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331건

  1. 2024.02.23 AC.208, 창3:6, '여자가 그 나무를 본즉 먹음직도 하고'(AC.207-210) - '태고교회의 네 번째 후손'
  2. 2024.02.23 AC.207, 창3:6, '여자가 그 나무를 본즉 먹음직도 하고'(AC.207-210) -'먹음직', '보암직', '지혜롭게 할 만큼 탐스러운', '여자', '그도 먹은지라'의 속뜻 개요 1
  3. 2024.02.23 AC.206, 창3:4-5, '뱀이 여자에게 이르되 너희가 결코 죽지 아니하리라'(AC.204-206) - '눈이 밝아져 하나님과 같이 된' 사람들의 천태만상
  4. 2024.02.22 AC.205, 창3:4-5, '뱀이 여자에게 이르되 너희가 결코 죽지 아니하리라'(AC.204-206) - '주님으로부터 독립, 홀로 서고자 하는 세 번째 후손'
  5. 2024.02.22 AC.204, 창3:4-5, '뱀이 여자에게 이르되 너희가 결코 죽지 아니하리라'(AC.204-206) - '그것을 먹는 날에는 너희 눈이 밝아져'와 '하나님과 같이 되어 선악을 알 줄'의 속뜻
  6. 2024.02.22 AC.203, 창3:2-3, '여자가 뱀에게 말하되 동산 나무의 열매를'(AC.198-203) - '신앙 관련, 영적 천사들의 퍼셉션'
  7. 2024.02.21 AC.202, 창3:2-3, '여자가 뱀에게 말하되 동산 나무의 열매를'(AC.198-203) - '만지지도 말라'의 속뜻 1
  8. 2024.02.21 AC.201, 창3:2-3, '여자가 뱀에게 말하되 동산 나무의 열매를'(AC.198-203) - '오늘날엔 알 수 없는, 태고인들의 지니어스 퀄리티로 인한 본문 설명의 어려움'
  9. 2024.02.21 AC.200, 창3:2-3, '여자가 뱀에게 말하되 동산 나무의 열매를'(AC.198-203) - 창2:9의 '중앙'과 창3:3의 '중앙'
  10. 2024.02.21 AC.199, 창3:2-3, '여자가 뱀에게 말하되 동산 나무의 열매를'(AC.198-203) - '그들이 먹을 수 있는 나무의 열매'의 속뜻

 AC.208, 창3:6, '여자가 그 나무를 본즉 먹음직도 하고'(AC.207-210) - '태고교회의 네 번째 후손'

 

6절, 여자가 그 나무를 본즉 먹음직도 하고 보암직도 하고 지혜롭게 할 만큼 탐스럽기도 한 나무인지라 여자가 그 열매를 따먹고 자기와 함께 있는 남편에게도 주매 그도 먹은지라 And the woman saw that the tree was good for food, and that it was pleasant to the eyes, and a tree to be desired to give intelligence, and she took of the fruit thereof and did eat, and she gave also to her man [vir] with her, and he did eat.

 

208

이들은 태고교회의 네 번째 후손이었는데요, 이들은 자기를 사랑함으로써 유혹에 빠지는 일을 자초했고, 감각과 기억-지식에 관한 걸로 확실히 증명되지 않으면, 이미 계시된 것일지라도 믿기를 꺼리던 사람들이었습니다. This was the fourth posterity of the most ancient church, who suffered themselves to be seduced by self-love [amore proprio] and were unwilling to believe what was revealed, unless they saw it confirmed by the things of sense and of memory-knowledge.

Posted by bygracetistory
,

 AC.207, 창3:6, '여자가 그 나무를 본즉 먹음직도 하고'(AC.207-210) - '먹음직', '보암직', '지혜롭게 할 만큼 탐스러운', '여자', '그도 먹은지라'의 속뜻 개요

 

6절, 여자가 그 나무를 본즉 먹음직도 하고 보암직도 하고 지혜롭게 할 만큼 탐스럽기도 한 나무인지라 여자가 그 열매를 따먹고 자기와 함께 있는 남편에게도 주매 그도 먹은지라 And the woman saw that the tree was good for food, and that it was pleasant to the eyes, and a tree to be desired to give intelligence, and she took of the fruit thereof and did eat, and she gave also to her man [vir] with her, and he did eat.

 

207

먹음직도 하고(Good for food)는 탐욕(cupidity)을, ‘보암직도 하고(pleasant to the eyes)는 환상(fantasy)을, ‘지혜롭게 할 만큼 탐스럽기도 한(desirable to give intelligence)은 쾌락(pleasure)을 의미합니다. 이것들은 오운(own), 곧 ‘여자(woman)에게 속한 것들입니다. ‘그도 먹은지라(the husband eating)는 이성(the rational)도 동의했음을 의미합니다 (AC.265). Good for food” signifies cupidity; “pleasant to the eyes,” fantasy; and “desirable to give intelligence,” pleasure: these are of the own, or “woman”; by the “husband eating” is signified the consent of the rational (n. 265).

 

※ 다음은 265번 글입니다. 이 글은 창3:16,

 

또 여자에게 이르시되 내가 네게 임신하는 고통을 크게 더하리니 네가 수고하고 자식을 낳을 것이며 너는 남편을 원하고 남편은 너를 다스릴 것이니라 하시고 And unto the woman he said, I will greatly multiply thy sorrow and thy conception; in sorrow thou shalt bring forth sons, and thine obedience shall be to thy man [vir], and he shall rule over thee.

 

내용 중, '남편'(man [vir])에 대한 속뜻입니다.

 

265

남편(man [vir])은 본장 6절에서부터 나타나는 이성(理性, the rational, 合理)을 말하는데요, 거기 6절에서 여자는 자기와 함께 있는 남편에게도 주었고, 그도 먹었지요. 이것이 의미하는 건 그도 동의했다는 겁니다. 같은 게 158번 글에 나오는 ‘남자’에 대해 한 말을 봐도 분명한데요, 거기서 그는 지혜롭고 지성적인 사람을 의미합니다. (아직 선악과를 먹기 전, 곧 타락하기 전입니다.) 그러나 여기 ‘남자’(남편)는 그와는 달리 이성(the rational)을 의미하는데, 왜냐하면, 지식의 나무, 곧 선악과를 먹음으로써 지혜와 지성이 파괴된 결과, 더 이상 아무것도 남지 않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성은 지성의 모방, 말하자면 겉모습이기 때문이지요. That by “man” [vir] is signified the rational appears from verse 6 of this chapter, in that the woman gave to her man with her, and he did eat, by which is meant his consent; and the same is also evident from what was said of the man in n. 158, where by him is meant one who is wise and intelligent. Here however “man” denotes the rational, because in consequence of the destruction of wisdom and intelligence by eating of the tree of knowledge, nothing else was left, for the rational is imitative of intelligence, being as it were its semblance.

 

※ 우리는 인간의 이성이 뭐 대단한 건 줄 알지만, 이성은 사실은 지성이 입는 겉옷입니다. 지성은 지혜가 입는 겉옷이고요. 이 지혜와 지성은 주님으로 말미암는 것입니다. 지혜는 주님의 선으로부터, 지성은 주님의 진리로부터 나오며, 진리는 선이 입는 겉옷입니다. 선악과를 먹기 전 인류는 지혜와 지성의 사람이었지만, 먹은 후에는 이성만 남은 사람이 되고 말았습니다. 선악과를 먹기 전 인간의 이성은 영광스러운 쓰임새 가운데 있었지만, 먹은 후에는 정말 초라한 쓰임새 밖에 남지 않게 되었습니다.

Posted by bygracetistory
,

 AC.206, 창3:4-5, '뱀이 여자에게 이르되 너희가 결코 죽지 아니하리라'(AC.204-206) - '눈이 밝아져 하나님과 같이 된' 사람들의 천태만상

 

4-5절, 4뱀이 여자에게 이르되 너희가 결코 죽지 아니하리라 5너희가 그것을 먹는 날에는 너희 눈이 밝아져 하나님과 같이 되어 선악을 알 줄 하나님이 아심이니라 And the serpent said unto the woman, Ye shall not surely die. For God doth know that in the day ye eat thereof, then your eyes shall be opened, and ye shall be as God, knowing good and evil.

 

206

자기를 사랑하고 동시에 세상 배움에 탁월한 사람들, 그리고 눈이 밝아져 하나님과 같이 되어 선악을 알게 된 사람들, 이 둘 중 누가 더 강한 믿음을 가진 걸까요? 그리고 누가 더 눈이 먼 걸까요? 이들에게 단지 질문만 해도 알 수 있는 사실은, 이들은 영의 존재를 믿기는 고사하고, 심지어 알지도 못한다는 겁니다. 이들은 영적, 천적 삶의 본성에 대해서는 정말이지 너무하다 싶을 정도로 낯설어하는데요, 이들은 영생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이들은 스스로를 사라질 짐승과도 같은 존재라 믿으며, 주님을 인정하지도 않고, 대신 오직 자신과 자연만 예배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이들 가운데 좀 신중하게 말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이르기를, 자기들이 모르는 어떤 본성을 가진 최고의 존재가 모든 걸 다스린다고 합니다. 이들이 감각 및 기억-지식에 속한 것들을 가지고 여러 가지로 스스로를 확신하는 데 사용하는 원리들이 있는데요, 이들은 맘만 먹으면 온 우주를 앞에 놓고도 그럴 겁니다. 이런 사람들은 신으로, 혹은 가장 지혜로운 사람으로 관심받기를 원하면서도 정작 만약 자신들의 오운(own)에 관한 걸 갖지 않는 것, 즉 주님 앞에 자신을 부인하는 게 뭔지 아느냐는 질문을 받으면, 대답하기를, 그런 건 존재하지 않는다고, 사람이 어떻게 자신을 부인할 수 있냐고, 만일 자신들의 오운인 모든 걸 빼앗기게 되면 자신들은 아무것도 아닌 게 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대답들을 할 겁니다. Who have a stronger belief that their eyes are open, and that as God they know what is good and evil, than those who love themselves, and at the same time excel in worldly learning? And yet who are more blind? Only question them, and it will be seen that they do not even know, much less believe in, the existence of spirit; with the nature of spiritual and celestial life they are utterly unacquainted; they do not acknowledge an eternal life; for they believe themselves to be like the brutes which perish; neither do they acknowledge the Lord, but worship only themselves and nature. Those among them who wish to be guarded in their expressions, say that a certain supreme existence [ens] of the nature of which they are ignorant rules all things. These are the principles in which they confirm themselves in many ways by things of sense and of memory-knowledge, and if they dared, they would do the same before all the universe. Although such persons desire to be regarded as gods, or as the wisest of men, if they were asked whether they know what it is not to have anything of their own, they would answer that it is to have no existence, and that if they were deprived of everything that is their own, they would be nothing.

 

※ 조금이라도 영의 존재를 시인하는 사람이라면, 그는 사후 자기 영의 상태를 신경 쓰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여기서 이런 사람에게 맨 먼저 이런 질문을 하는 이유는, 다른 모든 빛나는 성취를 이루었어도 정작 그가 자기 영에 대하여 전혀 무지하며, 관심조차 없고, 그저 철저히 세속적이며, 물질적이기만 하다면, 이 사람에겐 가장 시급한 질문이 바로 이 영, 다른 말로는 그의 오운과 관련된 질문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의 오운은 타고난 자연 상태 그대로는 악 그 자체이기 때문에, 얼른 주님의 생명에 접붙임을 받아 그 안에 주님의 생명이 흘러들어 새로운 상태가 되어야만 하기 때문입니다.

 

이들은 주님으로 말미암아 사는 것에 관한 질문을 받으면, 그런 건 일종의 환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양심이 무엇인지 아느냐는 질문에는, 그건 그저 상상 속 산물로서, 천민들(賤民)을 통제하는 방법으로 써먹을 수 있는 거라고 할 겁니다. 퍼셉션(perception)이 무엇인지는 아느냐는 질문에는, 그들은 씨익 비웃으며, 그런 건 광적 쓰레기, 곧 종교 마니아들 간 사용하는 일종의 무슨 싸인 같은 거라고 할 겁니다. If they are asked what it is to live from the Lord, they think it a fantasy. If asked whether they know what conscience is, they would say it is a mere creature of the imagination, which may be of service in keeping the vulgar under restraint. If asked whether they know what perception is, they would merely laugh at it and call it enthusiastic rubbish.

 

※ 스베덴보리 시절인 1750년대 유럽의 영적 분위기가 이랬나 봅니다. 이 하나하나의 사례가 모두 스베덴보리가 직접 겪었던 사례이지 싶은데요, 오늘날 한국 사회라고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개신교를 비롯, 거의 모든 기독교가 외적(外的, external) 사고, 즉 ‘겉의 사람’이 되었기 때문인데, 말로는 ‘영성, 영성’ 하지만 그 사고의 뿌리는 ‘’에 있습니다. 내적(內的, internal) 사고, 즉 ‘’, 내면을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없으며, 말해도 거의 이해를 못 합니다.

 

이런 게 그들의 지혜이며, 이런 게 그들이 말하는, 소위 ‘눈이 밝아지는 것(open eyes)이고, 이런 게 그들이 말하는 ‘하나님(gods)입니다. 이런 원리들, 그들 생각에는 대낮보다 더 밝은 원리들인데, 이런 원리들을 가지고 그들은 모든것의 출발점을 삼으며, 계속해서 이것에도, 저것에도 그렇게 삼습니다. 이런 식으로 그들은 신앙의 신비들에 대한 이성질(理性, reason)을 하는데요, 그 결과는 과연 어둠의 깊은 심연밖에 뭐가 더 있을까요? 무엇보다도 이런 것이 바로 세상을 꾀는 ‘(the serpents)인 것입니다만, 그러나 태고교회의 후손은 아직 이 정도까지는 아니었습니다. 이렇게 되는 건 본 장 14절로 19절에서 다루게 됩니다. Such is their wisdom, such “open eyes” have they, and such “gods” are they. Principles like these, which they think clearer than the day, they make their starting point, and so continue on, and in this way reason about the mysteries of faith; and what can be the result but an abyss of darkness? These above all others are the “serpents” who seduce the world. But this posterity of the most ancient church was not as yet of such a character. That which became such is treated of from verse 14 to verse 19 of this chapter.

 

오운(own) : 라틴어로는 프로프리엄(proprium), 보통 '소유' 관련 뉘앙스로 번역되지만, 여기선 '본성', '자아', '아이덴터티', '존재 그 자체', '그가 가진 모든 것' 등 우리말로 딱히 픽스하기 참 난처한 용어, 개념이어서, 그래서 저는 오랜 고민 끝에 그냥 발음 그대로 적고 있습니다. 퍼셉션, 체어리티처럼 말입니다. 스베덴보리는 창2:22,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에게서 취하신 그 갈빗대로 여자를 만드시고 그를 아담에게로 이끌어 오시니'에 나오는 이 '여자'를 주님이 아담에게 주시는 새로운 오운으로 설명하고 있음을(AC.151)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osted by bygracetistory
,

 AC.205, 창3:4-5, '뱀이 여자에게 이르되 너희가 결코 죽지 아니하리라'(AC.204-206) - '주님으로부터 독립, 홀로 서고자 하는 세 번째 후손'

 

4-5절, 4뱀이 여자에게 이르되 너희가 결코 죽지 아니하리라 5너희가 그것을 먹는 날에는 너희 눈이 밝아져 하나님과 같이 되어 선악을 알 줄 하나님이 아심이니라 And the serpent said unto the woman, Ye shall not surely die. For God doth know that in the day ye eat thereof, then your eyes shall be opened, and ye shall be as God, knowing good and evil.

 

205

모든 구절에는 그 교회의 어떤 특별한 상태나 상태의 변화가 들어 있습니다. 앞선 구절들에는 그들의 그런 기울어짐에도 불구, 그들은 그것이 불법임을 지각했다는 내용이 들어 있고, 이들 구절에는 그것이 자기들한테 합법이 아닌지 여부에 대해 의심하기 시작했다는 내용이 들어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 그들은 선조들로부터 들어왔던 것들이 참된 것인지 여부를 보게 될 것이고, 그러면서 그들의 눈이 열릴 것이기 때문입니다. Every verse contains a particular state, or change of state, in the church: the preceding verses, that although thus inclined they nevertheless perceived it to be unlawful; these verses, an incipient doubt whether it might not be lawful for them, since they would thus see whether the things they had heard from their forefathers were true, and so their eyes would be opened;

 

※ 그러니까 두 번째 후손까지는 그래도 '아니야, 이것은 불법이야!' 하는 단호함이 있었다면, 이 세 번째 후손부터는 '혹시 불법이 아닐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좀 완화된, 그런 변화가 있었다는 말입니다. 즉 주님이 주신 퍼셉션이 흐려지기 시작한 것이지요. 태고교회의 후손들이 주님보다는 자신에게 주목하게 되면서, 그에 비례해서 주님이 주신 퍼셉션이 흐릿해지기 시작한 겁니다. 퍼셉션은 어떤 선과 진리가 주님으로 말미암은 것인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아는 능력이므로, 이것이 흐릿해지면 덩달아 선과 진리에 대한 총명 또한 흐려지지요.

 

결국, 자기 사랑이 우위를 점한 결과, 그들은 스스로를 인도할 수 있을 것 같고, 그렇게 해서 주님처럼 될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 게 주님의 인도하심에 복종하기를 꺼리는, 그리고 혼자 알아서 사는 것과, 그렇게 되어 믿음이 필요한 일들에 대해 감각과 기억-지식에 속한 것들 컨설팅하는 걸 더 선호하는 자기 사랑의 본성이기 때문입니다. at length, in consequence of the ascendancy of self-love, they began to think that they could lead themselves, and thus be like the Lord; for such is the nature of the love of self that it is unwilling to submit to the Lord’s leading, and prefers to be self-guided, and being self-guided to consult the things of sense and of memory-knowledge as to what is to be believed.

Posted by bygracetistory
,

 AC.204, 창3:4-5, '뱀이 여자에게 이르되 너희가 결코 죽지 아니하리라'(AC.204-206) - '그것을 먹는 날에는 너희 눈이 밝아져'와 '하나님과 같이 되어 선악을 알 줄'의 속뜻

 

4-5절, 4뱀이 여자에게 이르되 너희가 결코 죽지 아니하리라 5너희가 그것을 먹는 날에는 너희 눈이 밝아져 하나님과 같이 되어 선악을 알 줄 하나님이 아심이니라 And the serpent said unto the woman, Ye shall not surely die. For God doth know that in the day ye eat thereof, then your eyes shall be opened, and ye shall be as God, knowing good and evil.

 

204

그것을 먹는 날에는 너희 눈이 밝아져(Their eyes being opened by eating of the fruit of the tree)는 만일 그들이 신앙에 관한 것들을 무슨 감각과 지식에 관한 걸로, 즉 자신들이 가진 걸로 조사, 검사, 검토할 경우, 그들은 분명 그것들, 곧 그 신앙에 관한 것들을 잘못된 걸로, 틀린 걸로 볼 거라는 말입니다. 그리고 그들이 ‘하나님과 같이 되어 선악을 알 줄(as God, knowing good and evil)은 만일 그들이 자신들을 기준 삼아 그런 짓을 하면, 그들은 마치 자신이 하나님인 양 스스로를 인도하려 할 것이라는, 즉 하나님의 인도를 구하는 대신 오직 자기 힘으로만 살아가려 할 것이라는 말입니다. Their “eyes being opened by eating of the fruit of the tree” signifies that if they were to examine the things of faith from what is of sense and knowledge [ex sensuali et scientifico], that is, from themselves, they would plainly see those things as if erroneous. And that they would be “as God, knowing good and evil,” denotes that if they did so from themselves, they would be as God, and could guide themselves.

Posted by bygracetistory
,

 AC.203, 창3:2-3, '여자가 뱀에게 말하되 동산 나무의 열매를'(AC.198-203) - '신앙 관련, 영적 천사들의 퍼셉션'

 

2-3절, 2여자가 뱀에게 말하되 동산 나무의 열매를 우리가 먹을 수 있으나 3동산 중앙에 있는 나무의 열매는 하나님의 말씀에 너희는 먹지도 말고 만지지도 말라 너희가 죽을까 하노라 하셨느니라 And the woman said unto the serpent, We may eat of the fruit of the tree of the garden; But of the fruit of the tree which is in the midst of the garden, God hath said, Ye shall not eat of it, neither shall ye touch it, lest ye die.

 

203

그러나 영적 천사들은 신앙에 관한 대화를 하며, 지성적, 이성적, 그리고 지적 언어들로 신앙에 속한 것들을 심지어 확증까지 하지만, 그러나 이들은 결코 신앙 관련 주제들에 관한 자신들의 결론을 그런 걸 기반으로 내지는 않습니다. 그런 짓을 하는 자는 악 가운데 있기 때문이지요. 이들은 또한 신앙에 속한 모든 진리에 관한 퍼셉션을 주님으로부터 부여받습니다. 비록 천적 천사들의 것과 같은 그런 퍼셉션은 아니지만 말입니다. 영적 천사들의 퍼셉션은 일종의 양심인데요, 이것은 주님으로 말미암아 생명력을 갖는, 겉보기엔 정말 천적 퍼셉션같지만 실제로는 그건 아니고, 오직 영적 퍼셉션일 뿐입니다. The spiritual angels, however, converse about faith, and even confirm the things of faith by those of the intellect, of the reason, and of the memory, but they never form their conclusions concerning matters of faith on such grounds: those who do this are in evil. They are also endowed by the Lord with a perception of all the truths of faith, although not with such a perception as is that of the celestial angels. The perception of the spiritual angels is a kind of conscience which is vivified by the Lord and which indeed appears like celestial perception, yet is not so, but is only spiritual perception.

Posted by bygracetistory
,

 AC.202, 창3:2-3, '여자가 뱀에게 말하되 동산 나무의 열매를'(AC.198-203) - '만지지도 말라'의 속뜻

 

2-3절, 2여자가 뱀에게 말하되 동산 나무의 열매를 우리가 먹을 수 있으나 3동산 중앙에 있는 나무의 열매는 하나님의 말씀에 너희는 먹지도 말고 만지지도 말라 너희가 죽을까 하노라 하셨느니라 And the woman said unto the serpent, We may eat of the fruit of the tree of the garden; But of the fruit of the tree which is in the midst of the garden, God hath said, Ye shall not eat of it, neither shall ye touch it, lest ye die.

 

202

태고교회는, 천적 인간이었지요,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를 먹기(eating of the tree of knowledge, 지식의 나무), 즉 신앙에 속한 것을 감각적인 것들과 기억-지식들(memory-knowledges)을 가지고 배우는 걸 삼가야 할 뿐 아니라, 그 나무를 만지는 거, 즉 신앙에 관한 문제를 감각적인 것들과 기억-지식들을 가지고 생각하는 게 허용조차 되지 않는 그런 캐릭터였습니다. 안 그러면, 그들은 천적 삶에서 영적 삶으로, 그리고 계속해서 그렇게 가라앉았기 때문입니다. 천적 천사들의 삶 또한 그런데요, 그들이 더욱 내적, 더욱 천적일수록, 그들은 신앙이라 이름하는 거라든지, 영적 성격을 띠는 무엇이든지 접해 보는 것 조차 일절 불허됩니다. 그리고 만일 이 신앙이라는 말을 남들을 통해서 듣게 되면, 신앙 대신 그들은 사랑에 관한 퍼셉션(perception)이 있는데요, 이게 어떻게 다른 건지는 오직 그들만 아는데, 그래서 신앙에 관한 무엇이든지 그들은 사랑과 체어리티(charity)로부터 출발하지요. 더더구나 그들은 신앙에 대해 이성을 가지고 이러니 저러니 하는 말 듣는 걸 굉장히 못 견뎌 하며, 무엇보다도 신앙 관련, 어떤 기억-지식을 가지고 그러는 걸 특히 힘들어 합니다. 왜냐하면, 사랑을 통해서, 그들은 주님으로 말미암는 선과 진리에 관한 퍼셉션이 있기 때문이며, 이 퍼셉션으로 그들은 어떤 것이 그런지 안 그런지를 즉시 알기 때문입니다. 그런 까닭에, 어떤 신앙에 관한 말을 듣게 되면, 그들은 그저 단순히 그렇다, 아니다로 대답하는데, 그들은 주님으로 말미암아 그걸 지각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마태복음에서 하신 주님 말씀의 의미입니다. The most ancient church, which was a celestial man, was of such a character as not only to abstain from “eating of the tree of knowledge,” that is, from learning what belongs to faith from sensuous things and memory-knowledges, but was not even allowed to touch that tree, that is, to think of anything that is a matter of faith from sensuous things and memory-knowledges, lest they should sink down from celestial life into spiritual life, and so on downward. Such also is the life of the celestial angels, the more interiorly celestial of whom do not even suffer faith to be named, nor anything whatever that partakes of what is spiritual; and if it is spoken of by others, instead of faith they have a perception of love, with a difference known only to themselves; thus whatever is of faith they derive from love and charity. Still less can they endure listening to any reasoning about faith, and least of all to anything of memory-knowledge respecting it; for, through love, they have a perception from the Lord of what is good and true; and from this perception they know instantly whether a thing is so, or is not so. Therefore when anything is said about faith, they answer simply that it is so, or that it is not so, because they perceive it from the Lord. This is what is signified by the Lord’s words in Matthew:

 

오직 너희 말은 옳다 옳다, 아니라 아니라 하라 이에서 지나는 것은 악으로부터 나느니라 (마5:37) Let your communication be Yea, yea; nay, nay; for whatsoever is more than these cometh of evil. (Matt. 5:37)

 

그래서 이것이 그들로 하여금 지식의 나무 열매를 만지지 못하게 하셨다는 말의 의미입니다. 그들이 그걸 만지면, 그들은 악 가운데 있게, 즉 결과적으로 ‘죽게(die) 되기 때문이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적 천사들은 다양한 주제에 관해 다른 천사들처럼 서로 대화합니다. 다만 천적 언어로 하는데, 이 언어는 사랑으로 되어 있고 사랑에서 나오며, 영적 천사들의 언어보다 더욱 형언할 수 없는 언어입니다. This then is what was meant by their not being allowed to touch the fruit of the tree of knowledge; for if they touched it, they would be in evil, that is, they would in consequence “die.” Nevertheless the celestial angels converse together on various subjects like the other angels, but in a celestial language, which is formed and derived from love, and is more ineffable than that of the spiritual angels.

 

기억-지식들(memory-knowledges) : 학습하기만 한 지식들, 아직 실천까지는 안 한, 이 지식들이 실천의 옷을 입으면 그때부터 속 사람의 일부가 됨

 

퍼셉션(perception) : 천사들에게 허용된 직관 능력, 어떤 것이 주님으로 말미암은 선과 진리인지를 본능적으로 아는. 인류는 지금까지 네 교회, 즉 태고교회(아담교회), 고대교회(노아교회), 표상교회(모세교회)가 있었고, 그리고 현 기독교회가 진행 중임. 각 교회 시대마다 그 시대의 최후의 심판과 종말, 곧 그 시대 교회의 종말이 있었음. 주님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류가 계속해서 주님께 연결되어 존속할 수 있도록 하셨음. 인류가 주님께 연결되어 있도록 주님이 허용하신 첫 번째가 바로 이 '퍼셉션'임. 그러나 이 퍼셉션은 태고교회의 종말, 곧 '홍수'로 말미암아 닫히고, 이후 일어난 고대교회(노아교회) 때부터 인류에게 새로운, 즉 기존 퍼셉션을 대신할 새로운 연결 방법이 주님으로부터 허용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양심'임

 

체어리티(charity) : 기부, 인애, 자원봉사, 이웃 사랑

Posted by bygracetistory
,

 AC.201, 창3:2-3, '여자가 뱀에게 말하되 동산 나무의 열매를'(AC.198-203) - '오늘날엔 알 수 없는, 태고인들의 지니어스 퀄리티로 인한 본문 설명의 어려움'

 

2-3절, 2여자가 뱀에게 말하되 동산 나무의 열매를 우리가 먹을 수 있으나 3동산 중앙에 있는 나무의 열매는 하나님의 말씀에 너희는 먹지도 말고 만지지도 말라 너희가 죽을까 하노라 하셨느니라 And the woman said unto the serpent, We may eat of the fruit of the tree of the garden; But of the fruit of the tree which is in the midst of the garden, God hath said, Ye shall not eat of it, neither shall ye touch it, lest ye die.

 

201

그러므로 홍수 이전에 있었던 태고인들의 이런 지니어스가 오늘날엔 발견되지도, 그리고 존재하지도 않는 이런 상황 속에서, 이 본문이 의미하는 참된 의미, 곧 속뜻을 제대로 설명한다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천국에서는 다릅니다. 천국에서는 온전한 이해가 가능한데요, 천적이라고 하는 천사들과 천사적 영들은 홍수 전에 거듭난 태고인들과 같은(same) 지니어스를 지닌 반면, 영적이라고 하는 천사들과 천사적 영들은 홍수 후 거듭난 사람들과 유사한(similar) 지니어스를 지녔기 때문입니다. 비록 두 경우 모두 무한히 다양하지만 말입니다. Seeing therefore that such a genius as that of the most ancient people anterior to the flood is not found and does not exist at the present day, it is no easy matter to explain intelligibly what the words of this passage in their genuine sense imply. They are, however, perfectly understood in heaven, for the angels and angelic spirits who are called celestial are of the same genius as the most ancient people who were regenerate before the flood; while the angels and angelic spirits who are termed spiritual are of a similar genius to the regenerate after the flood, although in both cases with indefinite variety.

Posted by bygracetistory
,

 AC.200, 창3:2-3, '여자가 뱀에게 말하되 동산 나무의 열매를'(AC.198-203) - 창2:9의 '중앙'과 창3:3의 '중앙'

 

2-3절, 2여자가 뱀에게 말하되 동산 나무의 열매를 우리가 먹을 수 있으나 3동산 중앙에 있는 나무의 열매는 하나님의 말씀에 너희는 먹지도 말고 만지지도 말라 너희가 죽을까 하노라 하셨느니라 And the woman said unto the serpent, We may eat of the fruit of the tree of the garden; But of the fruit of the tree which is in the midst of the garden, God hath said, Ye shall not eat of it, neither shall ye touch it, lest ye die.

 

200

앞서 창2:9에서는 생명나무가 동산 중앙에 있는 나무이지 지식의 나무가 아니라고 하더니, 여기서는 ‘지식의 나무(the tree of knowledge)동산 중앙에(in the midst of the garden) 있다고 하는데요, 그 이유는, 동산 ‘중앙(the midst)이 인모스트(the inmost, 가장 내적인, 가장 깊은)를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천적 인간, 즉 태고교회의 인모스트는 ‘생명 나무(the tree of lives), 곧 사랑과 사랑에서 나오는 신앙이었던 반면, 이 사람, 천적 영적 인간이라 할 수 있는, 혹은 이 후손한테서는 신앙이 동산의 ‘중앙’, 즉 인모스트였기 때문입니다. 태곳적 살았던 사람들의 퀄리티를 아주 제대로 묘사하는 건 불가능한데요, 왜냐하면, 오늘날 그들에 대해서는 알려진 게 전혀 없고, 그들의 지니어스는 지금까지 발견된 그 어떤 사람들보다도 정말 다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들의 지니어스에 대한 걸 좀 전달, 알려드릴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사실, 곧 그들은 선을 통해 진리를 알거나, 사랑을 통해 신앙에 관한 걸 알았다는 정도로는 말씀드릴 수 있는데요, 그러나 그 세대가 막을 내리고, 그 다음에 일어난 세대는 완전히 다른 지니어스를 가졌습니다. 그들은 이전 세대처럼 선을 통해 진리를 알거나, 사랑을 통해 신앙에 관한 걸 아는 대신, 정반대로 진리를 가지고 선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거나 신앙 관련 지식을 가지고 사랑에 관한 걸 아는, 즉 선과 사랑을 지식으로, 학습으로 아는 그런 세대였기 때문이지요. 그들 중 거의 대부분이 지식밖에는 가진 게 거의 없었습니다. 이런 것이 세상의 멸망을 막기 위한, 홍수 후 생긴 변화였습니다. The reason why the “tree of knowledge” is here spoken of as being “in the midst of the garden,” although previously (Gen. 2:9), the tree of lives was said to be in the midst of the garden, and not the tree of knowledge, is that the “midst” of the garden signifies the inmost; and the inmost of the celestial man, or of the most ancient church, was the “tree of lives,” which is love and the faith thence derived; whereas with this man, who may be called a celestial spiritual man, or with this posterity, faith was the “midst” of the garden, or the inmost. It is impossible more fully to describe the quality of the men who lived in that most ancient time, because at the present day it is utterly unknown, their genius being altogether different from what is ever found with anyone now. For the purpose however of conveying some idea of their genius, it may be mentioned that from good they knew truth, or from love they knew what is of faith. But when that generation expired, another succeeded of a totally different genius, for instead of discerning the true from the good, or what is of faith from love, they acquired the knowledge of what is good by means of truth, or what is of love from the knowledges of faith, and with very many among them there was scarcely anything but knowledge [quod scirent]. Such was the change made after the flood to prevent the destruction of the world.

 

여호와 하나님이 그 땅에서 보기에 아름답고 먹기에 좋은 나무가 나게 하시니 동산 가운데에는 생명 나무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도 있더라 (창2:9)

Posted by bygracetistory
,

 AC.199, 창3:2-3, '여자가 뱀에게 말하되 동산 나무의 열매를'(AC.198-203) - '그들이 먹을 수 있는 나무의 열매'의 속뜻

 

2-3절, 2여자가 뱀에게 말하되 동산 나무의 열매를 우리가 먹을 수 있으나 3동산 중앙에 있는 나무의 열매는 하나님의 말씀에 너희는 먹지도 말고 만지지도 말라 너희가 죽을까 하노라 하셨느니라 And the woman said unto the serpent, We may eat of the fruit of the tree of the garden; But of the fruit of the tree which is in the midst of the garden, God hath said, Ye shall not eat of it, neither shall ye touch it, lest ye die.

 

199

그들이 먹을 수 있는 나무의 열매(the fruit of the tree of which they might eat)가 태고교회로부터 그들에게 계시된 신앙의 선과 진리, 즉 신앙에 관한 지식들을 의미한다는 건 다음과 같은 사실, 곧 앞서 천적 인간, 곧 태고교회를 다룰 때처럼 ‘동산 나무(the tree of the garden, 창2:16)라 하지 않고, 대신 ‘그들이 먹을 수 있는 동산 나무의 열매(the fruit of the tree of the garden of which they might eat)라고 하고 있는 사실을 보면 분명합니다. That the “fruit of the tree of which they might eat” signifies the good and truth of faith revealed to them from the most ancient church, or the knowledges [cognitiones] of faith, is evident from the fact that it is said to be the “fruit of the tree of the garden of which they might eat,” and not the “tree of the garden,” as before when treating of the celestial man, or the most ancient church (Gen. 2:16).

 

여호와 하나님이 그 사람에게 명하여 이르시되 동산 각종 나무의 열매는 네가 임의로 먹되’ (창2:16)

 

※ 우리말 개역 개정에서는 위 창2:16 번역을 ‘동산 각종 나무의 열매’라 하여 원전에는 없는 ‘열매’를 첨가했습니다. 원전에는 ‘동산 각종 나무’인데요, 나무가 퍼셉션(perception)을 의미한다는, 이런 속뜻을 알 길이 없었던 번역자들은 ‘나무를 먹는다고?’ 하면서 이 부분을 원전 그대로 번역하기가 굉장히 어색했을 것입니다.

 

위 창2:16 본문의 ‘동산 나무(The tree of the garden)는 선하고 참된 것에 관한 퍼셉션입니다. 선과 진리는 퍼셉션을 통해 나오는, 즉 지각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 ‘열매(fruit)라고 하는 것이며, 또한 말씀에서 자주 ‘열매’로 상징, 표상되는 것입니다. The “tree of the garden,” as it is there called, is the perception of what is good and true; which good and truth, because they are from that source, are here called “fruit,” and are also frequently signified by “fruit” in the Word.

Posted by bygracetistory
,