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구가 아래 본문과 글만 달랑 보내어 그에 대한 답 또한 달랑 보내봤습니다 ㅎㅎ

 

1어떤 사람들이 유대로부터 내려와서 형제들을 가르치되 너희가 모세의 법대로 할례를 받지 아니하면 능히 구원을 받지 못하리라 하니 2바울  바나바와 그들 사이에 적지 아니한 다툼과 변론이 일어난지라 형제들이 이 문제에 대하여 바울 바나바와 및 그 중의 몇 사람을 예루살렘에 있는 사도와 장로들에게 보내기로 작정하니라 (행‭15:1‭-‬2‬) Some people came from Judea and started teaching the Lord's followers that they could not be saved, unless they were circumcised as Moses had taught. This caused trouble, and Paul and Barnabas argued with them about this teaching. So it was decided to send Paul and Barnabas and a few others to Jerusalem to discuss this problem with the apostles and the church leaders. (Acts 15:1-2)

유대인의 전통인 할례 문제가 대두됩니다. 원래 할례는 구원받은 자의 표징이지 구원의 절대 조건이 아닙지요. 구원은 전적인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아브라함이 행위로 택함을 받은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로 택함을 받아 구원받은 백성이 되었습니다. 갑론을박이 커지자 문제의 정리를 위한 최초의 예루살렘 공회가 개최됩니다.

 

 

답변

 

구원이란 무슨 라이센스를 취득하는 그런 게 아니고, 내가 과연 그 나라에서 지낼 수 있는 성품, 역량이 되는가의 문제입니다.

 

주님 말씀하시길,

 

20바리새인들이 하나님의 나라가 어느 때에 임하나이까 묻거늘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하나님의 나라는 볼 수 있게 임하는 것이 아니요 21또 여기 있다 저기 있다고도 못하리니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느니라 (눅17:20-21)

 

하신 것도 그래서인데요, 쉽게 말씀드리면, 세계 최고 글로벌기업에 낙하산으로 들어간들 그곳에서 요구하는 업무역량을 갖추지 못하면 결국 못 견디고 나오게 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할례는 일종의 증명, 곧 사람이 하나님을 사랑한다는 일종의 증표 행위였습니다. 너희가 나를 사랑하여 정말 내게 속한, 내 백성임을 표현하고 싶으면 그 증표로 할례를 행하라는 것이지요. 즉 할례를 받았기 때문에 하나님의 백성이 되는 게 아니라 이미 하나님을 사랑하는 백성으로서 자기는 하나님께 속하였음을 표현하기 위해 할례를 받는, 순서상으로 정반대가 되는 개념이지요.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 마음과 네 자손의 마음에 할례를 베푸사 너로 마음을 다하며 뜻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게 하사 너로 생명을 얻게 하실 것이며 (신30:6)

 

그러므로 유대인들이 이 할례를 얼마나 오해하고 있었는지를 알 수 있고요, 그리고 또 개신교를 포함, 전체 기독교 역시 구원에다가 ‘은혜’라는 개념을 섞음으로써 이 할례의 의미를 이상하게 만들어 버린 것입니다.

 

은혜’의 참된 의미는 한 인간의 평생, 그가 선과 악, 진리와 거짓 중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동행하시겠다는 것이지, 그가 아직 천국에 머무를 내적 역량이 안 되는데도 그냥 교회 다니고 예수 믿는다 하니, 눈 한번 감아주시며 천국 입국을 허락하시는, 그런 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하신들, 그가 천국에 머무를 내적 역량, 곧 그의 속 사람이 이미 천국 상태가 아닌 이상, 그는 천국 문턱도 넘지 못하고 바로 뛰쳐나오게 되기 때문입니다.

 

거듭, ‘할례’란 주님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고대 교회가 요구했던, 겉 사람에 관련된 증표요, 예식이었음을, 그리고 오늘날에는 주님을 사랑해서 이웃을 사랑하는 체어리티(charity)의 삶으로 이 마음의 ‘할례’를 나타내야 함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어느 정도 답이 되었을까요? ㅎㅎ

Posted by bygracetistory
,

창2:5-6, AC.90-93

5여호와 하나님이 땅에 비를 내리지 아니하셨고 땅을 갈 사람도 없었으므로 들에는 초목이 아직 없었고 밭에는 채소가 나지 아니하였으며 6안개만 땅에서 올라와 온 지면을 적셨더라 Verse 5, 6. And there was no shrub of the field as yet in the earth, and there was no herb of the field as yet growing, because Jehovah God had not caused it to rain upon the earth. And there was no man to till the ground. And he made a mist to ascend from the earth, and watered all the faces of the ground.

 

※ 5, 6절 속뜻

 

여기 비, 안개는 천적 인간에게만 허락되는 천국 평화의 평온함입니다. 신앙의 진리, 사랑의 선의 생명이 바로 이 천국 평화의 기쁨에서 나옵니다. 이런 비가 내리지 않은 땅은 아직 천적 인간이 아닌 영적 인간입니다. 들의 초목, 밭의 채소는 겉 사람에게서 나오는 모든 것, 곧 그의 합리적 마인드와 기억에 속한 모든 것을 말하며, 나중에 그가 천적 인간이 되면 이 역시 천적 영적 기원, 곧 천국 평화의 샘에서 나옵니다.

 

 

90. ‘들에는 초목’(the shrub of the field)과 ‘밭에는 채소’(the herb of the field)는 보통은 겉 사람한테서 나오는 모든 걸 의미합니다. 겉 사람은 아직 영적 상태일 동안은 ‘땅’(earth)이라 하지만, 천적 상태가 되면 ‘땅’(ground), ‘들’(field), ‘밭’(field)이라 합니다. ‘비’(Rain)는, 이는 곧 ‘안개’(mist)라고 하게 되는데요, 전투가 그칠 때 오는 평화의 평온 상태(the tranquility of peace)입니다. By the “shrub of the field” and the “herb of the field” are meant in general all that his external man produces. The external man is called “earth” while he remains spiritual, but “ground” and also “field” when he becomes celestial. “Rain,” which is soon after called “mist,” is the tranquility of peace when combat ceases.

 

 

91. 그러나 이런 것들 안에 무엇이 들어있는지는 인간의 상태(what man’s state is)에 대해 알기 전까지는 지각하는 것이 불가능한데요(cannot possibly be perceived), 아주 깊숙이들 감추어져 있기 때문이지요.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인간의 상태란 영적 상태에서 천적 상태로 변화되어가는 동안의 상태를 말합니다. 그가 영적 상태에 있는 동안은 그의 겉 사람은 속 사람에게 아직 기꺼이 복종하려고도, 그리고 섬기려고도 하지 않으며, 그 결과 둘 사이엔 전투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의 상태가 천적 상태가 되면, 이때는 겉 사람이 속 사람에게 복종, 섬기기를 시작하고, 그 결과 전투가 그치며, 평온한 상태(tranquility)가 됩니다. (87번 글 참조) 이 평온한 상태를 ‘비’와 ‘안개’로 상징하는데요, 이는 마치 겉 사람이 속 사람으로부터 수분 공급을 받아 적셔지는 것 같기 때문이지요. ‘들에는 초목’, ‘밭에는 채소’라고 하는 것들은 특별히 천적 영적 기원(a celestial spiritual origin)에서 나오는 합리적 마인드와 기억에 관한(of the rational mind and of the memory, [rationalia et scientifica]) 것들인데요, 이것들은 바로 평화의 자녀, 후손(the offspring of peace)이라 할 수 있는 평온함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But what these things involve cannot possibly be perceived unless it is known what man’s state is while from being spiritual he is becoming celestial, for they are deeply hidden. While he is spiritual, the external man is not yet willing to yield obedience to and serve the internal, and therefore there is a combat; but when he becomes celestial, then the external man begins to obey and serve the internal, and therefore the combat ceases, and tranquility ensues (see n. 87). This tranquility is signified by “rain” and “mist,” for it is like a vapor with which the external man is watered and bedewed from the internal; and it is this tranquility, the offspring of peace, which produces what are called the “shrub of the field,” and the “herb of the field,” which, specifically, are things of the rational mind and of the memory [rationalia et scientifica] from a celestial spiritual origin.

 

 

92. 영적 전투라든지 탐욕과 거짓으로 인한 불안 같은 게 그칠 때, 그때 겉 사람에게 찾아오는 평화의 평온 상태의 본성(The nature of the tranquility of peace of the external man)은 평화라는 상태에 익숙한 사람들만이 알 수 있습니다. 이 상태는 모든 기쁨의 개념을 초월할 정도로 매우 기쁘고 즐거운 상태(so delightful)입니다. 이 상태는 전투가 끝난 상태일 뿐 아니라, 내적 평화에서 나오는 생명(life proceeding from interior peace)이며, 형용할 수 없는 방식으로 겉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상태입니다. 신앙의 진리, 사랑의 선 등 그 생명이 평화의 기쁨에서 나오는(which derive their life from the delight of peace) 이런 것들이 그때 태어납니다. The nature of the tranquility of peace of the external man, on the cessation of combat, or of the unrest caused by cupidities and falsities, can be known only to those who are acquainted with a state of peace. This state is so delightful that it surpasses every idea of delight: it is not only a cessation of combat, but is life proceeding from interior peace, and affecting the external man in such a manner as cannot be described; the truths of faith, and the goods of love, which derive their life from the delight of peace, are then born.

 

 

93. 천적 인간의 상태, 곧 비가 내려 생생해진(refreshed by the rain), 평화의 평온함(the tranquility of peace)이라는 선물을 받은, 그리고 악과 거짓의 노예라는 상태에서 변화 받은 천적 인간의 상태를 주님은 에스겔에서 이렇게 묘사하십니다. The state of the celestial man, thus gifted with the tranquility of peace—refreshed by the rain—and delivered from the slavery of what is evil and false, is thus described by the Lord in Ezekiel:

 

25내가 또 그들과 화평의 언약을 맺고 악한 짐승을 그 땅에서 그치게 하리니 그들이 빈 들에 평안히 거하며 수풀 가운데에서 잘지라 26내가 그들에게 복을 내리고 내 산 사방에 복을 내리며 때를 따라 소낙비를 내리되 복된 소낙비를 내리리라 27그리한즉 밭에 나무가 열매를 맺으며 땅이 그 소산을 내리니 그들이 그 땅에서 평안할지라 내가 그들의 멍에의 나무를 꺾고 그들을 종으로 삼은 자의 손에서 그들을 건져낸 후에 내가 여호와인 줄을 그들이 알겠고, 31내 양 곧 내 초장의 양 너희는 사람이요 나는 너희 하나님이라 (겔34:25-27, 31) I will make with them a covenant of peace, and will cause the evil wild beast to cease out of the land, and they shall dwell confidently in the wilderness, and sleep in the woods; and I will make them and the places round about my hill a blessing; and I will cause the rain to come down in his season; rains of blessing shall they be. And the tree of the field shall yield its fruit, and the earth shall yield its increase, and they shall be upon their ground in confidence, and shall know that I am Jehovah, when I have broken the reins of their yoke, and delivered them out of the hand of those that make them to serve them; and ye my flock, the flock of my pasture, ye are a man, and I am your God. (Ezek. 34:25–27, 31)

 

그리고 이것은 ‘셋째 날’(the third day)과 같은 건데요, 이 날은 말씀에서 ‘일곱째 날’(the seventh)과 같은 의미입니다. 호세아에 보면 말입니다. And that this is effected on the “third day,” which in the Word signifies the same as the “seventh,” is thus declared in Hosea:

 

2여호와께서 이틀 후에 우리를 살리시며 셋째 날에 우리를 일으키시리니 우리가 그의 앞에서 살리라 3그러므로 우리가 여호와를 알자 힘써 여호와를 알자 그의 나타나심은 새벽빛같이 어김없나니 비와 같이, 땅을 적시는 늦은 비와 같이 우리에게 임하시리라 하니라 (호6:2-3) After two days will he vivify us; in the third day he will raise us up, and we shall live before him and we shall know, and shall follow on to know Jehovah: his going forth is prepared as the dawn, and he shall come unto us as the rain, as the late rain watering the earth. (Hos. 6:2–3)

 

에스겔에서는 고대 교회에 대해 말하면서 이 상태를 ‘들의 풀같이 많게 하였다’(the growth of the field) 비유하고 있습니다.And that this state is compared to the “growth of the field” is declared by Ezekiel, when speaking of the ancient church:

 

내가 너를 들의 풀같이 많게 하였더니 네가 크게 자라고 심히 아름다우며 (겔16:7) I have caused thee to multiply as the growth of the field, and thou hast increased and hast grown up, and hast come to excellent ornaments. (Ezek. 16:7)

 

그리고 그걸 또 비교하기를 And it is also compared to:

 

그들은 내가 심은 가지요 내가 손으로 만든 것으로서 (사60:21) A shoot of the Lord’s planting, and a work of the hands of Jehovah God. (Isa. 60:21)

Posted by bygracetistory
,

창2:4, AC.89

4이것이 천지가 창조될 때에 하늘과 땅의 내력이니 여호와 하나님이 땅과 하늘을 만드시던 날에 Verse 4, These are the nativities of the heavens and of the earth when he created them, in the day in which Jehovah God made the earth and the heavens.

 

※ 4절 속뜻

 

천지창조 이야기가 앞 1장에 이어 여기 2장에서 또 반복되고 있는 이유는, 앞 1장이 영적 인간의 창조였다면, 여기 2장은 천적 인간의 창조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보는 이유는, ‘여호와’와 ‘하나님’이라는 두 호칭이 함께 사용된다는 점, 그리고 ‘땅과 하늘’이라는 순서가 ‘하늘과 땅’이라는 순서로 바뀐 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89. 하늘과 땅의 내력(The nativities of the heavens and of the earth)은 천적 인간의 형성(the formations of the celestial man), 즉 천적 인간이 빚어지는 과정입니다. 여기서 다루는 내용이 그의 빚어짐의 과정이라는 것은 이어지는 세부 내용들로 분명한데요, 가령 아직 채소가 나지 아니하였다(no herb was as yet growing), ‘땅을 갈 사람이 없었다(there was no man to till the ground)라든지, ‘여호와 하나님이 사람과 모든 가축, 하늘의 새를 지으셨다(Jehovah God formed man, and afterwards, he made every beast and bird of the heavens) 등을 보면 말입니다. 하지만 이들 빚으심에 관한 내용은 이미 앞장에서 다루어온 것임을 감안하면, 여기서는 또 다른 사람을 다루는 게 주(manifest)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다음 사실을 보면 더욱 분명한데요, 지금 처음으로 주님을 여호와 하나님(Jehovah God)으로 호칭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영적 인간을 다루던 이전 구절들에서는 단순히 하나님(God)이었던 호칭이 말입니다. 그리고 하나 더, 지금 (ground), ‘(field)이 언급되고 있는데요, 이전 구절들에서는 단순히 (earth)만 언급되더니 말입니다. 지금 본문인 4절에서는 또 (earth)보다 하늘(heaven)이 먼저 언급되고, 그러고 나서 나중에 이번에는 하늘보다 먼저 언급됩니다. 그 이유는 은 겉 사람, ‘하늘은 속 사람을 상징하기 때문인데요, 영적 인간에게 있어서는 개혁, 새롭게 빚어짐이라는 것이 ’, 즉 겉 사람으로부터 시작되는 반면, 천적 인간에게 있어서는, 이 사람이 지금 다루는 주제인데요, 반대로 속 사람, 하늘로부터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The “nativities of the heavens and of the earth” are the formations of the celestial man. That his formation is here treated of is very evident from all the particulars which follow, as that no herb was as yet growing; that there was no man to till the ground, as well as that Jehovah God formed man, and afterwards, that he made every beast and bird of the heavens, notwithstanding that the formation of these had been treated of in the foregoing chapter; from all which it is manifest that another man is here treated of. This however is still more evident from the fact that now for the first time the Lord is called “Jehovah God,” whereas in the preceding passages, which treat of the spiritual man, he is called simply “God”; and, further, that now “ground” and “field” are mentioned, while in the preceding passages only “earth” is mentioned. In this verse also “heaven” is first mentioned before “earth,” and afterwards “earth” before “heaven”; the reason of which is that “earth” signifies the external man, and “heaven” the internal, and in the spiritual man reformation begins from “earth,” that is, from the external man, while in the celestial man, who is here treated of, it begins from the internal man, or from “heaven.”

Posted by bygracetistory
,

창2:2-3, AC.84-88

2하나님이 그가 하시던 일을 일곱째 날에 마치시니 그가 하시던 모든 일을 그치고 일곱째 날에 안식하시니라 3하나님이 그 일곱째 날을 복되게 하사 거룩하게 하셨으니 이는 하나님이 그 창조하시며 만드시던 모든 일을 마치시고 그날에 안식하셨음이니라 Verse 2, 3. And on the seventh day God finished his work which he had made; and he rested on the seventh day from all his work which he had made. And God blessed the seventh day, and hallowed it; because that in it he rested from all his work which God in making created.

 

※ 2, 3절 속뜻

 

사람을 거듭나게 하는 육 일간의 일, 곧 영적 인간은 주님이 일하신(has worked) 날인 반면, 거듭남의 완성, 곧 천적 인간은 주님이 쉬시는(rest) 날, 곧 안식일(שבת 샤바트, sabbath)입니다. ‘일곱째 날’, 천적 인간, 안식일, 주님은 모두 같은 말입니다. 거듭난 당사자는 우리이지만 우리를 대신하여 싸우신 분은 주님이시므로 주님이 쉬시는 것입니다. 주님은 안식일을 성별하사 복되게 하셨고, 우리로 하여금 주님의 안식에 들어오기를 원하십니다. 이 과정이 거듭남입니다. ‘창조하다(create), ‘짓다(form), ‘만들다(make) 하는 표현들은 모두 사람의 거듭남과 관련된 표현들입니다. ‘주님의 일’은 사람을 거듭나게 하시는 일입니다.

 

 

84. 천적 인간(The celestial man)일곱째 날(the seventh day)이라고 하는데요, 지난 육 일간 주님이 일하셨기 때문에, 이날을 그가 하시던 일(his work)이라 하셨고, 이날 모든 영적 싸움이 그치기 때문에, ‘그가 하시던 모든 일을 그치고 안식하시니라(to rest from all his work) 하는 것입니다. 이런 이유로 일곱째 날이 거룩하게 되었으며, ‘안식(rest)을 뜻하는 히브리어를 따라 안식일(the sabbath)이라고 부르게 된 것입니다. 이렇게 인간은 창조됨(created), 지음 받음(formed), 만들어짐(made)을 받았는데요, 이런 내용은 말씀에서 아주 분명한 사실입니다. The celestial man is the “seventh day,” which, as the Lord has worked during the six days, is called “his work”; and as all combat then ceases, the Lord is said to “rest from all his work.” On this account the seventh day was sanctified, and called the sabbath, from a Hebrew word meaning “rest.” And thus was man created, formed, and made. These things are very evident from the words.

 

 

85. 천적 인간이 일곱째 날이라는 사실, 일곱째 날이 그래서 거룩하게 되었으며, 안식일로 부르게 되었다는 사실은 지금까지 발견된 적 없는 아르카나(arcana)입니다. 그 이유는 지금까지 아무도(none) 천적 인간의 본성에 대해 잘 알았던 사람이 없고, 영적 인간의 경우는 아주 약간(few)인데, 이들은 이런 사실, 곧 앞서 81번 글에서 보여드린 것처럼 둘 사이 존재하는 정말 엄청난 차이에도 불구, 무지(ignorance)로 인해 둘을 같은 걸로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일곱째 날과 관련, 그리고 천적 인간이 일곱째 날’, 안식일인 것과 관련, 다음과 같은 사실이 아주 분명한데요, 바로 주님 자신이 안식일이시라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주님은 말씀하시길, That the celestial man is the “seventh day,” and that the seventh day was therefore hallowed, and called the sabbath, are arcana which have not hitherto been discovered. For none have been acquainted with the nature of the celestial man, and few with that of the spiritual man, whom in consequence of this ignorance they have made to be the same as the celestial man, notwithstanding the great difference that exists between them, as may be seen in n. 81. As regards the seventh day, and as regards the celestial man being the “seventh day” or “sabbath,” this is evident from the fact that the Lord himself is the sabbath; and therefore he says:

 

이러므로 인자는 안식일에도 주인이니라 (막2:28) The son of man is Lord also of the sabbath, (Mark 2:27)

 

이 말씀은 주님 자신이 사람이시며, 안식일 그 자체시라는 사실을 암시합니다. 하늘과 땅 위에 있는 주님의 나라(His kingdom)를 그분으로부터의 안식일, 즉 영원한 평화와 안식의 나라(a sabbath, or eternal peace and rest)라고 합니다. which words imply that the Lord is man himself, and the sabbath itself. His kingdom in the heavens and on the earth is called, from him, a sabbath, or eternal peace and rest.

 

[2] 여기서 다루고 있는 태고교회는 이후 일어난 교회들보다 훨씬 더 주님의 안식일(the sabbath of the Lord)이었습니다. 모든 후대의, 주님의 가장 내적 교회들(Every subsequent inmost church of the Lord) 역시 안식일이며, 모든 거듭난 사람들 역시 그가 천적 인간이 될 때는 안식일입니다. 이는 그가 주님의 모양(a likeness of the Lord)이기 때문입니다. 육일간의 전투, 수고가 선행되는데요, 이것을 유대교회에서는 일할 날과 일곱째 날, 곧 안식일(13:14)로 표상했습니다(were represented). The most ancient church, which is here treated of, was the sabbath of the Lord above all that succeeded it. Every subsequent inmost church of the Lord is also a sabbath; and so is every regenerate person when he becomes celestial, because he is a likeness of the Lord. The six days of combat or labor precede. These things were represented in the Jewish church by the days of labor, and by the seventh day, which was the sabbath; 

 

※ 눅13:14, ‘회당장이 예수께서 안식일에 병 고치시는 것을 분 내어 무리에게 이르되 일할 날이 엿새가 있으니 그 동안에 와서 고침을 받을 것이요 안식일에는 하지 말 것이니라 하거늘

 

유대교회에서는 주님과 주님의 나라를 표상(representative of the Lord and of his kingdom)하지 않는 것은 하나도 제정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똑같은 게 궤가 떠날 때와 쉴 때로도 표상되었는데요, 광야에서 앞으로 나아가는 것은 전투와 유혹, 시험을, 쉬는 것은 평안한 상태를 표상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모세는 궤가 떠날 때 이렇게 말했습니다. for in that church there was nothing instituted which was not representative of the Lord and of his kingdom. The like was also represented by the ark when it went forward, and when it rested, for by its journeyings in the wilderness were represented combats and temptations, and by its rest a state of peace; and therefore, when it set forward, Moses said:

 

35궤가 떠날 때에는 모세가 말하되 여호와여 일어나사 주의 대적들을 흩으시고 주를 미워하는 자가 주 앞에서 도망하게 하소서 하였고 36궤가 쉴 때에는 말하되 여호와여 이스라엘 종족들에게로 돌아오소서 하였더라 (민10:35-36) Rise up, Jehovah, and let thine enemies be scattered, and let them that hate thee flee before thy faces. And when it rested, he said, Return, Jehovah, unto the ten thousands of the thousands of Israel. (Num. 10:35–36)

 

이 본문에서 여호와의 산을 떠난 궤에 대하여 말하기를, 궤가 그들의 쉴 곳을 찾았다’(10:33)(to search out a rest for them) 기록하고 있습니다. It is there said of the ark that it went from the Mount of Jehovah “to search out a rest for them” (Num. 10:33).

 

그들이 여호와의 산에서 떠나 삼 일 길을 갈 때에 여호와의 언약궤가 그 삼 일 길에 앞서가며 그들의 쉴 곳을 찾았고 (민10:33)  

 

※ ‘모양(a likeness)에 관해서는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창1:26)에 관한 51번 글을 참조하세요.

 

[3] 천적 인간의 쉼을 안식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사야입니다. The rest of the celestial man is described by the sabbath in Isaiah:

 

13만일 안식일에 네 발을 금하여 내 성일에 오락을 행하지 아니하고 안식일을 일컬어 즐거운 날이라, 여호와의 성일을 존귀한 날이라 하여 이를 존귀하게 여기고 네 길로 행하지 아니하며 네 오락을 구하지 아니하며 사사로운 말을 하지 아니하면 14네가 여호와 안에서 즐거움을 얻을 것이라 내가 너를 땅의 높은 곳에 올리고 네 조상 야곱의 기업으로 기르리라 여호와의 입의 말씀이니라 (사58:13-14) If thou bring back thy foot from the sabbath, so that thou doest not thy desire in the day of my holiness, and callest the things of the sabbath delights to the holy of Jehovah, honorable; and shalt honor it, not doing thine own ways, nor finding thine own desire, nor speaking a word; then shalt thou be delightful to Jehovah, and I will cause thee to be borne over the lofty things of the earth, and will feed thee with the heritage of Jacob. (Isa. 58:13–14)

 

이런 게 천적 인간의 퀄러티, 특성(the quality of the celestial man)인데요, 그는 자신이 원하는 걸 하는 게 아니라 주님의 선하신 기쁨(the good pleasure of the Lord), 곧 주님이 원하시는 걸 하는 사람입니다. 그 결과, 그는 내적 평화와 행복(internal peace and happiness)을 누리는데요, 이걸 여기서는 땅의 높은 곳에 올리고(being uplifted over the lofty things of the earth)로 표현했지요, 그와 동시에 그는 야곱의 기업으로 기르리라(being fed with the heritage of Jacob)로 상징한 외적 평온과 기쁨(external tranquility and delight) 또한 누립니다. Such is the quality of the celestial man that he acts not according to his own desire, but according to the good pleasure of the Lord, which is his “desire.” Thus he enjoys internal peace and happiness—here expressed by “being uplifted over the lofty things of the earth”—and at the same time external tranquility and delight, which is signified by “being fed with the heritage of Jacob.”

 

※ ‘퀄리티’로 그냥 음역하고 있는 ‘quality’는 사람이나 사물의 어떠함, 그 자체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86. 여섯째 날(the sixth day)이 된(has become) 영적 인간이 천적 상태가 되기 시작할 때(is beginning to be celestial), 이 상태를 여기서 먼저 다루는데요, 이 상태가 바로 안식일 전야(the eve of the sabbath)로 표상되는 상태입니다. 유대 교회에서는 안식일이 시작되는 이 전날 저녁을 거룩하게 지킵니다. 천적 인간은 지금 말하게 될 아침(the morning)입니다. When the spiritual man, who has become the “sixth day,” is beginning to be celestial, which state is here first treated of, it is the “eve of the sabbath,” represented in the Jewish church by the keeping holy of the sabbath from the evening. The celestial man is the “morning” to be spoken of presently.  

 

※ 유대인들의 하루는 우리와 다릅니다. 우리는 하루가 아침부터 당일 저녁까지이지만, 유대인들은 하루가 전날 해 질 무렵부터 다음날 해 질 무렵까지입니다. 편의상 오후 5시를 해 질 무렵으로 보지요. 즉 유대 교회의 안식일은 금요일 오후 5시부터 시작됩니다.

 

 

87. 천적 인간을 안식일’, 이라고 하는 또 다른 이유는 그가 천적 상태가 될 때, 전투가 그치기(ceases) 때문입니다. 이때 악한 영들은 물러나며(retire), 천적 천사들뿐 아니라 선한 영들이 다가옵니다(approach). 이들이 있으면, 악한 영들은 머무를 수 없어(cannot possibly remain) 멀리 달아나기(flee far away) 때문이지요. 그동안 전투를 수행한 건 그 사람이 한 게 아니라 주님 홀로 그를 위해(the Lord alone for the man) 하신 것이기 때문에, 그래서 주님이 안식하시니라(the Lord rested) 하시는 것입니다. Another reason why the celestial man is the “sabbath,” or “rest,” is that combat ceases when he becomes celestial. The evil spirits retire, and good ones approach, as well as celestial angels; and when these are present, evil spirits cannot possibly remain, but flee far away. And since it was not the man himself who carried on the combat, but the Lord alone for the man, it is said that the Lord “rested.”

 

 

88. 영적 인간이 천적 상태가 될 때, 그를 하나님이 하시던 일(the work of God)이라고 합니다. 주님 홀로 그를 위해 싸우셨고, 그를 창조하시고, 지으시며, 만드셨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이 본문에서 하나님이 그가 하시던 일을 일곱째 날에 마치시니(God finished his work on the seventh day) 하시며, 두 번이나 그가 하시던 모든 일을 그치고 안식하시니라(he rested from all his work) 하시는 것입니다. 선지서들은 사람을 여호와의 손과 손가락으로 하신 일(the work of the hands and of the fingers of Jehovah)이라 반복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거듭난 사람에 관해 말하는 이사야서를 보면 말이지요. When the spiritual man becomes celestial, he is called the “work of God,” because the Lord alone has fought for him, and has created, formed, and made him; and therefore it is here said, “God finished his work on the seventh day”; and twice, that “he rested from all his work.” By the prophets man is repeatedly called the “work of the hands and of the fingers of Jehovah”; as in Isaiah, speaking of the regenerate man:

 

11이스라엘의 거룩하신 이 곧 이스라엘을 지으신 여호와께서 이같이 이르시되 너희가 장래 일을 내게 물으며 또 내 아들들과 내 손으로 한 일에 관하여 내게 명령하려느냐 12내가 땅을 만들고 그 위에 사람을 창조하였으며 내가 내 손으로 하늘을 펴고 하늘의 모든 군대에게 명령하였노라, 18대저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되 하늘을 창조하신 이 그는 하나님이시니 그가 땅을 지으시고 그것을 만드셨으며 그것을 견고하게 하시되 혼돈하게 창조하지 아니하시고 사람이 거주하게 그것을 지으셨으니 나는 여호와라 나 외에 다른 이가 없느니라, 21너희는 알리며 진술하고 또 함께 의논하여 보라 이 일을 옛부터 듣게 한 자가 누구냐 이전부터 그것을 알게 한 자가 누구냐 나 여호와가 아니냐 나 외에 다른 신이 없나니 나는 공의를 행하며 구원을 베푸는 하나님이라 나 외에 다른 이가 없느니라 (사45:11-12, 18, 21) Thus hath said Jehovah the holy one of Israel, and his former, Seek ye signs of me, signs concerning my sons, and concerning the work of my hands command ye me. I have made the earth, and created man upon it; I, even my hands have stretched out the heavens, and all their army have I commanded. For thus hath said Jehovah that createth the heavens, God himself that formeth the earth and maketh it; he establisheth it, he created it not a void, he formed it to be inhabited; I am Jehovah and there is no God else besides me. (Isa. 45:11–12, 18, 21)

 

그래서 분명한 사실은, 새 창조, 즉 중생, 거듭남(the new creation, or regeneration)은 주님 자신만의 일(the work of the Lord alone)이라는 것입니다. ‘창조하다(to create), ‘짓다(to form) 만들다(to make)라는 표현들은 다음 구절, ‘하늘을 창조하신 이... 그가 땅을 지으시고 그것을 만드셨으며(creating the heavens, forming the earth, and making it)와 함께, 그리고 같은 선지서 아래와 같은 다른 구절에서처럼 매우 독특하게(quite distinctively) 사용되고 있습니다. Hence it is evident that the new creation, or regeneration, is the work of the Lord alone. The expressions to “create,” to “form,” and to “make,” are employed quite distinctively, both in the above passage—“creating the heavens, forming the earth, and making it”—and in other places in the same prophet, as:

 

내 이름으로 불려지는 모든 자 곧 내가 내 영광을 위하여 창조한 자를 오게 하라 그를 내가 지었고 그를 내가 만들었느니라 (사43:7) Everyone that is called by my name, I have created him for my glory, I have formed him, yea, I have made him, (Isa. 43:7)

 

또한 앞 장인 창세기 1장과 지금 2, 그리고 현 본문의 하나님이 그 창조하시며 만드시던 모든 일을 마치시고 그날에 안식하셨음이니라(he rested from all his work which God in making created)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속뜻으로 볼 때, 이 용법은 늘 독특한 아이디어를 전달하는데요, 주님을 일컬어 창조자(creator), ‘지으시는 자(former) 또는 만드시는 자(maker)라 하는 경우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and also in both the preceding and this chapter of Genesis; as in the passage before us: “he rested from all his work which God in making created.” In the internal sense this usage always conveys a distinct idea; and the case is the same where the Lord is called “creator,” “former,” or “maker.”

Posted by bygracetistory
,

창2:1, AC.82-83

1천지와 만물이 다 이루어지니라 Verse 1. And the heavens and the earth were finished, and all the army of them.

 

※ 1절 속뜻

 

영적으로 ‘여섯째 날’에 이르게 되었을 정도로 연단을 받은 사람을 의미합니다. 그의 속 사람은 ‘(天, heaven), 그의 겉 사람이 ‘(地, earth)이며, 그의 사랑과 신앙 및 관련 모든 지식이 ‘만물(萬物, the army of them)입니다.

 

 

82. 이 말씀은 인간이 그동안 거듭남의 과정을 밟아 지금은 그 마지막 단계인 여섯째 날(the sixth day)이 되었을 정도로 영적 존재가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天, 하늘, heaven)은 그의 속 사람을, ‘(地, 땅, earth)는 그의 겉 사람을, ‘만물(萬物, the army of them)은 사랑, 신앙, 그리고 이와 관련된 지식을 말하는데, 이 내용은 앞서 큰 광명체들과 별들을 다룰 때 말씀드렸습니다. 속 사람을 하늘’, 겉 사람을 이라 하는 것은 앞 장에서 인용된 말씀들을 보면 분명한데요, 거기에 다음 이사야 말씀을 보탤 수 있겠습니다. By these words is meant that man is now rendered so far spiritual as to have become the “sixth day”; “heaven” is his internal man, and “earth” his external; “the army of them” are love, faith, and the knowledges thereof, which were previously signified by the great luminaries and the stars. That the internal man is called “heaven,” and the external “earth,” is evident from the passages of the Word already cited in the preceding chapter, to which may be added the following from Isaiah:

 

12내가 사람을 순금보다 희소하게 하며 인생을 오빌의 금보다 희귀하게 하리로다 13그러므로 나 만군의 여호와가 맹렬히 노하는 날에 하늘을 진동시키며 땅을 흔들어 그 자리에서 떠나게 하리니 (사13:12-13) I will make a man more rare than solid gold, even a man than the precious gold of Ophir; therefore I will smite the heavens with terror, and the earth shall be shaken out of its place. (Isa. 13:12–13)

 

13하늘을 펴고 땅의 기초를 정하고 너를 지은 자 여호와를 어찌하여 잊어버렸느냐 너를 멸하려고 준비하는 저 학대자의 분노를 어찌하여 항상 종일 두려워하느냐 학대자의 분노가 어디 있느냐, 16내가 내 말을 네 입에 두고 내 손 그늘로 너를 덮었나니 이는 내가 하늘을 펴며 땅의 기초를 정하며 시온에게 이르기를 너는 내 백성이라 말하기 위함이니라 (사51:13, 16) Thou forgettest Jehovah thy maker, that stretcheth forth the heavens, and layeth the foundations of the earth; but I will put my words in thy mouth, and I will hide thee in the shadow of my hand, that I may stretch out the heaven, and lay the foundation of the earth. (Isa. 51:13, 16)

 

이들 말씀에서 하늘은 둘 다 사람에 관한 서술(are predicated of man)임이 분명합니다. 그 이유는 이들 말씀이 전체적으로는 태고교회(the most ancient church)를 가리키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말씀의 내부(the interiors of the Word)에는 다음과 같은 속성이 있기 때문인데요, 즉 무엇이든 교회에 대한 언급은 또한 그 구성원 각각에 대한 언급일 수 있다는, 그 개별 구성원이 교회가 아닌 한, 그는 교회의 일부가 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자기가 주님의 성전이 아닌 사람은 그 성전, 즉 교회와 천국으로 상징될 수 없는 것처럼 말입니다. 태고교회를 사람이라고 단수로 부르는 건 바로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From these words it is evident that both “heaven” and “earth” are predicated of man; for although they refer primarily to the most ancient church, yet the interiors of the Word are of such a nature that whatever is said of the church may also be said of every individual member of it, who, unless he were a church, could not possibly be a part of the church, just as he who is not a temple of the Lord cannot be what is signified by the temple, namely, the church and heaven. It is for this reason that the most ancient church is called “man,” in the singular number.  

 

※ 이것이 ‘부분으로 전체를’ 표현, 대표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말씀의 ‘초태생’, ‘초실절’ 정신이며, 천국 전체가 ‘한 사람’ 모습, 천국 각 공동체 역시 ‘한 사람’ 모습인 것입니다. 스베덴보리 저, ‘천국과 지옥’ 8장, 9장, 10장을 참조하세요.

 

 

83. 사람이 여섯째 날(the sixth day)이 되자 천지와 만물(The heavens and the earth and all the army of them)다 이루어졌다(to be finished)고 하는데요, 그때 신앙과 사랑이 하나가 되기(faith and love make a one) 때문입니다. 이때 사랑, 신앙 말고, 다른 말로는 천적 원리인데요, 영적 원리 말고, 이 천적 원리(the celestial principle)가 주(the principal)가 되기 시작하는데, 이것이 바로 천적 인간이 되는 것입니다. The “heavens and the earth and all the army of them” are said to be “finished,” when man has become the “sixth day,” for then faith and love make a one. When they do this, love, and not faith, or in other words the celestial principle, and not the spiritual, begins to be the principal, and this is to be a celestial man.

Posted by bygracetistory
,

1. 설교 원고 및 유튜브 (성찬, 찬양 및 축도 포함)

 

2023-10-08(D1)-주일예배(2507, 눅13,10-17), '여자여 네가 네 병에서 놓였다'.pdf
0.32MB
2023-10-08(D1)-주일예배.축도.pdf
0.23MB

 

https://youtu.be/zOmvD61wZjY

 

여자여 네가 네 병에서 놓였다

 

 

10예수께서 안식일에 한 회당에서 가르치실 때에 11열여덟 해 동안이나 귀신 들려 앓으며 꼬부라져 조금도 펴지 못하는 한 여자가 있더라 12예수께서 보시고 불러 이르시되 여자여 네가 네 병에서 놓였다 하시고 13안수하시니 여자가 곧 펴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지라 14회당장이 예수께서 안식일에 병 고치시는 것을 분 내어 무리에게 이르되 일할 날이 엿새가 있으니 그 동안에 와서 고침을 받을 것이요 안식일에는 하지 말 것이니라 하거늘 15주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외식하는 자들아 너희가 각각 안식일에 자기의 소나 나귀를 외양간에서 풀어내어 이끌고 가서 물을 먹이지 아니하느냐 16그러면 열여덟 해 동안 사탄에게 매인 바 된 이 아브라함의 딸을 안식일에 이 매임에서 푸는 것이 합당하지 아니하냐 17예수께서 이 말씀을 하시매 모든 반대하는 자들은 부끄러워하고 온 무리는 그가 하시는 모든 영광스러운 일을 기뻐하니라 (눅13:10-17)

 

 

주님께서 세상에 오심으로 해서 주님에 대한 표상들이 사라졌을 때, 안식일은 하나님에 대한 것을 가르치는 날이 되었고, 또한 노동에서 벗어나 휴식하는 날이 되었으며, 구원과 영원한 삶에 대해 묵상하는 날이 되었다. 또한 이웃을 사랑하는 날이 되었다. (참된 기독교 301)

 

 

말씀에는 주님께서 회당에서 사람들을 가르치시는 모습이 자주 나옵니다. 회당은 주님 당시 유대교회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유대인들은 그곳에서 율법을 가르치고 예배를 드렸으며, 교리의 해석을 둘러싼 이견들을 조율했습니다. 때로는 율법을 어긴 사람들을 그곳에서 벌하기도 했지요. 모세의 율법에 따르면 유대인들은 성전에서 희생과 번제로 제사를 드려야 했습니다. 그러나 기원전 6세기경 바빌론의 침략으로 수많은 유대인이 바빌론 등지로 유배되면서 더 이상 성전에서 제사를 지내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그때부터 그들은 지역마다 회당을 짓고, 거기서 예배를 드리고 유대교회의 교리를 가르치기 시작했습니다. 아마 그런 식으로 자기들의 정체성을 잃어버리지 않으려고 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 전통은 그들이 고향으로 돌아온 다음에도 계속 이어졌지요.

 

회당에서 이루어지는 크고 작은 일들은 대부분 회당장이라는 직분을 맡은 사람들이 수행했는데, 가끔은 외부에서 랍비들을 초청하기도 했습니다. 유대인들이 볼 때, 주님은 이렇다 할 학벌이나 지위가 있는 분이 아니었습니다. 그럼에도 주님께서 회당에서 가르치실 수 있었던 것은, 주님을 따르는 사람들이 워낙 많았을 뿐 아니라, 말씀에 권위가 있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오늘 말씀에도 주님께서는 안식일에 회당에서 사람들을 가르치십니다. 그런데 그곳에 귀신 들려 앓으며 장애를 가진 한 여자가 있었습니다. 11절에는 그 여자에 대해 이렇게 말합니다.

 

11열여덟 해 동안이나 귀신 들려 앓으며 꼬부라져 조금도 펴지 못하는 한 여자가 있더라

 

말씀에서 여자는 교회를 뜻하기도 하고 자아를 뜻하기도 하는데, 여기서는 두 가지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고 봐야 합니다. 교회를 뜻한다 하는 것은, 그녀가 주님을 믿고 사랑하기 때문이고, 자아를 뜻한다는 것은 주님을 사랑한다고 하지만 아직 주님보다 자신의 자아를 더 사랑하기 때문입니다. 두 주인을 섬길 수 없는 것처럼 주님과 인간의 자아를 동시에 사랑할 수는 없습니다. 그런 이유 때문에, 여자는 열여덟 해 동안이나 자아를 통해 들어오는 지옥의 귀신들과 싸워야 했습니다. 그것은 주님을 위한 싸움이었고, 그러므로 거룩한 싸움이었습니다. 그것을 말씀에서는 열여덟 해 동안 싸운 것으로 표현했습니다. 열여덟은 3과 6을 곱한 수로, 3은 거룩한 것을 뜻하고 6은 내적 싸움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싸웠음에도 여자는 아직 허리를 펴지 못하고 있습니다. 허리를 펴지 못한다는 것은 그가 하늘에 계신 주님을 바라보지 않고, 여전히 자기 자신과 세상을 바라본다는 뜻입니다. 여자는 아무리 주님을 바라보려 해도 지옥에 붙잡혀 있어서 마음대로 되지를 않았습니다. 그것이 여자가 열여덟 해 동안 앓고 있는 병이었습니다. 주님께서 여자를 보시고, 그에게 다가가셔서 병을 고쳐 주셨습니다. 12절과 13절에서는 주님이 병을 고치시는 모습을 이렇게 표현합니다.

 

12예수께서 보시고 불러 이르시되 여자여 네가 네 병에서 놓였다 하시고 13안수하시니 여자가 곧 펴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지라

 

주님이 네 병에서 놓였다 하시고 안수하시는 것은 주님 혼자 병을 치유하시는 것이 아닙니다. 주님으로부터 능력이 나와 여자에게 전해지고, 여자가 겸손하게 그것을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하면 주님이 이끄시고 인간이 겸손하게 따름으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그때 여자의 허리가 즉시 펴졌습니다. 허리를 펴는 것은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세상만 바라보던 사람이 이제 주님을 바라보기 시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레위기 26장 13절의 말씀처럼 주님께서 “그의 멍에와 빗장을 부수고 바로 서서 걷게 만드신 것”입니다. 그러자 여자가 하나님께 영광을 돌렸습니다. 하나님께 영광을 돌린다는 것이 어떤 것입니까? 병의 치유가 주님으로부터 이루어졌음을 고백하고 모든 공을 주님께 돌리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어떤 악을 끊거나, 또는 선을 행할 때 자신의 힘으로 이룬 것처럼 생각할 때가 많습니다. 스스로 선하고 지혜롭다 생각하는 것입니다. 그럴 경우에는 영적 질병들이 완전히 치유되지 않습니다. 곧 또 다른 시험이 오고, 싸움이 다시 시작됩니다. 그러므로 인간의 힘으로는 아주 작은 악도 물리칠 수 없다는 것을 솔직히 주님 앞에 고백해야 합니다. 그래야 다시는 이전 상태로 돌아가지 않습니다.

 

주님이 안식일에 병 고치시는 것을 보고 회당장이 분개했습니다. 14절에서는 그 모습을 이렇게 기록하는데요,

 

14회당장이 예수께서 안식일에 병 고치시는 것을 분 내어 무리에게 이르되 일할 날이 엿새가 있으니 그 동안에 와서 고침을 받을 것이요 안식일에는 하지 말 것이니라 하거늘

 

회당장이 주님께 화를 낸 까닭은 안식일에 병을 고치는 것이 그들의 율법에 어긋나는 일이었기 때문입니다. 유대인의 율법에는 안식일에는 아무 일도 해서는 안 된다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표면적인 이유이고, 진짜 이유는 따로 있었습니다. 진짜 이유가 뭘까요? 회당장은 유대교회의 거짓 교리 안에 있는 사람이고, 주님은 진리 자체이신 분이기 때문입니다. 진리와 거짓, 참과 거짓은 절대로 화합할 수 없고, 대신 반목하거나 대립합니다. 그래서 회당장은 주님을 미워하고 주님에게 분노했습니다. 그것은 유대교회의 거짓된 교리가 진리를 대적하는 모습입니다. 회당장이 분노하는 것을 보시고, 주님께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15주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외식하는 자들아 너희가 각각 안식일에 자기의 소나 나귀를 외양간에서 풀어내어 이끌고 가서 물을 먹이지 아니하느냐 16그러면 열여덟 해 동안 사탄에게 매인 바 된 이 아브라함의 딸을 안식일에 이 매임에서 푸는 것이 합당하지 아니하냐

 

유대교회의 회당장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는 사람이었지만, 오히려 말씀을 왜곡, 거짓 교리를 만들어 교인들에게 지키게 했는데요, 그것은 진리를 방해하는 일이었습니다. 그래서 주님은 그들을 외식하는 자라고 하신 것입니다. 겉으로는 진리의 편인 것처럼 하면서 속으로는 진리를 반대하는, 불편해하는 자들이기 때문입니다. 주님이 그들에게 너희는 안식일에 자기의 소나 나귀를 외양간에서 풀어내어 이끌고 가서 물을 먹이지 아니하느냐 물으셨습니다. 여기서 소와 나귀는 선과 진리에 대한 애정을 뜻하고, 물은 진리를 뜻합니다. 그러므로 소나 나귀를 외양간에서 풀어내 물을 먹이는 것은 자아라는 감옥에 갇혀 선과 진리에 목말라하는 자들을 풀어내 마음껏 선과 진리를 마시게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안식일에 열여덟 해 동안 귀신 들린 여자가 귀신에서 놓여나는 것도 같은 의미입니다. 자아 사랑에 가로막혀 주님을 사랑할 수 없었던 사람이 오랜 싸움 끝에 주님을 마음껏 사랑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 일이 안식일에 이루어지는 것은 안식일은 영적 싸움이 끝나는 때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주님은 소와 나귀를 안식일에 풀어 물을 먹이듯 귀신에 매인 여자를 안식일에 풀어 주는 것이 어째서 합당하지 아니하냐고 물으신 것입니다. 17절에는 주님께서 그 말씀을 하시자 모든 반대하는 자들은 부끄러워하고, 온 무리는 그가 하시는 모든 영광스러운 일을 기뻐했다고 합니다.

 

17예수께서 이 말씀을 하시매 모든 반대하는 자들은 부끄러워하고 온 무리는 그가 하시는 모든 영광스러운 일을 기뻐하니라

 

교회의 마지막 때에는 말씀의 문자적 의미를 왜곡해 진리를 방해하는 사람들이 있기 마련입니다. 그들은 그럴듯한 말로 거짓을 진리인 것처럼 포장하고, 그것으로 교인들을 현혹, 진리를 대적합니다. 그러나 주님이 내적 진리로 오실 때, 인간이 만든 모든 거짓은 참 진리이신 주님의 빛 아래 설 자리를 잃어버립니다. 주님이 말씀하시자 모든 반대하는 자들이 부끄러워했다는 것은 그런 뜻입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오늘 말씀에서 열여덟 해 귀신 들린 여자는 어떤 의미에서 우리들 자신의 모습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진리 가운데 들어온 지 벌써 여러 해가 되었지만, 주님을 과연 얼마나 사랑하는지 스스로 물어볼 때가 많습니다. 잘못된 습관을 끊지 못해 계속 끌려다닙니다. 주님의 일보다는 세상의 일 때문에 늘 염려하고 근심합니다. 자신에게 닥친 작은 불행이나 손실에는 크게 낙심하면서 이웃의 불행은 아무렇지 않게 생각합니다. 이것이 우리 신앙인들의 모습입니다. 우리가 이런 상태에 있는 것은 자아 사랑 때문이기도 하지만 지옥의 영들이 우리를 가만히 두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지옥의 영들과 끊임없이 싸웠습니다. 마치 열여덟 해 귀신 들린 여자처럼 그렇게 싸웠습니다. 오늘 말씀에는 주님이 어느 날 문득 여자의 병을 고쳐주신 것처럼 말합니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여자는 그동안 나름대로 많은 노력을 했습니다. 안식일이면 주님의 말씀에 귀를 기울였습니다. 자아 사랑을 부추기는 지옥의 영들과 열여덟 해 동안이나 싸웠습니다. 주님이 안수하실 때 겸손하게 주님께 몸을 맡겼습니다. 이러한 노력 때문에 그는 지옥의 영들이 놓은 덫에서 벗어나 안식일의 자유를 얻었습니다. 우리도 그렇게 주님을 위해 싸워야 합니다. 주님이 손을 내미실 때 겸손하게 엎드려야 합니다. 주께서 말씀을 통해 교리를 가르치실 때 귀를 기울여야 합니다. 그렇게 할 때 주님께서 우리에게 영원한 치유의 은혜를 베풀어주십니다. 주님의 그런 은혜가 오늘 이 말씀에 귀 기울이시는 모든 성도들, 그리고 진리를 사랑하시는 모든 분과 함께하시길 기도합니다.

 

 

나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해 내어 그들에게 종된 것을 면하게 한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이니라 내가 너희의 멍에의 빗장을 부수고 너희를 바로 서서 걷게 하였느니라 (레26:13)

 

아멘

 

원본

2020-11-22(D1)

서울 새 교회 이순철 목사

 

설교

2023-10-08(D1)

한결같은 교회 변일국 목사

Posted by bygracetistory
,

창2:1-17, AC.73–81

 

1 천지와 만물이 다 이루어지니라 And the heavens and the earth were finished, and all the army of them.

 

2 하나님이 그가 하시던 일을 일곱째 날에 마치시니 그가 하시던 모든 일을 그치고 일곱째 날에 안식하시니라 And on the seventh day God finished his work which he had made; and he rested on the seventh day from all his work which he had made.

 

3 하나님이 그 일곱째 날을 복되게 하사 거룩하게 하셨으니 이는 하나님이 그 창조하시며 만드시던 모든 일을 마치시고 그 날에 안식하셨음이니라 And God blessed the seventh day, and hallowed it, because that in it he rested from all his work which God in making created.

 

4 이것이 천지가 창조될 때에 하늘과 땅의 내력이니 여호와 하나님이 땅과 하늘을 만드시던 날에 These are the nativities of the heavens and of the earth when he created them, in the day in which Jehovah God made the earth and the heavens.

 

5 여호와 하나님이 땅에 비를 내리지 아니하셨고 땅을 갈 사람도 없었으므로 들에는 초목이 아직 없었고 밭에는 채소가 나지 아니하였으며 And there was no shrub of the field as yet in the earth, and there was no herb of the field as yet growing, because Jehovah God had not caused it to rain upon the earth. And there was no man to till the ground.

 

6 안개만 땅에서 올라와 온 지면을 적셨더라 And he made a mist to ascend from the earth, and watered all the faces of the ground.

 

7 여호와 하나님이 땅의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생기를 그 코에 불어 넣으시니 사람이 생령이 되니라 And Jehovah God formed man, dust from the ground, and breathed into his nostrils the breath of lives, and man became a living soul.

 

8 여호와 하나님이 동방의 에덴에 동산을 창설하시고 그 지으신 사람을 거기 두시니라 And Jehovah God planted a garden eastward in Eden, and there he put the man whom he had formed.

 

9 여호와 하나님이 그 땅에서 보기에 아름답고 먹기에 좋은 나무가 나게 하시니 동산 가운데에는 생명 나무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도 있더라 And out of the ground made Jehovah God to grow every tree desirable to behold, and good for food; the tree of lives also, in the midst of the garden; and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10 강이 에덴에서 흘러 나와 동산을 적시고 거기서부터 갈라져 네 근원이 되었으니 And a river went out of Eden to water the garden, and from thence it was parted, and was into four heads.

 

11 첫째의 이름은 비손이라 금이 있는 하윌라 온 땅을 둘렀으며 The name of the first is Pishon; that is it which compasseth the whole land of Havilah, where there is gold.

 

12 그 땅의 금은 순금이요 그 곳에는 베델리엄과 호마노도 있으며 And the gold of that land is good; there is bdellium and the onyx stone.

 

13 둘째 강의 이름은 기혼이라 구스 온 땅을 둘렀고 And the name of the second river is Gihon; the same is it that compasseth the whole land of Cush.

 

14 셋째 강의 이름은 힛데겔이라 앗수르 동쪽으로 흘렀으며 넷째 강은 유브라데더라 And the name of the third river is Hiddekel; that is it which goeth eastward toward Assyria; and the fourth river is Euphrates.

 

15 여호와 하나님이 그 사람을 이끌어 에덴 동산에 두어 그것을 경작하며 지키게 하시고 And Jehovah God took the man, and put him in the garden of Eden, to till it and take care of it.

 

16 여호와 하나님이 그 사람에게 명하여 이르시되 동산 각종 나무의 열매는 네가 임의로 먹되 And Jehovah God commanded the man, saying, Of every tree of the garden eating thou mayest eat.

 

17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는 먹지 말라 네가 먹는 날에는 반드시 죽으리라 하시니라 But of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thou shalt not eat of it; for in the day that thou eatest thereof, dying thou shalt die.

 

 

THE CONTENTS

 

 

73. 죽은 상태(dead)였던 인간이 그 상태에서 그동안 영적인 상태가 되었고(has become spiritual), 그 상태에서 이번에는 천적 상태가 되는 것(becomes celestial), 이젓이 지금 다루는 것입니다. (1) When from being dead a man has become spiritual, then from spiritual he becomes celestial, as is now treated of (verse 1).

 

 

74. 천적 인간(The celestial man)은 일곱째 날이며, 그날은 주님이 쉬시는 날입니다. (2-3) The celestial man is the seventh day, on which the Lord rests (verses 2–3).

 

 

75. 천적 인간의 지식과 합리적 능력(His knowledge and his rationality, [scientificum et rationale ejus])을 관목과 풀로 묘사하고 있는데, 이는 본문에 의하면 안개로 적셔진 땅에서 올라오는 것입니다. (5-6) His knowledge and his rationality [scientificum et rationale ejus] are described by the shrub and the herb out of the ground watered by the mist (verses 5–6).

 

 

76. 천적 인간의 생명을  그에게 생명의 숨을 불어넣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7) His life is described by the breathing into him of the breath of lives (verse 7).

 

 

77. 그 후 천적 인간의 지성(intelligence)을 동쪽에 있는 에덴동산(the garden in Eden, in the east)으로 묘사하고 있는데, 거기에 있는 나무들 중 보기에 아름다운 나무는 진리 관련 퍼셉션(perceptions, 직관과 관련된 천국적 능력)이고, 먹기에 좋은 나무는 선 관련 퍼셉션입니다. 생명나무(the tree of lives)로는 사랑을,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the tree of knowledge, [scientiae])로는 신앙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8-9) Afterwards his intelligence is described by the garden in Eden, in the east; in which the trees pleasant to the sight are perceptions of truth, and the trees good for food are perceptions of good. Love is meant by the tree of lives, faith by the tree of knowledge [scientiae] (verses 8–9).

 

 

78. 동산에 있는 강은 지혜(Wisdom)를 의미합니다. 거기서 네 강이 나왔는데요, 그 첫 번째가 선과 진리(good and truth), 두 번째는 선과 진리, 즉 사랑과 신앙과 관련된 모든 것에 관한 지식(the knowledge [cognitio])입니다. 이들은 속 사람(the internal man)에게 속한 것입니다. 세 번째는 이성(reason), 네 번째는 기억-지식(memory-knowledge [scientia])입니다. 이들은 겉 사람(the external man)에게 속한 것입니다. 이 모든 것은 지혜에서 나오며, 지혜는 주님 사랑과 주님 신앙(love and faith in the Lord)에서 나옵니다. (10-14) Wisdom is meant by the river in the garden. From thence were four rivers, the first of which is good and truth; the second is the knowledge [cognitio] of all things of good and truth, or of love and faith. These are of the internal man. The third is reason, and the fourth is memory-knowledge [scientia], which are of the external man. All are from wisdom, and this is from love and faith in the Lord (verses 10–14).

 

 

79. 천적 인간은 그런 동산(a garden, 정원)입니다. 그러나 동산은 주님의 소유이기 때문에 인간은 동산 안의 모든 것을 누릴 수는 있으되 자기 걸로 소유하는 것은 안 됩니다. (15) The celestial man is such a garden. But as the garden is the Lord’s, it is permitted this man to enjoy all these things, and yet not to possess them as his own (verse 15).

 

 

80. 또 천적 인간은 선과 진리, 곧 주님의 신성(神性, The Divine)에 관한 지식을 주님이 주시는 모든 퍼셉션(every perception from the Lord)을 통해 얻는 것은 허용되지만, 자기 자신과 세상, 즉 자신의 오감(五感, the things of sense) 및 기억-지식(memory-knowledge, [sensualia et scientifica], 세상 학문을 통해서 학습한 지식)을 통해서 신앙의 신비(the mysteries of faith)에 접근하는 것은 안 됩니다. 그렇게 했다가는 그의 천적 본성(his celestial nature)이 죽기 때문입니다. (16-17) He is also permitted to acquire a knowledge of what is good and true by means of every perception from the Lord, but he must not do so from himself and the world, nor search into the mysteries of faith by means of the things of sense and of memory-knowledge [sensualia et scientifica]; which would cause the death of his celestial nature (verses 16–17).

 

 

THE INTERNAL SENSE

 

 

81. 앞 장이 영적 인간(the spiritual man), 즉 죽은 상태(a dead man)였다가 주님의 생명으로 새롭게 거듭난 영적 인간을 다루었다면, 이 장은 이제 그 다음 단계인 천적 인간(the celestial man)을 다루고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그러나 이 천적 인간이 뭔지, 그리고 영적 인간이나 죽은 상태라는 게 뭔지를 아는 사람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저로 하여금 이 각각의 본성, 즉 그 다른 점들에 대하여 먼저 서술하도록 하셨습니다. 첫째, 그러니까 죽은 상태에 있는 사람은 참되다, 선하다 하는 것에 관해서는 아무것도 인정하지 않는 대신 육체와 세상에 속한 것(what belongs to the body and the world)만 인정하며, 심지어 이런 것을 숭배하기까지 합니다. 영적 인간은 영적, 천적 진리와 선을 인정, 생활 속에서 그걸 실천하지요. 그러나 그는 그걸 신앙의 원칙(a principle of faith) 삼아 자기 행위의 근거(the ground of his actions)로 여기기 때문에 그러는 것일 뿐, 사랑으로 하는 게 아닙니다. 천적 인간은 영적, 천적 진리와 선을 믿고 지각하는데요, 그는 사랑에서 나오는 게 아닌 신앙은 인정하지 않습니다. 천적 인간은 모든 걸 사랑으로 합니다. This chapter treats of the celestial man, as the preceding one did of the spiritual, who was formed out of a dead man. But as it is unknown at this day what the celestial man is, and scarcely what the spiritual man is, or a dead man, it is permitted me briefly to state the nature of each, that the difference may be known. First, then, a dead man acknowledges nothing to be true and good but what belongs to the body and the world, and this he adores. A spiritual man acknowledges spiritual and celestial truth and good; but he does so from a principle of faith, which is likewise the ground of his actions, and not so much from love. A celestial man believes and perceives spiritual and celestial truth and good, acknowledging no other faith than that which is from love, from which also he acts.

 

[2] 둘째, 죽은 상태인 사람(a dead man)이 목적으로 삼는 건 육적이고 세속적인 생명뿐(only corporeal and worldly life)입니다. 영생이 무엇인지, 주님이 누구신지는 그는 알려고도 안 하며, 할 수 없이 알게 되더라도 안 믿습니다. 영적 인간(a spiritual man)이 목적 삼는 건 영생이며, 그로 인한 주님(eternal life, and thereby the Lord)입니다. 천적 인간(a celestial man)의 목적은 주님이며, 그로 인한 주님의 나라와 영생(the Lord, and thereby his kingdom and eternal life)입니다. Second: The ends which influence a dead man regard only corporeal and worldly life, nor does he know what eternal life is, or what the Lord is; or should he know, he does not believe. The ends which influence a spiritual man regard eternal life, and thereby the Lord. The ends which influence a celestial man regard the Lord, and thereby his kingdom and eternal life.

 

[3] 셋째, 죽은 상태인 인간은 영적 싸움이 일어나면(in combat) 거의 늘 지며, 그렇지 않을 땐, 악과 거짓이 그를 지배하여(have dominion over him) 그는 그들의 노예(a slave)가 됩니다. 그는 겉의 일, 외적인 것들에 매여 사는데(His bonds are external), 가령 법에 대한 두려움, 생명이나 부, 이득, 평판 같은, 그가 매우 소중히 여기는 그런 것들입니다. 영적 인간은 싸움이 일어나면 늘 이깁니다. 그에게 있어 구속은 내적인 것(internal), 곧 양심의 구속(the bonds of conscience)입니다. 천적 인간은 싸움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악과 거짓의 공격이 있을 시 그는 그냥 무시하기 때문인데(he despises them), 그래서 그를 정복자(a conqueror)하고 하지요. 그는 겉으로 봤을 때 어떤 속박도 없으며, 그래서 자유롭습니다.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그에게 있어 구속이라 한다면 주님으로 말미암는, 선과 진리에 관한 퍼셉션(perceptions of good and truth)이 있습니다. Third: A dead man when in combat almost always yields, and when not in combat, evils and falsities have dominion over him, and he is a slave. His bonds are external, such as the fear of the law, of the loss of life, of wealth, of gain, and of the reputation which he values for their sake. The spiritual man is in combat, but is always victorious; the bonds by which he is restrained are internal, and are called the bonds of conscience. The celestial man is not in combat, and when assaulted by evils and falsities, he despises them, and is therefore called a conqueror. He is apparently restrained by no bonds, but is free. His bonds, which are not apparent, are perceptions of good and truth.

Posted by bygracetistory
,

창2 속뜻 주석을 시작하며

 

67. 주님의 신성한 자비로 말씀의 내적 의미(the internal meaning of the Word), 곧 속뜻을 아는 것이 제게 주어졌는데요, 이 속뜻은 그 안에 이전엔 어느 누구도 알 수 없었던 가장 깊은 아르카나(arcana, 秘義)가 들어있는 것으로, 이것은 저세상 삶의 본질(the nature of the other life)을 모르고서는 알 수 없는 그런 것인데요, (말씀의 속뜻에 속한 굉장히 많은 것들이 저세상 삶에 관한 것들이거나 그에 대한 설명 및 그런 것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저는 지난 수년간 제가 듣고 본 것, 곧 영들 및 천사들과 함께 있어 온 경험을 이젠 밝혀도 좋다는 허락을 받았습니다. As of the Lord’s Divine mercy it has been given me to know the internal meaning of the Word, in which are contained deepest arcana that have not before come to anyone’s knowledge, nor can come unless the nature of the other life is known (for very many things of the Word’s internal sense have regard to, describe, and involve those of that life), I am permitted to disclose what I have heard and seen during some years in which it has been granted me to be in the company of spirits and angels.

 

 

68. 저는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잘 알고 있는데요, 그것은 많은 사람들은 말하기를 아무도 그가 아직 살아있는 한, 영과 천사들(spirits and angels)하고 이야기하는 건 불가능하다 할 거라는 거, 많은 이들은 그건 죄다 공상(fancy)이라 할 것이며, 다른 이들 말은, 그건 제가 사람들 관심을 끌려고 그러는 거라는 거, 그리고 다른 이들은 또 다른 반대를 할 거라는 것이지요. 하지만 이 모든 것에 저는 낙담하지 않습니다. 저는 보았고(have seen), 들었고(have heard), 느꼈기(have felt) 때문입니다. I am well aware that many will say that no one can possibly speak with spirits and angels so long as he lives in the body; and many will say that it is all fancy, others that I relate such things in order to gain credence, and others will make other objections. But by all this I am not deterred, for I have seen, I have heard, I have felt.

 

 

69. 주님은 인간을 그가 몸 안에 사는 동안 영 및 천사들과 대화할 수 있게 지으셨습니다. 실제로 태고 때 그랬던 것처럼 말이지요. 인간은 몸을 옷처럼 입은 영(a spirit clothed with a body)으로서 그들과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인간은 육체적이고 세속적인 것(corporeal and worldly things)에 자신을 지나치게 몰두, 그 외에는 아무것도 살피지 않았기 때문에 그만 그 길이 닫혔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인간은 지금 푹 잠겨있는 그 육체적인 것들로부터 물러나는 순간, 그 길은 다시 열리며, 그러면서 그는 영들 가운데, 그리고 그들과 공동생활 가운데 있게 되지요. Man was so created by the Lord as to be able while living in the body to speak with spirits and angels, as in fact was done in the most ancient times; for, being a spirit clothed with a body, he is one with them. But because in process of time men so immersed themselves in corporeal and worldly things as to care almost nothing for aught besides, the way was closed. Yet as soon as the corporeal things recede in which man is immersed, the way is again opened, and he is among spirits, and in a common life with them.

 

 

70. 지난 수년간 제가 듣고 본 것을 밝혀도 좋다 허락하셔서, 저는 여기서 먼저 소생 중인 사람(man when he is being resuscitated), 즉 사람이 이생에서 저 영생으로 들어가는 방법(how he enters from the life of the body into the life of eternity)에 대해 말씀드릴까 하는데요, 인간은 죽음 후에도 산다는 걸 저로 하여금 알게 하시려고 저에게 생전에 저와 알고 지냈던 많은 사람과 말도 하고 함께 있게도 하셨습니다. 겨우 하루나 한 주뿐 아니라 한 달 내지는 거의 일 년 간이나 마치 이 세상에서처럼 말도 하고 어울리게도 하시면서 말이지요. 그들은 죽으면 끝, 죽음 이후의 삶은 없다 아주 철썩같이 믿던 사람들이라 자기들이 분명히 죽었음에도, 그리고 다른 많은 사람들 역시 지금 모습이 살아생전 모습이어서 굉장히 놀랐습니다. 실제로 죽음 후 저세상에 있기까지 채 하루도 걸리지 않는데요, 그것은 죽음은 삶의 연속이기 때문입니다. As it is permitted me to disclose what for several years I have heard and seen, it shall here be told, first, how the case is with man when he is being resuscitated; or how he enters from the life of the body into the life of eternity. In order that I might know that men live after death, it has been given me to speak and be in company with many who were known to me during their life in the body; and this not merely for a day or a week, but for months, and almost a year, speaking and associating with them just as in this world. They wondered exceedingly that while they lived in the body they were, and that very many others are, in such incredulity as to believe that they will not live after death; when in fact scarcely a day intervenes after the death of the body before they are in the other life; for death is a continuation of life.

 

 

71. 그러나 이러한 내용들을 말씀 본문에 관한 것들 사이사이에 삽입하면 여기저기 흩어지고 그때그때 끊길 것이므로, 주님의 신성한 자비로 어떤 순서로 각 장 시작과 끝에 배치하게 하셨습니다. 부수적인 소개 외에 말이지요. But as these matters would be scattered and disconnected if inserted among those contained in the text of the Word, it is permitted, of the Lord’s Divine mercy, to append them in some order, at the beginning and end of each chapter; besides those which are introduced incidentally.

 

 

72. 따라서 허락하심을 받아 저는 이 장을 마치면서 사람이 어떻게 죽음에서 부활(man is raised from the dead), 영생(the life of eternity)으로 들어가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At the end of this chapter, accordingly, I am allowed to tell how man is raised from the dead and enters into the life of eternity.

Posted by bygracetistory
,

창1 속뜻 주석을 마치며

 

64. 이것이 말씀의 속뜻, 즉 겉 글자의 뜻으로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 말씀의 생명 그 자체(its veriest life)입니다. 그런데 이 아르카나(arcana, 秘義, 말씀에 담긴 숨겨진 의미)는 너무나 엄청나 이 정도의 볼륨들 가지고는 그 속에 담긴 것을 도저히 다 담아낼 수 없습니다. 여기서는 아주 조금만 제시하는데요, 그러나 이 정도만으로도 여기서 다루고 있는 게 거듭남이며, 거듭남이란 겉 사람에서 속 사람으로 진행되는 것이라는 사실을 확실히 아실 수 있을 겁니다. 천사들이 말씀을 지각한다(perceive)는 것은 바로 이런 것인데요, 그들은 글자 안에 무엇이 들어있는지, 심지어 어떤 단어 하면 탁 떠오르는 의미조차 전혀 모릅니다. 나라, 도시, 강과 인물 등, 말씀 내 역사, 예언 쪽에 매우 자주 등장하는 이런 것들 역시 더더욱 모릅니다. 그들은 오직 그 단어들과 이름들에 의해 상징되는 것들에 관한 어떤 아이디어만 갖고 있을 뿐입니다.(They have an idea only of the things signified by the words and the names.) 그래서 낙원의 아담 하면 그들은 태고 교회(the most ancient church)를 지각합니다. 물론, 그 교회 자체가 아니라 그 교회가 가졌던 주님 신앙(the faith in the Lord)을 지각하는 것이지요. 노아 하면 그들은 태고 교회의 후손들과 함께 살아남아 아브람의 때까지 계속되었던 교회를 지각합니다. 아브라함 하면 천사들은 결코 아브라함 한 개인이 아닌, 그가 표상한(which he represented) 어떤 구원 신앙(a saving faith)을 지각하는 식입니다. 천사들은 이렇게 단어들과 이름들하고는 완전 별개인 영적, 천적인 것들을 지각합니다. This then is the internal sense of the Word, its veriest life, which does not at all appear from the sense of the letter. But so many are its arcana that volumes would not suffice for the unfolding of them. A very few only are here set forth, and those such as may confirm the fact that regeneration is here treated of, and that this proceeds from the external man to the internal. It is thus that the angels perceive the Word. They know nothing at all of what is in the letter, not even the proximate meaning of a single word; still less do they know the names of the countries, cities, rivers, and persons, that occur so frequently in the historical and prophetical parts of the Word. They have an idea only of the things signified by the words and the names. Thus by Adam in paradise they perceive the most ancient church, yet not that church, but the faith in the Lord of that church. By Noah they perceive the church that remained with the descendants of the most ancient church, and that continued to the time of Abram. By Abraham they by no means perceive that individual, but a saving faith, which he represented; and so on. Thus they perceive spiritual and celestial things entirely apart from the words and names.

 

 

65. 제가 말씀(the Word)을 읽고 있을 때, 어떤 사람들이 천국 뜰 첫 번째 입구로 옮겨져 거기서 저와 대화를 나누었는데요, 그들은 말하길, 자기들은 그 안에 있는 무슨 단어나 글자는 전혀 이해할 수 없지만, 대신 그 가장 가까운 속뜻이 뭔지는 이해할 수 있다고 하면서, 그것은 너무도 아름답고(so beautiful), 그런 일련의 순서로 자기들을 깊이 감동, 감명케 한다(so affecting them), 그것은 영광(glory)이라고 가슴 벅차게 말하는 것이었습니다. Certain ones were taken up to the first entrance court of heaven, when I was reading the Word, and from there conversed with me. They said they could not there understand one whit of any word or letter therein, but only what was signified in the nearest interior sense, which they declared to be so beautiful, in such order of sequence, and so affecting them, that they called it glory.

 

 

66. 말씀(the Word)에는 일반적으로 네 가지 스타일이 있습니다. 첫 번째 스타일은 태고 교회(太古, the most ancient church) 스타일입니다. 그들의 표현 방식은 다음과 같았는데요, 그들은 어떤 지상에 속한, 세속적인 것들을 언급할 때, 그것들이 표상하는 영적, 천적인 것들을 생각하면서 하는 그런 것이었지요. 그들은 이만하면 그 영적, 천적인 의미를 충분히 띠겠다 싶은 것들을 가지고(by representatives) 언급했을 뿐 아니라, 또한 거기에 생명력을 불어넣기 위해 무슨 스토리 텔링 같은 일종의 그럴듯한 역사 시리즈로도 만들었는데요, 이런 식의 표현 방식으로 그들은 정말 최고 수준의 즐거움을 누렸습니다. 사무엘의 어머니 한나의 예언이 바로 이런 스타일입니다. There are in the Word, in general, four different styles. The first is that of the most ancient church. Their mode of expression was such that when they mentioned terrestrial and worldly things they thought of the spiritual and celestial things which these represented. They therefore not only expressed themselves by representatives, but also formed these into a kind of historical series, in order to give them more life; and this was to them delightful in the very highest degree. This is the style of which Hannah prophesied, saying:

 

심히 교만한 말을 다시 하지 말 것이며 오만한 말을 너희의 입에서 내지 말지어다 (삼상2:3) Speak what is high! high! Let what is ancient come out of your mouth. (1 Sam. 2:3)

 

※ 위 우리말 개역개정 번역은 사실 많이 빗나간 번역입니다. 병행 본문(영어)을 보니 너무나 다르지요? 태고 교회, 고대 교회 같은 이런 배경, 즉 아르카나를 전혀 모르고 번역을 한 것입니다.

 

이런 표상(表象, representatives)을 시편에서는, ‘예로부터 감추어졌던 것(Dark sayings of old)이라고 했습니다. Such representatives are called in David, “Dark sayings of old” (Ps. 78:2–4).

 

2내가 입을 열어 비유로 말하며 예로부터 감추어졌던 것을 드러내려 하니 3이는 우리가 들어서 아는 바요 우리의 조상들이 우리에게 전한 바라 4우리가 이를 그들의 자손에게 숨기지 아니하고 여호와의 영예와 그의 능력과 그가 행하신 기이한 사적을 후대에 전하리로다 (78:2-4)

 

창조, 에덴동산 등 아브람의 때까지 내려오는 이들 자세한 내용들을 모세는 태고 교회의 후손들로부터 얻었습니다. These particulars concerning the creation, the garden of Eden, etc., down to the time of Abram, Moses had from the descendants of the most ancient church.

 

[2] 두 번째 스타일은 역사적 기술이며, 아브람의 때부터 이어진 모세의 책들에서, 그리고 여호수아, 사사 시대, 사무엘, 열왕기의 책들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들 책에서는 역사적 사실들이 글자의 뜻 그대로입니다. 즉 실제 역사 그대로 기록된 것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이든 아니든 속뜻으로는 아주 다른 것들이 그 안에 들어 있는데요, 그것은 주님의 신성하신 자비(the Lord’s Divine mercy)로 말미암음이며, 이어지는 페이지들에서 순서대로 보시게 됩니다. 세 번째 스타일은 예언적 스타일인데, 이것은 태고 교회 시절 아주 높은 존경을 받았던 스타일에서 나온 것입니다. 이 스타일은 그러나 계속 연결되어 태고 스타일 같은 역사적 형태로 남지를 못하고 그만 끊어져, 이제는 속뜻, 곧 그 안에 가장 깊은 아르카나(arcana, 秘義)가 있어 아름답게 연결된 순서로 이어지며, 겉 사람과 속 사람, 교회의 여러 다양한 상태들, 천국 그 자체, 그리고 주님을 향한 가장 내적 의미와도 관련되는, 이런 속뜻을 제외하고는 이제는 거의 이해할 수조차 없게 되었습니다. 네 번째 스타일은 다윗의 시편 스타일입니다. 이 스타일은 예언적 스타일과 상용어 스타일 간 중간 스타일입니다. 주님은 이 스타일에서 속뜻으로는 왕으로서의 다윗이라는 인격을 통해 다루어지십니다. The second style is historical, which is found in the books of Moses from the time of Abram onward, and in those of Joshua, Judges, Samuel, and Kings. In these books the historical facts are just as they appear in the sense of the letter; and yet they all contain, in both general and particular, quite other things in the internal sense, of which, by the Lord’s Divine mercy, in their order in the following pages. The third style is the prophetical one, which was born of that which was so highly venerated in the most ancient church. This style, however, is not in connected and historical form like the most ancient style, but is broken, and is scarcely ever intelligible except in the internal sense, wherein are deepest arcana, which follow in beautiful connected order, and relate to the external and the internal man; to the many states of the church; to heaven itself; and in the inmost sense to the Lord. The fourth style is that of the psalms of David, which is intermediate between the prophetical style and that of common speech. The Lord is there treated of in the internal sense, under the person of David as a king.

Posted by bygracetistory
,

창1, AC.6-15, 본문, 속뜻 개요

 

1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In the beginning God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

 

2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 And the earth was a void and emptiness, and thick darkness was upon the faces of the deep. And the spirit of God moved upon the faces of the waters.

 

3 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 And God said, Let there be light, and there was light.

 

4 빛이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이 빛과 어둠을 나누사 And God saw the light, that it was good; and God distinguished between the light and the darkness.

 

5 하나님이 빛을 낮이라 부르시고 어둠을 밤이라 부르시니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 날이니라 And God called the light day, and the darkness he called night. And the evening and the morning were the first day.

 

6 하나님이 이르시되 물 가운데에 궁창이 있어 물과 물로 나뉘라 하시고 And God said, Let there be an expanse in the midst of the waters, and let it distinguish between the waters in the waters.

 

7 하나님이 궁창을 만드사 궁창 아래의 물과 궁창 위의 물로 나뉘게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And God made the expanse, and made a distinction between the waters which were under the expanse, and the waters which were above the expanse; and it was so.

 

8 하나님이 궁창을 하늘이라 부르시니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둘째 날이니라 And God called the expanse heaven. And the evening and the morning were the second day.

 

9 하나님이 이르시되 천하의 물이 한곳으로 모이고 뭍이 드러나라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And God said, Let the waters under the heaven be gathered together in one place, and let the dry [land] appear; and it was so.

 

10 하나님이 뭍을 땅이라 부르시고 모인 물을 바다라 부르시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And God called the dry [land] earth, and the gathering together of the waters called he seas; and God saw that it was good.

 

11 하나님이 이르시되 땅은 풀과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라 하시니 그대로 되어 And God said, Let the earth bring forth the tender herb, the herb yielding seed, and the fruit tree bearing fruit after its kind, whose seed is in itself, upon the earth; and it was so.

 

12 땅이 풀과 각기 종류대로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And the earth brought forth the tender herb, the herb yielding seed after its kind, and the tree bearing fruit, whose seed was in itself, after its kind; and God saw that it was good.

 

13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셋째 날이니라 And the evening and the morning were the third day.

 

14 하나님이 이르시되 하늘의 궁창에 광명체들이 있어 낮과 밤을 나뉘게 하고 그것들로 징조와 계절과 날과 해를 이루게 하라 And God said, Let there be luminaries in the expanse of the heavens, to distinguish between the day and the night; and let them be for signs, and for seasons, and for days, and for years.

 

15 또 광명체들이 하늘의 궁창에 있어 땅을 비추라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And let them be for luminaries in the expanse of the heavens, to give light upon the earth; and it was so.

 

16 하나님이 두 큰 광명체를 만드사 큰 광명체로 낮을 주관하게 하시고 작은 광명체로 밤을 주관하게 하시며 또 별들을 만드시고 And God made two great luminaries, the greater luminary to rule by day, and the lesser luminary to rule by night; and the stars.

 

17 하나님이 그것들을 하늘의 궁창에 두어 땅을 비추게 하시며 And God set them in the expanse of the heavens, to give light upon the earth;

 

18 낮과 밤을 주관하게 하시고 빛과 어둠을 나뉘게 하시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And to rule in the day, and in the night, and to distinguish between the light and the darkness; and God saw that it was good

 

19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넷째 날이니라 And the evening and the morning were the fourth day.

 

20 하나님이 이르시되 물들은 생물을 번성하게 하라 땅 위 하늘의 궁창에는 새가 날으라 하시고 And God said, Let the waters cause to creep forth the creeping thing, the living soul; and let fowl fly above the earth upon the faces of the expanse of the heavens.

 

21 하나님이 큰 바다짐승들과 물에서 번성하여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그 종류대로, 날개 있는 모든 새를 그 종류대로 창조하시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And God created great whales, and every living soul that creepeth, which the waters caused to creep forth after their kinds, and every winged fowl after its kind; and God saw that it was good.

 

22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여러 바닷물에 충만하라 새들도 땅에 번성하라 하시니라 And God blessed them, saying, Be fruitful and multiply, and fill the waters in the seas, and the fowl shall be multiplied in the earth.

 

23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다섯째 날이니라 And the evening and the morning were the fifth day.

 

24 하나님이 이르시되 땅은 생물을 그 종류대로 내되 가축과 기는 것과 땅의 짐승을 종류대로 내라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And God said, Let the earth bring forth the living soul after its kind; the beast, and the thing moving itself, and the wild animal of the earth, after its kind; and it was so.

 

25 하나님이 땅의 짐승을 그 종류대로, 가축을 그 종류대로, 땅에 기는 모든 것을 그 종류대로 만드시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And God made the wild animal of the earth after its kind, and the beast after its kind, and everything that creepeth on the ground after its kind; and God saw that it was good.

 

26 하나님이 이르시되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그들로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가축과 온 땅과 땅에 기는 모든 것을 다스리게 하자 하시고 And God said, Let us make man in our image, after our likeness; and let them have dominion over the fish of the sea, and over the fowl of the heavens, and over the beast, and over all the earth, and over every creeping thing that creepeth upon the earth.

 

27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And God created man in his own image, in the image of God created he him; male and female created he them.

 

28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하나님이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 하시니라 And God blessed them, and God said unto them, Be fruitful, and multiply, and replenish the earth, and subdue it; and have dominion over the fish of the sea, and over the fowl of the heavens, and over every living thing that creepeth upon the earth.

 

29 하나님이 이르시되 내가 온 지면의 씨 맺는 모든 채소와 씨 가진 열매 맺는 모든 나무를 너희에게 주노니 너희의 먹을거리가 되리라 And God said, Behold, I give you every herb bearing seed which is upon the faces of all the earth, and every tree in which is fruit; the tree yielding seed, to you it shall be for food.

 

30 또 땅의 모든 짐승과 하늘의 모든 새와 생명이 있어 땅에 기는 모든 것에게는 내가 모든 푸른 풀을 먹을거리로 주노라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And to every wild animal of the earth, and to every fowl of the heavens, and to everything that creepeth upon the earth wherein is a living soul, every green herb for food; and it was so.

 

31 하나님이 지으신 그 모든 것을 보시니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여섯째 날이니라 And God saw everything that he had made, and behold it was very good. And the evening and the morning were the sixth day.

 

 

개요

 

 

6. 6일이라는 기간은 사람의 중생(重生, regeneration, 거듭남) 전 과정 가운데 연이어 일어나는 수많은 상태를 말하는데, 보통은 다음과 같습니다. The six days, or periods, which are so many successive states of the regeneration of man, are in general as follows.

 

 

7. 첫 번째 상태는 유아기 상태와 중생 시작 직전 상태 둘 다를 포함하는 선행 상태입니다. 이것을 혼돈(void), ‘공허(emptiness), ‘흑암(thick darkness)이라고 하며, 그 첫 번째 움직임을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the spirit of God moving upon the faces of the waters)고 하는데, 이는 주님의 자비(the Lord’s mercy)입니다. The first state is that which precedes, including both the state from infancy, and that immediately before regeneration. This is called a “void,” “emptiness,” and “thick darkness.” And the first motion, which is the Lord’s mercy, is “the spirit of God moving upon the faces of the waters.

 

 

8. 두 번째 상태는 주님에게 속한 것들과 사람에게나 어울리는 것들(which are proper to man) 사이 구별이 생기는 때입니다. 주님에게 속한 것들을 리메인스(remains)라고 하는데, 여기서는 특별히 신앙 관련 지식들(knowledges of faith), 그러니까 유아기 때부터 배워 온, 그리고 그렇게 차곡차곡 쌓인, 그러나 사람이 이 상태에 이를 때까지는 드러나지 않는, 그런 신앙 지식들을 말합니다. 오늘날엔 이 상태는 쉽게 보기 어려운데요, 몸과 세상에 속한 것들, 그러니까 인간한테나 어울리는 이런 일시적인 것들에 푹 빠져 정신 못 차리고 살다가 인생의 큰 시험이나 불행, 혹은 큰 슬픔을 만나면 그제서야 그런 삶이 마치 죽어버리기라도 한 듯 멈추고, 정신이 번쩍 들기 때문입니다. 이때 겉 사람(the external man)에게 속한 것들이 속 사람(the internal man)에게 속한 것들로부터 분리됩니다. 즉 일시적인, 썩어 없어질 물질적인 것들의 정체를 깨닫게 되는 때이지요. 이 속 사람 안에 앞서 말한 리메인스가 있는데, 이것은 주님이 이때, 그러니까 이 두 번째 상태 때 쓰시려고 그의 속 사람 안에 두신 것들입니다. The second state is when a distinction is made between those things which are of the Lord, and those which are proper to man. The things which are of the Lord are called in the word “remains,” and here are especially knowledges of faith, which have been learned from infancy, and which are stored up, and are not manifested until the man comes into this state. At the present day this state seldom exists without temptation, misfortune, or sorrow, by which the things of the body and the world, that is, such as are proper to man, are brought into quiescence, and as it were die. Thus the things which belong to the external man are separated from those which belong to the internal man. In the internal man are the remains, stored up by the Lord unto this time, and for this use.

 

 

9. 세 번째 상태는 회개(repentance) 상태입니다. 이 상태에서 사람은 속 사람으로부터 신앙심 깊게, 그리고 경건하게 말하며, 체어리티(charity, 이웃 사랑, 인애, 자선, 기부 등)와 같은 선을 행합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 거기에는 생명이 없는데(inanimate), 그 이유는 그가 이 모든 게 자기한테서 나온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즉 자기가 하는 줄로 아는 것이지요. ‘이런 말을 하고, 이런 행위를 하다니 아, 나는 참 괜찮은 사람이야... 하면서 ^^ 이런 선을 (the tender grass), ‘씨 맺는 채소(the herb yielding seed), 그리고 나중에는 열매 맺는 나무(the tree bearing fruit)라고 합니다. The third state is that of repentance, in which the man, from his internal man, speaks piously and devoutly, and brings forth goods, like works of charity, but which nevertheless are inanimate, because he thinks they are from himself. These goods are called the “tender grass,” and also the “herb yielding seed,” and afterwards the “tree bearing fruit.

 

 

10. 네 번째 상태는 사람이 사랑스런 애정의 사람이 되며, 신앙의 빛을 받는 때입니다. 그는 이전에 실제로 경건한 담론도 하고, 선도 행했습니다만, 그러나 그건 그가 수고한, 즉 자초한 시험과 엄격함(the temptation and straitness under which he labored)의 결과로 한 거지 신앙과 체어리티로 한 게 아닙니다. 하지만 이제는 신앙과 체어리티가 그의 속 사람 안에서 불붙은 상태가 되었으며, 그래서 이를 일컬어 두 광명체(two luminaries)라 하고 있습니다. The fourth state is when the man becomes affected with love, and illuminated by faith. He indeed previously discoursed piously, and brought forth goods, but he did so in consequence of the temptation and straitness under which he labored, and not from faith and charity; wherefore faith and charity are now enkindled in his internal man, and are called two “luminaries.

 

 

11. 다섯 번째 상태는 사람이 신앙의 담론을 하며, 그럼으로써 자신이 진리와 선 안에 있음을 확증하는 때인데요, 그때 사람한테서 나오는 것들은 살아 움직이며(animate), 이를 일컬어 바다의 물고기(the fish of the sea), ‘하늘의 새(the birds of the heavens)라고 합니다. The fifth state is when the man discourses from faith, and thereby confirms himself in truth and good: the things then produced by him are animate, and are called the “fish of the sea,” and the “birds of the heavens.

 

 

12. 여섯 번째 상태는 사람이 신앙으로, 그리고 그에 기반한 사랑으로 참되게 말하고, 선을 행하는 때인데요, 이때 사람한테서 나오는 것들을 생물(the living soul), 그리고 가축(the beast)이라 합니다. 이때 사람은 신앙과 사랑 둘 다를 가지고 즉시 행동함으로써 영적인 사람(a spiritual man)이 되며, 이런 그를 형상(an image)이라고 합니다. 그의 영적 생명(spiritual life)은 신앙에 속한 지식들과 체어리티(charity)에 속한 행위들로 기쁘게 유지되며, 이런 지식들과 행위들을 그의 먹을거리(food)라고 합니다. 반면, 그의 자연적 생명(natural life)은 몸과 몸의 감각에 속한 것들로 기쁘게 유지되는데, 바로 이때 영적 전투가 벌어집니다. 그의 안에서 사랑이 주(主, the dominion)가 되며, 그가 천적인 사람(天的, a celestial man)이 될 때까지 말이지요. The sixth state is when, from faith, and thence from love, he speaks what is true, and does what is good: the things which he then brings forth are called the “living soul” and the “beast.” And as he then begins to act at once and together from both faith and love, he becomes a spiritual man, who is called an “image.” His spiritual life is delighted and sustained by such things as belong to the knowledges of faith, and to works of charity, which are called his “food”; and his natural life is delighted and sustained by those which belong to the body and the senses; whence a combat arises, until love gains the dominion, and he becomes a celestial man.

 

 

13. 거듭나는 중인 사람들이 모두 이 상태에 도달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늘날 엄청난 수의 사람들이(The greatest part) 이 첫 번째 상태까지만 이르고, 일부가 두 번째, 나머지가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그리고 여섯 번째는 별로 없으며(few), 일곱 번째 상태에 도달하는 사람은 희귀할 정도(scarcely)입니다. Those who are being regenerated do not all arrive at this state. The greatest part, at this day, attain only the first state; some only the second; others the third, fourth, or fifth; few th sixth; and scarcely anyone the seventh.

 

 

THE INTERNAL SENSE

 

14. 이어지는 글 가운데서 주님이라는 이름은 세상의 구주이신 예수 그리스도, 오직 그분만 의미합니다. 그분은 앞뒤 무슨 다른 이름을 덧붙이는 거 없이 오직 주님(the Lord)으로만 일컬음을 받으십니다. 온 천국에 걸쳐 그분은 주님으로 인식되시며, 사랑과 공경을 받으십니다. 모든 천국과 지상에서 오직 그분만이 모든 권세를 가진 분이시기 때문이지요. 그분은 제자들에게 친히 자신을 그렇게 부르라 명하셨습니다. In the following work, by the name Lord is meant the savior of the world, Jesus Christ, and him only; and he is called “the Lord” without the addition of other names. Throughout the universal heaven he it is who is acknowledged and adored as Lord, because he has all sovereign power in the heavens and on earth. He also commanded his disciples so to call him, saying,

 

너희가 나를 주라 하니 너희 말이 옳도다 내가 그러하다 (요13:13) Ye call me Lord, and ye say well, for I am. (John 13:13)

 

그래서 그분의 부활 후, 제자들은 그분을 오직 ‘주님’으로만 불렀습니다. And after his resurrection his disciples called him “the Lord.

 

 

15. 천국 전체가 오직 주님 외에 무슨 다른 아버지라는 건 없음을 알고 있습니다. 그분과 아버지는 하나이시기 때문인데요, 이는 아래와 같이 그분 자신 친히 하신 말씀입니다. In the universal heaven they know no other father than the Lord, because he and the father are one, as he himself has said:

 

6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 8빌립이 이르되 주여 아버지를 우리에게 보여 주옵소서 그리하면 족하겠나이다 9예수께서 이르시되 빌립아 내가 이렇게 오래 너희와 함께 있으되 네가 나를 알지 못하느냐 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거늘 어찌하여 아버지를 보이라 하느냐 10내가 아버지 안에 거하고 아버지는 내 안에 계신 것을 네가 믿지 아니하느냐 내가 너희에게 이르는 말은 스스로 하는 것이 아니라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셔서 그의 일을 하시는 것이라 11내가 아버지 안에 거하고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심을 믿으라 그렇지 못하겠거든 행하는 그 일로 말미암아 나를 믿으라 (요14:6, 8-11) I am the way, the truth, and the life. Philip saith, Show us the father Jesus saith to him, Am I so long time with you, and hast thou not known me, Philip? He that hath seen me hath seen the father how sayest thou then, Show us the father? Believest thou not that I am in the father, and the father in me? Believe me that I am in the father and the father in me. (John 14:6, 8–11)

Posted by bygracet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