이라고 했고, 이런 이유로, 불뱀이 그들 가운데 온 것입니다 (21:5-6). 게다가 그들이 눈물 가운데 있을 때, 역경과 비참이라는 상태로 그들에게 전달된 천적인 것들을 가리켜 그들은 말하기를, ‘역경의 빵’, ‘비참의 빵’ 및 ‘눈물의 빵’이라 하였습니다. 현 본문에서는 혐오와 함께 받은 걸 ‘얼굴에 땀을 흘려야 먹을 것을 먹으리니’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The last posterity of the most ancient church, which existed immediately before the flood, and is here treated of, had become so thoroughly lost and immersed in sensuous and bodily things, that they were no longer willing to hear what was the truth of faith, what the Lord was, or that he would come and save them; and when such subjects were mentioned they turned away. This aversion is described by “eating bread in the sweat of the face.” So also the Jews, in consequence of their being of such a character that they did not acknowledge the existence of heavenly things, and desired only a worldly messiah, could not help feeling an aversion for the manna, because it was a representation of the Lord, calling it “vile bread,” on which account fiery serpents were sent among them (Num. 21:5, 6). Moreover the heavenly things imparted to them in states of adversity and misery, when they were in tears, were called by them the “bread of adversity,” the “bread of misery,” and the “bread of tears.” In the passage before us, that which was received with aversion is called the “bread of the sweat of the face.”

 

5백성이 하나님과 모세를 향하여 원망하되 어찌하여 우리를 애굽에서 인도해 내어 이 광야에서 죽게 하는가 이 곳에는 먹을 것도 없고 물도 없도다 우리 마음이 이 하찮은 음식을 싫어하노라 하매 6여호와께서 불뱀들을 백성 중에 보내어 백성을 물게 하시므로 이스라엘 백성 중에 죽은 자가 많은지라 (민21:5-6)

Posted by bygracetistory
,

 AC.275, 창3:19, '네가 흙으로 돌아갈 때까지 얼굴에 땀을 흘려야'(AC.275-279) - '창3:19'의 속뜻 개요

 

19절, 네가 흙으로 돌아갈 때까지 얼굴에 땀을 흘려야 먹을 것을 먹으리니 네가 그것에서 취함을 입었음이라 너는 흙이니 흙으로 돌아갈 것이니라 하시니라 In the sweat of thy face shalt thou eat bread, till thou return unto the ground; for out of it wast thou taken; for dust thou art, and unto dust shalt thou return.

 

275

얼굴에 땀을 흘려야 먹을 것을 먹으리니(eating bread in the sweat of the face)는 천적(天的)인 것을 싫어하게 되었음(to be averse to what is celestial)을, ‘취함을 입은 그 흙으로 돌아감(to return to the ground from whence he was taken)은 겉 사람, 즉  거듭남 이전 상태로 돌아가는 것(to relapse into the external man, such as he was before regeneration)을, ‘너는 흙이니 흙으로 돌아갈 것이니라(dust thou art, and unto dust shalt thou return)는 그가 정죄를 받고, 지옥과 같은 상태가 됨(he is condemned and infernal)을 말합니다. By “eating bread in the sweat of the face,” is signified to be averse to what is celestial; to “return to the ground from whence he was taken,” is to relapse into the external man, such as he was before regeneration; and “dust thou art, and unto dust shalt thou return” signifies that he is condemned and infernal.

Posted by bygracetistory
,

 AC.274, 창3:18, '땅이 네게 가시덤불과 엉겅퀴를 낼 것이라'(AC.272-274) - '먹을 것은 밭의 채소인즉'의 속뜻

 

18절, 땅이 네게 가시덤불과 엉겅퀴를 낼 것이라 네가 먹을 것은 밭의 채소인즉 And the thorn and the thistle shall it bring forth unto thee, and thou shalt eat the herb of the field.

 

274

먹을 것은 밭의 채소인즉(to eat the herb of the field)(즉, 거친 음식)이 들짐승처럼 사는 것(to live like a wild animal)임은, 다니엘서 느부갓네살에 관한 말씀을 보면 분명합니다. That to “eat the herb of the field” (that is, wild food) denotes to live like a wild animal, is evident from what is said of Nebuchadnezzar in Daniel:

 

왕이 사람에게서 쫓겨나서 들짐승과 함께 살며 소처럼 풀을 먹으며 하늘 이슬에 젖을 것이요 이와 같이 일곱 때를 지낼 것이라 그때에 지극히 높으신 이가 사람의 나라를 다스리시며 자기의 뜻대로 그것을 누구에게든지 주시는 줄을 아시리이다 (단4:25) They shall drive thee from man, and thy dwelling shall be with the beast of the field; they shall make thee to eat grass as oxen, and seven times shall pass over thee. (Dan 4:25)

 

그리고 이사야에서 And in Isaiah:

 

26네가 어찌하여 듣지 못하였느냐 이 일들은 내가 태초부터 행한 바요 상고부터 정한 바로서 이제 내가 이루어 네가 견고한 성읍들을 헐어 돌무더기가 되게 하였노라 27그러므로 그 주민들이 힘이 약하여 놀라며 수치를 당하여 들의 풀 같이, 푸른 나물 같이, 지붕의 풀 같이, 자라지 못한 곡초 같이 되었느니라 (사37:26–27) Hast thou not heard how I have done it long ago, and from the days of old have I formed it; now have I brought it to pass, and it shall be to lay waste bulwarks, fenced cities, in heaps; and their inhabitants, short of hand, were dismayed and put to shame; they were made the grass of the field, and the green [olus] of the herb, the grass of the housetops, and a field parched before [coram] the standing corn. (Isa. 37:26–27)

 

여기 ‘들의 풀’, ‘푸른 나물’, ‘지붕의 풀’, 그리고 ‘곡초’가 상징하는 것이 무엇인지가 설명되어 있는데요, 여기서 다룬 주제가 홍수 전 시대, 곧 ‘태초’와 ‘상고’로 표현된 시대이기 때문입니다. Here it is explained what is signified by the “grass of the field,” the “green of the herb,” the “grass on the housetops,” and a “field parched”; for the subject here treated of is the time before the flood, which is meant by “long ago,” and the “days of old.”

Posted by bygracetistory
,

 AC.273, 창3:18, '땅이 네게 가시덤불과 엉겅퀴를 낼 것이라'(AC.272-274) - '가시덤불과 엉겅퀴'의 속뜻

 

18절, 땅이 네게 가시덤불과 엉겅퀴를 낼 것이라 네가 먹을 것은 밭의 채소인즉 And the thorn and the thistle shall it bring forth unto thee, and thou shalt eat the herb of the field.

 

273

가시덤불과 엉겅퀴’가 저주와 황폐함을 상징한다는 것은, 정 반대되는 것들, 곧 축복과 번성을 가리키는 추수와 과실 나무를 보면 분명합니다. 가시덤불’, ‘엉겅퀴’, ‘들장미’, ‘가시덩굴  찔레 등이 그런 상징, 곧 저주와 황폐를 상징한다는 것은 말씀을 보면 분명한데요, 호세아입니다. That the “thorn and the thistle” signify curse and vastation, is evident from harvest and fruit tree denoting the opposites, which are blessings and multiplications. That the “thorn,” the “thistle,” the “brier,” the “bramble,” and the “nettle,” have such a signification, is evident from the Word, as in Hosea:

 

보라 그들이 멸망을 피하여 갈지라도 애굽은 그들을 모으고 놉은 그들을 장사하리니 그들의 은은 귀한 것이나 찔레가 덮을 것이요 그들의 장막 안에는 가시덩굴이 퍼지리라 (호9:6) Lo, they are gone away because of the vastation; Egypt shall gather them; Memphis shall bury them; their desirable things of silver, the nettle shall inherit them; the bramble shall be in their tents. (Hos. 9:6)

 

여기 ‘애굽’과 ‘’은 주님의 것들(Divine things)을 자신들과 자기들이 소유한 기억-지식들, 곧 세상 것들을 가지고 이해하고자 애쓰는, 그런 헛된 노력을 가리킵니다. 같은 예언서에서, Here “Egypt” and “Memphis” denote such as seek to understand Divine things from themselves and their own memory-knowledges. In the same prophet:

 

이스라엘의 죄 곧 아웬의 산당은 파괴되어 가시와 찔레가 그 제단 위에 날 것이니 그때에 그들이 산더러 우리를 가리라 할 것이요 작은 산더러 우리 위에 무너지라 하리라 (호10:8) The lofty places of Aven, the sin of Israel, shall be destroyed; the thorn and the thistle shall come up upon their altars, (Hos. 10:8)

 

여기 ‘아웬의 산당’은 자기 사랑을, ‘가시와 찔레가 그 제단 위에’는 신성모독(profanation)을 상징합니다. 이사야에서, where the “lofty places of Aven” signify the love of self; and the “thorn and thistle on the altars,” profanation. In Isaiah:

 

12그들은 좋은 밭으로 인하여 열매 많은 포도나무로 인하여 가슴을 치게 될 것이니라 13내 백성의 땅에 가시와 찔레가 나며 희락의 성읍, 기뻐하는 모든 집에 나리니 (사32:12–13) Mourning upon the paps for the fields of desire, for the fruitful vine; upon the ground of my people shall come up the briery thorn. (Isa. 32:12–13)

 

그리고 에스겔에서 And in Ezekiel:

 

이스라엘 족속에게는 그 사방에서 그들을 멸시하는 자 중에 찌르는 가시와 아프게 하는 가시가 다시는 없으리니 내가 주 여호와인 줄을 그들이 알리라 (겔28:24) There shall be no more a pricking brier unto the house of Israel, nor a painful thorn from all that are round about them. (Ezek. 28:24)

Posted by bygracetistory
,

 AC.272, 창3:18, '땅이 네게 가시덤불과 엉겅퀴를 낼 것이라'(AC.272-274) - '창3:18 속뜻 개요'

 

18절, 땅이 네게 가시덤불과 엉겅퀴를 낼 것이라 네가 먹을 것은 밭의 채소인즉 And the thorn and the thistle shall it bring forth unto thee, and thou shalt eat the herb of the field.

 

272

가시덤불과 엉겅퀴(the thorn and the thistle)는 저주와 황폐(curse and vastation)를, ‘네가 먹을 것은 밭의 채소인즉(thou shalt eat the herb of the field)은 그가 들짐승(a wild animal)처럼 살게 될 것을 말합니다. 사람은 그의 속 사람이 겉 사람하고 가장 기본적인 방식, 그러니까 일반적으로 밖에는 어떻게 할 수 없을 정도로 분리되었을 때는 들짐승처럼 삽니다. 사람은 그의 속 사람을 통해 주님으로부터 받는 걸로는 사람이지만, 겉 사람한테서 나오는 걸로는 들짐승이기 때문입니다. 속 사람과 분리된 겉 사람은 그 자체로는 들짐승과 다를 바 없어, 들짐승 같은 본성, 욕구, 식욕, 공상 및 감각을 가지며, 유기적 형태에서도 그렇습니다. 그럼에도 불구, 그는 여전히 이성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이때에도 그는 마치 자기가 잘나서 그런 줄 알며, 심지어 아주 예리하기까지 하지요. 그러나 사실은 어떤 영적 실체(spiritual substance), 곧  주님으로 말미암는 생명의 인플럭스(入流, the influx of life from the Lord)를 받는 것입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인플럭스는 이런 사람 안에서는 거꾸로 뒤집혀 악한 생명이 됩니다. 이것이 바로 죽음이며, 그래서 그를 가리켜 죽은 사람이라 하는 것입니다. By the “thorn and the thistle” are meant curse and vastation; and by “thou shalt eat the herb of the field” is signified that he should live as a wild animal. Man lives like a wild animal when his internal man is so separated from his external as to operate upon it only in a most general manner, for man is man from what he receives through his internal man from the Lord, and is a wild animal from what he derives from the external man, which, separated from the internal, is in itself no other than a wild animal, having a similar nature, desires, appetites, fantasies, and sensations, and also similar organic forms. That nevertheless he is able to reason, and, as it seems to himself, acutely, he has from the spiritual substance by which he receives the influx of life from the Lord, which is however perverted in such a man, and becomes the life of evil, which is death. Hence he is called a dead man.

Posted by bygracetistory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AC.271, 창3:17, '아담에게 이르시되 네가 네 아내의 말을 듣고'(AC.267-271) - '네 평생에'의 속뜻

 

17절, 아담에게 이르시되 네가 네 아내의 말을 듣고 내가 네게 먹지 말라 한 나무의 열매를 먹었은즉 땅은 너로 말미암아 저주를 받고 너는 네 평생에 수고하여야 그 소산을 먹으리라 And unto the man he said, Because thou hast hearkened unto the voice of thy wife, and hast eaten of the tree of which I commanded thee, saying, Thou shalt not eat of it; cursed is the ground for thy sake; in great sorrow shalt thou eat of it all the days of thy life.

 

271

네 평생에(all the days of thy life)가 그 교회 시대의 종말에 대한 상징인 것은 여기서 다룬 주제가 어느 한 개인이 아닌, 그 교회와 그 상태에 관한 것이라는 사실로 분명합니다. 그 교회 시대의 종말은 홍수의 때였습니다. That “all the days of thy life” signifies the end of the days of the church is evident from the fact that the subject here treated of is not an individual man, but the church and its state. The end of the days of that church was the time of the flood.

Posted by bygracetistory
,

 AC.270, 창3:17, '아담에게 이르시되 네가 네 아내의 말을 듣고'(AC.267-271) - '수고하여야 그 소산을 먹으리라'의 속뜻

 

17절, 아담에게 이르시되 네가 네 아내의 말을 듣고 내가 네게 먹지 말라 한 나무의 열매를 먹었은즉 땅은 너로 말미암아 저주를 받고 너는 네 평생에 수고하여야 그 소산을 먹으리라 And unto the man he said, Because thou hast hearkened unto the voice of thy wife, and hast eaten of the tree of which I commanded thee, saying, Thou shalt not eat of it; cursed is the ground for thy sake; in great sorrow shalt thou eat of it all the days of thy life.

 

270

수고하여야 그 소산을 먹으리라(to eat of the ground in great sorrow)가 상징하는 게 삶의 비참한 상태(a miserable state of life)임은 ‘먹는 것(to eat)이 그 속뜻으로는 산다는 것(to live)이기 때문임은 말할 것도 없고, 앞뒤 내용들로도 분명한데요, 악한 영들(evil spirits)이 싸움을 시작하고, 수행, 수호 천사들(the attendant angels)은 애를 먹기 시작할 때, 그런 상태가 뒤따른다는 걸 보아도 분명합니다. 이런 삶의 상태는 악한 영들이 주도권을 잡기 시작할 때 더욱 비참해지는데요, 그때 악한 영들은 겉 사람을 장악, 다스리는데 반해 천사들은 단지 속 사람만 다스리는데, 속 사람 안에 리메인스가 거의 없어 그 사람을 방어, 보호하기 위해 꼭 필요한 것들을 조달할 수 없기 때문이며, 그 결과는 비참과 염려(misery and anxiety)의 일어남입니다. 죽은 사람들은 그런 비참과 염려에 좀처럼 예민하지 않습니다. 그들이 더 이상 사람이 아니기 때문인데요, 비록 그들이 자신들을 다른 누구보다도 더 그렇게, 즉 자신들을 사람으로 생각하더라도 말이지요. 그들은 더 이상 영적 천적인 것, 그리고 영원한 삶에 관해 짐승들보다도 더 아는 게 없는데, 이는 짐승들처럼 그 얼굴을 땅에 속한 것들을 향하거나 세속적인 것들을 향하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오운(own)에만 호의적이며, 래셔널(the rational)의 완전한 동의 하에 자신들의 성향과 감각에 전적으로 올인합니다. 이들은 죽은 상태이기 때문에 아무런 영적 전투나 시험 없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자신들이 어떤 사람들인지가 다 드러나게 되면, 이들의 삶은 그 무게로 가라앉을 것이며, 그 결과, 점점 더 자신들을 저주, 재촉, 계속해서 더 깊이깊이 지옥의 저주 안으로 들어가게 될 것입니다. 이들은 다른 삶, 곧 지옥이지요, 거기서는 무슨 시험이나 불행 때문에 죽음에 이를 위험 같은 건 전혀 없지만, 대신 가장 극심한 고통을 겪어야 하는, 그런 삶의 입구에 이를 때까지 이들은 이런 삶을 계속 살게 되는데, 이런 똑같은 상태를 본문에서는, ‘땅은 저주를 받고 너는 수고하여야 그 소산을 먹으리라(cursed is the ground for thy sake; in great sorrow shalt thou eat of it)로 상징한 것입니다. That to “eat of the ground in great sorrow” signifies a miserable state of life is evident from what precedes and follows, not to mention that to “eat,” in the internal sense, is to live. The same is evident also from the fact that such a state of life ensues when evil spirits begin to fight, and the attendant angels to labor. This state of life becomes more miserable when evil spirits begin to obtain the dominion; for they then govern the external man, and the angels only the internal man, of which so little remains that they can scarcely take anything thence with which to defend the man; hence arise misery and anxiety. Dead men are seldom sensible of such misery and anxiety, because they are no longer men, although they think themselves more truly so than others; for they know no more than the brutes of what is spiritual and celestial, and what is eternal life, and like them they look downward to earthly things, or outward to worldly ones; they favor only their own, and indulge their inclinations and senses with the entire concurrence of the rational. Being dead, they sustain no spiritual combat or temptation, and were they exposed to it their life would sink under its weight, and they could thereby curse themselves still more, and precipitate themselves still more deeply into infernal damnation: hence they are spared this until their entrance into the other life, where, being no longer in danger of dying in consequence of any temptation or misery, they endure most grievous sufferings, which likewise are here signified by the ground being cursed, and eating of it in great sorrow.

Posted by bygracetistory
,

 AC.269, 창3:17, '아담에게 이르시되 네가 네 아내의 말을 듣고'(AC.267-271) - '땅은 너로 말미암아 저주를 받고'의 속뜻

 

17절, 아담에게 이르시되 네가 네 아내의 말을 듣고 내가 네게 먹지 말라 한 나무의 열매를 먹었은즉 땅은 너로 말미암아 저주를 받고 너는 네 평생에 수고하여야 그 소산을 먹으리라 And unto the man he said, Because thou hast hearkened unto the voice of thy wife, and hast eaten of the tree of which I commanded thee, saying, Thou shalt not eat of it; cursed is the ground for thy sake; in great sorrow shalt thou eat of it all the days of thy life.

 

269

여호와 하나님(즉, 주님)이 ‘’, 즉 겉 사람을 ‘저주하신’ 게 아니라, 반대로 겉 사람이 속 사람한테서 스스로를 외면, 즉 분리했고, 그 결과 저주를 자초한 것인데요, 이것은 앞서 본 내용(AC.245)으로 분명합니다. That Jehovah God (that is, the Lord) did not “curse the ground,” or the external man, but that the external man averted or separated itself from the internal, and thus cursed itself, is evident from what was previously shown (n. 245).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